1일전 2일전 1주일전 한달전 1년전


♬ 여자의 거울 OST - 우울한 클라리넷
슈퍼노트(Supernote)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 유럽연합 27
J커브 효과(J curve effect)



지금의 너


나는 대체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아---------------!" 나는 소리쳤다.
이 방 안에서 이렇게 크게 소리 지른 건 처음이었다.
너는 무얼 하고 싶니? 너는 어딜 가고 싶니?
너는 지금의 너를 진짜 네가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건 아냐. 지금의 너는 진짜 너야.
지금의 너도 진짜 너의 일부분이야.
이불에 파고든 채 내 머릿속은
그런 말로 가득 찼다.  


- 치하라 주니어의《열네 살》중에서 -


* 지금의 모습 속에
모든 것이 다 담겨 있습니다.
'어제의 너'가 곧 '지금의 너'이고,
'지금의 너'가 바로 '내일의 너'입니다.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하는 것, 열심히 사는 것,
지금 가는 방향이 올바른지 살피며 사는 것,
그것이 지금을 잘 사는 것입니다.







한 부부가 싸우기 시작했다.

 

아내 : 퇴근하면 늘 TV만 끼고 사니...당신은 도대체 잘하는게 뭐가 있어?

남편 : 딱 하나 잘 한 거 있어!

아내 : 뭔데?

남편 : 당신과...결혼 한 거.


 

 

 

누가 당신에게 돈을 빌려 달라고 하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선뜻 돈을 빌려 줄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누가 당신에게 놀러가자고 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돈을 빌려 달라고 하면 주저하다가도
시간을 빌려 달라고 하면 대개 우리는 선뜻 응하게 됩니다.

이처럼 우리는 돈보다 시간을 빌려주는 일에 지극히 관대합니다.
만약 사람들이 자기 주머니 속의 돈을 아끼는 것처럼 시간을 아낀다면,
그는 자신을 위해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영원히 살 수 없는 우리의 생,
그러나, 시간은 그것을 활용하는 사람에 따라
아주 다른 면을 보여 줍니다.

흔히 일상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것이지만
같은 한 시간이라도 어느 때는 못 견디게 지루할 때가 있고,
또 어느 때는 마치 십 분처럼 빨리 지나갈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바로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다릅니다.

잠 못 이루는 자에겐 밤이 길고,
지친 자에겐 길이 먼 법입니다.

우리 인생의 길고 짧음은
우리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
판가름 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 이정하, 돌아가고 싶은 날들의 풍경




누군가를위해서

 

잠깐만

 

이야기 하도록 하지.

 

아마도 너에게 하는 말은 아니겠지.

 

.청담동 와인바에서 명품 원피스를 입고, 와인 잔을 기울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장소에서 누구와 어떤 이야기를 하는가야.

 

왜 항상 부수적인 것에만 초점을 맞춘 채 본질을 잃어 버리는 거야?

 

행위에서 만족을 찾으려고만 하지마.

 

.'어떤 드라마에서 봤는데...' 왜 항상 드라마의 사례를 실제 사례로 착각해서 논하는 거야.

 

지금껏 살면서 너만의 소중한 경험들도 얼마든지 있잖아?

 

.저급한 취향을 이해해줄 수는 있어. 하지만 거기에 괜한 자존심을 개입시켜 고집을 피우지는 마.

 

.너는 너로써 아름다워야 하는거야.

 

왜 인간마저도 너를 빛나게 하기 위한 장식품으로 생각하는거야?

 

거기서 자존감을 얻으려고 하는거야?

 

.제발 너부터 자격을 갖춰! 긴 말 필요 없지?

 

.아예 연락을 끊어 버리든가, 무시 하지 말든가!

 

왜 지극히 단순하고 기본적인 예의조차 기대해야 하는건데?

 

그것도 나를 사랑한다는 너에게!

 

.제발 생각 좀 하고 말을 해.

 

말은 '파장'이야!

 

영원히 생각을 하지 않고 살 작정이라면 몰라도,

 

너의 그 무식함에 감히 누굴 가둬두려고 하는거야?

 

그래도 나는 알아.

 

아무리 말하고 또 말해봐도,

 

널 고칠 수는 없다는 것을.

 

그저 나를 지워야만 한다는 것을.

 

너를 버려야만 한다는 것을.

 

 

 

 

 

"단 지나친 지혜는 스스로를 고립시킨다. 그리고 바보가 되기 위한 연습을 해야지만 어울릴 수 있다."



약간의 다툼 후에

 

그녀 때문에 화가 난

 

남자는 화를 풀고 화해를 하기 위해서

 

이렇게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내일 그냥 밥이나 사!'

 

그러자 그녀에게 답장이 왔다.

 

'오빠가 사줘. 오빠 돈 잘 벌잖아!'

(설령 남자가 돈이 많아도 화가나길 마련이다. 밥은 어차피 명목에 불과했기 때문이니까)

 

만약 여기서 여자가 싸움을 다시 걸기 위해서라면 그럴 수도 있으나

 

그럴 마음이 없는데도

 

그렇게 답장을 보냈다면

 

다소 이해력(판단력)이 떨어지는 여자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남자가 다시 화를내면

 

'농담이야! 소심하게 왜 그래!'라고 말하며 마치 쥐새끼처럼 빠져나갈 구멍을 마련하는데,

 

농담도 상황에 따라 해야 하는지조차 모르는 자신의' 철 없음' 혹은 '무지'를 강조할 뿐이다.

 

판독이나 독해 능력은 단순히 언어 영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개념 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왜 개념이 없는지조차 모른 채,

 

상대방을 이상한 사람 혹은 소심한 사람으로 몰고가는

 

'소몰이 태도'로써 자신의 이기심을 드러낸다.

 

정말 안타깝다.

 

 

 

 

 

 

 

"언어 영역 만점만이 관건이 아니다. 인간의 언어를 이해할 줄 알아야 한다."




*No sweat, no sweet.         땀이 없으면 달콤함도 없다.

 

* Let bygones be bygones.           지나간일은 잊어 버리세요.


말은 자신에 대한 광고이다


두 마리의 기러기가 매년 하던 대로
남쪽으로 이동할 채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개구리 한 마리가
자기도 데려가 줄 수 없느냐고 물었습니다.
두 마리의 기러기는 "그래" 하고 대답했지만
그 일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걱정스러웠습니다.
그러자 무척이나 꾀 많은 이 개구리는
길고 튼튼한 풀잎 줄기를 구해 와서는
두 마리의 기러기들에게
자기는 풀잎 줄기 중간에 입으로 매달려 있을 테니
양쪽 줄기 끝을 발로 잡아달라고 부탁했습니다.
마침내 두 마리의 기러기와 개구리는 하늘로 날아올랐습니다.
한참을 날아오르자 저 아래로
사람들과 집들이 보였습니다.
넓게 펼쳐진 광경이 개구리에게는 무척이나 신기했습니다.
그때 두 마리의 기러기는 독특한 체험을 구상한
자신들의 창조력과 현명한 행동에 대해
큰소리로 자화자찬을 늘어놓기 시작했습니다.
두 마리의 기러기가 하는 말을 듣고 있던
개구리는 허영심이 발동하여
그만 입을 벌리고는 큰소리로 말했습니다.
"그건 내 아이디어였잖아!"
그 순간, 개구리는 곧장 땅으로 떨어져 죽고 말았습니다.

*       *       *

입을 굳게 다물고 있어야 한다는
옛 속담 중에는 이런 것도 있습니다.
"입을 다물어라.
그러면 당신이 바보라도 바보인 줄
아는 사람이 절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입을 열면 모든 것이 탄로난다."
이런 옛말을 통해 우리는 몇 가지 진리를 배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무 말도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말을 할 때와 들어야 할 때를
분별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시도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스지그 지글러 | 이구용 | 큰나무)




2009년 6월 11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090611목] 우수한 입학사정관 확보가 과제다

 

  서울대가 2011학년도 입시부터 입학사정관제로 입학 정원의 38.6%인 1,200여명을 선발하고, 기회균형선발 전형에 지 역할당제를 도입해 수년간 합격자를 배출하지 못한 지역의 학생을 뽑기로 했다. 서울대의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 선발 비율 이 10.6%(330여명)이고, 고려대와 연세대가 각각 23.5%(875명) 16.3%(609명)인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수준이 다.

  서울대의 결정은 다른 대학에 영향을 미쳐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를 견인할 것이 확실하다. 이렇게 되면 입시 제도 전반 에 변화를 몰고 와 입학사정관제가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다. 또 초ㆍ중등 과정의 기존 교육 내용이나 방식에 근본적인 수술도 불가피 할 것이다. 입학사정관제가 제대로 정착한다면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이뤄내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입학사정관제는 내신ㆍ수능 성적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학생의 평소 학교생 활, 인성, 창의성과 미래 잠재력을 두루 평가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게 급선무 다. 성적이 전체 1% 이내인 학생은 떨어지고 5% 이내인 학생이 합격하는 상황을 학생 학부모들이 납득하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들이 지혜를 모아 입학사정관 전형의 공통 모델과 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무엇보다 전문적 식견과 경험을 갖춘 입학사정관을 충분히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10일 입학사정관 양성기관으로 선정된 서 울대 등 5개 대학이 양질의 입학사정관을 많이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 규모를 늘려야 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처럼 사회 원 로를 입학사정관으로 위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입학사정관들이 책임감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신분을 보장해주는 일 역시 간과하 지 말아야 한다.

  입학사정관제가 정착하려면 일선 고교는 학교생활기록부, 추천서 등을 엄격히 작성ㆍ관리해 대학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교육 과정 운영의 특성화, 다양화 및 다양한 비교과 활동 영역의 확대도 필요하다.

 

 

[한겨레신문 사설-20090611목] 이 대통령의 왜곡된 현실인식과 처방 

 

  6월 민주항쟁 22돌을 맞아 어제 서울광장에서는 시민사회단체와 야당 등이 주최한 범국민대회가 열렸다. 당국의 집회 불 허 방침을 뚫고 우여곡절 끝에 열린 이날 대회에서 광장을 가득 메운 참석자들이 한목소리로 외친 것은 “민주주의 회복”이었다. 6월 항쟁 등을 거치며 힘겹게 성취한 민주주의적 가치가 훼손되고, 우리 사회가 다시 과거의 터널로 후진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분노와 안 타까움이 넘쳐났다. 

  같은 날, 이명박 대통령은 전혀 다른 현실인식을 보여주었다. 그는 6월항쟁 기념사에서 너무나도 태연히 “우리나라 민주주의 는 누구도 되돌릴 수 없을 만큼 확고하게 뿌리내렸다”고 말했다. 최근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지식인들의 시국선언도 결국 쇠귀 에 경 읽기였다. 이 대통령은 이런 지적에 미동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오히려 민주화 요구를 “독선적 주장”쯤으로 매도했다. 정부는 민주주의를 위해 노력하는데, “극단적 투쟁”이 나 “집단 이기주의”를 앞세운 세력들이 민주주의를 망치고 있다는 게 그의 현실 진단이다. 한마디로 자가당착이요 적반하장이 아 닐 수 없다. 이 대통령의 말마따나, “민주주의가 열어놓은 정치공간에 실용보다는 이념”을 앞세운 게 누구이고 “절제와 타협”의 미 덕을 내팽개친 채 독선과 아집으로 국정을 운영해온 게 누구인가. 그런데도 그가 “개방적인 토론과 합리적인 대화”의 중요성을 말하 고 있으니 어이가 없다. 

  이 대통령은 6월 민주항쟁 기념일을 “사회 통합과 단합을 이루는 기제”로 삼자며, “성숙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대통 령인 저도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의 잘못된 현실인식과 처방 앞에서 이런 다짐은 공허하기만 하다. 곳곳에서 봇물처 럼 터져나오는 아우성과 신음에 귀를 틀어막고 시민의 광장마저 봉쇄하는 것이 노력의 실체인지, 또 법과 질서를 앞세워 반대 목소리 를 억누르기만 하면 사회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하는지 묻고 싶을 뿐이다. 

  이 대통령이 진정으로 6월항쟁의 숭고한 뜻을 계승 발전시킬 생각이라면 편견과 독선의 동굴에서 벗어나야 한다. 말로만 “자 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 국민들의 강한 의지”를 칭송할 게 아니라, 진정으로 국민을 믿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활짝 열어야 한 다. 그런 인식의 대전환이 없는 한 이 대통령도, 이 나라도 함께 불행해진다. 

 

 

[동아일보 사설-20090611목] 일부 교수 시국선언, 그 ‘陣營논리’의 편향성 

 

  이장무 서울대 총장은 그제 기자간담회에서 서울대 교수 124명의 시국선언에 대해 “서울대 구성원 전체의 의견은 아니라 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은 학문과 사상의 자유에 봉사하는 곳으로 시국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면서 “시국선언 을 한 교수들과 의견을 달리하는 교수도 상당수 있다”고 했다. 이 총장의 발언은 시국선언 참여 교수가 전임강사 이상 전체 서울 대 교수 1786명 중 6.9%에 불과하다는 숫자의 문제만 지적한 것으론 보이지 않는다. 다양성이 존중돼야 할 대학에서 정파적 색 깔을 띤 일방의 시국선언이 전체 대학사회를 대표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 대한 우려의 표현일 것이다. 

  지금까지 70여 개 대학 4000여 명의 교수가 릴레이식으로 시국선언에 나섰고, 종교계 법조계 문인단체의 일부 인사도 동 참했다. 표현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내용은 엇비슷하다. 시국선언문들은 한결같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 이명박 정부가 검 찰 수사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라고 요구한다. 정부가 집회·결사의 자유를 억압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기로 몰아넣었다는 주장도 있 다. 지금의 정부가 지난 10년간의 대북정책 성과를 무위로 돌렸다는 견해도 들어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과 정부의 책임을 직접 연결시키는 것은 인과관계를 무시한 논리적 비약이다. 민주주의 위기 주장도 지엽 적인 부분을 확대·과장하거나 사회 현상을 포괄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단견(短見)이다. 북한의 핵 개발과 미사일 발사, 금강산 관광 객 사살 같은 도발로 초래된 남북관계 악화의 책임을 전적으로 현 정부에 전가하는 것도 매우 편향적(偏向的)이다. 지식인이라면 사안 을 균형 있게 바라봐야 한다. 특히 시국관을 공개적으로 표출할 때는 논리성 합리성 타당성을 갖추어야 공감을 얻을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는 교수들’ 128명은 그제 지금까지 나온 대학가의 시국선언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 지성이 불편부당성과 겸손함을 가질 때 비로소 지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 자신들만이 공감하는 정파적 내용을 시국선언이라는 형식 을 빌려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지성의 바른 표출이 아니고 국민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시국선언 참여자들에 게 공개적 토론회 같은 소통과 대화의 장을 갖자고 제의했다. 일방적 선언보다는 치열한 토론을 통해 상호 견해를 검증하는 것이 훨 씬 지식인다운 모습일 것이다.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통제 불능상태에 빠져 국가적 위기를 초래할지, 아니면 적절한 여과과정을 거쳐 화합과 통합으로 승화할 지는 민주주의의 성숙도와 관련이 깊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 이후 분위기를 타고 쏟아져 나오는 시국선언의 주조(主潮)는 광장의 확 성기에서 흘러나오는 한쪽 진영(陣營)의 격앙된 목소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 우리의 시각이다. 이 시대의 지식인이라면 현실 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균형감각을 바탕으로 통합의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조선일보 사설-20090611목] 유엔 대북(對北) 결의 이후 대응이 더 중요하다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사실상 확정됐다. 유엔 안보리는 일부 표현을 둘러싼 막바 지 조정을 거쳐 조만간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여기에 담길 제재는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 때 채택한 안보리 결 의 1718호보다 훨씬 강력하고 제재 대상이 광범위하다. 북한을 오가는 선박에 수출입 금지 품목이 실려 있다는 증거가 있을 경 우 공해(公海)에서 선박 검색을 요청할 수 있게 했고 인도적 지원을 빼곤 대북 금융지원도 못하게 했다.

  이번 안보리 논의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중국이 강력한 제재에 동의했다는 점이다. 중국은 지난 4월 5일 북한의 장거 리 로켓 발사 직후 미국·일본 등이 안보리 제재를 추진하자 강하게 반대했었다. 그런 중국이 북한을 드나드는 선박 검색까지 포함 한 제재 결의안에 찬성한 것은 주목할 변화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은 북한의 핵 보유를 용납할 수 없으며, 핵실험을 비롯한 북한의 도발을 응징하겠다는 국제사회의 의지 를 천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안보리 제재는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한 직접 해법은 아니다. 지금껏 안보리 차원에 서 숱한 경제 제재가 발동됐지만 안보리 결의만으로 문제가 해결된 적은 없다. 6자회담 참가국이자 이번 안보리 논의의 당사국인 한국 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는 이제부터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

  북한이 '핵을 탑재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보유국'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중국이 북 한의 도발을 수수방관하면 결국 한국과 일본도 핵 카드를 다시 검토할 수밖에 없고, 동북아에 미국의 군사력이 커지면서 군비(軍 備) 경쟁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중국은 지금까지의 대북 현상유지 정책을 계속할 것인지에 관한 전략적 결정을 내려 야 할 것이다.

  미국 오바마 정부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체제 생존의 필수 도구이자 후계 구도의 안전판으로 삼겠다고 나선 이상, 과거처 럼 몇개의 당근과 채찍을 버무려 문제를 풀 수 있는 단계를 지났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북한 문제에 대한 전면적이고 근본적인 고 민과 검토가 필요하다. 정부도 국제 규정과 한·미 합의의 틀에 묶여 있는 한국의 핵·미사일 능력 제한을 넘어설 수 있다는 비상 한 각오로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결에 임해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090611목] 석면 폐기물 마구 버린 한심한 정부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개·보수 공사장에서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최소한의 안전 조치 없이 철거되고, 함부로 버려졌다 고 한다.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와 한국석면 추방네트워크는 그제 공사현장에 석면 철거 경고표지도 세우지 않고, 석면이 작업 장 밖으로 날리는 것을 막아 주는 음압기도 가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경기 동두천시의 일반 폐기물 처리장에 석면 폐기물을 내 다 버린 사실도 확인됐다.

  사실이라면 심각하다. 버려졌다는 뿜칠석면을 분석한 결과 30∼40%의 백석면이 함유된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는 2006년부터 석면을 함유한 시멘트와 자동차 부품의 사용을 금지했다. 올해부터는 모든 석면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석면폐기물 은 별도 처리토록 한 폐기물관리법을 공사 발주자인 행정안전부 스스로 어긴 것도 문제다. 이 사실을 확인한 같은 정부기관인 노동부 는 해당 폐기물처리장에 대해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석면이 든 천장을 뜯기 위해 설치한 밀폐 비닐막 여기저기가 찢겨져 있었다고 한다. 작업 인부는 물론 정부 청사를 드나 든 부지기수의 공무원과 민원인들이 석면가루에 꼼짝없이 노출됐다는 얘기다. 석면의 위해성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 면 전 세계 1억 2500만명이 직업상 석면에 노출되고 이 가운데 9만명이 해마다 숨진다. 환경단체들은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고발 했다. ‘침묵의 살인자’ 석면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정부의 안전의식이 이 정도라니 정말 답답하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090611목] 거리정치ㆍ불법투쟁 이젠 끝내자 

 

  이 나라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어제 서울광장에서 '6월 항쟁 계승 및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범국민대회'를 강행하려던 야 당과 민주노총,시민단체,그리고 이를 저지하려던 경찰 간에 벌어진 충돌사태를 보고 있자니 참으로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도대 체 언제까지 이런 거리시위와 불법 투쟁,그리고 이로 인해 도심이 마비되다시피하는 악순환(惡循環)이 계속되는 것을 지켜보고만 있어 야 하는지 답답할 뿐이다. 

  물론 집회 및 시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하지만 이는 무제한 허용되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공공 의 이익과 충돌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장되는 것 또한 원칙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당 정치인들이 의사당을 떠나 장외 투쟁에 나 서는 것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그래도 국민이 지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어제부터 총력투쟁에 들어간 민주노 총이나 오늘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화물연대도 마찬가지다. 

  지금 상황은 경제와 안보 모두 비상시국이다. 경기 급락이 진정됐다지만 어제 발표된 5월 고용 동향에서 취업자 수가 10년 2개월 만의 최대폭인 21만9000명이나 줄어든 것만 봐도 경제가 아직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지 알 수 있다. 대북 긴장상태는 한반 도를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몰아 넣고 있다. 

  이처럼 온 국민이 일치 단결해도 난국을 헤쳐나가기 어려운 판에 내부로부터 사분오열로 갈라져 투쟁과 갈등,반목을 계속한다 면 우리에게는 희망이 없다. 21년간 한국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는 태미 오버비 주한 미국상공회의소(암참) 대표가 "한국의 과격 한 시위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굉장한 두려움을 주고 있다"고 말한 것을 새삼 지적하지 않더라도 더 이상 국가경쟁력을 좀먹는 불법 폭 력 시위는 사라져야 한다. 

  이제는 모두가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정치권은 국회로,근로자는 산업현장으로 돌아가 각자의 자리에서 맡은 바 일에 최선 을 다해야 한다. 시민들조차 신물을 내는 거리 시위,불법 투쟁에 종지부를 찍어야 할 때다. 그렇지 않으면 민주화와 정치 발전은 물 론 경기 회복도 요원(遙遠)할 뿐이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090611목] 우주강국에의 큰 걸음 내딛는 한국  

 

* 첨단기술 융합된 우주산업은 잠재력 막대한 과학기술의 꽃…우주 발사체 기술자립 시급

 

  국내 최초 인공위성 발사장인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가 오늘 준공식을 한다. 착공 5년10개월여 만에 나로우주 센터가 완공됨에 따라 한국은 세계 13번째로 우주센터를 보유하게 됐다. 이는 우리도 우주 탐사ㆍ개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난해 이소연 씨가 한국인 최초로 우주인이 되면서 우주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한층 높아진 바 있 다. 그러나 그동안 위성 기술 개발에만 집중해 발사체 기술 분야에서는 북한보다도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는 실정이다. 

  나로우주센터 완공은 우리나라가 첫 우주발사체를 쏘아올릴 준비를 마쳤음을 뜻한다. 국내외 관심은 오는 7월 말 `나로호 (KSLV-I)` 발사로 쏠리고 있다. 국내 우주기술이 또 한 단계 도약하는 시험대다. 나로호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1 단 로켓과 국내 자체 개발한 2단 로켓으로 구성돼 과학기술위성 2호을 쏘아올린다. 성공하면 세계 10번째로 `스페이스 클럽`에 가 입하게 된다. 

  세계적으로 우주개발은 춘추전국 시대를 맞고 있다. 미국 러시아 유럽은 물론 중국 일본 인도까지 우주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 하고 있다. 선진국들이 우주산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21세기를 주도할 핵심기술을 확보하려는 포석 때문이다. 

  우주산업은 전기전자 기계 화학공학 신소재 등 기술 융합을 요구하는 과학기술의 꽃이다. 기술 파급 효과는 자동차 산업에 비 해 3배가 넘는다. 그만큼 큰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연료전지, 단층촬영기(CT), 자기공명영상(MRI), 고어텍스, 전자레인 지, 동결건조식품, 인공관절, 형상기억합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기술이 우주개발 부산물로 발명됐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우주 로 도약하면 혁명적인 부를 창출할 것"이라고 갈파한 바 있다. 

  우주선진국 미국과 러시아는 화성탐사와 달기지 건설을 경쟁적으로 추진 중이다. 달탐사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는 중국 일본 과 비교하더라도 한국 우주기술 개발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정부는 2017년까지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용 KSLV-Ⅱ를 개발하고 달 탐사 위성 1호를 2020년에, 달탐사 위성(착륙선) 2호를 2025년에 쏘아올린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주발사체 완전 국산화가 급선무다. 무엇보다 국제적으로 기술 이전이 엄격히 제한되는 우주발사체 기술과 경험 을 확보하면서 자립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초정밀 복합위성 응용연구 등 우주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 다. 우주로 나가는 것은 첨단기술국가로 진입하는 길목이다. 우주기술 개발 경쟁에서 낙오하지 않도록 민간 투자와 정부의 과감한 지원 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유광종(논설위원)-20090611목] 별

 

  김광섭 시인은 ‘저녁에’라는 시에서 별을 이렇게 그렸다.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 본다/ 이렇게 많 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이렇게 정다운 별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유심초’라는 듀엣 가수가 노래로 불러 귀에 익숙한 이 시에서 별은 영원한 그리움이다. 헤어진 옛 애인일 수도 있겠고, 저세상으로 멀리 떠난 육친일 수도 있다.

  사람이 별을 노래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인체의 화학적 구성은 오히려 별을 닮았기 때문이다. 사람 몸은 수소와 산소·탄소·질소·인의 순서대로 채워져 있다. 헬륨을 제외한다면 태양과 같은 구성이다.

  지구는 이에 비해 산소와 철·규소·마그네슘·황의 순서다. 사람이란 생명체가 태양과 같은 항성, 즉 별에서 비롯했을 것이라 고 보는 유력한 증거다. 사람이 지상에서 영원히 떠난 이에 대한 그리움을 별로 이야기하고, 내가 되돌아가 그와 다시 만날 자리 를 별에서 찾는 이유일지도 모른다.

  세상 사람끼리의 길고 긴 헤어짐 속 슬픔과 아쉬움을 천체에서 멀리 빛나는 별로 승화한 작품이 김광섭의 시다. 인간의 고독이 한 차원 너머의 것으로 옮겨 가 또 하나의 별처럼 빛난다.

  헤어짐으로 생겨나는 슬픔은 이렇게 승화가 필요하다. 유교에서도 상을 마치는 졸곡(卒哭)이 끝나면 그 이후의 모든 제사 는 좋은 일, 길사(吉事)로 간주한다. 불교에서도 상을 마친 뒤 지내는 49재 기간 동안에는 슬픔을 앞세우지 못한다. 애도(哀悼) 가 지나치면 망자의 혼은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을 떠돈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떠난 이에 대한 축원이 슬픔을 대신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를 따지자면 요즘 유교 예법으로는 벌써 졸곡이 지났고, 불교식으로는 49재가 시작된 지 한 참 지난 시점이다. 그런데도 조문정국이 이어진다. 검은 상복 차림에 검은 플래카드를 걸고 조문정국을 주도하는 민주당을 다시 본 다. 망자에 대한 배려가 우선 보이질 않는다. 대신 이를 기화로 정국을 이끌겠다며 광장으로 나섰다.

  망자에 대한 예법조차 따지지 못하면서 의회민주주의라는 제도를 부정하고 거리에 나선 국회의원들이다. 애당초 이들에게 승화시 킬 슬픔이란 없었을지 모른다. 그러니 별을 바라볼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말하자면 별 볼 일 없는 사람들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박성수(논설위원)-20090611목] 박물관으로 간 ‘포니’ 

 

  일제강점기에 신작로를 따라 덜컹거리며 달리는 자동차를 처음 본 사람들은 과연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 가던 길을 멈추고 놀 란 눈으로 바라보았을 당시 거리풍경이 흑백필름처럼 떠오른다. 기차를 ‘쇠로 만든 마차’로 여겨 철마로 불렀듯이, 자동차를 ‘쇳덩어 리가 귀신처럼 움직인다’ 해서 ‘쇠귀신’으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경이로운 물건이었으리라.

  교통체증으로 짜증나는 요즘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자동차의 변천사가 언제 들어도 흥미로운 것은 이런 세월의 두께 때문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에 자동차가 첫선을 보인 것은 1903년 고종황제 즉위 40주년을 맞아 ‘어차(御車)’로 들여 온 ‘포드 A형 리 무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차는 작고 시끄러워 왕의 위엄과 체통에 맞지 않는다 해서 궁 밖으로 나가지는 않았다고 전한 다. 민간인으로서 국내 처음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은 천도교 3대 교주인 의암 손병희 선생이었고, 최초의 한국인 운전사는 이탈리 아 공사관에 근무하던 윤권이었다고 한다.

  이처럼 경이로운 물건이었던 자동차가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된 것은 6·25가 끝나고 미군들이 남겨놓은 지프 때문이다. 더구 나 미군용 폐차를 산소용접기와 망치 하나로 재생, 승용차로 만들면서 자동차 공업의 기반이 되기까지 했다. 자동차가 처음 우리 손 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1955년 최무성 형제가 생산한 ‘시발’이었지만 이 역시 미군 지프를 재생한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다 1974년 현대자동차가 1300cc급 소형차를 개발했는데, 이 차가 국산 고유모델 1호로 기록된 ‘포니’다. ‘포 니’는 외국차를 조립, 생산하던 시대에 나온 국산 모델인 데다 한국인 체격과 도로사정에도 맞는 소형차여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최초의 국산 고유모델인 ‘포니1 픽업’이 박물관에 들어간다는 소식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최근 강원도의 한 주민으로부 터 78년식 ‘포니1 픽업’을 구입, 박물관 야외전시장에서 전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습이어서 한국생활사 자료 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다. ‘포니’가 박물관에 들어간다고 하니 격세지감이 절로 솟는다. 국산 자동차도 이제 역사 의 한 페이지에 오르고 있다.

 

 

[서울경제신문-로터리/6월 11일-최영집(대한건축사협회 회장)-20090611목] 행복이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한다. 행복을 찾아서 자신의 모든 역량을 다하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그 행복이 과연 무엇일까. 많은 선현들과 종교인ㆍ철학자들이 그 문제를 나름대로 풀어내며 인간들의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안빈낙도를 생활철학으로 삼고 많은 것을 절제하며 겸손하게 긍정적으로 살아왔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가 사람들에게서 품격이 사라지고 끝없는 경쟁 속에 탐욕과 허세가 자리잡고 증오와 저항만이 삶의 이유인양 천박한 투쟁이 존재하 며 필요 이상의 소모전을 벌이며 공생의 길이 아니라 공멸의 길을 가고 있는 느낌이 든다.

  언제부터 대한민국인가. 새 정부 수립 60년 만에 세계에서 유례가 없이 빠른 속도로 경제대국이 됐고 스포츠강국이 됐 다. 그것도 세계 유일의 이념에 의한 분단국가로서 말이다. 얼마나 자랑스러운 과거인가. 국가자립과정 속에서 어쩔 수 없이 겪어 야 했던 부작용이나 아픔은 속히 치유하고 잊어야 할 텐데 끝없이 상처를 덧내고 뒤집고 하면서 충분히 행복해 하며 즐겁게 생업에 열 중해도 될 일을 불행하게 생각하고 비하하며 핍박 속에 허덕이는 비운의 주인공으로 연출해간다.

  아무리 불행해도 북한 동포만큼 불행할까. 왜 가장 극한적인 상황에 처해 있는 우리 북녘을 생각하며 우리가 얼마나 민주화 돼 있고, 잘 살고 있고, 하려고 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되고자 하면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나라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공유하 기 못할까. 

  우리나라의 빈부격차는 세계 각국과 비교해도 그리 심한 편이 아니고 실업률이 아무리 높다고는 하나 궂은 일은 외국인 노동자들이나 중국 교포들에게 맡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념이 행복을 개척하는 척도가 돼야지 불행을 유도하는 바이블이 돼서는 안 되지 않는가. 절대 행복은 이념론자들이나 종교인 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것 같다. 국민소득이 적은 방글라데시가 행복지수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다고 한다. 비교하지 않 기 때문이다.

  매일 교회에 나가 성경을 달달 외우거나 인민해방을 위한다고 무력투쟁과 학살을 일삼는 지구상의 무리들이 결코 인간들에게 행 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모르는 것이 행복이다. 비교하지 않는 것이 행복이고 미워하지 않는 것이 행복이다. 나만 복 받겠다고 차 별 행동하지 않는 것이 행복이요, 이면적으로나 종교적 목적으로 세뇌당하지 않는 것이 행복이다.

  그냥 내버려두는 것이 자연스러움이요, 자연스러움이 행복이다. 그리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이 행복이다. 자랑스러운 자식들을 생각하는 것 이상의 행복이 있겠는가. 이제 제발 대한민국 국민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해보자.

 

 

첨부파일 20090611목.hwp

 







The Self Motivation

김명훈展 / KIMMYUNGHOON / 金明勳 / sculpture

2009_0610 ▶ 2009_0628



김명훈_The Self Motivation_우레탄, ABS_60×230×50cm




초대일시_2009_0610_수요일_06:00pm

관람시간 / 10:00am~06:00pm




덕원갤러리_DUKWON GALLERY
서울 종로구 인사동 15번지 5층
Tel. +82.2.723.7771~2
www.dukwongallery.co.kr






메커니즘과 예술의 경계 흐리기 ● 80년대에 유년기를 보낸 세대는 그 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성장배경을 가진다. 한국에서 80년대는 이전 시대에 준비되어온 경제적 배경에 힘입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기 시작하는 단계로 접어들었고 컬러텔레비전이 처음 보급되고 마이카 세대가 등장하였으며, 가정용 개인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한 시대였다. 또한 이들 세대는 만화에 나오는 로봇이나 전쟁에 사용되는 탱크나 비행기 등의 프라모델을 만들거나 수집하고 무선 조작하는 레이싱 카, 헬기, 비행기 등을 접하며 성장한 세대이다. 이러한 이전과는 다른 성장조건에서 자라온 이 시기의 세대는 물론 90년대 인터넷 세대와는 또 다르겠지만 새로이 등장하는 신세대의 시작점으로 70년대의 유년기를 보낸 세대와는 확실히 구별되는 면이 나타난다.




김명훈_Califlower_ABS_42×24×8cm



김명훈_Fragile Exhaustion_ABS_28×78×8cm


김명훈은 이러한 어릴 적의 경험들이 자신의 작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프라모델을 좋아하고 로봇이나 자동차를 조립하거나 가지고 놀았던 경험은 현재에도 그러한 프라모델이나 미니카를 수집하는 취미를 가지게 하고 자동차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관심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된다. 외형적으로 아름답고 세련됐으며, 기능적으로 최첨단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을 어떻게 구매 욕구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며, 신제품이 출시되면 줄을 서서 기다리면서까지 소유하고 싶어 하며, 그것을 소유하기 위해 돈을 모으고 출고되기를 기다리는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이렇게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감동을 주기까지 하는 제품들과 예술과의 관계, 이들은 왜 예술이 되지 못하는가? 이러한 제품도 예술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과 의문을 전제로 하여 작업에 접근하고 있다.




김명훈_R81_ABS_48×38×15cm


김명훈의 작업은 우리가 현대에서의 미술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또 무엇이 그것을 구분 짓는가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일단 자신이 감동받고 매력 있게 바라보는 다양한 현대의 제품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우선 우리와 가장 밀접하게 사용되고 또한 미적으로 아름다움을 주는 대상을 자동차를 선택하였다. 매년 벌어지는 모터쇼를 통해서 등장하는 세련된 외관과 내관 그리고 점점 더 새로운 첨단장치를 탑재한 자동차는 작가의 눈으로 보았을 때에는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현재라는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세련된 외관이나 멋진 장치들, 그리고 첨단의 장비를 갖추어도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는 그것은 언제나 조금 더 멋진, 조금 더 비싼 자동차일 뿐이다. 이러한 기계일 뿐인 자동차를 작가는 철저하게 분석하고 재해석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러나 자동차에 장착된 첨단장치나 디자인적으로 세련된 차의 외관과 내부 장식보다는 자동차를 움직이게 하고 속도를 줄여주거나 제동하게 만드는 차체 내부에 감추어져 있는 기계장치들을 해체한다. 기계장치들은 기능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 외형적인 아름다움을 고려하지 않고 그 기능적인 면을 위해 고안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면을 주목하는데 「The self motivation」에서 기계장치들에서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갖는 부품 예를 들면 피스톤이나 크랭크축과 같이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구동장치의 결합과 작가의 작업에 대한 의지의 조합을 통해서 그 의미를 더욱 극대화시킨다. 「separation anxiety」은 운동의 시작인 엔진과 그 끝인 머플러를 중간 과정의 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로 만들어버려서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아기자기하고 예쁘게 보이지만 그 안에서 분리되고 이상한 조합으로 인해 생기는 불안을 보여준다. 또는 「Turbo snail」에서 터보 차져는 자동차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장치이다. 그런데 외형의 모습은 속력과는 전혀 동떨어진 달팽이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을 다시 레이싱 카와 같은 도색을 하여 경주하는 모습으로 재구성해서 보여준다.




김명훈_Turbo Snail_ABS_가변설치


이는 기존의 장치들이가지고 있는 기능에서 나오는 의미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충분히 사용하여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여 쓰거나 아니면 작가의 의도에 의해 그 의미의 구성을 뒤섞어서 변형되어 나타난다. 또한 「fragile exhaustion」처럼 머플러의 끝부분인 엔드 부분의 모양을 변형하여 실용적인 기계와는 전혀 동떨어진 깨지기 쉬운 물건으로 변형시키거나 「califlower」처럼 브레이크 디스크와 캘리퍼가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기능과는 동떨어진 화분 안에서 예쁘게 자라고 있는 꽃으로 재탄생된다. 또는 기존의 엔진의 이미지에 자신의 배우자의 성격과 성향을 결합시킨 「R-81」처럼 작가의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업도 있다. 이렇게 작가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자동차라는 기계장치에 대해서 재해석을 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기계라는 장치가 단순한 운동을 하기 위해 우리에게 편리함만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예술적인 가치를 찾을 수 있고 그것은 바라보는 자의 태도와 주관적인 관점을 통해 재해석되고 저마다 다른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김명훈_The Self Motivation展_덕원갤러리_2009


김명훈은 기계 메커니즘 요소로 만들어지는 기계의 부품으로만 보게 되는 대상을 해체하고 작가의 개인적인 감성을 통해 그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는 방법을 통해서 예술과 메커니즘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실용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에 대한 구분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들은 단순히 내연기관인 기계장치에만 머물지 않고 자동차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들을 해체하고 재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시각적인 이미지를 중요시 여기는 디자인으로 무장된 인테리어나 외관의 차체 디자인이 어떻게 해석되는 지는 기대해 볼 만하다. 작가는 기계의 기능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와 작가의 시선과 관점에 의해 다른 의미를 발견하여 부품들을 재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기계로서 단순한 자동차가 아닌 예술작품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대한 분석과 재해석을 통해 작가는 그것들을 재배열해 나가면서 자신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조금씩 자동차를 예술의 범주에 옮겨가게 할 것이다. ■ 신승오

In and out of the boundaries of Art and Mechanism ● The generation that lived there youth in the 80's had a unique life,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 generations. The 80's in Korea was a time where people started to get rich from the economy boost. The color television was first released, the "My-Car" generation appeared and people started having personal computers at home.And people in this generation made and collected plastic models from robots in cartoons or tanks and airplanes used in wars and grew up with radio control cars, helicopters and airplanes. Because of these different atmosphere people in this generation are unique from the internet generation in the 90's and the generation where they had there youth in the 70's. It was a starting point of a new generation. ● These experiences Myung Hoon Kim had when he was young became the basis for his artwork. Loving plastic models and making robots or cars made him collect mini cars and plastic models even now and it made him become interested in cars. This interest continues on to production cars. How could products that are beautiful and refined on the outside with high tech functionalities attract costumers, why do people wait to see the new products and save money to own one and wait for them to come. He has bee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hese products and art. Why can't it be art? Myung Hoon Kim started his art work from the ques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se products that could be art. Myung Hoon Kim's art work tells us where the boundary of art is now. And what is the demarcation of art and the rest. So he chose the automobile out of many other fascinating products because it is beautiful and it is very close to us these days. Every year cars with fine exteriors, interiors and new high tech features are presented in the motors shows. From the eyes of an artist the automobile is not only a machine, it is the icon representing the present time now. But even if the car has a beautiful exterior, cool looking features and high tech equipment it is always just a better looking car, a bit more expensive to people. Myung Hoon Kimtotally analyzes the car which is basically a machine. In this exhibition he is dismantling not the high tech equipment, exterior, interior details but the parts hidden inside the car that moves and stops the car. ● Machines are design for functionsnot for looking good on the outside. This is what Myung Hoon Kim focused on. In 「The self motivation」 he emphasized the concept by combining the powerful movable parts like the piston, crankshaft with his intension for his work. In 「separation anxiety」 he is expressing the anxiety by making the engine which is the start of the movement and the muffler which is the end into one piece. As you can see in the title it might look cute and pretty but the odd connection expresses the anxiety. In 「Turbo snail」 the turbo charger is an equipment to speedup the car. The exterior is a form far from being fast, like a snail but it is painted like a race car, like it is about to race. It is expressed through using the elements from the functions or mixing and transforming the composition. In 「fragile exhaustion」 the end of the muffler is transformed into a fragile object far from a practical machine. In 「califlower」 the brake disk and caliperis recreated into a beautiful flower living in a pot, far from stopping the car. And the 「R-81」 is a fusion of the traditional eng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wife. Some of his art works are very up close and personal. Mr. Kim is using various ways to reinterpreting the conventional car and giving it a new meaning to it. The machine is not only for movement or for the convenience but we could find the artistic value of the machine, and we see different meanings through different point of views. Myung Hoon Kim is taking the pieces from conservative machines and addinghis sensitivity. He is expressing the essence of classification of practicality and art through making the border of art and mechanism blurry. These art works reflect dismantle and recreation of the automobiles. Especially we look forward to how Myung Hoon Kimanalyzes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image of the car. He is expressing the automobile not only as a machine but a piece of art by recreating the meaning of the function and the view point of himself. Through his work he could move the automobile into the class of art. ■ Shin, Seung Oh

Vol.090611e | 김명훈展 / KIMMYUNGHOON / 金明勳 / sculpture






한 사람을 기다렸어요.

바로 이 곳에서 견디는 것이 내 삶이었죠.

오랫동안 전 한 점 위에 박히고 또 박히는 못 같았어요. 못요.

느슨해지면 더 세게 박아넣고 휘어지면 펴서 박아넣었죠.

그 아픈 곳이 제 가슴인지도 모르고..


전경린 /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



좋아하는 사람을 잃는 것은 어째서 괴로운 것일까?

이별이나 부재 그 자체가 슬픈 것은 아니다.

그 사람에게 준 마음이 이미 있으니까

이별을 괴로워하며 그 모습을 애타게 찾는 거지.

애석한 마음은 끝이 없다.

그렇다면 비애나 안타까움도

그 사람을 좋아한다는 커다란 감정의 발로에

지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을까?

좋아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부재가 문제가 되는 것이고,

부재는 남겨진 자에게 슬픔을 가져온다.


카타야마 쿄이치 /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지금은 잃어버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꿈

언제부터 장래희망을 생각하지 않게 된걸까?

내일이 기다려지지않고

일년뒤가 지금이랑 다르리라는 기대가 없을 때

우리는 하루를 살아가는게 아니라

하루를 견뎌낼 뿐이다.



수면에 반사되는 햇빛이 눈부셨다.

태양 아래 있으면 밤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달빛 아래 있으면 날이 밝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나는 그 순간에 없는 걸 갖고 싶어한 적이 없다.

낮에 별이 반짝이는 하늘을 원치 않으며

밤에 푸른 하늘을 동경하지도 않는다.

그 순간에 존재하는 것만이 내 세계의 전부다.


야마다 에이미 / 메뉴 2



아직도 걸핏하면 눈물이 흐르고, 밤이 길게만 느껴질 때도 많았다.

고통도 여전했고, 어떨 때는 견딜 수 없을 만큼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난 일년과 다를 것이다.

그는 자신 앞에 놓인 앞날이

지난 과거처럼 고통스럽지 않을 거라고 믿었다.

고통이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나아질 것이고,

그 고통을 자신의 전부가 아닌 일부로 여길 수 있는 시간이 올 것이다.

필요하다면 고통을 잠시 옆으로 밀쳐둘 수도 있을 것이다.


내 딸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 엘리자베스 노블
































































by 최규상의 유머편지 , 자기경영 플러스, solomoon.com, naver, 고도원, 전용석 아주 특별한 성공, 쿨카사노바, 신한은행 도서요약서비스, all of books I read, GOSINET, 세계경영연구원, 스피치 성공클럽, global standard review, neolook.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