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읽어본. 스페인 너는 자유다 - 손미나


내가 스페인어를 배운다고 하니 
누군가 이 책을 빌려줬다.

왠지 이책을 읽으면 스페인어를 배우는데 더욱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생각됐다.

한장 한장넘기며 스페인의 매력에 푹 빠졌다.

손미나씨가 스페인에 가계된 이유
옛 학생때의 기억
다시 석사과정으로 만난 스페인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그곳이서 생긴 다양한 사건들
스페인

내가 기록하고 싶은 부분은
로그로뇨의 투우경기장
똘레로
가우디
네 마리 고양이
까사 베토벤
아렌즈 델 마르
자라우쯔
꼬르도바 축제
세비야
아르꼬스 데라 프론떼라
아렌즈 델 마르
메노르까
이비사
포르멘떼라
몬주익 기적의 분수



"벨라스케스도 고야도 피카소도 모두 내 친구가 될 수 있는곳, 스페인은 바로 그런 곳이었다"
 
"물줄기도 춤을 추고, 빛도 춤을 추고, 흐르는 음악에 맞춰 내 마음도 춤을 추고
온 세상이 춤을 추었다" (몬주익 언덕의 기적의 분수에서)

일본에는 '기요미즈데라에서 몸을 던져 자살하는 것과 같은 일'이라는 표현이 있어요. 




스페인 여행을 갈때 참고해야할 사항이다.


이책에서 손미나씨에 대해 놀랐다.


진짜 어느누가 1년간 저런 경험을 할 수 있을까? 저런 친구들을 만날 수 있을까?


그건 손미나씨의 열정과 정열에 답이 있다고 생각된다.


긍정적 마인드와 용기와 배짱 그리고 진정 스페인을 사랑하는 마음이 아닐까..


사실 차별화된 환경적 요소도 있긴 하겠다. 동양인이 많이 없던 시절 등..


멋진 스페인 여행기다. 이 책을 보고 스페셜한 삶을 살고자하는 내적 자극을 줬다.


왜냐면 내가 이 세상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내가 없으면 이세상도 없다.






 BINIBEQUER-SANT LLUIS

Beaches - Menorca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 (신현만)



A.살아남으려면 조직부터 이해하라.


팔을 걷어붙이고 조직의 해결사를 자처하라.

- 회사가 그에게 기대하는 것은 '코칭'이 아니라, 플레이어다. 

- 기업이 원하는 것은 성과의 미학이다.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기를 원한다. 이런 인재는 '실무형 인재'다.

- 회사는 문제해결형 인재를 좋아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을 제시하고 직접 뛰어들어 실행에 옮기는 이들이다.


뽑을 땐 학벌이지만 키울 땐 충성도다.

- 어중간한 학벌업그레이드 보단 어금니 꽉 물고 영어 공부에 매진하든가 언젠가는 빛을 발할 자격증을 다놓는 것이 낫다.

- 회사에 뼈를 묻을 사람임을 보여줘라. 석유 판매원인 존 아치볼드는 눈에 띄지 않았지만 서명할 기회가 생기면 꼭 '1갤런에 4달러 스탠더드 오일'이라고 썻다. 거래처 사람을 만날 때나 외출할 때, 쇼핑할 때, 심지어 옛 친구에게 편지를 쓸때도. 그는 2대 이사장 자리에 올랐다.


익숙한 일만 하면 낙오자가 되는 건 시간문제다.

- 피터 드러커는 지식노동자에게 중요한 것은 능률이 아니라 목표 달성 능력이라고 했다.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지식노동자의 일이라는 것이다.

- 전문성은 경험의 기간보다 경험의 질에 더 좌우된다. 컨설턴트를 평가할때 오래 일했냐보다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경험이 있냐가 우선

- 만약 능력과 노력으로 남들보다 짧은 시간에 충분한 전문성을 확보했다면 망설일 것 없이 자리를 털고 일어나야 한다. 자신의 전문성을 더 키울 수 있는 곳으로 가야한다.

- 사원으로 남지 말고 전문가로 남아라. 회사가 키우는 핵심 인재의 경력기술서를 보면 2~3년 마다 한번씩 직무가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 전문성과 관련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또 있다. 가능하면 조직 문화와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것이다.


일과 삶의 균형을 원한다면 연봉을 포기하라.

- 연봉은 스트레스에 비례한다. 의사는 마누라를 위한 직업이라는 말이있다. 책임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 일과 삶의 균형은 혼자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동료와 함께, 조직과 함께 공동의 노력으로 실천해야 한다. 자신만 칼퇴근한다면 조직내에서 마찰을 일으키고 결국 조직을 떠나게 된다.

- 회사에서 1억 원을 받으면 회사에 10억원을 벌어다 줘야한다. 

- 영어의 전문성은 대단하다. 영어를 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이직시 연봉이 40%이상 높게 책정되는 경우도 잇다. 

- 나만의 경쟁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신규 사업이나 과제에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직무의 난이도가 높은 일을 지향하는 것이 좋다.


잦은 이직은 직장생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 중견 기업에서 직장생활을 한 후 능력을 인정받아 더 큰 기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는 많아야 두번에 그친다. 그가 임원급으로 성장할 1~2% 이내의 인물이 아니라면 더 좋은 조건으로 옮기기 쉽지 않다.

- 기업에서 이직자를 기피하는 이유는 1.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약할 것 2.곧 다른 회사로 옮길것 3.충분한 직무 경험도 없을 것 4.충분한 교육 5.충성도와 적응력 떨어질 것

- 조직은 모든 조건을 갖추어줄 테니 열심히 일할 사람이 아니라 모자란 조건 속에서도 열심히 일할 사람

- 수행 역량을 충분히 갖춘 뒤라야 자신 있게 이직을 택할 수 있고 그만큼 선택의 폭도 넓어진다. 최소 3년이다.

- 꼭 지켜야할 이직의 세가지 원칙 1.횟수를 최소화 2.일관성 3.브랜드를 망가뜨리지 말 것


학력의 굴레를 벗어나려면 판을 바꿔라.

- 학력을 커버하고 싶다면 희소가치가 있는 자격증을 따라. AICPA, FRM, CFA, CIA

- 어설픈 미국 대학 학위보다 인도나 러시아, 스페인 대학에서 특성을 반영하는 학과를 졸업하는건 어떨까

-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사정이 있어 대학진학을 못했다가 직장생활을 하며 대학을 졸업했다면 남들보다 생존 능력과 돌파 능력이 뛰어나니 그것을 살려라


임원 가능성이 희박하면 부장이 되기 전에 옮겨야 한다.

- 100명의 신입사원 중 임원이 되는 사람은 단 한명뿐이다.

- 과장급은 자기 몸값에 비해 훨씬 많은 일들을 한다. 이 빛나는 시기가 바로 직장생활 10년차 전후다.

- 직장 10년차에 꼭 결정해야 할 세가지 1.앞으로 계속 직장을 다닐 것인가. 2.지금 조직에 그대로 남을 것인가. 3.제네럴 or 스페셜리스트


B.직장에서의 인간관계는 곧 승진 대기표이다.

CEO 가까이 가면 살고 멀어지면 죽는다.

- 누구나 기본적으로 자신을 닮은 사람에게서는 편안함을 느낀다. 자신과 코드가 잘 맞는 사람을 좋아한다. CEO나 오너의 스타일을 공유

- 고속 승진자 1.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자기 고용자, 자발적 일벌레 2.재능과 태도를 인정받다 사장과 선배에게


네트워크는 안 되는 일도 되게 한다.

- 중국에서 인맥을 구축하는 일은 꽌시라는 말로 통한다.

- 기업은 한 인재를 채용할 때 그의 네트워크 안에 있는 정보들은 물론 그 안에 속한 인재까지 회사와 연결되길 기대한다.

- 옛 동료와 고객을 떠나지 마라 

- 네트워크 지수를 끌어올려라 가난해도 부자의 줄에 서라 - 탈무드

- 적극적으로 여러모임에 참여하고 모임에서는 할 수 있는 한 주동적인 인물로 활동하는 것이 좋다.


상사와 맞서려면 회사를 떠날 각오를 하라

- 당신은 상사보다 더 인정받으려 해서는 안된다. 치명적인 종말을 앞당긴다.

- 상사는 내 업무의 일부이자 필요조건이다. 

- 상사의 의견에 반대한다면 반론해도 좋다. 하지만 두번까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세번째는 깨끗이 지시에 따르자. 


사내 정치에 무감해선 조직의 중심에 설 수 없다.

- '아부의 기술' 아부도 능력과 자본이 된다.

- 질 높은 네트워크를 풍부하게 확보해야 한다. 잠재적 사장 후보가 가장 신경쓰는 조직을 찾아낼 것, 일을 통해 인정받을 수 있도록 부단히 신경 쓸 것

- 출세의 조건은 30% 운, 40% 상사, 30% 능력


상가와 회식 장소에서 운명이 결정된다.

- 회식에 참석, 워크숍에 참석, 상사와 임원과도 점심을 먹도록 한다.

- 기쁜 일, 궃은일에 앞장서는 조직의 총무를 자처하라, 생일날 아침 초코파이를 건네며 웃어주는 동료, 칭찬을 하면 큰 힘이 솟습니다, 감사합니다. 라고 말할 줄 아는 직원, 


혼자 일하려거든 조직을 떠나라


C.성공 마인드로 바꿔야 진정한 생존자가 될 수 있다.


직장인의 수명은 영업 마인드에 달려 있다.

- K대리는 고객의 각종 기념일을 챙기는 것은 물론, 골프나 와인, 미술품에 대해 공부하기도 한다.


자신의 몫을 포기해야 리더십이 생긴다.

- 리더의 조건 '평균이상의 지성과 고도의 인품이다.' '저사람과 식사하고 싶다.' '저사람과 일하고 싶다 느껴지는 사람'

- 서번트 리더십 '배려와 희생'


CEO처럼 일해야 CEO가 될 수 있다.

- 회사에서 돈을 헤프게 쓰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 당신이 사장이라면 법인카드로 밥먹고 술마시고 골프치고 다닐 수 있겠느냐


사장과 월급쟁이와 다른 한가지

- 남의 것이 아닌 내것으로 본다. 견적서에서 만원을 깍기 위한 노력, 새벽 출근, 22시 이후 퇴근

- 월급 주는 위치와 월급을 받는 위치의 차이


다양한 경험이 CEO 마인드를 만든다

- 무보수로라도 경영 경험을 쌓은 뒤 사업을 해야 한다.


연봉보다 직급과 직책을 따져라

- 평사원 때 영업에 종사한 직원은 장래에 임원으로 승진할 가능성이 높다. 경력의 중간쯤 경영기획 부분으로 옮긴 사람은 임원 가능성이 높다. 


회사가 흔들리면 나에겐 기회가 온다.

- 변화를 기꺼이 반겨라 세상에서 제일 쎈 사람은 잃을 게 없는 사람, 변화는 가진 자의 것이 아니라 가지려고 하는 자의 것이다.

- 신입사원들의 공통점은 하루라도 발리 '한칼'을 보여주고 싶어 안달이다. 선배도 튀라고 한다. 하지만 조급해 하지말고 준비하면서 때를 기다려야 한다. 언젠가는 회사는 그에게 반드시 기회를 준다. '한칼'은 그때 보여주면 된다.


침묵하자는 자에겐 무능력이라는 딱지만 붙는다.

- 한국의 겸손문화 하지만 표현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부족해보이는 걸로 치부, 업적과 성과에 대해 설명할 줄 아는 자세


직장에 따라 신분이 결정된다.

- 회사를 떠나는 순간 내 브랜드는 폭락한다. 자기 브랜드의 절반이상은 회사이다.

- 직장인의 가치는 대부분 직장이 결정한다. 인지도가 높은 기업, 선발 기업에서 근무하라. 유능한 임원과 탁월한 사장이 있는 곳에서 일하며 그들로부터 배우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라. 직장의 브랜드를 자기 것으로 소화한 뒤 그 후광을 업고 옮겨라.


내 브랜드를 키울 수 있는 회사를 택하라

- 누구는 해병대 출신, 장교, 한전,곰원 출신, 제각기 이미지와 평가를 받는다. 


회사는 아줌마를 원하지 않는다.


언제든지 회사를 그만둘 수 있다는 생각은 버려라.

- 핵심인재를 관리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장기근속가능성이다.

- 자신이 회사를 쉽게 떠날 사람이 아님을, 직장과 가정을 함부로 뒤섞는 사람이 아님을 확인시켜야 한다. 자신의 능력과 장점을 최대한 알려야 한다. 실제로 그런사람이 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최고의 경쟁력은 브랜드에서 나온다.

- 브랜드란 이름만 들으면 단박에 특정한 이미지가 떠 올라야 한다.


나를 차별화 할 수 있는 브랜드 전략을 짜라

- 최초

- 1.직업이나 직무 시장에 어떤 브랜드 수요가 존재하는지 파악, 2. 조사결과를 토대로 자신을 차별화할 방안 찾기, 3.차별성 근거 파악, 4.알리기 계속 알리기 


사소한 말과 행동에 브랜드가 좌우된다.

- 외모도 능력

- 출근 시간을 못지키고 걸핏하면 약속을 어기는 사람이 되지말자

- 엘레베이터를 타면 먼저라는 말을 하며 메너있는 사람으로 포지셔닝



*독서노트

2년전 읽은 도서, 

각종 강의를 들으러가면  이책에 대한 언급도 한다.

부장급들이 자기가 이책을 20년전에 알았더라면 얼마나 지금이 달라졌을 수 있을까라는 말을 한다.

이 책의 내용을 100%공감하지 못한다. 왜냐면 난 간부급이 아직 아니니깐.

하지만 이 책이 진리라면 미리 대처하고 준비해나갈 수 있는 직장메뉴얼로 멘토북으로 마음에 새기면 되겠다.

정말 하나하나 소중한 내용들이다. 


#신현만, #회사가붙잡는사람들의1비밀, #신입사원, #신입사원필독서

서른의 경쟁력은 간절함이다.

1.서른 살의 터닝포인트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 남 탓을 제외하고, 모든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는 질문을 던져야 올바른 답이 나온다. 결국 가장 올바른 답은 자신 안에 있다.
- 아인슈타인은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스스로를 파괴하지마라
- 자책하는 사람의 특성을 보면 대부분 미리 실패한 것을 걱정한다, 그들이 실패했을 때 '피해 나갈 구멍'을 만드는 데 열을 올린다
- 내 능력으로 그런 걸 할 수 있을까? -> 내 능력이라면 충분하지 않을까? 자신의 능력을 믿는 질문으로 스스로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보내라.
- 다음에 이번과 같은 나쁜 결과가 나오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당신은 지금 당장 편하게 사는 것이 먼저인가? 아니면 미래의 경제적 안정이 우선인가?
- 부자가 되는 두가지방법 : 소비줄이던가, 돈이 나오는 구멍을 늘리던가
- 갑작스러운 사고나 해고 통지에도 자유로울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이다

2.질문 습관, 간절함을 이루는 힘
- 어떻게? 무엇을? 
당신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했습니까?-> 당신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 무엇을 했습니까?
- 당신은 무엇을 하든 반드시 성공하게 되어 있다. 무엇이든 가능하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떤 목표를 세우고 싶은가?
- 직장에서 자신감을 잃었을 때, 입사 후 지금까지 당신이 잘했던 순간을 떠올려보라.그것을 기록하고 자신감이 없어질 때마다 들춰봐라
- 나는 남들과 무엇이 다른가? 내 생각은 남들과 뭐가 다른가? 나는 남들과 뭐가 다른가?
- 미래를 위한 삶의 원칙을 유지하라 / 공통점은 어떤 난관에 봉착해도 자신이 세웠던 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했다는 것
- 원칙은 고속도로의 제한속도와 같다. 제한속도만 지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 잠재력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라 / 좋다는 생각을 하면 좋은 것만 보인다. / 아무리 후진집이라도 좋은 것을 보고 나쁜 걸 버리면 자신은 6성 호텔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 쓸때없는 걱정 / 이 많은 걸 대체 어떻게 다하라는거야?-> 지금 내가 당장 할 수 있는 건 뭐지?

3.성공한 사람들에게 성공을 부르는 특별한 질문이 있다
-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성장을 돕는 독특한 질문 기술 있다.
- 록펠러 / 저기 건물 좀 봐. 내가 주급 4달러를 받으며 처음 일을 시작했던 곳이야. 지금의 내가 그때와 달라진 점이 있나?(초심)
- 앤드루 그루브 인텔 회장 / 지금 내 모습은 어제보다 발전한 것인가?
-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는 말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시련에서 배울 점을 찾아낼 수 있을까?
- 이해진 NHN사장 / 사업을 시행하라 / 한번 망해보기나 해봐라. 그건 집을 아직 한채도 안가진 사람이 종합부동산세를 걱정하는 것과 뭐가 다르냐 /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 25% 순수하게 자기 계발을 위해 쓰라

4. 꿈을 이루는 7가지 질문법
- 내가 오늘 반드시 마무리해야 할 일은? 오늘 귀가 했을 때 행복을 느끼고 싶다면 어떤 방식으로 일처리를 해야할까?
- 생각한 것이 꿈이되고 꿈이 현실이 되는 것 / 잠재의식속에 잠자는 동안 내일 일어날 것들을 어떻게 진행되었으면 좋겠다고 미리 상상한다. 

5. 간절함을 완성하는 서른 살의 전략적 질문
- 어떤 직장이든 인정받고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람이다. 
- 우리가 분노하는 이유는 대부분 이렇다. 일단 자신이 무시당하거나 공정하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
- 되는 질문 / 오늘은 왠지 멋진 일이 일어날 것 같지 않아? / 나는 왠지 잘될 것 같지 않아?
- 불안 / 내 마음속에서 나를 괴롭히는 문제가 무엇인가? 그 문제에 대해 나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 콤플렉스에 지면 이건 정말 나의 콤플렉스가 되는 거다. 내가 콤플렉스를 이겨내면 더 이상 콤플렉스가 아닐 수 있지 않은가?
- 오늘은 나에게 남은 생의 첫날이 아닌가? -> 오늘은 나에게 남은 인생의 첫날이다
- 나는 자기계발을 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승진이 안된다->나는 승진을 하고 싶다. 그래서 자기개발을 하고 싶다
해야 한다가 아닌 하고 싶다가 최고의 동기부여
- 꿈을 크게 갖자 꿈이 조각나도 조각이 크기때문이다.
- 살면서 자주 반복하는 변명의 질문 열개를 나열하고 생각해보자
- 걱정 / 걱정은 주로 짐작때문에 일어난다. 만약에 라는 가정으로 모든 것들이 짐작이 되고 걱정되는 것이다. 


//
제목에 약간 낚인 느낌이다.
공감 및 감명깊은 문구가 일부있다.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 칼 필레머 지음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 칼 필레머 지음

1.아름다운 동행 (잘 맞는 짝과 살아가는 법)
.비슷한 사람과 결혼하라, 끌림 보다는 공유
"단순하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부부는 서로 좋아야하고 친구가 되어야 한다", "가치관은 공유해야 한다"
"자기 자신을 잘 알아야 비슷한 사람을 가려내는데 필요한 태도나 가치관의 목록이 생기는 것이다"
"가족 위주의 삶, 가족의 가치를 아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동형배우자생식(homogamy) 비슷한 배우자의 결혼생활이 행복하다

.설렘보다 우정을 믿어라, 평생의 친구를 찾아라
편안하게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친구 같은 사람을 배우자로 택해라
어렸을 적 놀던 운동장에서 가장 함께 놀고 싶었던 아이

.결혼은 반반씩 내놓는 것이 아니다, 상대의 신발을 신어보라
결혼이란 50:50이 아니라 항상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 사람을 위해 무얼 해주지라는 생각을 자주 가져라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내 인생에서 가장 특별한 사람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일

.대화는 두사람을 이어주는 길이다, 뭐 어때, 고작 싸웠을 뿐인데
결혼을 후회한 가장 흔한 경우는 배우자가 대화를 할 수 없는 사람이거나 아예 대화를 하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사람이다.
뭐 어때, 고작 싸웠을 뿐인데하고 10분만 지나면 잊을테니깐
1.논쟁을 하다 문제가 생기면 집 밖으로 나와라 (장소변경)
2.화를 풀 방법을 찾고 대화하라 (분노완화)
3.위험요소를 없앤다
4.상대의 말에 귀 기울여라(상대 말이 끝나면 어떻게 했으면 좋겠어라고 묻는다)

.배우자와만이 아니라 결혼과도 결혼한 것이다

.화난 채 잠자리에 들지 마라 
부부가 가장 친밀하게 지내는 공간에서까지 실망, 적개심, 분노를 경험한다면 부부의 골이 커진다
잠자리에 들 때는 반드시 사랑한다고 말하세요.

2.행복하게 맞는 아침(평생 하고픈 일 찾는 법)

.내적인 보상을 주는 직업을 찾아라
원하는 것을 살 만한 돈을 벌려면 가능한 열심히 일해야 하며 그것이 행복의 조건이다.
아침에 출근해서 '아, 진짜 하기 싫다. 그만두고 싶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면 그만두어야한다.

.포기하지 마라! 평생 해야할 일이다.
나라면 먼저 내가 일하고 싶은 분야의 성공한 사람 밑에서 몇년을 일하겠네

.나쁜 직어도 최대한 활용하라
그 일에 자부심을 갖는다. 용접을 해도 가장 멋지게 한다.

.자율성을 추구하라
직장생활을 즐겁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자율성과 융통성이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오늘 할 일이 기대되는가? 진심을 들여다보고 지금이 변화가 필요한 때 인지 확인하라

3.등을 보고 자라는 아이(건강한 아이로 키우는 법)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라
자녀와 평생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도록 해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시간이라고

아이들은 조개 같이 평소에는 껍데기를 꽉 닫고 딱딱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 속은 더 없이 연약하고 상처받기 쉽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시간 / 아이들과 함께 무언가를 하는 것이 중요 / 아이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다면 희생도 기꺼이 감수

.깨물면 유독 아픈 손가락, 드러내지는 마라
편애는 정상이다. 하지만 드러내지 마라

.몸의 멍은 지워지지만 가슴의 멍은 평생 남는다
매를 아끼면 친구가 된다.

.무슨 수를 써서라도 관계의 균열만은 피하라
관계의 균열을 방지하는 법
균열의 조짐을 초기에 파악 후 진정 / 균열이 발생하면 즉각 조치 / 불화가 생겼을 때 화해가 필요한 쪽은 부모 

.자녀와의 관계는 평생의 관점에서 보아라
쉽게 키워라 만족스러운 양육을 하라 -> 자녀에게 실패를 허용한다

4.하강의 미학(지는 해를 즐기는 법)
세상 그 누구도 지루하게 살 이유는 없다.

.나이 먹는 것은 생각보다 괜찮은 일이다.
인생의 현자들이 나이 드는 것을 하나의 탐험으로 여긴다

.100년을 써야 할지도 모른다! 몸을 아껴라
병은 쾌락의 이자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가에 초첨을 둬라
병들어 오래 사는 것은 의미없다.
담배나 몸에 헤로운 것들은 절대 하지말아야 한다. 그것들이 쌓이면 나중에 여파가 반드시 나타난다.
병은 말을 타고 들어와 거북이를 타고 나간다
가장 위험한 질병 유발 요소 - 무리한 다이어트, 운동부족, 흡연 
병에 걸리면 정작 고통받는 사람은 바로 가족이다

.아직 오지도 않은 죽음을 미리 걱정하지 마라.
삶을 정리하는 일을 진심으로 즐기고 있어
자신의 물건을 정리하는 행위는 삶의 마지막을 정리한다는 의미다.

.관계의 끈을 놓지 마라
고립되고 싶지 않으면 늘 다가가야 해.
관계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한 전략
배울 기회를 이용하라 / 관계를 유지하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라

.노후의 거처를 계획해두라
꽤 젊은 나이부터 노인들을 위한 거주시설에 들어와 살았지. 사생활이 침해당할 것이라고 걱정하지만 가장 훌륭한 선택이였다.
현실을 인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등산도 내가 오를 수 있는 만큼만 오른다.

5.후회 없는 삶(그랬어야 했는데에서 벗어나는 법)
.정직하라
정직은 논의의 여지가 없는 최우선 가치다. 선의의 거짓말은 괜찮다고 하는 정도다
직장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직과 신뢰라네

.기회가 묻거든 '네'하고 대답하라
성공의 조언은 바로 '네'라고 대답하는 것이다.
기회가 왔을 때 붙잡을 수 있도록 자신을 늘 열어 놔야한다.
열정이 없는 일에 갇혀 있지 말라

.더 많이 여행하라
인생의 현자들은 모두 여행을 더 많이 했더라면하고 바란다는 것이다
지금 당장 떠나라는 것이다. 젊었을 때 많이 다녀야 한다. 가장 좋아하는 동반자와 함께
여행은 견문을 넓혀주고 삶의 구심점을 찾게 도와주고, 여러가지 새로운 것들에 도전하게 해준다.
여행은 인생을 잘 살았다는 기분을 느끼게 해준다.

.배우자를 고를 때는 신중 또 신중하라
열정적으로 사랑에 빠져 너무 급하게 일을 저지르다가 재앙까지 초래할 수 있다
결혼에 실패하는 이유는 상대를 제대로 알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상대를 서로 충분히 깊이 알기 전에는 절대 서두르면 안된다.

결혼식장에 들어가기 전에 두번이고, 세번이고 아니 열번이라도 충분히 생각해야한다. 가장 신주한 결정이기 때문이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바로 지금하라
신발을 샀다면 옆 상점에 파는 신발에는 눈길도 주지 마라

6.행복은 선택일 뿐(나머지 인생을 헤아리는 법)
.시간은 삶의 본질이다. 삶이 아주 짧은 것처럼 살아라
카르페 디엠, 현재를 잡아라, 하루를 수확하라. 우리가 매일 수확하지 않아서 잃는 '기쁨, 즐거운, 사랑, 아름다움'들이 무수히 많다는 것이다.
그랜드 캐니언 아래에는 휠체어 전용 통로가 없어. 아래로 내려가고 싶으면 두 다리가 멀쩡할 때 가봐야 한다는 말이지.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선택이다.
행복은 내가 책임지는 거라는 사실이다.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산이니까
어떻게 반응할지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어야지.
태도를 바꿀때 행복이 만들어진다.
어떤 일이 벌어졌기 때문에 행복하게 되거나 우울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일을 어떻게 생각할지 선택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걱정은 시간을 독살한다.
진정하고 그만 걱정해. 일어나지도 않은 미래를 걱정하지마
걱정 버리는 법
하루에 한가지만 걱정하라 / 비가 올 때 필요한 것은 걱정이 아니라 우산이다. /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 두라 

.오늘 하루에만 집중하라
행복은 일상생활의 즐거움을 더욱 증폭시키는 것. 맛있는 음식을 먹듯 삶을 음미 하는 것이다.
아쉬운 것은 이러한 것들을 60대가 아닌 30대에 알았더라면 하는 것이다.
황금률이란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그리스도교 윤리다.

.믿음을 가져라

1.평생 살아오면 가장 중요한 교훈은?
2.서른 즈음을 보내면서 제가 무엇을 배워야 할까요?
3.하고 싶은 일을 찾고 거기서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은?
4.힘겹고 고통스러운 일을 경험하면서, 가장 중요한 교훈이 있다면?
5.반드시 지키고자하는 삶의 가치나 원칙들이 있나요?
6.백년해로의 비결은?
7.결혼을 하고 생활을 하면서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합니까?
8.아이를 키우면서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 있다면?
9.인생에 특별한 전환점이 있나요? 삶의 궤도를 완전히 바꾼 사건이 있다면?
10.걱강에 관해 깨달은 교훈들이 있나요? 

note.
마치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하다. 스토리텔링과 대화체가 책에 몰입하게 해줬다.
난 어렷을적부터 어른스럽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길 원했다. 즉 남들보다 앞서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생각에 빠졌다. 
'초등학생이 보양식을 좋아하고 약초를 좋아한다면 이상하지 않는가?
, 그 나이에 맞는 행동과 모습이 있다'라는 걸 인정하고 살았다. 
하지만 이제는 진짜 어른이 되었고 30대다. 지혜를 꽃피워야하는 시점이다. 
책의 모든내용이 공감되는 건아니지만, 하나하나 나에게 적용해가야 겠다.

#내가알고있는걸당신도알게된다면, #현자의책, #지혜, #정직, #결혼관, #가치관



#갭 투자 슈퍼리치(#꼬마아파트 임대로 상위 1% 부자 되기)



갭 투자 슈퍼리치

프롤로그

Part 1. 대한민국에서 부자 되는 법

탄생부터 삶이 정해져 있다?

저축만이 살길인가?

열심히 사는데 집 1채 장만하기 힘들다

돈을 벌었다는 사람 중에 왜 나만 빠져 있나?

넘쳐나는 재테크, 도대체 뭘 해야 하지?

Part 2. 슈퍼리치가 되는 문은 활짝 열려 있다

아파트 갭 투자란 무엇인가?

상위 1% 진입 나도 가능할까?

부자의 80%는 부동산 부자다

부자들의 투자 방식

부자가 되는 법칙

세발자전거 전략

부동산 6계급이란?

의식을 혁명하라

도미노의 성장 효과

우리나라 부동산의 특수성을 이해하라

주택임대사업이란?

주택임대사업의 미션과 비전

내 안의 욕구를 발산하자

Part 3. 부동산 투자의 3대 핵심 키

현금흐름을 파악하라

레버리지 효과를 누려라

규모를 늘려 복리 효과를 누려라

Part 4. 소형아파트 재테크를 넘어 사업이다

부동산은 사업이다

물건 선정방법

부동산 상승 요소

초기 종잣돈 회수가 빠르다

고객이 넘쳐난다

안정성, 수익성, 환금성이 뛰어나다

수익률 무한대의 사업이다

가장 안전하고 대박인 빅 비지니스다

Part 5. 두려움 한 방에 해결하기

과연 나도 할 수 있을까?

집을 산 후 가격이 하락하면?

금리가 인상되면 부담이 크지 않을까?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집 수요가 줄어든다?

출산률 저하로 인구가 감소한다는데

부동산 더 이상 상승하기 어렵다?

다주택자는 세금으로 불이익이 있다?

갭 투자 시 전세가 나가지 않으면?

일본처럼 부동산 폭락 시기가 오지 않을까?

현재는 투자 시기가 끝났다?

Part 6. 부자가 되고 싶은데 현재 돈이 없다는 건 핑계다

부자 마인드가 중요하다

야망과 결단이 필요하다

방법은 많은데 실행력이 약하다

전세를 월세로

초기 종잣돈 3,000만 원부터 1억 원을 모아라

소형아파트도 투자하지 못하면 빌딩주인 될 생각은 집어치워라

부동산 가격 미래예측방법

전세가·매매가 통찰력

목적이 분명한 삶을 살라

드림 빌딩, 꿈을 세우자!

Part 7. 평범했던 그들, 슈퍼리치에 도전하다

모든 재테크는 다 해봤다, 그중에 제일은 갭 투자

- 서울대 출신 슈퍼리치 법률중개사 박성천

경쟁률 10대 1의 장기전세(시프트)보다 갭 투자가 으뜸!

- 슈퍼리치클럽 수석연구원 김범준

회계사도 반한 갭 투자, 18채를 실행하다

- 서울 회계사 이동원(가명)

치과의사도 반한 갭 투자, 10채를 실행하다

- 서울 신도림 치과의사 김현빈(가명)

한의사도 반한 갭 투자, 5채를 실행하다

- 서울 강남구 한의사 정현우(가명)

갭 투자로 17채의 아파트를 보유하다

- 광주광역시 외국계대기업 재직 주경미

투자,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 서울 강남 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 김현준(가명)

7,000만 원의 전세금이 3채의 집으로 돌아오다

- 슈퍼리치클럽 컨설턴트 홍성준

충성! 나라도 지키고 내 돈도 지킨다. 군인도 반한 갭 투자

- 군인 김진석(가명)

보험회사 지점장도 반한 갭 투자!

- 일산 보험회사 지점장 임광빈

자비량 목회자의 선택, 갭 투자

- 인천 청라 자비량 목회자 이영석(가명)

열정이 부자를 만든다. 갭 투자로 17채를 보유하다

- 부산 기장 산업 자재 유통업 김경수

신규분양보다 소형 갭 투자가 답이다

- 서울 이앤티브레인 대표 강연왕

전직 금융전문가도 반한 갭 투자

- 슈퍼리치클럽 컨설턴트 권순기

주부도 따라 하기 쉬운 갭 투자

- 서울 서대문구 주부 배윤주

오는 기회 쟁취하자, 갭 투자가 답이다

- 슈퍼리치클럽 컨설턴트 윤영란

안정된 노후를 원한다면 소형아파트 임대사업에 투자하라

- 원격평생교육원 운영 한승용

강한 전율, 그 이름은 갭 투자

- 서울 동작구 프로그래머 김성민

꿈을 현실로, 그 이름은 갭 투자

- 서울 영등포구 개입사업자 최종진

갭 투자, 그래 바로 이거야!

- 부동산 컨설턴트 김은실

갭 투자, 원대한 꿈을 준비하다

- 한국경영자협회 대표 김준원

Special Tip

전세·매매 바로 나가는 건축전문가의 특급 노하우

에필로그


금 가격이 올랐다고 말하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금의 가치가 상승 한 것이 아니다. 금은 그대로인데 돈의 가치가 하락해 금 1돈을 사려 면 전에는 5만 원이면 사는 것을 지금은 20만 원을 줘야 살 수 있다. 는 것이다. 지금 20만 원을 주고 산 금 1돈이 예전 금 1돈보다 더 크 고 금 함량이 많이 들어 있어서가 아니라 그만큼 화폐가치가 하락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하는 시기 는 2037년으로, 1999년부터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한 일본과 비교하 면 차이가 크다. 또한, 1인 가구가 꾸준히 늘어나기 때문에 주택 수요 는 이어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는 1995년 12.7%에서 2015년 에는 27.1%로 증가했으며, 앞으로 1인 가구 비율은 35%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파트 분양가 = 지가+재료비+인건비+설계 감리비+이자비용+이윤+ 미래가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지가는 연평균 5% 내외 상승한 다. 이는 매년 정부에서 발표하는 공시지가를 열람하면 알 수 있다. 지가가 상승하면 국가는 세금을 더 많이 걷을 수 있다.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아파트를 건축 시 시행사는 은행에서 PF대, 출Project Financing(프로젝트 파이낸싱)를 받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 건립 에 따라 미래에 발생할 분양수익금으로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조 달받는 금융기법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도 분양가에 포함시킨 다. 은평 뉴타운의 한 시행사는 하루 이자가 5억 원인 곳도 있었다.

투자 시기가 끝났다는 말은 과거에도 있었다. 현재에도 있고, 미래 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정부 정책 등을 고 려했을 때 부동산은 지속해서 상승할 것이다. 기존 부자가 부동산을 싹쓸이해서 이제 투자할 곳이 없을까? 부동산 부자가 천년만년 사는 게 아니고 죽어서 가져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사람들은 의식상태에서도 동일한 사상과 메세지를 약 30번 이상만 들으면 '집단최면에 걸릴 수 있다. 수백 번, 수천 번 부동산 관련 부 정적 메세지를 들은 독자는 현재 ‘부정적 부동산 논리에 '집단최면’ 에 걸린 상태다. 빨리 깨어나서 아파트 갭 투자에 도전하시기를 바란다.

부자는 특유의 마인드가 있다. 부자의 공통점은 돈이 많다는 것과 마인드가 같다는 것이다. 부자가 되려면 부자 마인드를 흉내 내야 한 다. 부자가 되려면 지금까지 나를 가난하게 만든 마인드를 버려야 한 다. 나는 절대 부자가 될 수 없다. 부자가 될 필요도 없다는 생각을 려라.

킹핀King pin 전략 킹핀이란 10개의 볼링핀에서 5번째 핀을 말하는 것으로, 10개의 핀 모두를 쓰러뜨리기 위해 목표로 삼아야 하는 핀을 말한다. 인도네시 아나 아마존 밀림에서 벌목한 나무를 강물에 띄워 하류로 보내면 나 무가 강물을 따라 흘러가다가 굽이치는 곳에서 엉켜 움직이지 않는 다. 그때 나무들을 엉키게 만든 원인이 되는 나무를 '킹핀'이라고 부른다.

멘토가 없다. 행복한 부자가 되기 위해선 부자들은 한 명 이상의 멘토를 보유하고 있지만 보통 사람은 대부분 멘토가 없다. 멘토로는 선배, 동료와 부동 산 전문가(실제 투자를 하는 실전 전문가를 말함)가 있을 수 있다.

비행기가 이륙할 때 전체 연료의 50%를 소모한다고 한다. 이륙할 때 엔진은 중력을 극복하기 위해 전부 가동되며, 이 힘 덕분에 비행 기가 하늘로 높이 날아오를 수 있게 된다. 일단 이륙에 성공하면 목적 지까지는 비교적 적은 양의 연료를 소모해가며 순항할 수 있게 된다. 비행기를 이륙시키는 일은 초기 종잣돈 모으기와 올바른 투자관 정 립에 해당하는 과정인데,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이후 두 번 째, 세 번째 비행기 띄우는 일은 한결 쉬워지며 이후 과정은 비교적 순탄하게 흘러간다.

일반인들은 거의 모든 경우 두려움이 욕심을 이긴다. 두려움이 욕심 을 이길 때 투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결과는 3가지다. 첫 번째, 논리적 분석을 통해 부동산 시장에 투자했다.

이렇듯 다른 것에 주의가 쏠리면 좋은 일을 하는 데 쏟을 수 있었던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집중하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은 한눈을 팔지 않게 해준다. 집중은 목표를 이루는 핵심 키다.

사람들은 의문에 사로잡혀 확신을 갖지 못하고 두려움에 떨며 자신 에게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여러 핑계를 대며 행동에 옮기지 못한다. 이를 뛰어넘는 비범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통계학적으로 6%라고 한 다. 94%의 평범한 존재 안에 묻혀 살 것인가, 내 삶을 개척하는 6%의 탁월한 존재로 살 것인가!!

갭 투자한 두 아파트 모두 인테리어가 잘 되어 있었고 지하철역과 도보 5분 거리였으며 학군이 우수했다. 여기에 향후 개발 호재까지 있으면 플러스 알 파인 것이다. 또한, 나는 주변에 입주물량이 많은 곳은 피한다. 입주물량이 많아지면 전세물량이 많아져 전세가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가 많은 곳도 되도록 피하고 실수요자가 많은 곳 위주로 본다.

갭 투자를 할 때, 연식이 털 트도 지은 지 5년, 10년, 15년 된 아파트다. 데 만약 같은 지역에 수리가 되어 있는 집 만인 곳을 본다.

평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도배, 장판을 새로 하는 경우 보통 200만 원 내외 정도 드는데, 이는 임대인이 비용을 내는 일도 있고 임차인이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권은 임대인, 서울은 임차인이 부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같은 지역에서도 차이가 있다. 싱크대, 화장실 등을 수리할 경우 700만 원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그 외 일반적인 매물인 경우 협의 하 에 잔금기일을 3개월 정도 여유 있게 잡는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계약서를 작성할 때도 신경을 쓴다. 잔금일을 특정일로 지정하지 않고 전세를 빼는 조건으로 명시하는 것이다. 이는 집주인이 사는 경우 이사 갈 집이 분양이나 기타 이유로 날짜 여유가 있어 유동적 으로 조율이 가능한 집이거나, 기존 세입자가 사는 경우 전세를 빼는 날짜까 지 임차기간을 연장하는 조건이라는 등으로 특약을 적는 것이다.

갭투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하이리스크가 아닌 것은 그동안 부동산 불패의 시각

#갭, #갭투자, #슈퍼리치, #그들은이미부자, #지금은, #시기가지난것인가, #다단계느낌




추천의 글1 | 추천의 글2 
프롤로그. 왜 항상 싫다면서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가? 

1장. 사랑과 대인관계의 역설 
잡히려는 욕구가 도망치게 만든다 
칭찬받고 싶어서 희생하는 것은 아닌가 
타인의 헌신을 끊어야 사랑이 남는다 
보호받고 싶기에 두려움이 많아진다 
잘 보이고 싶을수록 내 모습이 싫어진다 
관심 받고 싶을수록 더 외로워진다 

2장. 성공과 직업의 역설 
책임지지 않을 이유를 찾고 있지는 않은가 
역경 극복에 중독되어 있지는 않은가 
도전하지 않으면 실패할 일도 없다 
마음과 다른 행동이 주는 이득은 무엇인가? 
할 수 없었다면, 하기 싫었던 것이다 

3장. 마음과 건강의 역설 
당신의 증상에 감사하라 
불쌍함을 연출하는 이유 
마음과 몸이 다른 곳을 향하면 공황이 나타난다 
강박장애는 낮은 자존감의 조력자 
사랑을 원하기에 알코올을 찾는다 
입이 말하지 않으면 몸이 말한다 

4장. 미래와 방향의 역설 
미래를 바꾸는 첫 단추, 나는 이미 주체적이다 
구체적으로 무엇에서 벗어나고 싶은가 
불확실한 것은 ‘상황’인가 ‘나’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태어났는가 
나는 어떻게 해결하지 못했는가 
변화의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에필로그. 나무처럼 산다면 이미 충분하다


나는 이런 유형의 사랑법을 이탈자'라고 부른다. 도망치는 사람에겐 상대적 이득이 따르기 마련이다. 술래가 나타난다. 자신을 잡아주는 사 람이 나타난다. 필요하다고 하는 사람이 나타난다. 도망치고 잡아주는 사람이 나타나길 기다리는 행동이 그녀의 사랑법이다. 

이별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양쪽 모두 이별에 동의해야 한다. 그리 고 상대방에게 바라는 것이 없어야 한다. 무언가를 바란다면 이별이라 할 수 없다. 그녀는 어떤가? 헤어진 후에도 긍정적 평가를 기다리고 있 었다. 그녀는 긍정적 평가에 '중독 된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주변인을 돌봐야 하기에 늘 바쁘다. 체력은 딸릴 수 밖에 없고 만성 통증을 달고 산다.

급부가 있으면 반대급부가 있고, 득이 있으면 실이 따른다. 우리의 마 음도 그렇다. 배가 10만큼 고프다면 밥도 10만큼 필요하다. 배가 5만큼 고프다면 밥도 5만큼 필요하다. 하지만 배가 고프지 않다면 밥도 필요 없다. 분리가 10만큼 두렵다면 10만큼 집착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불안 이 사라져야 집착도 사라지며, 집착을 해결하기 위해선 분리불안을 해 결해야 한다. 그녀가 집착을 끊으려면 분리불안, 즉 '이별 공포'를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분리불안은 그녀를 지키고 있는 방패임이 틀림없다.

부부상담을 하다 보면 외도, 도박, 도벽, 알코올 중독, 각종 .. 일으키는 배우자를 만난다. 그런데 그들은 하나같이 말한다. 배우자가 저에게 관심을 주었다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

준비한다. 대기업에 입사할 수 있어도 중소기업에 입사한다. 그럼 안전 하게 합격할 수 있지 않은가. 이러 태도는 이성을 만날 때도 영향을 준다. 자신보다 재정 형편이 좋지 않은 사람을 만난다. 자신보다 학력과 능력이 뒤떨어지는 사람을 만난다. 예쁘고 잘생긴 사람을 선택하기보다 자신의 외적 우월감을 확 인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보다 나를 지독하게 쫓아다니는 사람을 만난다. 그러면 안전할 수 있다. 이성이 나를 필요로 하기에 실패 확률은 줄어든다.

안전한 삶을 얻으려면 상대적으로 불안전함을 회피 서 도전에 실패할 이유, 성공할 수 없는 이유 등을 찾게 을 회피해야 한다. 따라 신의 역량보다 낮은 선택을 한다. 만약 그 선택이 안전하고 으 등을 찾게 된다. 그리고자 레이 안전하다면 다행이다. 하지만 세상일이 내 뜻대로만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번호소의 인력은 아이들에게 충분한 스킨십을 줄 수 없었다. 인력 부 족 탓도 있겠지만, 당시 스킨십의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아 간과된 결과 이기도 했다. 아이들의 20~30%는 입소 첫해를 넘기지 못하고 죽었다.

알코올 중독, 폭식증, 카페인 중독, 약물 중독 등과 같이 먹는 것과 관련된 중독이 있다. 이 중독의 공통된 특징은 외로움과 공허함이다. 같이 먹는 것과 관 운을 많이 느끼기에 잊을 음식이 필요하다. 공허함을 많이 느끼기에 이어 울 음식이 필요하다. 이런 중독을 끊으려면 단순히 물질만 끊어서는 아 된다. 만약 하나의 물질을 끊는다면 외로움을 채울 다른 물질이 필요하다.

“술을 택하면 평생 공허하게 살다가 자녀에게 당신의 모습을 물려즈 게 됩니다. 당신의 어머니가 당신에게 그랬듯 말이지요. 남편을 택한다. 면 자녀에게 화목함을 물려주겠지요. 공허함과 알코올을 물려조권 알코올을 택하세요. 화목함을 물려주려면 남편을 선택하시고요. 무엇 을 선택하시겠습니까? 무엇을 물려주고 싶으세요?”

“흉해요? 좋습니다. 당신의 지방이 흉하게 보이는군요. 그런데 지방 이 흉하게 보이더라도, 당신에게 필요하니까 있는 거거든요. 지방의 말 을 들어볼 필요가 있겠어요. 지금 지방 속으로 들어가 보세요. 그리고 지방이 되어서, 지방의 마음으로 저와 대화를 해봅시다. 지방, 대답하 세요.

알코올 중독은 치료의 대상이다. 우리나라가 술에 관대하다고 하지 만, 사회적 비난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알코올 중 독에도 이득이 있다. 알코올 중독자는 술에 취해 있는 시간보다 깨어 V 있는 시간을 힘들어한다. 세상과 단절되었다는 외로움, 실패한 인생에 대한 괴로움 등이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이때 어딘가로 숨어야 하지만 숨을 곳이 없다. 자신을 인정해주고 위로해줄 친구도 없다. 그러면 술 이라도 찾아야 한다.

미래를 바꾸기 위해서는 특별한 과정이 필요하다. 처했 전이 필요하다. 첫째는 '나는 이미 주체적이다'라는 논리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현재 상황이 고토, 변화가 필요한 상태라 하더라도 말이다. 현 상황은 과거의 선태에 른 결과이며, 현 상황은 나의 무의식이 이득을 추구한 결과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둘째는 '무엇을 해결할 것인가'를 정의해야 한다. 해결하고 싶은 것 이 없다면 그냥 현 상태로 살면 된다. 그렇다고 과제가 많다고 해서 큰 변화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하나에 집중하고 하나씩 해결해야 한다. 그래야만 해결된다. 셋째는 '어떤 이득을 주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해결하려는 문제는 분명히 이득을 추구하고 있다. 이득을 찾아야 변화할 수 있다. 넷째는 '나는 누구인가'를 확인해야 한다. 정체성의 문제다. 내가 살아가는 목적, 방향, 추구하는 가치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이다. 해결 방향의 정의 기다. 해결 방향의 정의가 필요 하다. 보편적으로 올바른 해결법과 방향이라도 나에게 적합하 이라도 나에게 적합하지 않으 면 무가치하다. 나에게 맞는 방향과 방법이 필요하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나로부터 시작한다. 내가 타인을 예쁘게 보면 좋은 관계가 되고, 내가 타인을 밉게 보면 안 좋은 관계가 된다. 마치 그 와 쥐의 관계처럼 말이다. 쥐가 아무리 깨끗하게 씻고, 예쁜 옷을 입고, 귀여움을 부려도 그의 눈엔 차지 않는다.

그가 씽긋 웃었다. 우울증이 일을 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그 도 알고 있었단 의미다. 하기 싫은 일을 피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아파 버리는 것이다. 아픈 사람에게 억지로 일을 맡기기란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아픈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 인지상정 아닌가. 나는 그의 행동을 두고 '환자 코스프레'라 부른다.


나에게 질문하고 또 질문하고 더 질문해서, 자가진단을 해보자
아니면 여러 상대가 반응을 한다. 그것이 바로 마음의 병에 대한 진단이다
육체의 병은 건강에 장애물이 되지만, 
마음의 병은 행복의 장애물이 된다.





1
.자신이 알고 있는 가장 매력적인 사람을 떠올려라.
- 내이야기를 정말 열심히 듣고 둘만 공간에 있게 느끼게 했다.
- 편안한 사람. 
- 친구를 만들기보다 적을 안만드는게 중요하다.

2.사람들은 주인공 같은 사람에게 끌리는 것이 아니라 나를 주인공처럼 만들어 주는 사람에게 끌린다.

3.상대방의 자존감을 최대한 세워주어라. - 관계개선 기술 5가지-
- 수용의 법칙 : 가장 훌륭한 선물은 무조건 긍정적인 태도 , 즉 그대로 전부 받아들이는 것 / acceptance. / 간단히 미소를 지으는 행동을 한다.
- 감사의 법칙 : 고마움 (appreciation) 
- 인정의 법칙 : 인정 (approval) / 사람의 노력과 업적을 인정해주는사람
- 찬사의 법칙 : 찬사 (admiration) / 찬사는 평범한 누군가를 훌륭한 사람으로 만드는 힘이다.
- 주목의 법칙 : 주목 (attention) / 그저 세상에서 가장 멋진 사람을 만났다는 듯이 바라보고 세상에서 가장 신기한 이야기를 들었다는 듯이 귀 기울이면 된다.

4.대화의 목적은 상대방이 주인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 누굴 만나게 되면 마치 10년 전에 헤어진 친구를 만나듯, 목숨을 구해주고 홀연히 사라진 은인을 만나듯, "정말 반갑습니다"  / 평생 단 한번의 만남태도
- 대화 주도권을 잡으면 동시에 흥미로운 첫인상을 줄 수 있는 마법의 질문 세가지 / 1.어떤일을 하십니까?(정체성), 2.그런데 그 일을 어떻게 시작하시게 되었나요? (경험과 배경), 3.아하 그러셨군요. 그리고 나서 어떻게 하셨는데요?
- 말을 많이 하고 난 사람은 자신의 말을 들어준 상대에게 왠지 모를 마음의 빛을 갖게 된다.

5.잘듣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 배우자 경청의 이유는 남자는 한 가지 감각만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신문이나 TV를 볼때는 배우자를 경청하지 못하다.
- KBS 아침마당 고정 패널로 출연하는 김병후 박사는 말하는 사람에게 올인하는 그의 진지한 눈동자를 볼 수 있다.
- 말을 가로채지 않는다. ( 3~4초 정도 기다리다가 그래도 상대가 입을 열지 않으면 그때가 바로 당신의 차례다.)
- 질문하는 사람이 지배권을 갖는다. , 적절한 시점에 핵심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 상대방의 말을 되받아 요약해준다. (요점에 대해 되물을 줄 아는 스킬 또한 필요하다.)
- 영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잘알려진 123 화법 / 1분 이야기하고 2분 고객의 말 듣고 3번 맞장구 쳐준다.
- 대부분 여성들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을 중요시힌다. 얼마나 날 잘 이해하고 대접해줬는지.. 
- 좋아하는 여성을 만날 때는 ' 수용, 감사, 인정 ' 세가지를 잊지 않도록 한다. 
- 그녀의 의야기에 관심을 가져라 (특징,개성,관심사) *** 자신이 가치있는 여자며 매력적이고 가장 멋진 여자라고 생각들도록
- 그녀를 가르치려 하지마라 / 가장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고있다는 표정을 지어라.
- 남자들은 자신의 업적을 인정해 줄때 가장 깊이 감동한다. / 참으로 자랑스러운 일을 하셨군요 / 미소 짓고 감탄하라 / 아낌없이 귀 기울어라.
- 눈 옮기기 / 은밀하고 관능적인 삼각형 두눈과 입으로 눈을 옮긴다. / 여성을 볼때입을 보는건 탐욕적으로 보일 수 있다.
- 상대가 말을 할 때 때때로 고개를 한쪽으로 살짝 기울여 들어보면 상대는 좀더 열성적이고 호기심 많은 얼굴로 신이나서 말할 수 있다.
- 아니야! 라고 말하고 싶어도 참고 고개를 끄떡여라. 고개를 끄떡이는 것은 상대를 인정한다는 뜻이다. 
- 상대방에게 앞으로 다가가 몸을 기울이면 당신은 정말 매력적이군요 마치 나를 자석처럼 나를 끌어당기고 있어요 느끼게 해준다.
- 찬성 의견은 정확하게 반대의견은 모호하게 표현하라. (찬성 : 네 그럼요, 절대적으로 동의합니다. 정말 꼭 맞는 말씀이세요)
- 매력적인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매력적인 사람처럼 행동하고 그들의 기술을 모방해야 한다. / 사람은 입고 있는 옷에 따라 행동이 바뀐다.

3.친구를 만드는 것보다 적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성공과 행동 그리고 미래를 위해 당신이 가장 먼저 할 일은 스스로 중요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느끼도록 말하고 행동하는 습관을 익혀 인간관계 전문가로 성장해야 한다.
- 돈을 받지 않고는 절대 충고를 하지 말라. 고민을 해오는 것은 문제 해결보다 이해를 바라는 것이다.
- 자신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았다는 느낌을 갖게 만드는 최고의 충고 기술이다.
- 최고의 답변은 미소다. (울을 때는 반드시 얼굴 전체로 눈까지 웃도록 한다.
- 어떤 대화에서든 목적을 명확히 하라.
-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나는 220V고 상대는 110V인데 상대에게 220V로 가게끔하면 안된다. 내가 110V로 가야 한다.
- 이동호 대우차 판매사장은 직원들 자녀이름까지 알고 있다. 사장님이 방문하면 차를 한대 더 팔수 있겠다라는 말이 나올정도라니
- 누군가에게 호감을 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먼저 좋아해버려라
- 반드시 내사람으로 만들겠따고 작정하라.
- 나는 당신 편이야! 라는 뜻을 표현하는 최고의 적극적인 방법은 칭찬이다. 상대방이 무언가 자랑스럽게 이야기한다면 칭찬을 듣고 싶은 것이다.
- GE 잭웰치의 경우 어렷을적 말을 많이 더듬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머니는 너는 두뇌회적인 너무 빨라서 혀가 따라가지 못해서 그렇다며 격려했다고 한다.
- 아는 만큼 친밀해진다. 직업이나 취향을 미리 파악하고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에 대해 자료를 조사하고 공통분모를 찾는다.
-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협오스러운 사람으로 취급받는 방법 (팔짱을 끼거나 구부정한 자세를 취한다)

4. 똑똑한 사람보다는 편안한 사람이 인생을 성공으로 이끈다.
- 눈 맞춤은 당신이 지닌 영혼의 깊이를 전달하는 과정이며 상대를 매료시킬 수 있는 가장큰 무기다.
  (눈을 맞출 때는 그사람의 눈 겉만 보는 것이 아닌 눈 속 깊이 들여다봐야한다.) 여러사람의 눈을 쳐다보는 것도 중요
- 다른 곳보기 (잠시 시선의 초첨을 상대방의 눈에서 얼굴 측면 즉, 상대의 머리 오른쪽 혹은 왼쪽을 무심히 바라보는 것이다.) 이 기술은 당시의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고 나에게 관심을 두게 될것이다.
- 빨리 말하는 사람은 이기적으로 느껴진다.
- 적절한 침묵으로 상대에게 여유를 주어라. 침묵의 완급조절이다. 연설을 하는 동안 여러번의 간격으로 1~초씩 멈춘다면 생각보다 효과가 크다.
- 안녕하세요? 홍보팀 ~~입니다.
- 매력적인 것처럼 행동하라! 억지로 에서 저절로 말이다.
- 매력의 완성은 헌신이다. (만나는 모든 사람과 함께 기뻐하고 그들에게 기쁨을 주기로 결심한다./ 모든 상황에서 예의바르고 이해심 있게 행동한다. / 상대를 배려하고 사려 깊고 편협하지 않게 행동한다/ 미소 짓고 상대를 칭찬할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한다.)

5. 또 하나의 매력, 유머감각
- 유머감각이 없는 사람은 스프링이 없는 마차와 같다.길 위의 모든 조약돌마다 삐걱거린다.
- 상대를 잘 웃기기 위해서는 나부터 잘 웃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자신이 망가져가며 억지로 웃기지마라, 인신공격이나 음담패설을 하지마라,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유머를 남발하지 마라.

* 매력은 경청, 헌신, 긍정, 유머, 부드러움, 인정이다. 
매력은 상대방을 자주 만나고 싶고 내옆에 두고 싶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으로 생각해서 내가 인간으로 인정과 존중을 받고 중심이 되고 싶다는 욕구이기도 하다.
내가 31살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여러 비전을 세웠다. 그중 하나가 30대 다움과 경쟁력이다. 이책을 3년전에 구매했음에도 지금 다시 책정리하면서
나는 벌써 미래를 준비했구나라는 생각이든다. 
정말 책을 새로 다시 읽었다. 정말 좋았다. 와닿았다. 그전에 책을 읽었을 때는 밑줄도 없고 하이라이트도 별로 없었다. 좋다. 이책 

 


 

[조선일보 사설-20110622수] 토건업자 배만 불리는 지방자치 언제까지

 

지난해 지방세 수입으로 공무원 인건비조차 감당 못하는 지자체가 전체 246개 중 55.7%인 137곳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18곳 시·군 가운데 12곳, 전북 14곳 가운데 10곳, 전남 22곳 가운데 16곳의 재정자립도가 20%가 안 됐다. 전남의 8개 군은 10% 아래로 차마 '자치(自治)'라는 말을 붙이기 힘든 수준이다. 전국 지자체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51.9%로 2004년 57.2%를 기록한 이래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그런데도 시장·군수들은 중앙 부처로부터 교부금·보조금을 타내고 거기에다 지자체 재정으론 감당키 어려운 지방비를 보태 건물만 지어대고 있다. 경남 산청군은 재정자립도가 14.6%밖에 안 되는데도 2007년 국비 6억원과 지방비 14억원을 들여 박물관을, 2009년엔 국비 6억원·지방비 13억원으로 무형문화재전수관을 지었다. 하지만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휴관 중이다가 최근 한두 달 사이 가까스로 문을 다시 열었다. 강원도 태백시 경우 국비·지방비를 합쳐 130억원을 투입해 2006년 13만㎡나 되는 체험공원의 문을 열었지만 작년 입장객이 하루 평균 12명이었다.

 

재정에 여유 있는 지자체들이 돈을 흥청망청 써대는 것은 더 꼴불견이다. 경기 성남시는 3200억원을 들여 최신형 비행기 모양을 본떴다는 호화청사를 지었다. 서울 용산구도 연간 예산의 절반이 넘는 1500억원을 들여 휘황찬란한 청사를 지었다. 이런 호화청사들은 유리로 건물을 덮어씌우다시피 해 여름엔 불지옥이고 겨울엔 기름을 먹는 기름도둑이다.

 

2009년 경우 지자체들이 치른 지역축제가 937건에 달한다. 충무공을 주제로 해 남해안 일대 시·군들이 열고 있는 축제가 6가지다. 인구 5만명짜리, 10만명짜리 지자체들까지 너나없이 공설운동장·시민회관·문화예술원을 이미 지었거나 짓겠다고 나서고 있다. 2009년 지자체 전체 예산이 137조원이었는데 그 가운데 60조7000억원이 '자본지출'이었다. 자본지출 항목의 90% 이상이 시설을 짓는 건설예산이라고 한다.

 

시장·군수들이 으리으리한 건물들을 지으면서 펑펑 쓴 예산은 건설업자·토건업자들 배를 불렸을 것이고, 그중 일부분이 시장·군수와 지자체 공무원들에게 뇌물·정치자금으로 되돌아갔을 것이다. 4기(2006~2010년) 민선 기초단체장 230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3명이 비리·부정으로 사법당국에 걸려들었고, 그때마다 보궐선거를 치르느라 예산을 낭비해왔다.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주민들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만들자고 16년 전 시작한 지방자치제도가 이대로 굴러가면 지자체의 파산을 넘어서서 언젠가는 국가를 주저앉히고 말 것이다.

 

 

[경향신문 사설-20110622수] 목사직 매매하는 교회에 구원은 있는가

 

오늘날 한국 사회의 교회, 특히 대형 개신교회에서는 성경 구절처럼 ‘힘들고 짐진 자’들이 ‘편안히 쉬는’ 공간을 찾기 힘들다. 일부 유명 목사 등 ‘교회 권력자’들은 교회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고, 대통령 선거에 개입해 관직 등 ‘전리품’을 챙기며, 현직 대통령을 무릎 꿇릴 정도의 위세를 과시한다. 그뿐인가. 어떤 신도들은 사찰에 난입해 불상을 훼손하는 등 다른 종교를 모욕·멸시하기도 한다. 교회가 공동체를 걱정하고 가르침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다수 성원이 교회를 염려하고 질책하는 기막힌 전도 현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현직 개신교회 목사가 교회 내에서 횡행하고 있는 담임목사직 매매 실태를 고발하면서 자신의 목사직을 반납했다고 한다.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밝은세상교회의 김성학 교육목사가 엊그제 기자회견에서 밝힌 내용은 충격적이라기보다는 ‘공공연한 비밀’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일 뿐이다. 예컨대 이런 것들이다. A목사는 B교회의 담임목사로 부임하면서 수억원의 ‘헌금’을 냈다. 이 돈은 이 교회에서 물러나는 목사의 ‘은퇴금’으로 사용됐다. 몇 년 뒤 성 추문에 휘말린 A목사는 수억원의 은퇴금을 받았다. 이 돈은 당연히 그의 후임자가 납입한 것이다. A목사는 은퇴금에 웃돈을 얹어 헌금으로 바치면서 C교회의 담임목사가 됐다. 이 돈 역시 C교회에서 물러나는 목사의 은퇴금으로 쓰였다. 목사직을 고리로 수억원의 큰돈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거래된 셈이다. 김 목사는 교인을 포함해 교회를 통째로 사고파는 악습도 고발했다.

 

배금주의, 성장지상주의, 극우반공주의, 공격적·호전적 선교 방식, 타종교에 대한 적대감 등 한국 개신교계가 앓고 있는 병증은 너무 많고 깊어서 어디부터 메스를 들이대야 할지 모를 지경이다. 그러나 성직자와 평신도들이 현 상황을 애써 무시하거나 개탄만 해서는 희망이 없다. 교회 구성원들은 교회가 사회의 빛과 소금이기보다는 사회의 병인(病因)으로 지목받는 현실에 대해 전면적·근본적으로 성찰한 뒤 교회 개혁을 위한 구체적 실천에 과감히 나서야 한다. 이런 점에서 규모지상주의를 극복하고, 교회 운영의 형식과 내용을 민주적·수평적으로 일신하자는 ‘작은 교회 운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목사직을 포기하면서까지 내부고발에 나선 김 목사의 결단에서 역설적으로 개신교회가 구원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한다. 그가 제기한 문제의 시작은 미미할지 모르겠지만, 그 결과는 창대할 것이라고 믿는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유병선(논설위원)-20110622수] 회장님은 출장 중

 

요즘 대기업 총수의 해외출장은 여간해선 뉴스에 오르지도 않는다. 사업 영역과 기회가 세계로 넓어지다 보니 출장이 일상화되기도 했거니와 총수들의 발로 뛰는 경영을 당연시하는 분위기도 한몫하기 때문이다. 물론 비즈니스와 무관한 해외출장도 없지 않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선거철이면 신문지상에는 ‘회장님은 출장중’이란 표제어가 단골로 등장했다. 정치헌금으로부터의 도피성 출장이었다. 검은 돈줄을 막은 2004년 정치자금법 개정 이후 선거철 총수의 집단 해외출장은 옛날 이야기가 됐다.

 

선거철 말고도 총수의 해외출장 사유를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패턴이 있다. 1988년 국정감사가 도입된 이래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회에 출석해야 할 상황이 닥치면 대기업 총수들은 거의 예외없이 해외로 출장을 떠나는 것이다. 2002년에는 현대그룹 특혜 지원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된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이, 2004년엔 대생 인수 문제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2007년에는 비정규직 대량해고와 관련해 박성수 이랜드그룹 회장이 해외출장을 이유로 국회에 출석하지 않았다.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이 갑자기 해외출장을 떠난다고 국회에 통보했다고 한다. 국회는 6개월째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한진중 사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22일로 예정된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조 회장을 참고인으로 불렀다. 조 회장도 지난 17일 환노위에 나가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회의 이틀을 앞두고 20일 느닷없이 말을 바꾼 것이다. 3일 사이에 국회와의 약속을 뒤집을 만큼 다급한 해외출장건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한진중은 해명도 하지 않았다.

 

조 회장이 환노위 출석을 약속했을 때만 해도 한진중 노동자들은 귀를 의심했다. 지난해 12월 사측의 400명 정리해고 발표로 파업이 시작됐고,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35m 크레인 위에서 22일 현재 168일째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지만, 조 회장은 노조와 단 한차례도 대화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국회에서 조 회장과 노조의 첫 대면이 기대됐다. 노조를 응원하는 시민의 ‘희망버스’가 방문하고, 국회가 중재에 나서고, 김 위원과 170명의 해고 노동자가 “회장님, 제발 우리 얘기 좀 들어주세요”라고 외치고 있다. 그런데 한진중의 대답은 ‘회장님은 출장중’이다.

 


조선일보 사설-20110623목] 홀로 살다 홀로 죽는 일본인, 내일 우리들의 모습

 

그제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되고 있는 '혼자 살다 혼자 죽는 사회, 일본' 특집은 독자를 으스스하게 만든다. 일본에선 사망 후 4일 이상 지나 발견되는 고독사가 한 해 1만5600명에 달하고, 죽어도 시신을 인수할 가족이 없는 무(無)연고 사망자가 3만2000명에 이른다고 한다. 도쿄에선 죽는 이 10명 가운데 3명은 이른바 직장(直葬), 장례식 없이 곧바로 화장터로 가고 있다. 현재 일본 30대 남성 10명 가운데 3명, 여성 10명 중 2명은 50대가 될 때까지 결혼을 못할 거라고도 한다. 결국 일본은 '혼자 살다 혼자 죽는 사회'가 돼가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인 '가족 울타리'가 약해지고, 급속하게 진행된 저출산·고령화로 돌봐줄 자식이 없거나, 자식이 있다 해도 20년 경기침체로 부모를 보살필 경제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의 인구 구성 비율은 일본을 10~15년 차이를 두고 뒤따라가고 있다. 오늘 일본의 스산한 모습이 내일의 우리 모습이라는 이야기다.

 

일본은 지난 20년 인구가 감소하면서 기업 매출이 떨어지고, 일자리가 줄고, 그것이 다시 소비를 위축시키는 악순환을 겪어왔다. 작년 일본의 226개 백화점 가운데 매출이 늘어난 건 3곳뿐이었다. 어린이 인구(0~14세)가 1990년 2248만명에서 작년엔 1648만명으로 줄면서 제과점 파산이 속출했다. 청년실업이 늘어나면서 1990년 780만대였던 신차 판매가 2009년 488만대로 감소했다. 금융자산의 75%(1125조엔·약 1경5000조원)를 가진 노인들은 여생이 불안하다며 갈수록 지갑을 닫고, 일자리를 갖지 못한 젊은이들은 쓰고 싶어도 쓸 돈이 없다.

 

젊은이들 성격도 변했고 이에 따라 사회의 분위기도 달라졌다. 직장도 학교도 안 다니면서 하릴 없이 시간을 죽이는 니트족, 뚜렷한 일자리 없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프리터족이 늘면서 자기 체념을 뜻하는 '하류지향(下流指向)'이란 말이 유행어가 돼버렸다. 30~34세의 직장인 가운데 결혼한 비율은 정규직 60%, 비정규직 30%, 프리터 17%다. 일자리가 불안한 젊은이들은 결혼을 기피하고 이것이 다시 저출산과 경기침체를 악화시키고 있다.

 

일본은 1996년부터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2008년부터는 총인구 자체가 감소했다. 우리도 2017년 생산연령인구가 줄기 시작하고 2019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할 것이다. 일본의 65세 이상 노인이 1990년 1489만명에서 2010년 2941만명(전체 1억2800만명의 22.9%)으로 늘었다. 지난해 우리의 노인 인구는 535만명이었는데, 2030년엔 1180만명(전체 4860만명의 24.3%)이 된다.

 

일본의 경우 노인요양보험인 개호(介護)보험 지출액이 2000년 3조8000억엔에서 작년 7조9000억엔으로 2배 늘었다. 우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작년 지급액이 2조5000억원이었는데 2030년엔 15조6000억원으로 6배 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이런 식으로 경제활력을 떨어뜨리면 잠재성장률은 현재 4.1%에서 2020년 1.9%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렇게 되면 작아진 파이를 서로 더 많이 먹겠다고 다투는 계층 간, 직업 간, 세대 간 갈등은 더 심해진다.

 

저출산·고령화는 한 번 추세가 형성되면 되돌려놓기가 힘들다. 일본도 온갖 몸부림을 쳤지만 실패했다.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고착(固着)되기 전에 흐름을 돌려놓아야 한다. 지금 하늘을 찌를 기세로 부풀어 오르는 중국의 미래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가장 큰 요인도 중국의 급속한 노령화다. 역사상 저출산·고령화의 흐름에 떠밀려가면서도 번영을 누렸던 나라는 한 나라도 없다.

 

우리 정부는 저출산 흐름을 되돌리기 위해 GDP의 0.7% 예산을 쓰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시한폭탄의 뇌관(雷管)을 제거하기에는 어림도 없는 예산이다. OECD 평균이 2.3%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장관들에게만 맡겨놓기에는 너무나 중대한 문제다. 대통령이 10년 후, 20년 후 나라의 운명을 바로 보고 역사적 문제의식을 갖고 임해야 한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유병선(논설위원)-20110627월] SNS 피로증

 

 

얼마 전 독일 함부르크에서 희한한 사고가 벌어졌다. 테사라는 16살 소녀의 집앞에 1500명의 생일축하객이 몰린 것이다. 문제는 이들이 불청객(不請客)은 아니었다는 점이다. 테사가 페이스북으로 초대장을 보내면서 잘못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한 게 화근이었다. 생일파티는 엉망이 됐고, 경찰까지 출동해야 했다. 한 아나운서의 자살이란 끔찍한 일을 겪은 우리로선 테사의 싱거운 사고에 헛웃음만 나올 뿐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이처럼 싱겁거나 끔찍한 형태로 사생활을 파고들고 있다.

 

최근 미국에선 뜻밖의 선언이 나왔다. 페이스북 열풍을 부추겼던 영화 <소셜네트워크>의 각본을 쓴 에런 소킨이 SNS를 끊겠다고 밝힌 것이다. 전 세계 페이스북 가입자가 7억명을 넘고, 손안의 컴퓨터라는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지구촌민이 SNS 사용자와 미사용자로 나뉘는 세태에 비춰 여간 뜨악한 선언이 아니다. 오죽하면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소킨의 페이스북 탈퇴선언을 보도하며 ‘SNS에 대한 피로감’을 지적했겠는가. 소킨은 이런 말을 남겼다. “(트위터는) 우리를 너무 즉흥적으로 만들고, 깊이가 없다. 인생은 복잡하다.”

 

요즘 미국 언론들은 SNS 찬양에서 경계로 돌아서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SNS 대중화가 사람들을 디지털 노예로 만들고 있다며 주말엔 일체의 정보화 기기를 꺼버리는 ‘디지털 다이어트’에 나설 때라고 했다. CNN방송은 이보다 한발 더 나간다. 흡연자들에게 폐암환자의 사진을 보여주듯, SNS 등의 디지털 중독 땐 뇌가 생각 중추인 회백질이 줄어들어 ‘팝콘 브레인’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주말 방송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많이 쓰면 뇌가 팝콘처럼 튀어오르는 것에만 반응하고 현실세계에 적응하지 못하는 쪽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한꺼번에 490만원??SNS는 누군가에겐 꼭 필요한 것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에겐 없어도 그만이거나 있어서 피곤한 정보기술(IT)이다. 새 문명 도구가 나올 때마다 걱정이 따랐지만, SNS의 과도한 열풍과 부작용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지난달 방한한 IT전도사 니컬러스 카는 현대인을 ‘정보의 바다의 표류자’에 비유했다. SNS의 쉴새없는 시시콜콜한 정보가 사고력과 비판력, 집중력과 창의력을 해친다는 것이다. 미래가 IT세상일 것을 의심하지 않는 그는 책을 쓰기 위해 SNS를 끊었다고 했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627월] 주유소에 기름이 없다는 이야기

 

주유소에서 재고가 없다며 기름을 안파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ℓ당 100원 할인된 기름값이 내달 7일부터 환원되는 것을 앞두고 벌어지는 진풍경이다. 주유소들은 정유사가 공급을 줄였기 때문이라고 하고 정유사는 주유소들의 사재기 탓이라고 비판한다. 기름값이 논란인 와중에 지난 3월부터 시행해온 골프장 야간조명 금지 조치는 사실상 해제됐다고 한다. 골프장 업체들이 막대한 매출 손실은 물론 상당수 일용직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없어진다며 서울행정법원에 낸 '등화관제' 집행정지 신청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두 케이스 모두 유가가 급등하자 정부가 서민부담을 덜고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며 급조한 정책이 낳은 결과다. 기름값 100원 인하는 주유소별로 들쭉날쭉이어서 처음부터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고 이제 소비자들이 필요한 기름도 제때 사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다. 골프장 등화관제로는 연간 128억원의 전기료가 절약되지만 골프장 매출 6000억원,세금 755억원이 각각 줄고 정규직 5000여명, 비정규직 연인원 61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한다. 소위 서민을 위한다는 정책이 결과적으로 서민에게 불편과 고통만 주었던 셈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는 건 문제가 생기면 당장 소비억제와 가격통제를 동원해 급한 불만 끄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에 대한 직접 규제는 결코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할 뿐더러 경제주체들의 후생을 오히려 감소시킨다는 것은 허다한 사례가 웅변하고 있다. 기름값도 전기소비도 마찬가지다. 특히 전기 과소비 문제는 생산원가에도 못미치는 전기요금 현실화에서 출발하는 것이 맞다.

 

이제 장마가 끝나면 다시 폭염과 전력 과소비,그리고 전력비상이 되풀이될 것이다. 정부는 당장 욕을 먹더라도 시장원리를 적용해 요금을 현실화하는 것만이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 기름값 역시 수급으로 결정되도록 하면 된다. 그래야 에너지 소비도 줄어든다. 시장이 해결할 일을 정부가 나서면 부작용을 만들어 낼 뿐이다. 물론 에너지바우처와 같은 저소득층 보완책도 함께 강구돼야 할 것이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포럼/온기운(논설위원)-20110705화] 原電 놓고 갈라지는 세계

 

"세계가 원전 찬·반으로 양분TMI나 체르노빌 사고 후여론 악화됐으나 다시 회복한국 에너지믹스 다시 짜고 중장기 대응책 강구해야"

 

3월 11일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자연재해가 인간이 상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이른바 `베키분포`에 따라 발생한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를테면 규모 8의 최대 지진이 있고, 규모 1의 최소 지진이 있다면 그 중간인 4 정도의 지진이 주로 발생할 것이라는 관념은 여지없이 깨졌다.

 

자연 현상이 과거 200년 동안 과학자들의 사고를 지배해온 정규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게 아니라 프랑스 수학자 베누아 만델브로가 강조한 것처럼 통상의 확률 분포를 벗어난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인류가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해온 원자력에 대해 새삼 겁을 집어먹게 됐다.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같은 나라들은 사고 발생 직후 원전 폐기 정책을 서둘러 발표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주선거(3월 27일) 패배 후 종전 견지했던 원전 지지 입장을 폐쇄 쪽으로 180도 바꿨다. 인접국인 스위스 정부는 5월 "2034년까지 국내 5개 모든 원자력발전소 문을 닫는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는 6월 국민투표를 통해 원전 재추진 정책을 백지화했다. 유권자의 94%가 원전에 반대표를 던졌다.

 

하지만 프랑스 러시아는 원전 기치를 더욱 높이 치켜들고 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3일 만에 "탈(脫)원전은 논외다"고 선언했다. 프랑스는 오히려 원전 증설 추진으로 탈원전을 선언한 국가에 전력을 팔아 외화를 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독일과 이탈리아의 탈원전 움직임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서 "인류가 가까운 장래에 원전을 중단할 수 없다. 요구되는 것은 안전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2025년까지 세계에서 30기 이상의 원전을 건설해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차지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미국과 중국도 원전 정책 불변 입장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6일 만에 성명을 발표하고 "원자력은 장래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라며 원전을 유지할 방침을 밝혔다. 그 대신 안전성 기준 강화를 강조했다. 중국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내륙지역 원전계획 수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전 지지 입장이다. 실제로 최근 장더장 부총리 등 정부 고위 관리들이 원전 확대 방침에 흔들림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잇달아 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는 갈라져 있다. 일본 원전 사고 이전과 비교해 보면 반대 여론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과거 미국 스리마일 섬(TMI) 원전 사고(1979년)나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년) 후 각국의 여론이 일제히 악화되다가 2000년대 들어 국제 유가 급등 속에서 여론이 호전되고 `원전 르네상스`가 전개됐던 점을 감안하면 반대 분위기가 어느 정도 지속될지 지켜볼 일이다.

 

한국은 아직 정부가 원전 정책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고 국민 여론조사 결과도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처한 상황을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한국은 원전 21기를 가동하고 있는 세계 5위의 원전 대국이다. 전력 공급의 40%를 원전이 담당하고 있다. 원전을 중단한다면 화력발전이나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공급을 충당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수단은 전력생산비가 높기 때문에 전력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계에서 가장 싸게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국민은 경제적 부담 증가를 감수해야 한다.

 

일본 국민이 전력 부족으로 올여름 찜통더위와 사투를 벌이고 있는 모습을 보면 우리는 너무 편안하다. 정부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에너지믹스를 다시 짜고 그 안에서 원전을 어떻게 할지 장기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 자연재해나 인재, 테러 등에 대한 안전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는 게 전제돼야 함은 물론이다. 내년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들이 원전 문제를 악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20110706수] 한국 내 중국 동포 50만명 돌파의 빛과 그림자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 동포(조선족)가 50만명을 넘어섰다. 5월 말 현재 중국 국적을 갖고 체류 중인 동포가 45만2000여명, 한국 국적을 회복하거나 귀화한 중국 동포가 7만5000여명으로 합치면 52만7000여명에 달한다. 중국 동포들은 건설현장 노동자, 가사 도우미, 식당 종업원 같은 3D 업종의 노동력 공백을 메우고 있고, 이들이 없으면 이런 업종은 제대로 돌아가기 힘들 정도로 의존도가 크다. 그런가 하면 1992년 한·중 수교 당시200만명이던 중국 내 조선족 인구는 최근 180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옌볜 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 비율은 1949년 63%에서 2009년 37%로 뚝 떨어졌다. 현지 동포 사이에선 이러다간 '조선족 자치주'라는 간판을 내리게 되는 사태가 오는 것 아니냐는 말이 돌고 있다.

 

조선족 연원(淵源)은 조선조(朝) 말인 18세기 후반 무렵 기근을 피해 그때까지도 우리 땅으로 여겨지던 새섬(사잇섬) 간도(間島)로 건너간 사람들이다. 이후 일본에 의해 나라가 망하자 독립 투쟁의 근거지를 마련하려고 혹은 일제의 수탈을 피해 새 운명을 개척하려던 사람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조선총독부가 앞장서 만주의 산업 인력 보충을 위해 소작농민들의 등을 떠밀기도 했다. 중국 동포는 굴곡 많은 민족사가 만들어낸 아픔의 소산인 셈이다. 중국 동포를 대하는 우리 정책은 중국 동포의 역사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깔려 있어야 한다.

 

중국 동포의 눈앞에 닥친 숙제는 비자 시한 문제다. 정부는 2007년 중국과 옛 소련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이 편하게 우리나라를 드나들거나 취업할 수 있도록 방문 취업제를 도입했다올 3월 말 현재 중국 동포 29만7000명이 방문 취업 비자를 받았다. 2007년 받았던 5년 비자 시한이 올해 말로 끝난다. 중국 동포들이 내년부터 해마다 6만~7만명씩 우리나라를 떠나야 한다는 이야기다. 상당수 중국 동포들은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라도 더 머물며 한 푼이라도 더 벌겠다는 입장이다. 중소기업과 건설현장 등에서는 이들이 떠난 이후의 인력난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외국인 관리 원칙과 중국 동포의 현실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춘추/피터 페레토(서울대 건축학과 교수)-20110714목] 숫자는 잊어라

 

오늘날 우리 행위는 수치와 순위에 의해 계량화된다. 항공 마일리지부터 고객 충성도 지수까지, 우리는 모든 것이 통계화되는 세계에 살고 있다. 요즘은 우리 사회성마저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있는 친구 수에 따라 평가된다.

 

나는 숫자나 퍼센트로 설명하는 것에 대해 늘 의구심을 품어 왔다. 수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정보를 조정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유리한 숫자들만 뽑아서 세고, 주장을 위태롭게 할 숫자들은 과감히 버리고 나면 논지와 근거는 탄탄해진다. 누가 감히 숫자에 대항하겠는가?

 

숫자 놀음은 사실 그리스 소피스트들이 언술을 연마하던 시절부터 흔히 이용하던 것이다. 하지만 현대에는 수치화할 수 있는 자료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이 유사과학적인 논쟁술이 남용되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우리 직관, 창의성, 틀을 벗어나 사유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현상 유지에 의문을 품을 수 있는 능력을 앗아가고 있는 것이다.

 

나는 서울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우수한 지적 역량을 갖춘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비판적 토론에 나서기보다는 데이터 뒤에 숨어서 주장하려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 이들은 데이터를 나열하면서 자기 생각은 잠재워 버린다.

 

이런 현상을 학생들 탓으로 돌리기 쉽지만, 사실 그들이 받은 교육과 한국 문화의 산물이라고 보아야 한다. 수직화된 위계질서에 순응하도록 교육받기 때문에 윗사람 앞에서 자기 생각을 드러내기를 꺼리는 습성이 몸에 밴 것이다. 한국 대학생들이 교수와 수평적인 관계를 즐기면서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을 때, 그들의 열정이 내일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 같은 외국인들이 한국의 문제에 대해 지적만 하고 대안을 내놓지 않는 것에 대해 한국인들은 피곤을 느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래서 근래 내 생각을 전환시킨 한 책을 추천해 보려고 한다. 다국적 광고회사 `사치&사치`를 이끌었던 폴 아덴이 쓴 `네가 무엇을 생각하든지, 그 반대를 생각하라(Whatever You Think, Think the Opposite)`는 책이다. 이 책은 틀에서 벗어나 생각하는 것에 관한 짧고 직설적인 선언이다. 한국 사회 발전을 위한 신선하고 대안적인 관점을 원하고 있다면 일독을 권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720수] 4대강 저주하던 자들은 지금도 말이 많고…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성과가 입증되었다. 기록적 장마에도 불구하고 4대강 유역에서는 농경지와 가옥 침수 소식이 거의 들리지 않았다. 사업에 반대하던 일부 농민들도 이제는 홍수 걱정에서 해방됐다며 이 사업에 대한 종전의 인색한 평가를 바꾸고 있다. 이번 장마는 강우기간이 평년보다 1주일이나 길었고 강우량도 642㎜에 달해 동일기간 평균 강우량 249㎜의 2.5배에 달했다. 강우량이 평년의 5배가 넘는 곳도 허다했고 특히 한 시간에 30㎜ 이상 내리는 폭우가 전국에서 65차례나 쏟아졌다. 예년 같으면 강이 범람하고 농경지와 가옥이 침수하는 피해가 엄청난 규모였을 것이다. 하지만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흔히 물받이라고 불렸던 지역들에도 피해가 적었고 하천 유역 근처 농경지나 가옥들의 피해도 보고된 사례가 눈에 띄게 줄었다.

 

피해 총액도 1500억원(17일 기준)에 불과하다. 1999년에는 10일 동안 95~633㎜의 호우로 1조원이 넘는 피해가,2004년엔 불과 300㎜의 비로 2041억원의 피해가 있었던 것에 비하면 놀라울 정도의 결과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세세한 설명이 필요없다. 현재 4대강 준설량은 7일 기준 4억3000만㎡로 목표의 94%를 완료한 상태다. 4대강 사업의 성과가 아니라면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홍수기에 두고보자"며 4대강 꼬투리 잡기에 몰두해온 사이비 자연정령 숭배자들은 지금도 반성은커녕 사소한 문제들을 침소봉대하며 거짓을 전파하기에 여념이 없다. 일부 지역에 토사가 다시 쌓이는 현상이나 지류의 제방이 유실되는 등의 부분적인 문제를 마치 전체의 문제인양 호도하는 낡은 선전 수법에 머리를 박고 꼬투리 잡기에 골몰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은 처음부터 과학적 방법론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드러난 증거를 외면하고-이는 천안함도 마찬가지다-주술적 자연정령주의를 환경철학으로 가장하면서 반대 투쟁만 해왔을 뿐이다. 호우가 닥치면 두고보자던 뒤틀린 자들의 태도가 바뀌기를 기대하는 것은 처음부터 잘못이다. 국민들이 사실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할 뿐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설위원)-20110720수] 여름 화로

 

쓸모없는 짓이나 불필요한 물건을 가리켜 흔히 ‘하로동선(夏爐冬扇)’이라고 한다. 여름날의 화로나 한겨울의 부채질은 생각만 해도 뜬금없다. 그런데 선가(禪家)에 들어서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여름 화로와 겨울 부채는 ‘병 속의 새’처럼 쉽게 깨치기 힘든 화두가 된다. 중국 당나라의 선승 동산양개 화상의 일화다.

 

어느 학인이 양개 스님에게 물었다. “더위나 추위는 어떻게 피해야 합니까?” 스님이 답했다. “더위도 추위도 없는 곳으로 가거라.” “네?” “더울 때는 그대를 덥게 하고, 추울 때는 춥게 하라. 그러면 더위도 추위도 없다!” 더위 속에는 더위가 없고, 추위 속에는 추위가 없다는 것이다. 비슷한 선문답이 또 있다. 어느 선사에게 피서법을 묻자 이런 답변이 돌아왔다. “끓는 가마솥과 타는 화로 속에서 더위를 피하라. 거기에는 어떤 고통도 없느니라.”

 

더위를 피하는 길은 더위 속에 숨어 있다. 더우면 더위 속으로 들어가라는 말은 마음으로 들어야 들린다. 여름나기에 몸이 지친 선인(先人)들은 마음으로 더위를 다스리고자 했다. ‘여름 화로’는 선방의 수행자뿐만 아니라 옛사람들은 누구나 품었던 공통 화두이기도 하다. 조상들의 피서법을 들여다보면 한 줄기 선풍(禪風)이 느껴진다. 가령 다산 정약용의 ‘소서팔사(消暑八事)’는 상상만 해도 마음에 삽상한 바람이 인다. 다산은 1824년 여름에 쓴 시에서 ‘8가지 피서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즉 솔밭에서 활쏘기, 느티나무 그늘에서 그네타기, 빈 누각에서 투호놀이하기, 대자리 깔고 바둑두기, 연못의 연꽃 구경하기, 비오는 날 시짓기, 달밤에 탁족하기, 숲 속에서 매미소리 듣기가 그것이다. 가히 선경(仙境)이라고 할 여름날의 풍경이다.

 

부채는 땀을 식히지만 매미소리는 마음을 식힌다. 마음이 시원하면 몸도 시원해진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시다. “사람들이 더위를 피해 이리저리 다니지만/ 항(恒) 선사는 홀로 방에서 나오지도 않네/ 선방엔들 무더위가 없으랴만/ 단지 마음이 안정되면 몸도 시원한 것을!” 더위를 다스리려면 마음을 다스리라고 백거이는 노래하고 있다.

 

긴 장마가 끝나자 폭염이 전국을 덮쳤다. 열대야에 잠을 설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화로를 끌어안은 듯 뜨거운 나날이다. ‘여름 화로’는 저리도 맹렬한데 이를 다스릴 ‘겨울 부채’는 어디서 구해야 하나.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고대훈(논설위원)-20110804목] 골드 러시

 

황금(黃金)에 대한 욕망이 없었다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1~1506)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그는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빠져 ‘황금의 땅’을 동경했다. 책에서 동방은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은 금이 나오고, 순금으로 뒤덮인 멋진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됐다. 1492년 콜럼버스의 탐험은 황금 찾기를 위한 인도 항로 개척이 목적이었다. 그는 “황금은 영혼이 낙원에 가는 것까지도 도와주는 보물”이라고 했을 정도다. 그해 10월 12일 ‘성스러운 구세주의 섬’이라는 뜻의 산살바도르에 상륙함으로써 대륙 개척이 시작됐다. 이후의 역사가 말해주듯 그의 황금 욕망은 노예무역, 잉카와 아즈텍 문명 파괴라는 엄청난 결과로 이어졌다.

 

예나 지금이나 황금은 권력과 부귀(富貴)를 상징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황금은 태양신의 분신이었다. 파라오 투탕카멘의 관은 110㎏짜리 순금으로 제작됐고, 미라 얼굴에는 황금 마스크를 씌웠다. 황금으로 장식함으로써 파라오가 신과 동격임을 알린 것이다. 중국인의 황금 사랑은 정평이 나 있다. 청(淸) 왕조 건륭제는 밥그릇도 황금으로 만들어 썼다고 한다. “중국인의 최대 종교는 황금”이란 말까지 있다.

 

황금은 탐욕의 대상이었다. 황금을 독차지하려는 욕심 때문에 피로 얼룩진 약탈 전쟁이 수없이 벌어졌다. 19세기 미국 서부의 ‘골드 러시(gold rush)’도 황금에 관한 집착과 광기를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대 골드 러시가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광복 전까지 3000개 금광에서 300여t의 금을 채굴해갔다. 노다지와 벼락부자의 꿈을 좇는 열풍이 불었다. 무지렁이 농사꾼이 낫 대신 곡괭이를 들고 금맥을 찾겠다며 논밭을 파헤쳤고, 김유정·채만식 등 당대의 문인들까지 금광업에 뛰어들던 시절이다.

 

우리에게 황금의 위력은 한동안 잊혀졌다. 불과 몇 해 전만 해도 한 돈(3.75g)에 5만~6만원 하던 돌반지를 선물하는 게 인사치레였다. 요즘 금 한 돈에 20만원을 훌쩍 넘는다. 국제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연일 갈아치우는 중이다. 한국은행이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25t을 사들였지만 금 보유량은 세계 45위에 그친다. 금 부족 국가라는 얘기다. 우리나라에 방치된 금광은 1800여 개를 헤아린다고 한다. 금값 고공행진이 계속된다면 한국판 골드 러시라도 추진해야 하는 건 아닐까.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심상복(논설위원)-20110823화] 유통기한

 

식품은 변한다. 특수처리를 해도 한계는 있다. 정부가 1985년부터 유통기한제를 운용하고 있는 이유다. 사랑도 변한다. 하지만 변질방지법 같은 건 없다. 상온에서 사랑은 얼마나 오래 변치 않을까. 미국 코넬대 인간행동연구소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8~30개월이라고 한다.

 

‘내 남자의 유통기한’. 2006년 제8회 서울여성영화제에 초청된 독일 영화다. 원제(The Fisherman & His Wife)보다 훨씬 센스 있는 제목이다. 성공 지향의 여자와 작은 행복에 만족하는 남자가 사랑에 빠져 결혼하는데, 그들의 감정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차분하게 다뤘다.

 

사랑을 측정할 수 있을까. 과학자들은 대뇌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신경물질과 호르몬으로 사랑의 크기를 잴 수 있다고 말한다. 연애에 빠지면 뇌에서 도파민·페닐에틸아민·옥시토신·엔도르핀이 다량 분비되고 사랑이 식으면 이런 호르몬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2002년 코넬대 연구팀은 남녀 간의 뜨거운 애정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50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대략 1년 반이 지나면서 대뇌에 항체가 생겨 사랑의 화학물질 생성이 더뎌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정도가 심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사랑의 유통기한이 다한 것일까. 그렇다고 다 깨지는 건 아니다.

 

식품도 비슷하다.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해서 다 변질되진 않는다. 그럼에도 지금은 유통기한을 넘긴 식품은 무조건 판매를 금하고 있다. 만든 기업이 다 수거해 폐기해야 한다. 그런 비용이 한 해 6500억원쯤 된다고 한다. 의약품이나 화장품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업계에선 유통기한이 너무 엄격하다고들 한다. 냉장고가 흔치 않을 때 정해진 기준이라고도 한다. 우유의 경우 유통기한이 5~7일인데, 냉장시설에 잘 보관하면 20일 정도는 문제 없다고 한다. 과자와 라면은 보통 6개월 안팎인데 이보다 한두 달 늘어난다 해도 국민건강을 해칠 일은 별로 없다고 말한다.

 

 정부가 유통기한(sell-by date)보다 긴 소비기한(use-by date)이라는 새 용어를 만지작거리는 배경이다. 언제까지 소비하라는 날짜다. 일본과 영국이 이렇게 하고 있다고 덧붙인다. 유통기한은 지났지만 소비기한이 남은 제품의 값을 왕창 낮추면 물가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아원·양로원에 식품 보내기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라고 한다.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을 일이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830화] 국민연금, 가입자가 선택하게 확 뜯어고쳐라

 

보건복지부가 어제 국민연금 기금운용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기금운용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 거래 증권사와 위탁운용사의 세부 평가항목과 선정기준, 평가배점 등을 내년부터 홈페이지에 모두 공개하겠다고 한다. 외부 인사가 포함된 거래증권사 및 위탁운용사 선정위원회를 신설하고 부정행위를 저지른 임직원에 대한 처벌도 강화키로 했다. 이렇게 해서 거래 증권사의 평가점수를 조작하거나 과도한 전관예우를 허용하는 등 비리의 소지를 뿌리뽑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정도의 미시적인 대책이 얼마나 통할지는 지극히 의문이다. 국민연금 비리는 내부통제 장치나 시스템이 미비해서 생긴 것이 아니다. 문제는 보다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데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 증권사를 통해 연간 189조원을 굴리는 큰손 중의 큰손이다. 증권사에 지급하는 수수료만도 연간 500억원에 육박할 정도다. 국민연금이 이처럼 엄청난 이권을 손에 쥐고 증권사의 목줄을 잡고 있는 한 아무리 고도의 감시체계를 구축해본들 봐주기와 부정부패에 대한 유혹을 원천봉쇄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봐야한다.

 

정부가 정말로 비리를 없애고 싶다면 국민연금의 운용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뜯어고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본다. 국민연금은 국민 1945만명으로부터 의무적으로 거둬들인 340조원이라는 막대한 돈을 굴리는 둘도 없는 공룡이다. 이런 커다란 덩치를 그대로 둬서는 관리가 방만해지는 건 오히려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결국 이미 외국에서 도입한 대로 국민들이 복수의 연금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운용사를 스스로 고를 수 있도록 하는 게 최선의 방책이다. 민영화 내지는 복수 경쟁체제로 가야 한다는 얘기다. 그것이 2060년이면 재원고갈이 예정된 국민연금도 살리고 국민들이 자신의 노후를 보다 잘 설계할 수 있게 하는 길이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김창우(중앙SUNDAY 기자)-20110907수] 카피캣

 

카피캣의 어원은 확실치 않다. 16세기 영국에서 경멸적인 사람을 지칭한 고양이(cat)라는 단어에 훗날 복사(copy)한다는 의미가 더해져 모방자를 지칭하게 됐다는 설이 있다. 또 새끼 고양이가 어미의 사냥하는 모습을 그대로 흉내 내면서 생존기술을 익히는 모습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어쨌든 19세기에 처음 등장한 이 단어는 모방범죄(copycat crime)나 모방자살(copycat suicide) 같은 식으로 많이 쓰였다.

 

 이 말이 일반인들에게 익숙해진 것은 1995년 동명의 할리우드 영화가 나오면서부터다. 내용은 저명한 범죄심리학자가 모방살인범을 붙잡는다는 것이다. 앞서 나온 영화 ‘에이리언’ 시리즈에서 한 손에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기관총을, 다른 한 손에 어린 소녀를 안고 외계 괴물을 물리치던 강인한 여전사의 모습을 보여줬던 시거니 위버가 광장공포증에 시달리는 연쇄살인범 전문 학자로 변신한 것이 이채롭다.

 

 최근에는 잘나가는 제품을 그대로 따라 하는 ‘미투(me too)’ 제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쓰인다. 특히 올 3월 애플의 최고경영자(CEO)였던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 신제품 발표장에서 삼성전자·구글·모토로라를 싸잡아 ‘카피캣’이라고 비난하면서 유행어가 됐다. 하지만 오데드 센카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는 저서 『카피캣』에서 모방이 반드시 나쁜 경영전략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잡스조차 제록스 팰로앨토연구소(PARC)에서 본 그래픽운영체제(GUI)와 마우스를 애플 제품에 차용했다”며 “혁신적 모방자(Innovative Imitator), 즉 ‘이모베이터(Imovator)’가 되라”고 조언했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유럽 최대 규모의 가전전시회인 IFA에서 개막을 앞두고 삼성전자가 신제품 갤럭시탭7.7을 막판에 전시장에서 치우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애플이 “아이패드의 디자인 특허를 침해했다”며 낸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을 독일 법원이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을 둘러싼 ‘카피캣’ 문제로 애플과 삼성이 벌이고 있는 일진일퇴의 혈투가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카피캣과 이모베이터 사이에 선을 긋기는 어렵다. 피카소는 “좋은 예술가는 그대로 복사(copy)하지만 위대한 예술가는 도용(steal)한다”라고 말했다. 경쟁 제품을 그대로 베끼는 대신 그 장점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 더 좋은 제품을 만들어내는 ‘창조적 모방’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정성희(논설위원)-20110916금] 박근혜와 나경원

 

‘인사 실패’의 전과가 많은 이명박 정부에서 그나마 참신했던 인사로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장관과 이봉화 차관 인사를 꼽고 싶다. 비(非)여성업무 부처에서 처음으로 여성이 장차관에 임명된 사건은 성(性)에 대한 고정관념을 뒤집은 유쾌하고 창의적인 인사였다. 이 차관이 ‘쌀 직불금’ 파동으로 물러나지 않았으면 전-이 여성 장차관의 행보가 제법 뉴스거리를 만들어냈을 것이다.

 

▷정부 내 최고위직 여성이었던 장옥주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이 지난달 물러났다.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사적체 해소를 명분으로 1급 공무원들을 사퇴시키는 차원에서 사표를 받았다. ‘여성 행정고시 2호’인 장 실장은 특유의 꼼꼼함으로 현안을 잘 챙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복지부 안팎에서는 진 장관이 아까운 여성 인재를 배려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들린다. 국회에서는 비례대표 출신 여성 의원들이 여성 보좌관 채용에 소극적이란 말도 나온다.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의 서울시장 출마가 가시화되면서 친박계의 기류가 미묘하게 변하고 있다. 그동안 대통령과 서울시장 후보 모두 여성이 출마하는 것은 전략상 불리하다는 이유로 친박 의원들은 나 의원의 출마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친박계 의원들은 박근혜 전 대표가 나 의원의 출마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해명하고 다닌다는 소식이 들린다. 나 의원 이외에 마땅한 시장후보감이 없다는 현실적 선택일 수도 있지만 ‘여(女)-여(女) 구도’도 그리 나쁘지 않다는 인식 변화도 작용했을 법하다.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는 재임 시절 여성 각료를 한 명도 임명하지 않았다. 집무실이나 각료회의에 등장하는 여성은 “나 하나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여왕처럼 행세하는 그에 대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언짢아했다. 대처 퇴임 후에 여왕은 “무슨 일이든 강하게 밀어붙이기만 하는 그를 싫어했다”고 사석에서 말했다. 반면 여성인 미첼 바첼레트 칠레 대통령은 재임 시절 남녀 동수내각을 구성하며 여성 각료 발굴에 적극적이었다. 세계적으로 여성의 정치활동을 제약하는 유리천장이 깨지는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박근혜와 나경원이 여성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얼마나 바꿔놓을 수 있을까.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920화] 이런 재외국민투표 왜 한다는 건지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한다는 재외국민 투표제는 아무래도 후유증이 심각할 것 같다. 허점이 너무 많아 과연 제도로 성립할지부터가 의문이다. 당장 유권자의 적격 여부를 가리기부터가 어렵다. 장기 거주하는 교민의 경우 외국 국적을 가진 시민권자는 제외하고 영유권을 가진 교포만 투표하게 한다는 것이지만, 새로운 국적 취득을 확인할 수 없는 국가만도 52개국이나 된다는 것이다. 부정투표, 유령투표 같은 해괴한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더욱 심각한 것은 해외교민들 중에는 북한 국적자도 한둘이 아니라는 점이다. 조총련계 교포가 많은 일본과 조선족 동포들이 사는 중국은 물론이고 미국 유럽 등도 예외가 아니다. 이런 유권자를 걸러내지 못하는 투표제를 내년 총선과 대선에 도입한다면 마치 북한 주민들에게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과 대통령을 뽑게 하는 것과 뭐가 다른지 알 수 없게 된다.

 

국회가 헌법재판소의 헌법불일치 판결을 계기로 2009년 이 투표제도를 도입했지만 교포들에게 투표권을 주는 것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선 아직도 논란이 분분하다. 조세 국방 등 헌법에서 정한 국민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해외교포 중에는 불법사범이나 아예 나라가 싫어서 떠난 사람도 적지 않다. 투표제의 취지와 실효성을 살리려면 더욱 엄중하고 세밀한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 중국 같은 곳은 투표에 대한 거부감이 큰 탓에 투표소를 설치하기조차 어려운 형편이고 미국은 교민들이 투표하려면 1박2일 비행기를 타고 가야 한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시민권자를 제외한 재외국민은 작년 말 기준 279만여명에 달한다. 이 중 만19세 이상 유권자는 23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선조차 50만표 이하로 당락이 결정되는 마당에 중대한 변수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도 여야는 그저 자신들에게 유리할 것이라며 도입하는 데만 열중할 뿐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다간 도끼로 제 발등을 찍게 된다. LA 등 일부 지역은 교민들이 벌써 정치파당으로 분열되고 있다니 그것도 걱정이다.

 

[한국일보 사설-20110622수] 월급 13만원 대학도 대학이라니

 

교직원 월급 13만원 대학은 우리나라 부실사학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이 대학 설립자는 교수 채용 대가로 거액을 받아 처벌을 받은 외에 교비 횡령 등으로 재판에 계류돼 있다. 이사장, 총장은 전원 가족으로 구성돼 전횡을 견제할 어떤 방법도 없다. 교수들에게 이 월급을 줄 정도면 학생교육의 질이야 어떨지 안 봐도 뻔하다. 그런데도 이 학교 홈페이지는 '세계화, 선진화, 정보화를 이끄는 21세기 서남권 중심대학'이라는 황당한 과대광고들로 도배돼 있다. 기막힌 현실이다.

 

이른바 '반값 등록금'논리의 타당성과 현실적 가능성은 잠시 접어두더라도 이 문제 제기는 우리사회가 차마 어쩌지 못해 오랫동안 덮어둔 부실대학 정리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 의미를 갖는다. 등록금 부담을 대폭 줄여주고 그 재원의 일부를 정부가 부담할 수밖에 없다면 반드시 부실대학 퇴출이 전제돼야 한다는 데는 이미 국민적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돼 있다.

 

실제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안에 부실대학 50곳을 추가 퇴출하는 한편, 하위 15% 국ㆍ공립 대학에 대해서도 학자금 대출을 제한하는 등 구조조정을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사립대 경영진단에서 전체 292개 대학 중 무려 36%가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없을 정도라고 드러난 마당이다.

 

그러나 정부 의지만으로는 구조조정이 쉽지 않다. 법적 뒷받침이 필요한데, 학교 소유주의 재산보전 여부를 놓고 견해가 맞서는 바람에 사립대구조개선특별법 등이 장기 표류하고 있다. 학생과 사회에 심대한 피해를 끼친 부실대학 소유주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함은 원칙이다. 다만, 퇴출 촉진을 위한 현실적 수단으로 최소한의 포기명분만 만들어주는 방식으로 절충할 필요는 있다.

 

명분과 방향이 타당하면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지금과 같은 부실대학 양산사태는 과거 정부가 학교운영을 사회 기여가 아닌, 돈 버는 교육비즈니스로 인식하게끔 정책을 운영해온 때문이다. 마땅히 책임을 지고 해결 노력에 나서야 한다. 월급 13만원 대학이 그 당위성을 다시금 분명하게 확인해 준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622수] 미디어렙법은 뭉개고 KBS 수신료만 올리나

 

한나라당이 엊그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법안심사소위에서 <한국방송>(KBS) 수신료 인상안을 기습처리했다. 2009년 7월 온갖 불법과 편법을 동원해 언론관련법을 날치기 통과시킨 데 이어 이번에는 의사봉도 두드리지 않고 인상안을 가결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시급한 민생현안도 아니고 국민 여론마저 부정적인 사안인데도 한나라당은 언론 문제만 나오면 앞뒤 가리지 않고 덤벼드니 혀를 찰 노릇이다.

 

한나라당의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안 날치기 처리는 여당 신임 지도부에 대한 기대도 물거품으로 만들어버렸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취임 뒤 “(국회 운영에서) 일방 강행으로 극한까지 가는 일은 절대 피해야 한다”고 말해왔고, 야당 대표들을 만난 자리에서는 “야당을 존중하고 두려워하며 걸어가겠다”는 말까지 했다. 황 대표가 이번 사태에 격노해 뒤늦게 당직자들을 강하게 질책했다고 하지만 결코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게다가 이번 의회 폭거는 민생 살리기를 놓고 여야 사이에 모처럼 조성된 대화 분위기에도 찬물을 끼얹었다.

 

수신료 인상은 국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는 중요한 사안인 만큼 국회가 타당성을 철저히 따져보는 게 필수적이다. 하지만 아직은 수신료 인상의 전제조건도 충족되지 않은데다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되지 않은 상태다. 오히려 현 정권 출범 이후 한국방송이 자임해온 정권 나팔수 노릇을 보면서 ‘지금 내는 수신료도 아깝다’고 여기는 시청자들이 늘어나는 형편이다. 한국방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되고, 경영 효율성에 대한 꼼꼼한 진단이 전제되지 않는 한 수신료 인상은 결코 밀어붙여서는 안 될 사안이다.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보다 오히려 더 시급한 것은 올해 연말 출범하는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의 광고영업과 관련한 미디어렙 법안의 마련이다. 그런데도 한나라당은 미디어렙 법안에 대한 당론 확정마저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이런 한나라당의 태도를 보면 종편에 참여한 보수언론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은 밀어붙이고 미디어렙 법안 처리는 뭉개고 넘어가려는 의도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한나라당이 만약 이런 잔꾀를 부릴 요량이라면 일찌감치 포기하기 바란다. 무리수에 따른 국회 파행 사태와 민생 실종의 책임은 고스란히 한나라당에 돌아오며, 여당에서 등 돌린 유권자들을 더욱 멀어지게 할 뿐이다.

 

 

[조선일보 사설-20110622수] 토건업자 배만 불리는 지방자치 언제까지

 

지난해 지방세 수입으로 공무원 인건비조차 감당 못하는 지자체가 전체 246개 중 55.7%인 137곳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18곳 시·군 가운데 12곳, 전북 14곳 가운데 10곳, 전남 22곳 가운데 16곳의 재정자립도가 20%가 안 됐다. 전남의 8개 군은 10% 아래로 차마 '자치(自治)'라는 말을 붙이기 힘든 수준이다. 전국 지자체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51.9%로 2004년 57.2%를 기록한 이래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그런데도 시장·군수들은 중앙 부처로부터 교부금·보조금을 타내고 거기에다 지자체 재정으론 감당키 어려운 지방비를 보태 건물만 지어대고 있다. 경남 산청군은 재정자립도가 14.6%밖에 안 되는데도 2007년 국비 6억원과 지방비 14억원을 들여 박물관을, 2009년엔 국비 6억원·지방비 13억원으로 무형문화재전수관을 지었다. 하지만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휴관 중이다가 최근 한두 달 사이 가까스로 문을 다시 열었다. 강원도 태백시 경우 국비·지방비를 합쳐 130억원을 투입해 2006년 13만㎡나 되는 체험공원의 문을 열었지만 작년 입장객이 하루 평균 12명이었다.

 

재정에 여유 있는 지자체들이 돈을 흥청망청 써대는 것은 더 꼴불견이다. 경기 성남시는 3200억원을 들여 최신형 비행기 모양을 본떴다는 호화청사를 지었다. 서울 용산구도 연간 예산의 절반이 넘는 1500억원을 들여 휘황찬란한 청사를 지었다. 이런 호화청사들은 유리로 건물을 덮어씌우다시피 해 여름엔 불지옥이고 겨울엔 기름을 먹는 기름도둑이다.

 

2009년 경우 지자체들이 치른 지역축제가 937건에 달한다. 충무공을 주제로 해 남해안 일대 시·군들이 열고 있는 축제가 6가지다. 인구 5만명짜리, 10만명짜리 지자체들까지 너나없이 공설운동장·시민회관·문화예술원을 이미 지었거나 짓겠다고 나서고 있다. 2009년 지자체 전체 예산이 137조원이었는데 그 가운데 60조7000억원이 '자본지출'이었다. 자본지출 항목의 90% 이상이 시설을 짓는 건설예산이라고 한다.

 

시장·군수들이 으리으리한 건물들을 지으면서 펑펑 쓴 예산은 건설업자·토건업자들 배를 불렸을 것이고, 그중 일부분이 시장·군수와 지자체 공무원들에게 뇌물·정치자금으로 되돌아갔을 것이다. 4기(2006~2010년) 민선 기초단체장 230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3명이 비리·부정으로 사법당국에 걸려들었고, 그때마다 보궐선거를 치르느라 예산을 낭비해왔다.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주민들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만들자고 16년 전 시작한 지방자치제도가 이대로 굴러가면 지자체의 파산을 넘어서서 언젠가는 국가를 주저앉히고 말 것이다.

 

 

[경향신문 사설-20110622수] 목사직 매매하는 교회에 구원은 있는가

 

오늘날 한국 사회의 교회, 특히 대형 개신교회에서는 성경 구절처럼 ‘힘들고 짐진 자’들이 ‘편안히 쉬는’ 공간을 찾기 힘들다. 일부 유명 목사 등 ‘교회 권력자’들은 교회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고, 대통령 선거에 개입해 관직 등 ‘전리품’을 챙기며, 현직 대통령을 무릎 꿇릴 정도의 위세를 과시한다. 그뿐인가. 어떤 신도들은 사찰에 난입해 불상을 훼손하는 등 다른 종교를 모욕·멸시하기도 한다. 교회가 공동체를 걱정하고 가르침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다수 성원이 교회를 염려하고 질책하는 기막힌 전도 현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현직 개신교회 목사가 교회 내에서 횡행하고 있는 담임목사직 매매 실태를 고발하면서 자신의 목사직을 반납했다고 한다.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밝은세상교회의 김성학 교육목사가 엊그제 기자회견에서 밝힌 내용은 충격적이라기보다는 ‘공공연한 비밀’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일 뿐이다. 예컨대 이런 것들이다. A목사는 B교회의 담임목사로 부임하면서 수억원의 ‘헌금’을 냈다. 이 돈은 이 교회에서 물러나는 목사의 ‘은퇴금’으로 사용됐다. 몇 년 뒤 성 추문에 휘말린 A목사는 수억원의 은퇴금을 받았다. 이 돈은 당연히 그의 후임자가 납입한 것이다. A목사는 은퇴금에 웃돈을 얹어 헌금으로 바치면서 C교회의 담임목사가 됐다. 이 돈 역시 C교회에서 물러나는 목사의 은퇴금으로 쓰였다. 목사직을 고리로 수억원의 큰돈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거래된 셈이다. 김 목사는 교인을 포함해 교회를 통째로 사고파는 악습도 고발했다.

 

배금주의, 성장지상주의, 극우반공주의, 공격적·호전적 선교 방식, 타종교에 대한 적대감 등 한국 개신교계가 앓고 있는 병증은 너무 많고 깊어서 어디부터 메스를 들이대야 할지 모를 지경이다. 그러나 성직자와 평신도들이 현 상황을 애써 무시하거나 개탄만 해서는 희망이 없다. 교회 구성원들은 교회가 사회의 빛과 소금이기보다는 사회의 병인(病因)으로 지목받는 현실에 대해 전면적·근본적으로 성찰한 뒤 교회 개혁을 위한 구체적 실천에 과감히 나서야 한다. 이런 점에서 규모지상주의를 극복하고, 교회 운영의 형식과 내용을 민주적·수평적으로 일신하자는 ‘작은 교회 운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목사직을 포기하면서까지 내부고발에 나선 김 목사의 결단에서 역설적으로 개신교회가 구원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한다. 그가 제기한 문제의 시작은 미미할지 모르겠지만, 그 결과는 창대할 것이라고 믿는다.

 

 

[서울신문 사설-20110622수] 노래방 골프장에서 법인카드 펑펑 쓴 공공기관

 

일부 공공기관 직원들이 사용이 금지된 골프장과 유흥주점에서 법인카드를 펑펑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어제 발표한 일부 공공기관들의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 행태는 한마디로 가관이다. A기관 직원들은 지난 2009년 1월부터 8개월간 골프장과 노래방에서 법인카드로 1억 2000만원을 사용했다. B기관 직원들은 퇴임 직원의 환송회 명목으로 유흥주점에서 2000만원을 결제했다. 정부 부처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들은 골프장과 유흥주점에서는 결제가 불가능한 소위 클린카드를 사용한다. 그런데도 일부 공공기관 직원들은 카드사에 요청, 골프장과 유흥주점에서도 클린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사실상 범죄행위와 다를 바 없다.

 

C기관 직원들은 2008년 7월부터 1년 6개월간 대부분 업무와 관련 없는 토요일과 공휴일에 1억 2000만원을 결제했다. 구체적인 내역도 없이 심야시간이나 휴일에 결제한 것은 사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주인이 확실히 있는 일반 기업이라면 상상도 못할 일이 공공기관에서는 아무 일도 아닌 양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주인 없는 공공기관이어서 이러한 일탈이 죄의식 없이 이뤄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과도한 접대비를 숨기려고 분할결제(쪼개기)하거나 허위 증빙서를 만드는 등의 탈법행위도 여전하다. 국민권익위가 지난해 9개 기관의 카드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문제가 발견됐고, 공무원보다 공공기관에서 더 심각했다.

 

법인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쓴 직원은 징계하고 해당금액은 물어내도록 해야 한다. 클린카드를 골프장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 카드사의 책임도 가볍지 않다. 명단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 감사원은 이번 기회에 전수조사를 벌여 규정에 어긋나게 법인카드를 사용한 경우 철저히 책임을 물어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법인카드 탈·편법 사용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도 있다. 법인카드 사용내역을 공람토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하지만 타율적인 규제나 감시에 앞서 스스로 규정을 지키려는 공공기관 직원들의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622수] 높은 모빌리티와 개방성, 역시 미국이다

 

포천지가 선정한 미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41%가 이민자나 이민자 자녀가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경제조사기관인 '새로운 미국 경제를 위한 파트너(PNAE)'가 '뉴 아메리칸 포천 500'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이 비율은 1850년 이후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태어난 미국인 인구의 비중이 평균 10.5%인 점을 감안하면 월등히 높은 것이다. 자유시장경제의 높은 사회적 모빌리티,그리고 개방과 보편 가치를 추구하는 미국의 힘을 증명하는 지표들이다.

 

이민자 출신으로 거부로 성장한 사람들이 미국처럼 많은 나라도 없다. 매년 미국 최고의 부자 400명을 선정하는 포브스 400에 이민자들이 대거 포함된다는 것은 더 이상 뉴스도 아니다. 지난 25년 동안 포브스 400대 부호에 포함된 1320명 중 해외 이민자는 100명에 이를 정도다. 이민자들의 높은 사회적 성취는 빈부 격차에 대한 일부 수치들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장래를 낙관하기에 충분하다.

 

밀려들고 있는 유학생 역시 미국 경제에 수많은 혁신을 가져다 주었다. 실리콘밸리의 성공도 그렇고 IT혁명을 가능케 한 애플 인텔 구글 아마존닷컴 오라클 등 수많은 기업들도 이민자와 유학생 그리고 그 자녀들에 의해 탄생한 것들이다. 역시 미국이 갖는 높은 수준의 개방성이 관건이다. 이는 이방인을 배척하고 과거 식민지 출신 이민자들을 다시 내부 식민화하는 프랑스와 독일 등 유럽과는 수준이 다른 것이다.

 

미국의 사례는 우리가 직면한 심각한 현실을 반추시켜주고도 있다. 저출산을 걱정하면서도 정작 이민 문제에는 여전히 배타적이다. 고급인력은 국외로 빠져나가고 본국 회귀는 줄어든다. 기업가 정신이 추락하면서 창업 1세대가 당대에 대기업가로 성장한 사례가 STX 정도에 불과하다. 사회 모빌리티가 점차 떨어지고 있다. 규제와 보호가 생태계를 죽이고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지만 미국의 높은 개방성과 역동성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10622수] 모의평가 `물수능` 본시험 때는 시정하라

 

지난 2일 실시한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교육당국이 당초 내세웠던 목표보다 훨씬 많은 만점자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수리 가(이과생용)는 만점자가 3.34%, 수리 나(문과생용)는 3.1%였고 언어는 2.18%에 달했다. 외국어(영어)만 만점자가 0.72%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올해 수능에서 목표로 삼은 영역별 만점자 비율인 1%를 밑돌았을 뿐이다. 내년 총선ㆍ대선을 앞두고 ’수능 포퓰리즘’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지난해 치러진 2011학년도 수능에서 영역별 만점자 비율은 언어 0.06%, 수리 가형 0.02%, 외국어 0.21% 등으로 낮아 매우 어려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수능이 너무 까다롭게 출제되면 학교 수업이나 EBS 강의만으로 대비하기 어렵게 되니 사교육 의존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수능을 무턱대고 쉽게 출제하는 것은 더 큰 부작용을 초래할 것임을 외면해선 안 된다.

 

사교육이 기승을 부리는 것은 중ㆍ하위권 대학보다는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려는 열망이 크기 때문이다. ’물수능’이 예고됨에 따라 수험생들 사이에 한 문제만 틀려도 상위권 대학 진학의 꿈을 아예 접어야 한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 여름방학을 앞둔 학원가는 특수를 맞고 있다고 한다. 특히 대규모 강의보다는 개인별로 부족한 부분을 빈틈없이 파악해 메우는 데 유리한 그룹과외에 고액을 감수하면서까지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들도 우수 수험생을 뽑기 위해 논술이나 구술 고사를 중시할 수밖에 없을 테니 지나치게 쉬운 수능이 되레 사교육 수요를 부추기는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다.

 

더구나 쉬운 수능은 점수 인플레이션을 조장해 상위권 대학 진학 경쟁을 더 뜨겁게 할 가능성이 크다. 기대치만 잔뜩 높아진 수험생들이 현실을 냉정하게 못 보고 재수나 반수에 매달릴 게 뻔하니 사회적 비용도 커지게 될 것이다.

 

수능 점수가 우수 학생을 가리는 완벽한 지표가 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 요소 중 하나로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수능 변별력을 굳이 없애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시험 당일 실수 하나로 수험생 운명이 갈리는 불합리를 막기 위해서도 ’만점자 1%’ 물수능은 재고해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뉴스테이션/동아논평/정성희(논설위원)-20110622수] 부실사학 솎아내는 일이 먼저다

 

전남 강진군 성화대가 이달 교수 월급으로 13만여 원을 지급해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성화대는 미지급된 월급을 학생 등록금을 받아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최근 교직원에게 보내왔다고 합니다. 이 대학 이사장은 2008년부터 2년 동안 교비 58억원을 횡령해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학생 등록금으로 교직원 월급을 주겠다는 것은 부실경영 책임을 학생들에게 전가하는 모럴해저드의 전형입니다.

 

성화대는 학생 등록금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여러 부실사학의 한 곳일 뿐입니다. 주로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이런 부실사학들의 기상천외한 비리에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광주 모 대학의 교수 2명은 교육과학기술부가 학생들에게 지급한 장학금의 절반 이상을 자신의 계좌로 빼돌렸습니다. 교수들은 해당 학과 사무실에 허위 장학금 신청을 하기 위한 도장세트까지 구비해 놓았습니다. 이들은 빼돌린 돈을 신입생 모집을 위한, 고3 진학 담당 교사들의 인사비용으로 썼다고 주장했습니다. 물정 모르는 신입생을 모집해 부실사학을 연명시킬 수밖에 없는 악순환의 일단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또 다른 광주 모 대학의 총장 부부는 2007년부터 약 4년간 교비 5000여만을 자신의 집 가사도우미 월급으로 지급했다고 합니다. 학생 등록금이 주요 재원인 교비를 총장이 구멍가게 쌈짓돈 쓰듯 해온 것입니다.

 

이런 대학들이 등록금을 올리겠다고 하면 과연 학생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학생모집이 어려워 당장 퇴출해야 할 대학이 100여 곳이나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이 높은 것은 등록금 의존도가 90%가 넘는 부실사학이 많고 대학진학률이 높은 것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이런 부실사학을 퇴출시켜 비리재단에 응분의 책임을 묻는 것은 등록금 문제가 아니라 대학교육을 정상화시키는 차원에서 중요합니다. 막대한 재정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반값 등록금 문제는 부실사학을 솎아낸 뒤에 논의해야 올바른 해법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동아논평이었습니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선임기자·논설위원)-20110622수] 미봉책<彌縫策>

 

소크라테스는 논쟁의 달인이었다. 문답 형식으로 상대를 자기모순에 빠지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스스로 성찰하게 만든다. 바로 ‘산파술’이다. 인간이 아는 것은 오직 ‘모른다’는 사실뿐이다. 그리스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 새겨진 ‘너 자신을 알라’는 경구의 함의(含意)다. 하지만 변론의 귀재 소크라테스도 ‘악법(惡法)도 법’이라며 죽음의 독배를 피하지 못한다.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는 설득의 달인이었다. 전국시대 강력한 진(秦)에 맞서 초·연·제·한·위·조 6국이 동맹을 맺도록 한 것이 소진의 ‘합종(合從)’이다. 그런데 이를 깨고 6국이 각각 진(秦)과 횡적 동맹을 맺게 한 것이 장의의 연횡(連衡)이다. 서로 창과 방패, 모순(矛盾)의 논리를 편 셈이다. 서양식 접근으로는 ‘통일전선’과 ‘분할통치’의 대결이다. 역사는 변증법이 그렇듯이 ‘합(合)’으로 귀결됐다. 진시황이 천하를 통합한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토론의 달인이었다. 저서 『토론의 법칙』에서 논쟁과 토론에서 이기는 38가지 기술을 제시한다. 강하게 공격하려면 “자신의 권위를 최대한 활용하라”고 조언한다. 더불어 ‘예’라는 대답을 얻어낼 수 있는 질문을 던지라고 한다. 반박 기술로 “상대방 주장을 최대한 넓게 해석해서 과장하라”고 한다. 위기에 빠지면 “이론상으로는 맞지만 실제는 다르다”고 억지를 쓰며, 그래도 안 되면 “인신공격을 하라”고 한다.

 

최근 검찰과 경찰이 수사권 조정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 서로 논쟁과 토론, 설득전을 펼치다 높은 분 한마디에 어정쩡하게 봉합된 모양새다. 그런데 검찰의 전략이 어쩐지 쇼펜하우어와 닮았다. 기득권 활용이나 현실론, 인권보호와 자질론을 내세운 우회적 인신공격까지. 더욱이 ‘예’와 ‘아니요’로만 대답하도록 하며 허점을 짚는 것은 검찰의 전문분야 아닌가.

 

그런 점에서 서강대 손호철 교수의 통찰이 번뜩인다. “검찰의 탐욕을 경찰의 탐욕으로, 경찰의 탐욕을 검찰의 탐욕으로 견제하는 것이 답이다.” 하지만 현실 정치권은 미봉책(彌縫策)을 택했다. 임시변통으로 적당히 꿰맨 것이다. 연암 박지원은 만년에 ‘인순고식(因循姑息) 구차미봉(苟且彌縫)’ 여덟 자를 병풍에 썼다. 낡은 습관을 따르고 편안함만 좇으면서 잘못된 것을 고치지 않고 임시변통으로 둘러댄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천하만사가 이로부터 잘못된다”고 경계했다. ‘미봉(彌縫)’이 ‘책(策)’이어서는 안 되는 이유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유병선(논설위원)-20110622수] 회장님은 출장 중

 

요즘 대기업 총수의 해외출장은 여간해선 뉴스에 오르지도 않는다. 사업 영역과 기회가 세계로 넓어지다 보니 출장이 일상화되기도 했거니와 총수들의 발로 뛰는 경영을 당연시하는 분위기도 한몫하기 때문이다. 물론 비즈니스와 무관한 해외출장도 없지 않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선거철이면 신문지상에는 ‘회장님은 출장중’이란 표제어가 단골로 등장했다. 정치헌금으로부터의 도피성 출장이었다. 검은 돈줄을 막은 2004년 정치자금법 개정 이후 선거철 총수의 집단 해외출장은 옛날 이야기가 됐다.

 

선거철 말고도 총수의 해외출장 사유를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패턴이 있다. 1988년 국정감사가 도입된 이래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회에 출석해야 할 상황이 닥치면 대기업 총수들은 거의 예외없이 해외로 출장을 떠나는 것이다. 2002년에는 현대그룹 특혜 지원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된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이, 2004년엔 대생 인수 문제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2007년에는 비정규직 대량해고와 관련해 박성수 이랜드그룹 회장이 해외출장을 이유로 국회에 출석하지 않았다.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이 갑자기 해외출장을 떠난다고 국회에 통보했다고 한다. 국회는 6개월째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한진중 사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22일로 예정된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조 회장을 참고인으로 불렀다. 조 회장도 지난 17일 환노위에 나가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회의 이틀을 앞두고 20일 느닷없이 말을 바꾼 것이다. 3일 사이에 국회와의 약속을 뒤집을 만큼 다급한 해외출장건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한진중은 해명도 하지 않았다.

 

조 회장이 환노위 출석을 약속했을 때만 해도 한진중 노동자들은 귀를 의심했다. 지난해 12월 사측의 400명 정리해고 발표로 파업이 시작됐고,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35m 크레인 위에서 22일 현재 168일째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지만, 조 회장은 노조와 단 한차례도 대화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국회에서 조 회장과 노조의 첫 대면이 기대됐다. 노조를 응원하는 시민의 ‘희망버스’가 방문하고, 국회가 중재에 나서고, 김 위원과 170명의 해고 노동자가 “회장님, 제발 우리 얘기 좀 들어주세요”라고 외치고 있다. 그런데 한진중의 대답은 ‘회장님은 출장중’이다.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나윤석(사회부 기자)-20110622수] '짱돌'과 '열공' 사이

 

“총투표의 가부결 여부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학생들에게 우리의 뜻을 알리기 위한 상징적인 조치일 뿐입니다.”

 

최근 서울지역 4개 대학이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동맹휴업 선포식을 한 직후 이화여대 총학생회 관계자가 한 말이다. ‘파편화’된 요즘의 학생들을 동맹휴업 대열에 대거 동참시키긴 힘들 거라는 체념 때문이었을까. 이틀 후 실시된 총투표는 정말‘상징적인 조치’로만 끝났다. 고려대와 서강대는 투표함을 열기 위한 최소한의 유효투표도 얻지 못했다.

 

서강대의 한 학생은 “시험기간과 겹치는 바람에 투표를 못했다”며 “등록금이 내리기를 누구보다 바라지만, 공부하랴 생활비 마련하랴 신경 쓸 일이 너무 많아 행동에는 나서지 못했다”고 말했다.

 

동맹휴업이 무산된 뒤인 지난 10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집회에는 5,000명 가량만 참석했다. 집회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지만, 참여인원은 1,000명 안팎 수준이다. 등록금이 동맹휴업에 나설 정도로 중요한 문제임을 생각하면 이처럼 소수의 학생들만 행동에 나선 게 언뜻 이해하기 힘들다.

 

거리로 나서지 않은 대학생들은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나. 집회 참가자가 촛불을 들고 있는 이 순간, 누군가는 장학금을 타기 위해 악착같이 도서관에 엉덩이를 붙이고 있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등록금을 벌기 위해 ‘알바’ 현장을 부리나케 누비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미래가 보장된 것도 아니다. 그저 하루하루를 버틸 뿐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은 커녕 사는 것 자체를 걱정해야 되는, 그래서 거리로 나설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그들에게 우리는 어떤 시선을 줘야 할까.

 

반값 등록금은 대학생들에게 이념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다가온다. 살고 죽는 문제에도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할 만큼 요즘 대학생들은 현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의 숨통을 틔울 수 있는 건 대학과 정치권의 고심(苦心)과 합심(合心)뿐이다.

 

그 결과물이 나올 때 그 공(功)은 짱돌과 바리케이드에만 돌아가선 안 된다. 각자의 자리에서 치열하게 삶을 이어나간 모든 젊은이의 눈물겨운 노력에도 훈장을 달아줘야 한다.





[한국일보 사설-20110623목] 이렇게 쓰는 게 무슨 클린 카드인가

 

'클린카드'라는 이름이 부끄럽다. 공공기관 법인카드 사용에 온갖 부정과 비리가 난무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실태조사를 보면 영업상 필요하다며 8개월 동안 골프장과 노래방에서 1억 2,000만원을 쓰는가 하면, 퇴임직원 환송회로 유흥주점에서 2,000만원을 결제했다. 주말과 공휴일에 업무와 관련 없이 989차례에 걸쳐 1억2,000만원을 사용했다. 모두 규정된 용도를 위반한 것으로, 불과 6곳에서 1년 반 동안 10억원의 부당사용이 적발됐으니 법인카드의 전체 비리 규모를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클린카드는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투명하고 건전한 회계, 재정 운영과 신뢰회복을 위해 2005년 도입했지만 편법과 부정, 사적 사용이 끊이질 않았다. 카드 사용이 안 되는 제한업종을 대폭 늘리는 등 규정을 강화했지만 별 효과가 없음이 드러났다. 각 기관은 카드사에 금지업종 해제를 요청한 뒤 유흥업소에서도 클린카드를 쓰는 편법을 썼다. 권익위가 이번에 적발된 기관들에게 해당 직원 징계와 부당사용 금액의 환수조치를 요구해도 꿈쩍도 않고 있다.

 

보다 못한 국민권익위원회가 법인카드 비리 방지를 위해 앞으로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도입, 적발되면 해당 기관 감사관실에 통보하고, 연말에 100곳 이상을 대상으로 사용내역을 강도 높게 조사하겠다고 나섰다. 그러나 이것으로 법인카드 비리가 근절될 리 만무하다. 잠시 주춤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고개를 들 것이 뻔하다. 기관들은 더 교묘한 방법을 찾을 것이고, 발각되더라도 제 식구 감싸기로 적당히 깔아 뭉개면 그만이다. 법인카드를 개인카드인 양 사우나 미용실 등에서 펑펑 쓰고, 과다접대를 숨기기 위해 분할 결제하고, 허위 증명서를 만들어도 제재할 법적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공직자 부정과 비리 척결 차원에서라도 법인카드 비리는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감시와 처벌을 강화하고, 비리사실을 외부 공개하고, 기관과 기관장 평가에 불이익을 주어야 한다. 큰 도둑도 잡아야 하지만, 온갖 편법으로 나라 살림 축내는 작은 도둑들을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623목] ‘뽀로로’ 수출까지 위협하는 미국의 대북제재 강화

 

미국의 새로운 대북제재 행정명령 시행령이 엊그제 발효됐다. 북한산 완제품뿐 아니라 북한의 부품·기술 등이 들어간 제품의 대미 수출까지 막겠다는 것으로, 기존 대북제재 조처보다 한층 강화됐다. 이에 따라 비준을 앞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의 개성공단 제품은 물론 북-중 경협 생산품의 대미 수출도 전면 금지된다. 110여개 나라에 수출된 유아용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를 비롯한 남북합작 영화 등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북 압박 강도를 더 높였다고 해서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대북 경협을 생존전략의 돌파구로 삼고 있는 우리 기업들을 궁지로 모는 데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얼마 전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되더라도 북한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한국에 분명히 밝혔다”고 강조했다. 북한산 대미 직수출이 차단된 지는 이미 오래다. 따라서 이번 조처의 최대 피해자는 중소기업 등 우리 한계기업들이 될 공산이 크다. ‘뽀로로’의 경우 1기 52편의 작품 중 22편만 북의 삼천리총회사에서 제작한 것이어서 어느 정도 타격을 받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앞으로 이와 비슷한 모든 남북합작물들의 대미 수출이 사안마다 미국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대북제재 강화는 남북 접촉면을 제한해 긴장을 조성하고 북의 고립보다는 오히려 북-중 결탁을 재촉해 남북의 냉전적 대결을 부추김으로써 한반도 주민 전체를 피해자로 만들 공산이 크다. 그뿐만 아니라 북-중 경협 방해까지 겨냥한 이번 조처는 중국과의 패권경쟁을 염두에 둔 속내까지 의심하게 한다. 딕 낸토 미 의회조사국 선임연구원은 미국의 대북제재가 북-중의 황금평·나선특구 개발과 대미 수출을 막는 “가장 큰 장애가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쯤 되면 미국이 평화의 중재자인지 훼방꾼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의 대북제재 강화가 주요 2개국(G2) 헤게모니 다툼의 연장이라면 우리가 애먼 피해자가 될 이유가 없다. 그럼에도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캠벨 차관보의 발언에 “북한산인지 한국산인지는 수입국이 판단할 문제”라고 응대했다. 자국민의 피해에 이토록 무심한 이가 장관이라니 딱한 노릇이다.

 

 

[조선일보 사설-20110623목] 홀로 살다 홀로 죽는 일본인, 내일 우리들의 모습

 

그제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되고 있는 '혼자 살다 혼자 죽는 사회, 일본' 특집은 독자를 으스스하게 만든다. 일본에선 사망 후 4일 이상 지나 발견되는 고독사가 한 해 1만5600명에 달하고, 죽어도 시신을 인수할 가족이 없는 무(無)연고 사망자가 3만2000명에 이른다고 한다. 도쿄에선 죽는 이 10명 가운데 3명은 이른바 직장(直葬), 장례식 없이 곧바로 화장터로 가고 있다. 현재 일본 30대 남성 10명 가운데 3명, 여성 10명 중 2명은 50대가 될 때까지 결혼을 못할 거라고도 한다. 결국 일본은 '혼자 살다 혼자 죽는 사회'가 돼가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인 '가족 울타리'가 약해지고, 급속하게 진행된 저출산·고령화로 돌봐줄 자식이 없거나, 자식이 있다 해도 20년 경기침체로 부모를 보살필 경제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의 인구 구성 비율은 일본을 10~15년 차이를 두고 뒤따라가고 있다. 오늘 일본의 스산한 모습이 내일의 우리 모습이라는 이야기다.

 

일본은 지난 20년 인구가 감소하면서 기업 매출이 떨어지고, 일자리가 줄고, 그것이 다시 소비를 위축시키는 악순환을 겪어왔다. 작년 일본의 226개 백화점 가운데 매출이 늘어난 건 3곳뿐이었다. 어린이 인구(0~14세)가 1990년 2248만명에서 작년엔 1648만명으로 줄면서 제과점 파산이 속출했다. 청년실업이 늘어나면서 1990년 780만대였던 신차 판매가 2009년 488만대로 감소했다. 금융자산의 75%(1125조엔·약 1경5000조원)를 가진 노인들은 여생이 불안하다며 갈수록 지갑을 닫고, 일자리를 갖지 못한 젊은이들은 쓰고 싶어도 쓸 돈이 없다.

 

젊은이들 성격도 변했고 이에 따라 사회의 분위기도 달라졌다. 직장도 학교도 안 다니면서 하릴 없이 시간을 죽이는 니트족, 뚜렷한 일자리 없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프리터족이 늘면서 자기 체념을 뜻하는 '하류지향(下流指向)'이란 말이 유행어가 돼버렸다. 30~34세의 직장인 가운데 결혼한 비율은 정규직 60%, 비정규직 30%, 프리터 17%다. 일자리가 불안한 젊은이들은 결혼을 기피하고 이것이 다시 저출산과 경기침체를 악화시키고 있다.

 

일본은 1996년부터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2008년부터는 총인구 자체가 감소했다. 우리도 2017년 생산연령인구가 줄기 시작하고 2019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할 것이다. 일본의 65세 이상 노인이 1990년 1489만명에서 2010년 2941만명(전체 1억2800만명의 22.9%)으로 늘었다. 지난해 우리의 노인 인구는 535만명이었는데, 2030년엔 1180만명(전체 4860만명의 24.3%)이 된다.

 

일본의 경우 노인요양보험인 개호(介護)보험 지출액이 2000년 3조8000억엔에서 작년 7조9000억엔으로 2배 늘었다. 우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작년 지급액이 2조5000억원이었는데 2030년엔 15조6000억원으로 6배 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이런 식으로 경제활력을 떨어뜨리면 잠재성장률은 현재 4.1%에서 2020년 1.9%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렇게 되면 작아진 파이를 서로 더 많이 먹겠다고 다투는 계층 간, 직업 간, 세대 간 갈등은 더 심해진다.

 

저출산·고령화는 한 번 추세가 형성되면 되돌려놓기가 힘들다. 일본도 온갖 몸부림을 쳤지만 실패했다.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고착(固着)되기 전에 흐름을 돌려놓아야 한다. 지금 하늘을 찌를 기세로 부풀어 오르는 중국의 미래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가장 큰 요인도 중국의 급속한 노령화다. 역사상 저출산·고령화의 흐름에 떠밀려가면서도 번영을 누렸던 나라는 한 나라도 없다.

 

우리 정부는 저출산 흐름을 되돌리기 위해 GDP의 0.7% 예산을 쓰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시한폭탄의 뇌관(雷管)을 제거하기에는 어림도 없는 예산이다. OECD 평균이 2.3%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장관들에게만 맡겨놓기에는 너무나 중대한 문제다. 대통령이 10년 후, 20년 후 나라의 운명을 바로 보고 역사적 문제의식을 갖고 임해야 한다.

 

 

[경향신문 사설-20110623목] 아프간 파병부대 철군 계획 세울 때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한국 시간으로 오늘 새벽에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군 계획을 발표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계획에 따라 미군은 당장 다음달부터 차례로 아프간에서 철수할 계획이다. 미국이 지난 10년 동안 자신을 괴롭혀온 아프간에서 본격적으로 발을 빼기 시작하는 것이다. 미국의 중대한 전략변화다. 그런데 우리는 지난해 7월 지방재건팀(PRT) 보호를 명목으로 파견한 오쉬노 부대에 대해 아무런 철군 계획을 세우지 않고 기약 없이 주둔시키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PRT를 파견할 때 내세운 표면적 이유는 유엔 안보리 결의와 아프간 재건활동 지원이었다. 하지만 당시 유명환 외교장관도 인정했다시피 PRT 파견은 주한미군 문제와 연계되어 있었다. 각국의 잇따른 철군으로 국내외적으로 커다란 곤경에 처한 오바마 대통령을 돕기 위해 이명박 정부가 PRT 요원 100여명과 함께 오쉬노 부대원 300여명을 보낸 것이다. 미국이 본격적으로 철군에 들어간 만큼 우리도 군을 철수시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철군계획을 전혀 마련하지 않고 미군 철수만 지켜보는 것은 매우 이상하지 않은가.

 

특히 PRT가 있는 파르완주 차리카 기지는 지난 20일 밤에도 로켓포 공격을 받는 등 올해 들어서만 무려 10차례나 군사공격을 받았을 정도로 치안상태가 열악한 지역이다. 그래서 주둔 1년이 다 되어 가도록 자재조달 문제 등으로 기지 내 사업시설 공사를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을 정도로 진척이 지지부진하다. PRT 주둔이 상징적 의미 이상을 찾기 힘들다는 뜻이다. 더욱이 기지 방호는 미군과의 협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군이 철수한다면 오쉬노 부대만으로 PRT를 지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철군 계획을 세우지 않고 젊은이들을 위험 속에 방치하는 것은 자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책무 포기다.

 

미국의 철군계획 발표는 우리에게 오쉬노 부대를 철수할 명분과 기회를 주고 있다. 한국에 파병을 요청한 미국이 자국 군대를 철수하는데 우리가 철군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정부는 국회가 파견에 동의해준 시한인 내년 12월 말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오쉬노 부대의 출구전략을 세워 이른 시일 내에 실행에 옮겨야 한다. 자칫 미국의 눈치만 보다가는 예기치 않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빠져들 수도 있다. 만일 오쉬노 부대의 철군으로 인해 민간인들로 구성된 PRT의 방호에 문제가 있다면 PRT도 철수시키는 게 마땅하다.

 

 

[서울신문 사설-20110623목] 연임된 반기문 총장 남북관계에도 기여하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어제 유엔 총회에서 연임이 확정됐다. 북한을 포함한 모든 회원국의 만장일치였다. 분단국 출신 첫 유엔 수장으로서 한국 외교사에 길이 남을 족적이다. 지난 4년 반의 활동을 통해 유엔 수장으로서의 리더십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자랑스러운 일이다. 1946년 유엔 창설 후 여덟번째 사무총장인 반 총장의 첫 5년 임기는 올해 12월 말 끝나며, 2기는 내년 1월 1일 시작한다. “연임에 필요한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는 유엔 지도자들의 찬사는 결코 과장이 아닐 것이다.

 

반 사무총장은 연임 확정 뒤 수단, 콩고, 소말리아, 아프가니스탄, 중동 등지의 인권 상황 등을 언급하며 “유엔은 그 어느 때보다도 인간을 보호하고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최전선에 서 있다.”며 인권 감시 활동 강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특히 “유엔의 회원국 사이, 또 유엔과 다양한 국제파트너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사람, 가교를 만드는 사람으로 일할 것”이라고 중재자 역할을 다짐해 기대를 갖게 한다. 지구촌도 분단국 출신 반 총장이 정의와 평화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는 업적을 남기는 것은 물론 격차와 갈등을 줄여주길 기대하고 있다.

 

반 총장의 재선 가도는 순탄치 않았다. 2009년 유엔 주재 노르웨이 차석대사가 “반 총장은 카리스마가 부족한 방관자”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본국 정부에 보내자 미국·유럽 등 서방 언론들이 이를 보도하며 반 총장을 흔들어댔다. 유엔 사무국 개혁 과정에서는 내부 반발에 부딪혔다. 하지만 ‘조용한 리더십’의 반 총장은 동요하지 않았다. 설득하고 타협했다. 분쟁과 갈등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달려갔다. 해외 순방만 200여 차례다. 지구 50바퀴 거리다. 마침내 세계가 그를 인정했다.

 

우리 국민도 반 총장을 응원하고 도와야 한다. 반 총장도 2기째는 만장일치 추대의 힘으로 세계 평화와 강한 유엔을 위해 과감하게 움직여야 한다. 기후변화 협약, 국제 분쟁, 유엔 개혁 등 현안에 적극 개입해 풀어야 한다. 내년엔 한·미·중·러 모두 권력교체기다. 6자회담 재개를 비롯한 북핵 협상서 반 총장이 활약할 공간도 넓어진다. 특히 반 총장이 어제 기자회견에서 “북한 당국은 나의 방문에 대해 언제든지 환영한다는 입장”이라며 여건 충족 시 방북 의지를 재확인했다. 반 총장이 한반도 긴장 완화를 포함, 남북관계에도 기여하길 바란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623목] 포퓰리즘과 싸우겠다는 전경련 회장을 지지한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앞으로 포퓰리즘 정책에 제대로 반대의견을 내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 내년 총선을 겨냥해 반값 등록금 같은 즉흥적인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는 것을 더 이상 지켜보고만 있지 않겠다는 뜻이다. 허 회장이 감세 철회에 반대하고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해서도 중기 지원은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분명하게 입장을 밝힌 것은 그런 의지의 시발점일 것이다.

 

전경련이 이례적으로 제 목소리를 낸 것은 돌아가는 사정이 그만큼 절박했기 때문일 것이다. 여야 가릴 것없이 발표하는 정책들이 온통 공짜 아니면 반값이다. 허구에 찬 감언이설만 난무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 국민연금을 동원해 기업 경영에 개입하려 하고, 전 · 월세 상한제로 도시를 슬럼화시키며 금리상한을 더 낮춰 결과적으로 서민금융을 초토화시키는 반시장적 입법도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경련 회장의 충정에 찬 우려를 비판하면서 포퓰리즘이 마치 시대정신이요 시대의 흐름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으니 실로 개탄스럽다. 서민과 중기가 어려우니 재벌이 내놓으라는 식이라면 국가 경영은 민주 시장질서의 법치를 떠나 협동조합 수준으로 돌아가고 만다. 이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본질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것에 다름 아니다. 포퓰리즘이 극성을 부릴수록 시장경제는 침몰하고 국가 재정은 허약해지며 정치는 인민주의적으로 회귀하게 된다. 선의(善意)에 기반한 온정주의적 정책이 결국은 국가의 법치 기반을 흔들게 된다는 점도 재인식해야 마땅하다.

 

경제계가 직접 정치 권력에 맞서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업가 단체가 용기를 갖고 제 목소리를 내는 것은 국가를 위해서도 좋다. 허창수 회장의 용기있는 발언을 지지한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623목] 기대 큰 '한국형 특허전문기업'

 

민관 합동으로 한국형 특허 풀인 창의자본주식회사(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ㆍID)가 오는 8월 공식 출범할 예정이어서 해외 특허괴물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해외 경쟁사와 특허괴물들의 특허공세에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특허 전문기업의 등장은 국내 기업들의 특허관리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창의자본주식회사는 일단 반도체와 LCD 등 국내 주력산업, 미래 신성장동력과 관련된 분야의 특허를 국내외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매입해 관리에 나서며 특허소송에도 대비하게 된다. 특허매입 등에 사용할 펀드 규모도 오는 2015년까지 5,000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미국 등 각국에서 특허를 대거 매입한 뒤 관리하는 특허괴물들의 공세에 대한 대응범위를 단계적으로 적극 확대해나가겠다는 의지다.

 

글로벌시장에서 경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은 기술이고 그러한 기술은 특허라는 지적재산권의 형태로 보호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특허괴물이 기승을 부리는 데도 이러한 배경을 깔고 있다. 특허괴물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도 강화되고 있다. 프랑스와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특허괴물에 대응하기 위한 특허펀드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 IT 분야를 중심으로 상당수 대기업들이 이미 특허괴물은 물론 해외 경쟁업체들로부터 집중적인 특허침해 공세에 휘말리면서 경영에 직간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다 보니 일부 기업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특허괴물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풀에 대한 기대가 큰 것도 이 때문이다.

 

특허 풀 출범을 계기로 특허의 중요성과 특허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져야 한다. 글로벌시장에서 특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인력을 보강해나가는 등 특허경영을 강화해야 한다. 특허 풀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의자본회사의 규모를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해나가는 한편 90%가량이 사장되고 있는 기업들의 특허권이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지적재산권 생태계 조성 노력도 아울러 강화돼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홍권희(논설위원)-20110623목] 클린카드, 더티카드

 

공공기관들이 사용하는 ‘클린카드’라는 법인카드의 오른쪽엔 청홍의 태극 문양, 왼쪽에는 괘의 일부가 그려져 있다. 카드를 긁으면 세금을 쓰는 것이므로 꼭 필요한 곳에 아껴 쓰라는 국민의 주문이 반영된 것이다. 공공기관들이 이른 곳은 2005년, 늦어도 2008년 도입한 클린카드는 유흥업소 같은 곳이나 개인적인 용도로 법인카드를 쓰지 못하게 했다. 나이트클럽에서 클린카드를 긁으면 ‘거래 제한 업종’이라는 메시지가 뜬다.

 

▷국민권익위 조사 결과 2009년 일부 공공기관의 클린카드 편법·탈법 사용 실태가 드러났다. 카드회사로 공문을 보내 골프장 노래방 등을 제한 업종에서 뺀 뒤 클린카드를 쓰거나 술집에서 자기들끼리 마시고 놀다가 회의를 했다고 보고한 경우도 있었다. 2009년이면 수협 직원들이 2년 8개월간 유흥업소에서 클린카드로 약 9억 원을 쓴 것으로 드러나 시끄러웠던 때였다. 이름만 그럴듯해 클린카드지, 온갖 편법을 동원해 술 냄새와 분 냄새가 어우러진 곳에서 쓰는 더티카드(dirty card)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1월 법인카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동했다. 감사용 컴퓨터프로그램인 ACL을 일부 수정해 금지 업종에서는 물론이고 주말이나 휴가 중 또는 업무와 무관하게 카드가 사용되면 감사팀 컴퓨터에 자동으로 뜨도록 해놓았다. 금지 업종은 정부가 권고한 단란주점 등 20종에 골프연습장 당구장 등 12종을 추가했다. 김세종 경영감사팀장은 “담당자가 소명하지 못하는 잘못된 카드 사용에 대해서는 회수 또는 징계 조치를 해 임직원들이 클린카드라면 잔뜩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국전력공사 코레일 등 일부 대형 공기업 위주로 도입됐다. 권익위는 이 시스템을 전 공공기관으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시스템이 못 잡아내는 사례도 있다. 유흥업소에서 쓰고 식당 영수증을 받아 가거나 식당이나 마트 같은 곳에서 사용한 것처럼 ‘카드깡’을 하는 경우다. 일부 공공기관 직원들이 죄의식 없이 서로 눈을 감아주기 때문에 계속되는 비리다. 현장 밀착형 공직기강 감시로 국민세금으로 유흥을 즐기는 양심불량자들을 잡아내야 한다. 기관장의 부정 척결 의지는 물론 중요하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고대훈(논설위원)-20110623목] 내사<內査>

 

미국 연방수사국(FBI)에는 ‘G-men’이란 별칭이 있다. ‘Government Men’의 약자다. 동네 경찰이 아니라 연방정부의 요원이란 뜻이다. 1930년대에는 알 카포네 등 갱들이 판쳤다. 일반 경찰은 부패했다. FBI가 갱들을 ‘공공의 적’으로 선포하고 소탕에 나섰다. ‘퍼블릭 에너미(Public enemies)’란 영화로 만들어진 존 딜린저 은행강도 사건 등을 해결하면서 G-men으로 불렸다. 협박과 타협이 통하지 않는 수사관들이란 존경의 의미가 담겼다. 그런 FBI의 명성은 오늘날로 이어졌다.

 

FBI의 진짜 힘은 내사(內査)에서 나왔다. 존 에드거 후버(John Edgar Hoover·1895~1972)는 29세이던 1924년부터 죽을 때까지 48년간 FBI 국장으로 재직했다. 리처드 닉슨까지 8명의 대통령이 거쳐갔지만 그를 건드리지 못했다. ‘후버 파일’ 때문이었다. 대통령 등 정치인의 뒤를 캔 내사 자료가 그것이다. 닉슨은 “후버는 나까지 끌어안고 자폭할 사람”이라며 두려움을 토로했다.

 

우리나라도 FBI의 내사에 유혹을 느꼈다. 72년 ‘FBI 같은 조직을 만들라’는 당시 내무장관의 지시로 치안본부 특별수사대가 조직됐다. 청와대 하명(下命) 사건을 전담한 팀이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 위치하면서 ‘사직동팀’으로 통했다. 정치인과 고위 공직자에 관한 정보를 주로 수집했다. 내사 자료는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통해 대통령에게 직보됐다. 불법 감청·미행에다 청부 내사 의혹까지 드러나 2000년 10월 해체됐다. 28년 동안 수많은 사람이 내사 내용에 따라 천당과 지옥을 경험했다.

 

내사는 범죄 혐의가 있는지 알아보는 수사의 전(前) 단계다. 수사기관은 범죄정보 수집 차원에서 수시로 내사를 벌인다. 인지(認知), 신문·방송 보도, 익명의 신고·제보·진정, 인터넷 글 등 모든 걸로 단초로 삼는다. 미행, 사진 촬영, 돈 흐름 추적 등 불법과 합법의 경계를 넘나드는 게 보통이다.

 

내사의 개시와 종결 권한을 놓고 검찰과 경찰이 힘겨루기 중이다. 경찰의 독자적인 내사권과 검찰의 통제권이 맞선다. 내사는 정보 축적 과정이다. 정보가 많은 곳이 권력기관이 된다. 마구잡이 내사는 판옵티콘(Panopticon) 사회를 불러올 수 있다. 모든 것을 감시 받는 원형감옥의 사회는 위험하다. 누군가 나의 뒤를 캐고 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섬뜩하다. 내사권 논쟁을 잘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경향신문 칼럼-여적/노응근(논설위원)-20110623목] 클린카드

 

1990년대 초 국세청이 직원들에게 ‘동석작배(同席作配)’ 업소 출입을 금지한 적이 있다. 접대를 받을 때 여종업원이 옆에 앉아 시중을 드는 룸살롱이나 요정에 가지 말라는 것이었다. 당시 세무공무원 비리가 잇따라 적발되자 기강을 바로잡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내놓은 것으로 기억한다. 그 뒤 2003년 ‘공무원 행동강령’이 시행되고 직무관련자와 밥을 먹거나 편의를 제공받을 때 3만원을 넘으면 안되고, 경조금품은 5만원을 넘지 못한다는 세무기준까지 마련됐다. 그러나 이런 행동강령이 시행된 지 8년이 됐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모양이다. 얼마 전 국민권익위원회가 개최한 주한 외국기업 최고경영자 초청 정책설명회에서 “한국 공무원을 초대해 3만원 이내로 접대하면 기분나빠 한다. 현실적으로 고쳐 달라” “한국의 공공기관은 행동강령 교육이 안돼 있다”는 불만이 나왔다고 한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공무원 행동강령이 접대를 받을 때 적용하는 기준이라면, 2005년 도입된 공공기관의 ‘클린카드’ 제도는 접대할 때 업무추진비의 씀씀이를 규제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공식적인 직무수행과 관련이 적은 특정 업소에서는 쓸 수 없는 법인카드다. 정부 예산집행지침상 유흥주점이나 안마시술소, 노래방, 골프장, 오락실 등 약 20개 업종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클린카드도 유흥 목적 사용, 사적 사용 등 위법·부당한 집행 사례가 고질적으로 반복되면서 정착되지 않고 있다. 국민 세금인 업무추진비를 쌈짓돈처럼 무분별하게 쓰는 사례가 많은 것이다. 국민권익위가 매년 실시하는 청렴도 평가에서 하위권에 속한 공기업 6곳을 대상으로 2008년 6월부터 1년6개월간 클린카드 사용 실태를 조사했더니 10억원을 부당하게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다고 한다.

 

행동강령 준수나 클린카드 사용에서 드러나는 문제는 최근 잇따르는 공직자의 비리와 직결돼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직사회의 부패는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국제투명성기구가 지난해 발표한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평가에서 한국은 10점 만점에 5.4점으로 178개국 중 39위에 머물렀다. 절대 부패(5점)에서 조금 벗어난 수준이다. 공직사회 부패부터 척결해야 한다. 끊임없는 감시활동과 함께 엄중한 처벌로 경각심을 높이는 길밖에 없다.

 

 

[매일경제신문 칼럼-장용성 칼럼/장용성(주필)-20110623목] 왜 성공한 전임 대통령이 없나요?

 

얼마 전 서울에 주재하고 있는 한 외교관의 질문이 귓가에 맴돈다. 언론인 몇 명과의 오찬 자리에서 그는 "한국은 그동안 민주주의에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단 한가지 부족한 것은 성공적으로 안착한 전임 대통령(Ex-President)이 없는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그 외교관은 곧이어 "지금의 이명박 대통령은 어떨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함께 자리한 언론인으로서 부끄러운 순간이었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전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논란이 그의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씨의 뒤늦은 저서(`운명`) 출간을 계기로 다시 일고 있다.

 

우리는 세계무대에서 다른 국가들과 릴레이 게임을 하고 있다. 대통령은 우리 국민을 대리해서 달리는 선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릴레이 선수가 끝까지 잘 뛰어주고 바톤을 이을 출중한 후임 선수를 고르는 일이다. 달리는 선수가 막판에 절름발이가 되면 릴레이에서 뒤처지게 되고 손해는 대한민국과 국민이 보게 된다.

 

우리 현실을 보면 야당은 물론이고 여당마저도 국민의 대표선수 뒷다리를 잡아당기는 행태가 부쩍 늘고 있다. 나라 안팎의 불길한 사정을 보면 대통령이 국정의 조종간을 확실히 잡지 않으면 안 된다. 대통령도 주주인 국민의 뜻과 달리 자기 이해를 챙기는 대리인 문제(agency problem)에 빠져드는 것 아닌가 걱정된다.

 

성공한 전임 대통령으로 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감정의 바람`을 차단해야 한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의 반값 등록금 발언은 날로 세를 불려 가면서 한국판 문화혁명처럼 대학가를 강타하고 있다. 학생데모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고, 차기 대통령 정부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일부 대학의 몰염치와 장삿속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아탑과 교수들을 탐욕의 집단으로 몰매를 주는 것은 국가의 장래를 생각할 때 불행스러운 일이다. 청와대는 황 대표의 발언이 나오자마자 제동을 걸었어야 했다. 대통령 공약인 법인세 감세 철회 발언에도 좀 더 강력한 대응을 했어야 한다. 앞으로 무슨 포퓰리즘적인 헛소리들이 나올지 모르지만 청와대와 해당 부처에서는 확실한 쐐기를 박아야 한다. 언론과 시민단체들도 나서야 한다. 매일경제신문이 국내 최초로 `포퓰리즘정책감시단`을 발족한 것도 그 때문이다.

 

대통령은 지난 주말 장차관을 모아 놓고 워크숍을 하면서 `나라가 썩었다`고 강도 높은 질책을 했다. 강력한 사정정국이 예고된다. 대통령의 발언은 그렇지 않아도 정권 말기 `낙지부동`인 공무원들에게 1년만 더 참으면 된다는 식의 냉소적이고 방관자적인 분위기를 조장할 수 있다. 사정분위기보다는 그동안 추진해왔던 정책과 국책사업들이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등을 떠밀며 구슬리는 게 실속이 있을 수 있다.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분쟁이나 표류하는 사법개혁에서 볼 수 있듯이 기관 이기주의는 앞으로도 더욱 기승을 부릴 수 있다. 부처 이기주의에는 청와대가 단호해야 한다.

 

부산저축은행의 불법 비리 상황을 보면 어떻게 이렇게 썩을 수 있고 오래 방치되어 왔는지 이해가 안 된다. 누가 됐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단죄해야 한다. 문제가 되는 금융권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인낸싱)는 중도금 대출까지 포함하면 실제론 130조원 규모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중수부 수사가 자칫 잘못해 뱅크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 내 공조가 필요하다. 이런 때일수록 경제팀과 금융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잠을 못 잔다는 1000조원 규모의 개인부채가 부동산 경기 침체, 유럽발 위기 및 미국 중국 경제 주춤 등과 증폭되면 제3의 경제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각한 내수 침체는 장차관 세미나 탁상공론으로는 어림없다. 경제대통령을 외치며 당선된 이명박 대통령의 가장 어려운 숙제는 과연 자신의 브랜드를 지켜낼 수 있을지에 달려 있는 것 같다.

 

 



한국일보 사설-20110627월] 태풍 '메아리'는 큰 탈없이 지나갔지만

 

예년보다 일찍 시작된 장마에 의외의 6월 태풍이 겹쳐 온 국민이 긴장했으나 심각한 피해 없이 지나갔으니 천만다행이다. 5호 태풍 '메아리'는 당초 27일 수도권 지역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진로가 바뀌고 속도가 빨라져 우리나라에 직접 상륙하지 않았다. 하지만 간접적 영향권에 머물렀던 상황만으로도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해 앞으로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함을 새삼 일깨웠다.

 

우리는 지금 여느 때와 달리 강풍과 폭우, 특히 집중호우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안고 있다. 4대강 사업이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았고, 구제역 창궐로 전국 4,700여 곳에 가축 매몰지를 서둘러 만들어 놓았다. 경북 칠곡군 왜관철교(호국의 다리)가 물살을 이기지 못해 붕괴됐는데, 문화재로 지정(406호)돼 보호ㆍ관리를 받고 있었고 50년 이상 이번보다 더한 호우도 견뎌냈던 점으로 미루어 4대강 공사와 전혀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또 일부 가축 매몰지에서 새롭게 침술수가 새어 나왔다는 주장들도 무심하게 넘기기 어렵다.

 

좀 더 조심하고 미리 대비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피해들이 여전했다는 대목은 참으로 안타깝다. 강풍과 호우의 직접 피해로 10여명의 사망ㆍ실종자가 발생했는데, 피해자의 대부분이 호우로 불어난 물가에서 물놀이와 낚시를 즐기다 화를 당했다고 한다. 또 무성해진 가로수가 강풍에 쓰러지면서 전신주를 덮치는 바람에 정전이 되어 인근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기도 했다. 관리 당국이 평소 주의를 기울였다면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사고들이었다.

 

막 시작된 장마에, 서해상으로 비껴간 태풍에 이만한 피해가 발생했으니 유난히 길다는 이번 여름을 나는 일이 걱정스럽다. 공정의 5% 정도가 남아있는 4대강 사업의 경우 '수로 관련 공사는 마무리 단계가 가장 위험하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가축매몰지 문제도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피해야 한다. 아울러 강풍과 호우에 대해 당국의 예보나 경고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국민 개개인이 충분한 경각심을 갖는 일이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627월] 태풍·장마 사고 잇따르는데도 “4대강 사업과 무관”만 외칠 텐가

 

걱정했던 대로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장마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엊그제 경북 칠곡군의 석전리와 관호리를 연결하는 옛 왜관철교(호국의 다리) 2번 교각이 무너져 내렸고, 어제는 상주보 제방 수백 미터가 유실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옛 왜관철교 사고는 새벽이 아니었다면 인명피해가 날 수도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다. 지난달 초 남한강 강천보와 이포보 사고를 시작으로 경북 구미 광역취수장 임시물막이 붕괴, 영산강 승촌보 상수관로 붕괴사고가 잇따랐을 때부터 전문가들은 대규모 준설 때문에 이런 사고가 재발할 것이라고 우려해왔다. 그럼에도 정부는 오불관언의 태도로 안전점검을 소홀히 한 채 공사를 밀어붙였고 결국 이런 결과를 맞았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앞으로 태풍과 장마가 이어지면 더 큰 사고와 인명피해가 우려되는데도 국토해양부는 계속 딴전만 부리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옛 왜관철교 사고에 대해 “교각이 있는 부분은 (4대강 공사) 준설라인에서 벗어난 곳으로, 강물이 아닌 둔치 위에 있어 교량보호공 설치 대상에서 제외했다”며 4대강 사업과의 관련성을 부인했다. 그러나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스스로 작성한 자료를 봐도 이는 사실과 다르다. 부산청이 만든 ‘환경영향평가서’에는 철교의 9개 다릿발(교각) 가운데 2~8번까지 7개에 교량보호공을 설치하도록 돼 있으나, 3~6번까지 4개 다릿발에만 보호공을 설치했다. 또 부산청의 설명과 달리 낙동강지키기 부산본부가 지난 3일 항공촬영한 사진을 보면, 문제의 2번 다릿발은 둔치가 아닌 강물에 박혀 있다. 4대강 공사를 서두르느라 스스로 정해놓은 안전기준조차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다.

 

이런 사례는 이곳만이 아니어서 앞으로도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곳곳에 널려 있다. 같은 환경영향평가서에는 경북 고령의 우곡교 다릿발 가운데 4~8번 다릿발에 보호공을 설치하도록 돼 있으나 8번 다릿발에 보호공을 설치하지 않았다. 경북 상주에 있는 경천교의 경우에도 수중에 있는 다릿발에 보호공이 설치되지 않아 붕괴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토부는 4대강 준설공사로 인한 역행침식 우려가 나오자 “하상유지공 설치 등을 통해 적절히 대비하면 문제가 없다”는 태도로 일관해왔다. 그러나 4대강 준설공사 전에 설치를 끝냈어야 할 하상유지공을 뒤늦게 올해 초에야 설치 계획을 세운다고 부산을 떤 것만 봐도 정부가 얼마나 졸속으로 일을 처리하고 있는지가 잘 드러난다.

 

정부는 4대강 공사로 인한 피해가 더 커지기 전에 전국의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 그리고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의견들에 지금이라도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 그러지 않으면 4대강 속도전은 정부가 감당할 수 없는 큰 불행을 불러올지도 모른다.

 

 

[조선일보 사설-20110627월] 對北 원칙론의 도덕적 근거 확장하려면

 

한·미(韓美) 양국이 25일 워싱턴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북핵(北核) 6자 회담이 재개되려면 남북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우리는 북한과의 직접대화에 대해선 열린 입장이지만, 북한이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해야만 한다는 결심과 공통된 입장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달 초 "이명박 정부와 상종하지 않겠다"며 남북 비밀접촉 사실까지 공개한다면서 있지도 않은 사실을 만들어 내기까지 했다. 어떻게 해서든 작년에 자신들이 저지른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한 시인과 사과 요구를 피하면서 내년 선거정국을 통해 남남(南南) 갈등을 유발해보려는 책략이다. 북한은 이와 함께 국제사회를 향해 여차하면 또다시 핵실험 등을 할 것처럼 시위하며 내년 대선을 앞둔 미국 오바마 정부의 정책을 자신들과의 선(先)대화 쪽으로 돌리려는 전술을 병행하고 있다.

 

클린턴 장관은 대북식량 지원과 관련, "북한은 지원식량이 실제 어떻게 쓰이느냐는 모니터링 문제와 과거 식량지원 당시 해결되지 않았던 의문점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해소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2007년 식량지원 중단 때 북에 남겨둔 2만여t의 식량이 군용(軍用)으로 전용됐을 가능성을 의심해왔다. 이런 상황을 그대로 두고 우리를 무력으로 공격하는 인민군의 전력 증강에 쓰일 쌀 등 전략물자를 지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북한에 대해 원칙론을 견지하면서도 이 같은 원칙론이 우리 국민과 국제사회에서 이의(異意) 없이 받아들여지도록 지지 토대를 확장하기 위해서도 인도적 접근은 필요하다. 강성대국 운운하며 정권 수명 연장용 정치쇼에만 매달린 북한은 5세 미만 어린이의 32%가 발육부진, 저체중이 19%에 달하며 1세 미만 영아 1000명당 19.3명이 사망하고, 2세 미만 어린이를 둔 15~49세 어머니 26%가 영양실조 상태(2009년 UNICEF)에 있다고 한다. 아프리카만도 못한 수준이다. 노인들은 전력부족으로 고층아파트 승강기 운행이 중단돼 집안에서 굶주림과 추위로 죽어가기도 한다. 북한의 결핵 발병률은 10만명당 370명으로 세계 7위다.

 

정부는 물론 민간단체들도 북한 주민의 이런 처참한 형편을더 따뜻한 눈으로 살필 때 대북원칙론의 도덕적 근거가 굳건해질 수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경향신문 사설-20110627월] 한·EU FTA ‘개성공단 특혜’ 철회 배경 규명돼야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과정에서 EU 측이 개성공단 생산품을 한국산으로 인정할 의향이 있었으나 한국 정부가 소극적으로 나와 무산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글린 포드 전 유럽의회 의원은 최근 경향신문 기자와 만나 “2008년 말 내가 유럽의회 의원일 때 개성공단 생산품을 한·EU FTA의 특혜관세 대상에 포함시키자고 제안해 결의안을 채택했다”며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에 관심을 잃었고, 최종적으로 협정문에서 빠졌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을 정부가 스스로 포기했다는 얘기다.

 

그의 증언은 협상 경과와 일치한다. 2007년 4월 한·EU FTA 협상을 시작할 때 정부는 FTA가 필요한 이유 중 하나로 개성공단 생산품의 수출을 들었다. 이명박 정부 출범 후인 2008년 5월 7차 협상 때까지도 개성공단이 FTA에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최종 8차 협상 때인 2009년 3월부터 태도가 달라졌다.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이 일어나 남북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던 시점이다. 최석영 외교통상부 FTA교섭대표는 “협상 과정에 대한 부분이라 (우리가)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다. 그러나 남북관계 악화로 개성공단을 양보하는 대신 자동차 관세환급 등 다른 무엇을 받았을지 모른다는 일각의 의구심을 뒷받침하는 정황이다.

 

명시적 규정을 넣지는 못했어도 역외가공위가 매년 한국산 인정 여부를 결정토록 해 개성공단 제품이 한국산과 같은 특혜관세를 부여받을 수 있는 틀을 마련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개성공단 생산품이라도 한국을 거칠 경우 한국산으로 인정하는 2006년 3월의 한·싱가포르 FTA보다 후퇴한 것이다. 한·미 FTA에서는 비핵화 진전이나 남북관계 영향, 환경·노동 기준 등을 한국산으로 인정할 수 있는 조건으로 달았다. 개성공단이 경제적 판단보다 정치적 풍향에 따라 휘둘릴 수 있는 여지가 넓어진 것이다.

 

며칠 전 미국의 새로운 대북제재 행정명령 시행령으로 한·미 FTA가 발효되더라도 110여개 나라에 수출된 유아용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를 비롯한 남북 합작 영화 등을 규제할 수 있다는 해석을 미국 쪽에서 내놨다. 대북제재가 북쪽만이 아니라 남쪽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하물며 남북관계 악화를 이유로 ‘개성공단 특혜’마저 저버리는 정부라면 그 어떤 대북 제스처를 내놔도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개성공단 특혜’의 자진철회는 뒤늦게라도 그 배경이 규명돼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10627월] 포퓰리즘 공방 갈등 대화로 풀어라

 

정치권과 재계가 날 선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서로를 향해 독설을 쏟아내면서 감정의 골이 깊어져 가는 형국이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재계를 대표해 연일 쓴소리를 내뱉으며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주 금요일 열린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 경제5단체장 첫 간담회에서도 정치권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드높였다. 29일로 예정된 대·중소기업 상생 공청회의 출석도 사실상 거부했으며 다른 경제단체장들도 모두 불참할 것이라고 한다.

 

재계는 초과이익공유제, 감세 철회와 ‘반값 등록금’ 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한다. 특히 감세 철회는 국가 경쟁력보다는 내년 선거를 의식한 불순한 의도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대기업 때리기’로 민심을 얻으려는 정치권의 의도적인 행동은 재계는 물론 국가경제에도 손상을 입힐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앞세웠던 현 정부가 초심을 잃고 경제단체장들의 국회 출석 요구 등 정치권의 무리한 요구에 침묵하고 있다며 더 이상 가만히 앉아서 당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사사건건 각을 세웠던 여야는 재계의 반발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로 공세를 높이고 있다. 정치권의 친서민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한 근거에 대해 분명한 해명이 필요하다며 공청회에 참석하지 않으면 국정조사에 불러내겠다고 재계를 압박하고 있다. 그동안 감세와 고환율·저금리정책의 혜택을 누려 온 재계가 민생을 보듬으려는 정치권의 대안 제시를 포퓰리즘으로 매도하는 것은 후안무치라는 것이다.

 

표를 좇는 정치권과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재계의 갈등은 어쩌면 당연하다. 자신의 입장에서 본다면 나름대로 일리가 있다. 하지만 서민들을 위한다면서 정작 서민들은 구경꾼으로 전락한 이러한 대립이 극단으로 치닫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선심성 정책이 남발돼서도 안 되겠지만 정치권의 주장을 무작정 폄하하는 것도 잘못된 접근법이다. 지금은 감정을 가라앉히고 스스로의 허물을 먼저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면 해법은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정치권과 재계, 양측의 자제를 촉구한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627월] 사회보험원칙에 안 맞는 예술인복지법안

 

고용노동부가 일부 예술인들에게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을 적용하기로 한 이른바 예술인복지법안에 대해 반대입장을 밝힌 것은 당연한 일이다. 법안의 내용이 사회보험제도의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근로자의 특성상 발생하는 실업과 산업재해의 위험으로부터 근로자의 생계를 보호하고 노사갈등 예방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사 간 합의의 산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같은 사회보험제도 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바로 근로자성이다. 특히 고용보험의 경우 사용자와 사용 종속관게에 있는 근로자를 실업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문제는 예술인의 경우 이 같은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다수 예술인은 보험료를 부과할 사업주가 없기 때문이다. 또 보험을 적용할 경우 언제 얼마나 소득을 올리는지, 언제 일하고 언제 쉬는지 정확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해야 하지만 고정적인 사업주가 없기 때문에 이 같은 정보자료의 제공과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기술적으로도 사회보험의 적용 및 운영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을 관할하는 법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다른 개별법을 통해 이들 사항을 다룬다면 법체계상으로 심각한 혼선이 불가피하다. 일반 근로자에 비해 예술인에 대한 실업급여 기준이 휠씬 유리하게 돼 있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대목이다. 근로자는 6개월, 현재 추진 중인 자영업자의 경우 1년간 일을 하거나 영업활동을 해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데 반해 예술인은 3개월만 일해도 급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놓은 것이다.

 

만약 이 같은 예술인복지법안이 시행될 경우 고용보험에서 기업과 근로자에게 돌아가는 부담만도 연간 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산재보험의 경우 비용추계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의 심각한 재정악화 요인이 되는 셈이다. 예술인을 위한 복지의 필요성은 인정된다. 그러나 다른 근로자와 기업에 부담을 주는 방식은 사회보험제도의 원칙에 부합되지 않을 뿐더러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재고돼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권순활(논설위원)-20110627월] 잘못된 경제교육

 

김일성과 박헌영은 1950년 남침 전쟁을 일으키면서 남한 주민의 자발적 봉기가 잇따를 것으로 확신했다. 그러나 그런 기대는 물거품으로 끝났다. 1948년과 1950년 1, 2차 농지개혁으로 대한민국 체제에 대한 우리 농민의 애정이 커진 것도 결정적 원인으로 꼽힌다. 군부 내 좌익세력이 6·25전쟁 이전에 척결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북한도 토지개혁을 했지만 나중에 다시 국가가 빼앗아가 실제 농민에게 돌아간 혜택은 남한이 더 컸다. 역사적 진실이 이런데도 한국의 일부 교과서는 우리 농지개혁이 북한보다 못한 것처럼 기술(記述)하고 있다.

 

▷한국은 1960년대 이후 경이적 경제성장으로 개발도상국의 부러움을 사는 나라로 도약했다. 일부 부작용도 있었지만 대다수 한국인의 생활수준과 국가 위상은 지난 50여 년간 획기적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상당수 교과서는 외국자본 의존, 대외의존, 산업 불균형, 빈부격차, 근로자와 농민의 희생이라는 좌파 운동권의 경제관을 되풀이한다. 경제성장을 견인한 대기업에 대해서도 부정적 측면만 부각하고 해외시장 개척, 민족자본 형성, 고용과 소득창출 같은 긍정적 기여는 무시했다.

 

▷서울대 박효종 전상인 교수, 홍익대 김종석 교수가 전경련의 의뢰를 받아 고교 한국사 교과서들에 실린 경제 관련 현대사를 분석해보니 좌편향성, 불공정성, 사실 관계 오류가 많았다. 반(反)시장경제 이념을 부추기는 내용도 적지 않았다. 분석을 맡았던 교수들은 “일부 한국사 교과서가 한국경제 발전과정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공정하게 소개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균형 있는 시각을 갖추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경제 규모가 커지고 보릿고개를 몸으로 겪은 세대가 줄어들면서 성장과 분배, 효율과 공평 사이에서 다양한 사회적 요구가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러나 아무리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지만 불과 두 세대 만에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나타난 엄연한 현실을 외면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편향된 경제관을 가르치는 것은 잘못이다. 미래 한국을 이끌어갈 어린 학생들을 정확하지도, 공정하지도 않은 경제교육으로 오염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한 성장에도 해롭고 국가 선진화의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남정호(국제 선임기자)-20110627월] 로빈후드 포퓰리즘

 

춘추시대 정나라 재상 자산은 강에 발이 묶인 백성을 보곤 수레에 태워 건네준다. 이에 맹자가 꾸짖는다. “은혜롭지만 정치가의 일은 아니다(惠而不知爲政)”라고. 정치가면 촌음을 아껴 다리 놓는 일부터 헤아리라는 거다. 근본 해결 아닌 포퓰리즘적 대처에 대한 호된 질책이었다.

 

기록상 서양에서 포퓰리즘이 등장하는 건 로마시대 때다. 기원전 2세기 호민관이던 그라쿠스 형제는 시민에게 땅을 나눠주고 옥수수도 시가보다 싸게 판다. 개혁을 위한 지지 확보 차원이었다. 하나 로마인들은 독재자가 되려 한다며 이들을 사형시킨다.

 

이런 비극적 출발에도 불구하고 포퓰리즘은 시공을 초월해 퍼져나갔다. 숱한 인기영합주의가 창궐했지만 압권은 1940·50년대 아르헨티나 후안 페론 전 대통령 부부가 펼친 정책이다. 페론은 국토의 3분의 1을 몰수해 서민들에게 나눠줬다. 의적을 흉내 낸 ‘로빈후드 포퓰리즘’이었다. 황당한 정책도 많았다. 지방분권을 돕는다며 TV공장을 수도에서 3000㎞ 떨어진 남극 옆에 세웠다.

 

아내 에바도 못지않았다. 뮤지컬 ‘에비타’의 소재가 될 정도로 극적인 삶을 살았던 그는 “나는 남편과 국민을 섬기기 위해 사는 여자”라며 밤낮없이 빈민들을 만났다. 나환자들의 상처를 손으로 어루만지며 이들과 입을 맞췄다. 자궁암으로 33세에 숨지자 성자로 모시자는 요청이 교황청에 쇄도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하나 에바는 포퓰리즘의 화신이란 욕도 먹는다. 빈자를 돕는다고 트럭 가득 돈을 싣고 다니며 뿌려댄 탓이다.

 

포퓰리즘이 페론의 전유물은 아니다. 파격적 의료정책을 폈던 탁신 전 태국 총리, 막대한 원유 판매 자금을 뿌렸던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도 그랬다. 그럼에도 아르헨티나인들은 누구보다 선심정책에 길들여져 있다. 최근 열 번의 선거에서 여덟 번 페론주의자가 이긴 것도 이 때문이다. 현 페르난데스 정권도 값싼 내수용 빵·쇠고기를 확보한다며 수출세를 매기고 가격을 통제한다. 그러자 농민들은 마진이 박해진 목축과 밀 재배를 포기하고 있다. 농업천국 아르헨티나에서 쇠고기·밀이 부족해질 판이다. 데모를 하면 시위대에게 금품이 쥐어진다. 어그러진 포퓰리즘의 단적인 모습이다.

 

최근 ‘반값 등록금’ ‘무상급식’ 등으로 포퓰리즘 논란이 뜨겁다. 바람직한 복지정책인지, 포퓰리즘적 선심공세인지는 냉정히 따져봐야 한다. 다만 어느 쪽이든 아르헨티나의 전철을 밟지 않게 조심하는 건 백번 마땅한 일이다.

 

 


 

 

[매일경제신문 칼럼-기고/김성철(주콩고민주공화국 대사)-20110627월] 왜 아프리카인가 ?

 

요즘은 아프리카를 더 이상 가난과 원조에만 결부시켜 보지는 않는다. 미국이 국가안보 차원에서 원유 확보원을 다변화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기 시작했고, 중국은 이미 오래전부터 자국 경제 성장에 필수적인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아프리카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이들 외에 선진국과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 신흥 경제대국들 입장도 이들 두 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동안 아프리카에서 식민지를 운영했던 선진국들이 하나같이 아프리카 자원을 일방적으로 수탈해간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점을 재빨리 파악한 중국은 자신들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필요한 인프라스트럭처를 건설해 주고 자신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가져가므로 서로에게 모두 득이 되는 `윈-윈`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아프리카 지도자들에게 환영을 받아왔다.

 

자원이라고 별로 내세울 만한 것이 없는 우리나라로서도 아프리카에서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하고, 또 남아도는 국내 건설 역량 수출처도 찾아야 하지만 우리 접근 방법은 이들과 많이 다르고 독특하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OECD 원조위원회 가입과 작년 말 서울에서 개최한 G20 정상회의 등을 통해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이들 아프리카 국가가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실제 필자가 근무하는 콩고에서는 우리 전문가들이 콩고 전문가들과 함께 콩고 국가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 이들에게 시급히 필요한 농촌개발, 보건의료, 직업훈련, 교육지원 사업들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같은 원조 방식은 배고픈 사람에게 빵을 던져주듯이 종래에 해왔던 원조 방식을 떠나 이들이 자기 발로 일어나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진정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식 자원-인프라스트럭처 외교`는 일방적인 `수탈`이나 일대일로 주고받는 `윈-윈`과는 그 격을 달리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 때문에 선진국과 제3세계 양쪽에서 지지와 존경을 받는다.

 

한국은 대부분 아프리카 나라들과 같이 식민지와 내전이라는 과거를 가졌지만 오늘날과 같은 세계 무대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OECD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원조를 받던 나라가 원조를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사례로 꼽힌다. 이 때문에 한국경제 발전 과정은 모든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따라 배우고 싶어하는 희망의 등대와도 같은 발전 모델이다.

 

콩고는 7000만 인구와 서유럽 국가를 모두 합친 것과 맞먹는 광활한 국토, 그리고 자원의 보고라고 불릴 정도로 온갖 광물자원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이들이 경제 발전 궤도에 올라설 수 있다면 아프리카의 지도국으로 부상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그리고 이들은 지금 우리에게 강한 신뢰와 기대를 보이고 있다. 요즘에는 킨샤사 인근 농촌개발 현장에 가면 동네 꼬마들이 아름다운 미소와 함께 "안녕하세요"를 연발하며 몰려온다.

 

최근 우리나라가 아프리카에서 확보하고 있는 이와 같은 튼튼한 신뢰를 이제 정상외교를 통해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 발전시켜야 할 시기가 왔다고 본다. 주변 경쟁국들이 아프리카에 대한 정상외교에 공을 들이는 것은 나라에 따라 특별한 이유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국익에 도움이 되는 사업들을 성사시키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정상외교만큼 효과적인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아프리카는 10억명에 달하는 역동적인 인구와 무진장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세계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부상하는 대륙이라는 점에 아무도 이의를 달지 않는다. 우리나라가 국제무대에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도 이들을 가까운 친구로 만들어야 하며, 더 이상 그 첫걸음을 지체해서는 안 된다.

 

 



-

2011년 7월 5일 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10705화] 강화도 해병 총기참사 근본원인 해소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초소 생활관에서 4일 오전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 부사관 등 4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그는 범행 후 수류탄 자폭을 기도, 경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5년 경기 연천 전방초소에서 총기 난동으로 8명이 숨진 이후 가장 피해가 크다. 해병대의 잇단 추문과 변고를 예사롭게 볼 수 없다.

 

군의 조사를 기다려 봐야겠지만 통상 생활관, 내무반의 실탄 반입이 금지된 사실에 비춰 계획된 범행으로 보인다. 범인은 초소 근무를 이탈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짐작된다. 또 군 총기난동 사건이 대개 상급자나 선임병의 구타 가혹행위 언어폭력에 대한 반감과 자포자기에서 비롯되는 틀을 벗어나지 않을 성싶다.

 

상식적 추론을 넘어 서해 도서를 지키는 해병부대라는 점을 특히 주목한다. 접적지역인 강화도와 연평도 백령도 등 북방 5도의 해병사단은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 이후 경계태세와 훈련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런 사건이 발생하면 흔히 군의 기강 해이를 탓하지만, 전투태세와 군기를 강조할수록 지휘계통 말단, 일선 내무반에서는 억압과 반감이 쌓이기 쉽다. 나 어린 병사들의 지속적 긴장과 스트레스, 지나친 통제와 억압이 각종'군기 사고'를 부른다. 지난 달 강화 교동도 대공초소의 민항기 오인사격이나 백령도 해병대원 자살사건도 그런 맥락에서 볼 만하다.

 

게다가 해병대는 상습적 구타와 가혹행위, 은폐와 허위보고 등 낡은 관행을 척결하지 못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3월 구체적 사례를 근거로 근절대책을 촉구한 것은 상징적이다. 연평도 도발 때의 '용감한 해병'칭송과 인기 연예인 입대, 젊은이들의 열광에 가려진 어두운 구석은 드러나기 마련이다.

 

해병대 지휘부가 진급 로비 추문에 휘말린 것도 우연한 일이 아니다. 2005년 연천 사건을 계기로 군이'병영문화 개선'에 매달렸던 데서 알 수 있듯, 혹독한 훈육과 군기만으로 결코 강한 전투력을 유지할 수 없다. 필승의 전투태세 확립에 앞서 병사들의 처우를 돌봐야 한다. 해병대는 비상한 개혁이 필요하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705화] ‘1만원 정당 후원금’에 기소 남발하는 검찰

 

찰이 민주노동당에 후원금을 낸 교사와 공무원들에 대한 재수사에 나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소속 교사와 공무원 6명을 기소했다. 이는 단지 시작일 뿐, 수사 대상에 오른 교사·공무원이 무려 1900명에 이른다고 하니 또 한차례 ‘기소 광풍’이 불어닥칠 모양이다.

 

이번 사건은 검찰의 국가형벌권 남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다시 한번 극명히 보여 다. 공소장을 보면, 기소된 교사 한아무개씨의 경우 민노당 계좌에 당비 명목으로 넣은 돈이 1만원에 불과하다고 한다. 현행 정치자금법이나 국가공무원법상 교사·공무원이 정당에 가입하거나 당비를 내는 게 실정법 위반인 것은 맞다. 하지만 당비 1만원을 낸 행위가 과연 기소 대상이 될 만큼 중대한 범죄행위에 해당하는지는 실로 의문이다. 고작해야 ‘경고’ 정도로 넘어갈 사안에 검찰은 무자비한 법의 칼날을 휘두르고 있는 것이다.

 

검찰이 치졸한 법 해석을 앞세워 칼춤을 추는 의도를 짐작하기란 어렵지 않다. 이번 기회에 눈엣가시와 같은 전교조와 전공노 등을 손보고, 진보정당의 숨통을 조이겠다는 생각에서다. 결국 검찰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확립이라는 미명 아래 스스로 정치에 개입하고 있는 것이다.

 

검찰의 기소 결정은 형평성 차원에서도 어긋난다. 검찰은 지난해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에게 후원금을 낸 교사들은 무혐의 처분했다. ‘정당 후원금은 불법, 국회의원 후원금은 합법’이라는 기괴한 논리가 만들어진 셈이다. 하지만 좀더 정확히 말하면 ‘한나라당 관련은 무죄, 진보정당 관련은 유죄’가 검찰이 정한 불변의 법칙이다. 게다가 검찰의 이번 수사는 2009년 시국선언 사건 때 전교조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면서 몽땅 가져간 컴퓨터 서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자체가 편법이다.

 

교사와 공무원의 정치참여를 금지한 현행법이 지나친 기본권 제약이라는 것은 전문가들 사이에 이미 정설로 굳어 있다. 특히 정당 가입 자체를 형벌의 대상으로 삼는 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우리가 유일하다. 검찰은 정당성 자체도 인정받지 못하는 민노당 후원금 수사를 당장 중단하기 바란다. 부산저축은행 로비 사건 등 구조적인 부정부패는 제대로 파헤치지 못하면서 쓸데없는 수사에나 힘을 쏟으니 검찰이 자꾸만 국민의 눈 밖에 나는 것이다.

 

 

[조선일보 사설-20110705화] 국민 共感 얻기 힘든 검찰총장 사퇴

 

김준규 검찰총장이 수사권 조정에 관한 검찰과 경찰의 합의안이 국회에서 수정돼 통과된 것에 책임을 지고 사퇴한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약속은 지켜져야 하고 일단 합의가 이뤄졌으면 그대로 이행돼야 한다"며 "합의가 파기되면 어긴 쪽에 책임이 있지만 누구도 책임지지 않기 때문에 검찰총장인 저라도 책임을 지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회는 지난달 말 검찰의 경찰 수사 지휘에 관한 구체적 사안을 법무부령으로 정하도록 한 검·경 합의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고쳐 통과시켰다.

 

김 총장은 사퇴 성명서에서 "이번 사태의 핵심은 (검찰의 경찰 수사 지휘 범위를) 법무부령로 정할 것이냐 대통령령으로 할 것이냐 하는 게 아니라 '합의의 파기'에 있다"고 했다. 국회가 정부 관련 부처들의 의견이 충돌하는 입법 현안에 대해 관련 부처들의 합의안을 존중할 필요는 있다. 더구나 이번 수사권 조정 합의안은 국회 사법개혁특위가 결론을 못 내려 총리실이 개입하고 거기서도 검·경 의견 대립이 심해 청와대까지 나서서 우여곡절 끝에 나왔다.

 

그렇다 해도 정부 관련 부처 사이의 합의는 어디까지나 정부 안에서의 합의일 뿐, 정부와 국회 간의 합의가 아니다. 입법권을 가진 국회가 정부 합의안을 반드시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합의를 지켜야 한다는 김 총장 주장은 국회는 정부 관련 부처 사이의 합의안과 다른 내용의 법을 만들지 말거나 만들었을 경우 합의에 참여한 부처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는 거나 같다.

 

김 총장은 검·경 수사권 조정 협의 과정에서 검찰 권한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는 검찰 내부의 반발에 검찰 최고 책임자로서 부담을 느꼈을 법하다. 그러나 그건 검찰 내부의 문제다. 국민 눈엔 2년 임기가 다음 달 19일 끝나 임기를 40여일밖에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검찰총장직을 사퇴하는 게 무책임하게 보일 뿐이다. 검찰총장의 사퇴가 국민 박수를 받는 유일한 경우는 검찰 수사에 대한 정권의 압력에 맞서 검찰권을 지키기 위해 총장직을 던질 때뿐이다. 김 총장에게도 그렇게 했어야 할 때가 몇 번 있었다. 이번 김 총장 사퇴는 부적절하다.

 

 

[경향신문 사설-20110705화] 국세청 전관예우 없앨 특단조치 내놔야

 

SK그룹으로부터 자문료 명목으로 30억원을 받은 이희완 전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장에 대한 검찰 수사와 한상률 전 국세청장 재판 과정에서 국세청 고위 간부에 대한 전관예우 실태와 비리 의혹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기업과 공식 자문계약을 맺어 자문료조로 거액을 받고, 현직 간부가 나서서 선배의 자문계약을 챙겨주는 식의 전관예우가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검찰은 그제 이 전 국장을 김영학원의 대표로부터 세무조사 무마 청탁과 함께 3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한 데 이어 SK그룹과 관련해 두 갈래로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국세청이 올해 3월 끝낸 SK그룹 세무조사에서 형사고발 없이 1000억원의 세금을 추징하는 과정에서 이 국장이 무마 로비를 벌였는지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30억원의 자문료에 대해서는 이 전 국장이 현직에 있을 때 SK그룹 세무조사를 봐줬는지 대가성 여부를 따져 ‘부정처사 후 수뢰죄’를 적용할 방침이다.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현직 때 세무조사 편의 등을 봐주고 퇴직 후 자문계약 형태로 사례를 받는 ‘신종 뇌물수수’가 된다.

 

주정업체로부터 자문료 6000만원을 받아 불구속 기소된 한 전 청장의 재판에서는 국세청과 주정업체와의 유착 관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주정업체 간부는 검찰에서 “국세청 현직 직원이 전직 간부에 대한 자문계약을 주선하면 불이익이 걱정돼 거절할 수 없다” “국세청장은 퇴임 후 3년까지는 현직에게 영향력이 있어 자문료를 줄 수밖에 없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국세청은 주정·주류제조 인허가권은 물론 주정 생산량, 출고·판매가격까지 지정하는 등 업계의 생살여탈권을 쥐고 있다. 전직 국세청 간부들이 주정·주류업계의 임원 자리를 대거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런 먹이사슬 구조를 잘 보여준다.

 

국세청은 업무 성격상 비리 가능성이 커 일반 공무원보다 훨씬 높은 도덕성이 요구되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직원들의 각종 비리가 끊이지 않고 금품 수수 규모는 커지는 추세다. 고위직을 지낸 선배가 현직 후배의 도움으로 자문계약을 맺고 거액을 챙기는 현실에서 아랫물이 맑아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반 공무원의 전관예우와도 유형이 달라 공직자윤리법으로 막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국세청은 얼마 전 자정결의를 했다지만 그리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실상을 잘 아는 국세청이 ‘퇴직자 문제’로 치부하지 말고 스스로의 명예를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10705화] 복지 남발보다는 사각지대 해소가 먼저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복지 포퓰리즘 경쟁이 치열하다. 무상급식에 이어 무상보육과 반값 대학등록금 등 올 들어 정치권 등에서 제기한 복지정책을 모두 시행하려면 연간 최대 60조원의 추가 재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복지부문에서만 올해 전체 예산의 20%가량을 더 늘려야 한다는 얘기다. ‘감세 철회’ 등으로 재원 조달이 가능하다지만 턱도 없는 얘기다. 세금을 엄청나게 더 걷든지,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떠넘겨야 하지만 조세 저항이나 세대 간 갈등을 우려해 언급을 피한다. 우선 듣기 좋은 얘기로 표만 얻고 보자는 심사다.

 

더 얹어주고 부담을 덜어주겠다는데 싫어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냉정히 따져봐야 한다. 공짜 점심은 없다. 결국 국민의 주머니에서 나와야 한다. 그렇다면 우선순위를 따져봐야 한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가장 기초적이고 보편적인 사회안전망에도 가입하지 못하는 저임금 노동자가 382만명이나 된다. 이들 중 75%가 10인 미만 사업장에 속한 노동자다. 3조원 이상을 투입해 대학등록금을 절반으로 낮추는 것보다 7000억원을 들여 이들에게 최소한의 보호망을 갖춰주는 게 먼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속도를 감안하면 조만간 닥칠 노인 빈곤과 저출산 세대의 부담 경감을 위해서도 사회안전망 사각지대 해소는 시급한 과제다. 더구나 소득 양극화 심화로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건강·고용·산재보험과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료 부담률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지 않는가.

 

우리는 한나라당 중심으로 논의 중인 사회안전망 사각지대 해소 방안에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해 방치되고 있는 특수고용직 노동자와 가사노동자, 영세자영업자도 포함돼야 한다고 본다. 이들 중 59%에 이르는 507만명이 돈이 없어 사회보험료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들을 방치하다가는 더 많은 비용을 결국 공적부조 형태로 지출해야 한다. 선진국들이 가장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의 비용을 재정에서 떠맡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치권은 퍼주기식 복지 경쟁을 멈추고 그늘진 곳에 방치되고 있는 사회적 약자에게로 눈을 돌려야 한다. 정치권이 합심하면 이들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705화] 자원 공기업 과다부채는 자원 콤플렉스의 결과

 

정권마다 반복되는 에너지 · 자원 비리사건이 또 터지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석유공사 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자원개발 공기업 3사의 내년 부채규모가 이명박 정권이 출범한 2008년보다 2배 이상인 53조원을 넘어선다는 것이 아무래도 심상치 않다. 이른바 자주개발률에 대한 집착 때문에 공기업들이 무리하게 해외기업의 인수 · 합병에 나서면서 대규모로 외부차입을 감행한 탓이다. 이미 국제 자원개발 메이저 사이에서는 한국이 '봉'이라는 얘기가 파다할 정도다.

 

우리나라는 자원 문제에 대해 과도한 콤플렉스에 빠져있는 것이 사실이다. 총성 없는 자원전쟁, 자원 민족주의 등의 용어들이 난무하면서 당장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자원을 확보하지 않으면 큰일 날 것처럼 과장된 아우성을 내지르기 일쑤였다. 물론 에너지와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처지이고 보면 끊임없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수급이나 가격 전망 등을 따져 경제적 논리로 접근하기보다는 지나치게 정치적 · 지정학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자원과 관련한 온갖 비리와 부정 등은 모두 여기서 비롯된다. 국내에서도 자원개발 사기가 판을 치고 현란한 이름의 자원펀드들이 투자자를 현혹하고 있다.

 

그러나 자원도 경제재에 다름 아니다. 가격이 오르면 소비가 줄어 하락 압력이 발생하는 것이고,가격이 상승하면 공급이 증가하면서 대체재를 찾는 노력도 높아진다. 자원은 필연적으로 고갈돼 언제나 고공행진할 것이라는 그럴 듯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자원의 희소성이 낮아지고 실질가격이 떨어지는 것도 다 그 때문이다.

 

1970년대 1차 석유위기를 계기로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론'이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석유 매장량과 가채연수는 오히려 계속 늘어나고 있다. 자주개발률만 높이면 된다는 발상은 그래서 언제나 위험하다. 정부가 원자재 콤플렉스에 사로잡히게 되면 아껴써야 할 진짜 미래 자원을 모두 엉뚱한 곳에 낭비하게 된다. 지금 자원 공기업의 과도한 부채 문제는 바로 그런 일단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705화] 저축은행 구조조정 신속 과감하게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가 내놓은 저축은행 경영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85개 저축은행의 경영진단 결과를 토대로 자산건전성 분류 등을 통해 회생 가능성이 있는 곳은 금융안정기금을 투입, 자본확충을 지원하되 정상화가 어려운 곳은 과감하게 정리해나가기로 했다.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저축은행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건전한 경영환경을 정착시키는 제도적 틀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기본원칙은 저축은행의 옥석구분을 통해 선별적 지원에 나선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5%를 넘는 곳에는 공적자금을 수혈해 경영정상화를 유도하되 이를 밑도는 저축은행은 경영개선권고 등의 절차를 통해 정리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이 즉각 대부분의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에 나서는 한편 구조조정을 위해 공적자금을 전격 투입하기로 한 것은 그만큼 저축은행 부실이 예상보다 광범위하고 부실규모도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의 전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액 7조원의 절반 정도인 3조4,000억원 규모가 사실상 부실상태로 밝혀짐에 따라 공적자금 투입을 포함한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경영건전화 방안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부 압력이나 저항 등에 흔들리지 않고 저축은행의 경영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정상화가 가능한 곳은 과감히 지원하고 대신 가망이 없는 곳은 신속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매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 저축은행에 대한 불안감을 하루빨리 해소하기 위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부실 저축은행을 과감하게 정리해야 한다.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대주주의 불법과 도덕적 해이 등에 대한 책임도 철저하게 물어야 한다. 공적자금 투입과 연계해 증자 또는 배당제한 등의 조건을 부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구조조정이 지연될수록 부실은 심화되고 시장의 불신도 커지기 마련이다. 벼랑 끝에 몰린 저축은행을 살리기 위해서는 과감한 구조조정과 경영개선을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뉴스테이션/동아논평/홍찬식(논설위원)-20110705화] 정부, 학업성취도 평가 거부 엄벌해야

 

서울과 경기 지역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치러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고교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6.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경기 고교생 가운데 영어 과목에서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은 학생은 전체의 59.4%에 그쳤습니다. 광주 고교생의 75.1%와는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은 좌파 성향의 곽노현 김상곤 교육감이 각각 교육정책을 이끌고 있는 곳입니다.

 

좌파 성향의 6개 시도 교육감들이 오는 12일과 13일에 실시되는 전국 학업성취도 평가에 반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좌파 교육감들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기본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이번 평가에서도 일부 교육감들은 시험을 보지 않는 학생들에게 대체 프로그램 제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좌파 교육감들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학생들을 줄 세우는 시험'이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시험을 보지 않은 채 서울과 경기도처럼 학력이 낮은 학생들을 끌어올릴 방법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일부 교육청과 전교조 교사들이 시험을 거부하는 이유가 다른 데 있는 게 아닌지도 의심됩니다. 즉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게 되면 각 학교와 교사들의 가르치는 능력이 곧바로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평소 저소득층의 학생들을 가장 걱정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저소득층의 학력은 갈수록 뒤쳐지고 있습니다. 학력과 경제적 지위의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어느 지역, 어느 학교의 학력이 저조한지 우선 파악한 뒤 그에 맞는 처방을 내려야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해나갈 수 있습니다. 좌파 교육감들이 이런 일을 회피한다면 진정으로 저소득층을 위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교과부는 "시험을 거부하는 학교장과 교사들을 징계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로만 그쳐서는 안 될 것입니다. 좌파 교육감들에게도 평가의 중요성을 설득하고 이들이 끝까지 거부하면 적절한 조치를 통해 평가를 실시하는 추진력을 보여야 합니다. 지금까지 동아논평이었습니다.

 

 

[중앙일보 칼럼-취재일기/송지혜(사회부문 기자)-20110705화] 등록금에 쓰러지는 대학생 더는 없어야

 

“내 나이 스물셋, 내년 복학을 앞두고 학비를 모으려고 전역한 지 5일 만에 일을 시작해 어느새 3개월째입니다. 호텔에서 터보냉동기, 보일러, 냉온수기 그외 모든 기계를 담당하고 있지요. 그래서인지 고인의 얘기가 남의 일 같지 않네요.”(네티즌 안현준씨)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형마트 냉동기를 점검하는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사고로 안타깝게 숨진 황승원(22)씨의 사연이 본지에 실리자 인터넷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본지 7월 4일자 18면> 고인을 애도하고 그를 구하지 못한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댓글이 수백 건 달렸다.

 

황씨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도 배움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았다. 학원 한 번 다니지 않고 고입·대입 검정고시를 통과해 서울시립대 경제학부 09학번이 됐다. 자신처럼 학교를 다니지 못해 고입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여동생(16)에게 그는 희망이 되고 싶었을 것이다. 희망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그는 전역 후 이틀 만에 월급을 많이 준다는 냉동기 점검 아르바이트에 뛰어들었다. 2학기 등록금을 제 힘으로 마련해볼 생각이었다. 그러나 그는 차가운 기계 점검실 바닥에 쓰러지고 말았다.

 

서울시립대 경제학부의 2학기 등록금은 204만4000원. 사립대에 비하면 적은 금액이다. 하지만 어머니가 식당일 등으로 벌어오는 월 100만원의 수입이 전부인 황씨에겐 너무 큰 부담이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사립대 학생들의 절박감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일부에선 “황씨 죽음의 본질은 안전사고”라고 지적한다. 틀린 말이 아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등록금을 벌기 위해 위험한 아르바이트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한 청년의 상황도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 최근 한 시민단체가 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등록금을 마련하지 못해 심한 스트레스와 자살 충동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14%나 됐다. 지난 2월 강원도 강릉에선 한 대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숨진 학생 옆에는 즉석 복권과 학자금 대출 서류가 놓여 있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청운의 꿈을 포기하지 않으려는 대학생들에게 우리 사회가 어떻게 손을 내밀지 진지한 모색이 필요한 때다. 대학생들이 등록금 부담에 목숨을 끊고, 위험한 아르바이트에 나섰다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모습을 언제까지 지켜만 보고 있어야 할 것인가.

 

 

[경향신문 칼럼-여적/이승철(논설위원)-20110705화] 웬디 셔먼

 

2000년 11월 평양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국무장관은 아프리카 순방길에 올랐다. 그런데 아프리카와는 관련이 없는 대북정책조정관 웬디 셔먼이 줄곧 그를 수행했다. 미국 플로리다주 선거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판결과 장거리 미사일 개발 중단 약속에 대한 북한의 제의를 시시각각 지켜보면서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을 지체없이 추진하기 위해서였다. 셔먼은 북한에서 긍정적 신호가 올 경우 클린턴 대통령 방북실무협의단을 이끌고 재차 방북할 예정이었다. 그의 재방북은 결국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치권에서 맴돌던 셔먼이 미국의 대북정책에 관여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11월 미국이 대북정책 전면 재검토를 위해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을 책임자로 구성한 이른바 ‘페리 위원회’에 참여하면서부터다. 올브라이트 장관의 보좌관이었던 셔먼은 대북 포용정책을 핵심으로 한 ‘페리보고서’ 작성에 깊이 개입했으며 이후 대북 포용론의 대변자가 됐다. 그는 2000년 9월 페리 전 장관의 대북정책 조정관 자리도 물려받았다.

 

그가 한국 언론의 주목을 다시 받은 것은 2009년 초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의 인수위에 참여 하면서다. 힐러리 클린턴 현 국무장관의 대선 경선 캠프에서 활약했던 셔먼이 인수위에서 국무부를 담당하자 그가 대북특사로 임명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게 나돌았다. 하지만 그는 오바마 대통령의 부름을 받지 못했으며,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은 그의 평소 소신과 달랐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1일 셔먼을 국무부 정무차관으로 지명하면서 당장 관심은 그의 역할로 쏠린다. 일부에서는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한 빌 번스가 중동통인 만큼 셔먼은 아시아 문제를 주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대북정책의 궤도 수정을 점치고 있다. 물론 다른 의견도 있다. 이들은 대북정책 등 동아시아 문제는 커트 캠벨 동아·태 차관보의 장악력이 확실한 만큼 셔먼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셔먼이 대북정책에 목소리를 내려 할 경우 성격이 강한 캠벨 차관보와 심한 갈등을 빚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가 실제 어떤 역할을 맡을지는 결국 백악관과 클린턴 장관의 의중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10년 남짓만에 외교무대로 돌아올 셔먼이 과연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궁금하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포럼/온기운(논설위원)-20110705화] 原電 놓고 갈라지는 세계

 

"세계가 원전 찬·반으로 양분TMI나 체르노빌 사고 후여론 악화됐으나 다시 회복한국 에너지믹스 다시 짜고 중장기 대응책 강구해야"

 

3월 11일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자연재해가 인간이 상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이른바 `베키분포`에 따라 발생한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를테면 규모 8의 최대 지진이 있고, 규모 1의 최소 지진이 있다면 그 중간인 4 정도의 지진이 주로 발생할 것이라는 관념은 여지없이 깨졌다.

 

자연 현상이 과거 200년 동안 과학자들의 사고를 지배해온 정규 분포에 따라 발생하는 게 아니라 프랑스 수학자 베누아 만델브로가 강조한 것처럼 통상의 확률 분포를 벗어난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인류가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해온 원자력에 대해 새삼 겁을 집어먹게 됐다.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같은 나라들은 사고 발생 직후 원전 폐기 정책을 서둘러 발표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주선거(3월 27일) 패배 후 종전 견지했던 원전 지지 입장을 폐쇄 쪽으로 180도 바꿨다. 인접국인 스위스 정부는 5월 "2034년까지 국내 5개 모든 원자력발전소 문을 닫는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는 6월 국민투표를 통해 원전 재추진 정책을 백지화했다. 유권자의 94%가 원전에 반대표를 던졌다.

 

하지만 프랑스 러시아는 원전 기치를 더욱 높이 치켜들고 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3일 만에 "탈(脫)원전은 논외다"고 선언했다. 프랑스는 오히려 원전 증설 추진으로 탈원전을 선언한 국가에 전력을 팔아 외화를 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독일과 이탈리아의 탈원전 움직임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서 "인류가 가까운 장래에 원전을 중단할 수 없다. 요구되는 것은 안전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2025년까지 세계에서 30기 이상의 원전을 건설해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차지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미국과 중국도 원전 정책 불변 입장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6일 만에 성명을 발표하고 "원자력은 장래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라며 원전을 유지할 방침을 밝혔다. 그 대신 안전성 기준 강화를 강조했다. 중국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내륙지역 원전계획 수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전 지지 입장이다. 실제로 최근 장더장 부총리 등 정부 고위 관리들이 원전 확대 방침에 흔들림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잇달아 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는 갈라져 있다. 일본 원전 사고 이전과 비교해 보면 반대 여론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과거 미국 스리마일 섬(TMI) 원전 사고(1979년)나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년) 후 각국의 여론이 일제히 악화되다가 2000년대 들어 국제 유가 급등 속에서 여론이 호전되고 `원전 르네상스`가 전개됐던 점을 감안하면 반대 분위기가 어느 정도 지속될지 지켜볼 일이다.

 

한국은 아직 정부가 원전 정책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고 국민 여론조사 결과도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처한 상황을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한국은 원전 21기를 가동하고 있는 세계 5위의 원전 대국이다. 전력 공급의 40%를 원전이 담당하고 있다. 원전을 중단한다면 화력발전이나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공급을 충당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수단은 전력생산비가 높기 때문에 전력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세계에서 가장 싸게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국민은 경제적 부담 증가를 감수해야 한다.

 

일본 국민이 전력 부족으로 올여름 찜통더위와 사투를 벌이고 있는 모습을 보면 우리는 너무 편안하다. 정부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에너지믹스를 다시 짜고 그 안에서 원전을 어떻게 할지 장기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 자연재해나 인재, 테러 등에 대한 안전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는 게 전제돼야 함은 물론이다. 내년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들이 원전 문제를 악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한국일보 사설-20110706수] 보이지 않는 빈곤 탈출 사다리

 

'미꾸라지 용 된다.''부지런하면 작은 부자는 될 수 있다(小富在勤ㆍ소부재근).'도 옛말이 되고 있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가난에서 벗어나기 힘든 세상이 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신욱 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변화추이'를 보면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빈곤층 열에 셋(31.1%)만이 겨우 상위계층으로 올라갔을 뿐이다. 이전 5년(1998~2002년)의 43.5%에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중하층도 비슷하다. 같은 기간 계층상승 비율이 줄어들어 28.2%에 불과했다. 반면 17.7%가 빈곤층으로 떨어져 전체 빈곤층의 비율이 12.3%로 늘어났다. 우리사회에 '빈곤의 악순환''소득 양극화'가 고착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통계이다. 이유야 뻔하다. 비정규직 양산으로 근로소득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경제불황은 영세 자영업자들까지 중하위층에서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했다. 가난은 교육 기회의 박탈로 이어져 미래의 상승 사다리까지 없애 버리고 있다.

 

소득 양극화와 빈민층의 확대는 심각한 사회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는 소득 재분배와 저소득 복지정책의 확대로 이를 해소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를 보면 그 반대다. 올해 1분기 1분위(소득하위 20% 이하) 가구의 월평균 사회보험료 지출이 총소득(110만6,259원)의 3.56%(3만9,332원)로, 200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그들의 보험료지출 비중이 어느 계층보다 높다는 데 있다. 최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2.2%)의 1.62배이다. 보험료 지출비중 역시 갈수록 고소득층은 줄어 들고, 저소득층은 높아지고 있다.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라는 변명은 군색하다. 그만큼 소득이 늘어난 고소득층의 보험료 부과에는 너그러웠다는 얘기다. 이러니 '부자들을 위한 정부'라는 소리를 듣는 것이다. 평생 고생해도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가난한 사람에게 상대적으로 사회보험 부담을 더 지우면서 복지국가라고 할 텐가.

 

 

[한겨레신문 사설-20110706수] 대북 식량지원 물꼬 트는 유럽연합

 

유럽연합이 1000만유로 규모의 긴급 구호식량을 북한에 지원한다고 엊그제 발표했다. 1차분이 다음달 북한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한다. 대북 식량지원 재개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뒤 지원 식량의 군사 전용 여부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단된 지 3년 만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올해 들어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여온 국제사회가 본격적인 대북 식량지원에 나서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제사회의 지원이 본격화할 경우, 대북 교역·교류 전면 중단을 선언한 5·24 조처는 사실상 효력을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이 현지 조사를 토대로 610만명의 북한 주민이 기아상태라며 43만t의 긴급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게 지난 3월이다. 5월에 러시아가 5만t의 곡물을 북한에 지원하겠다고 했고, 6월 초에는 로버트 킹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한국 정부가 반대하더라도 필요하다면 대북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뒤이어 6월6~17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인도지원사무국의 식량평가단이 북한에 갔다. 평가단에 따르면, 북한의 배급 곡물은 4월 초까지 1인당 하루 400g씩 나오다가 6월엔 150g으로 줄었다고 한다. 밥 1공기쯤의 그 열량은 하루 평균 필요 열량의 5분의 1인 400㎉에 지나지 않는다.

 

유럽연합은 이번 지원이 5살 이하 어린이, 임신부와 수유중인 산모, 노약자 등 “식량부족으로 죽어가는, 최소한 65만명의 북한 주민의 생명을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매월 400곳 이상의 배급 현장을 무작위로 방문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킹 특사도 이런 전용 방지 조처들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따라서 식량부족을 가장한 위장전술, 구호식량의 군사 전용을 우려해온 정부의 지원 거부 논리는 더욱 설득력을 잃게 됐다. 정부는 지난 3월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 재개를 허용했지만 곡물 지원은 여전히 막았고 물자 반출, 방북 신청도 줄줄이 불허했다. 유럽연합 발표 뒤에도 5·24 조처가 여전히 유효하다며 북의 태도 변화 없이 지원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이런 완강한 태도가 국제사회의 대북 접근도 막아왔다. 이제 그 벽이 무너지고 있는 중이다. 정부도 국제사회의 이런 흐름을 언제까지나 나몰라라 할 수는 없다. 이제라도 스스로 시대착오적인 5·24 조처의 굴레를 풀어버리기 바란다.

 

 

[조선일보 사설-20110706수] 한국 내 중국 동포 50만명 돌파의 빛과 그림자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 동포(조선족)가 50만명을 넘어섰다. 5월 말 현재 중국 국적을 갖고 체류 중인 동포가 45만2000여명, 한국 국적을 회복하거나 귀화한 중국 동포가 7만5000여명으로 합치면 52만7000여명에 달한다. 중국 동포들은 건설현장 노동자, 가사 도우미, 식당 종업원 같은 3D 업종의 노동력 공백을 메우고 있고, 이들이 없으면 이런 업종은 제대로 돌아가기 힘들 정도로 의존도가 크다. 그런가 하면 1992년 한·중 수교 당시 200만명이던 중국 내 조선족 인구는 최근 180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옌볜 조선족자치주의 조선족 비율은 1949년 63%에서 2009년 37%로 뚝 떨어졌다. 현지 동포 사이에선 이러다간 '조선족 자치주'라는 간판을 내리게 되는 사태가 오는 것 아니냐는 말이 돌고 있다.

 

조선족 연원(淵源)은 조선조(朝) 말인 18세기 후반 무렵 기근을 피해 그때까지도 우리 땅으로 여겨지던 새섬(사잇섬) 간도(間島)로 건너간 사람들이다. 이후 일본에 의해 나라가 망하자 독립 투쟁의 근거지를 마련하려고 혹은 일제의 수탈을 피해 새 운명을 개척하려던 사람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조선총독부가 앞장서 만주의 산업 인력 보충을 위해 소작농민들의 등을 떠밀기도 했다. 중국 동포는 굴곡 많은 민족사가 만들어낸 아픔의 소산인 셈이다. 중국 동포를 대하는 우리 정책은 중국 동포의 역사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깔려 있어야 한다.

 

중국 동포의 눈앞에 닥친 숙제는 비자 시한 문제다. 정부는 2007년 중국과 옛 소련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이 편하게 우리나라를 드나들거나 취업할 수 있도록 방문 취업제를 도입했다. 올 3월 말 현재 중국 동포 29만7000명이 방문 취업 비자를 받았다. 2007년 받았던 5년 비자 시한이 올해 말로 끝난다. 중국 동포들이 내년부터 해마다 6만~7만명씩 우리나라를 떠나야 한다는 이야기다. 상당수 중국 동포들은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라도 더 머물며 한 푼이라도 더 벌겠다는 입장이다. 중소기업과 건설현장 등에서는 이들이 떠난 이후의 인력난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외국인 관리 원칙과 중국 동포의 현실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경향신문 사설-20110706수] 왜 동물보호인가

 

내년부터 동물을 학대하는 사람은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최근 국회를 통과한 동물보호법 개정안이 동물을 잔인하게 죽이거나 부당하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 등에 대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처벌을 강화했다. 국내에서 동물학대죄에 징역형이 도입된 것은 처음이다. 지금까지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었다. 또 2013년부터 개 등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지방자치단체에 동물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동물이 함부로 버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등록을 의무화했다.

 

법을 개정한 취지는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급증함에 따라 날로 늘어나는 동물학대 및 유기 행위를 줄인다는 것이다. 지금도 기르는 개, 고양이를 끔찍하게 살해하거나 학대하는 일들이 인터넷 등을 통해 심심치 않게 공개되고 있다. 또 유기동물은 지난해 10만899마리로 늘어 2003년 2만5278마리의 네 배에 이른다. 따라서 이번 법 개정은 만시지탄인 느낌이 있다. 주변의 동물에 대한 법적 배려가 이렇게 지지부진했던 가장 큰 이유는 ‘사람 먹고 살기도 버거운 세상에 웬 동물보호냐’는 생각이 넓게 퍼져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런 생각은 앞으로 개정된 법의 시행에서도 두고두고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우리는 법 개정에 즈음하여 다시금 “왜 지금 동물보호인가”를 묻고 성찰할 필요를 느낀다. 그것은 생명존중, 상생, 인간존중이란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동물보호는 생명존중 정신의 발로이며 그것은 곧 인간과 동물의 상생, 그리하여 인간존중의 정신으로 연결된다는 뜻이다. 인간존중과 다른 생명체에 대한 윤리적 배려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다. 가령 올해 초 구제역이 창궐했을 때 인간은 수많은 돼지들을 산 채로 땅에 묻어야 했다. 돼지들이 생매장 당하며 비명을 지를 때 현장 사람들도, 나중에 TV화면을 본 사람들도 끔찍함에 몸을 떨었다. 돼지를 비인도적으로 학살하는 사회,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것을 기계적으로 답습하는 사회, 돼지에게 안락사라는 최소한의 배려조차 못하는 사회, 그곳이 다름아닌 인간 상실의 사회인 것이다. 따뜻한 인간애가 자리할 곳이 사라진 사회다.

 

이런 관점에서 이번 법개정은 우리 사회의 동물보호 의식이 의미있는 첫걸음을 내딛는 것으로 평가해도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 물론 여전히 가축 생매장 금지 같은 조항이 정부 반대로 채택되지 못하는 등 보완해야 할 점들이 수두룩하다. 어쨌거나 이번 법제화가 ‘동물복지’ 의식 확산의 전기가 되기 바란다.

 

 

[서울신문 사설-20110706수] 軍부적응 병사 체계적 관리 적극 나서라

 

그제 인천 강화도 해병대에서 김모 상병이 전우를 향해 총격을 가해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학업과 생업을 중단하고 나라를 지키고자 군에 입대한 젊은이들이 동료가 무차별 가한 총격에 숨지고 다쳤다니 안타까운 심정 금할 길이 없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문제 사병 한명이 저지른 돌발행동으로 치부하고, 가볍게 넘어갈 일이 아니다. 징병단계부터 정확한 인성검사를 실시하고 부적응자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김 상병은 이미 입대 전 인성검사에서 위험도가 높거나 군 부대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병사들을 일컫는 ‘관심사병’으로 분류됐다. 이런 요주의 인물은 적절한 보살핌과 관리를 받았어야 했다. 몇년 전 국방부의 조사결과 군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병사가 10%가 넘는다고 한다. 결코 적은 비율이 아니다. 군내 자살사고나 총기사고가 대부분 이런 군 복무 부적응 병사들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부적응 병사들의 경우 군 입대 전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입대 후 선임병들의 끊임없는 구타와 가혹행위 등 폭력적인 문화로 인한 경우도 적지 않다. 문제는 이런 부적응 병사들이 어디 가서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제대로 털어놓고 상담할 길이 없다는 점이다.

 

현재 국군 장병 60만명 가운데 심리상담사는 고작 95명에 불과하다. 이제 예산상의 이유로 심리상담사 확충을 더 이상 미룰 상황이 아니다. 연대 단위로 1명 정도의 전문가가 배치되려면 심리상담사를 적어도 300~400명으로 늘리고, 이들이 계속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미군만 하더라도 사고와 관련한 특수한 상황, 업무수행 능력 문제, 제대 후 직업 선택 등으로 나눠 체계적인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 군에서 심리적 위기를 겪는 ‘관심사병’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관리 구축이 가장 긴요한 과제다. 이번 기회에 군 부적응 병사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군당국은 전투력과 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무고한 젊은이들의 희생을 가져오는 군 부적응 병사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지 마라.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706수] 기름값? 에너지 쇼크땐 어쩌려고…

 

정유사들의 기름값 한시 인하가 6일 자정으로 끝난다. ℓ당 100원씩 일률적으로 인하됐던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다시 원상태로 올라갈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며 조금이라도 인상폭을 낮추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정유사들에 가격을 단계적으로 올리도록 요청하면서 기획재정부와는 수입관세도 낮추는 방안을 협의중이다. 이렇게 해서 기름값이 ℓ당 2000원을 넘지 않도록 잡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대책들은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정유사들이 아무리 휘발유값을 천천히 올려도 세계 가격과 연동해 공급가격을 정하는 이상 감내할 수 있는 가격통제의 폭과 시간은 당연히 한계가 있다. 관세율을 현행 3%에서 제로(0)로 낮추더라도 휘발유값을 ℓ당 21원 떨어뜨릴 수 있을 뿐이다. 이는 하루 등락폭도 안된다. 더욱이 유류세 인하는 국제 원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웃돌지 않는 한 시행할 수 없다는 게 정부의 확고한 방침이다. 이렇게 보면 서울의 경우 현재 ℓ당 1994원인 평균 휘발유값은 곧 2000원을 훌쩍 뛰어넘을 게 틀림없다. 기름값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다는 발상은 애초부터 실현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고유가시대에 기름값을 규제하는 것이 미덕이 될 수는 없다. 소비 절감이 필요한 시기에 오히려 과소비를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란 점에서 그렇다. 가뜩이나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에너지과소비 국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GDP 1000달러를 올리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 원단위는 한국이 0.30toe(석유환산톤 · 2008년 기준)로 일본(0.10)의 3배, 미국(0.19)의 1.5배나 된다. OECD 평균치(0.18)보다도 높다. 같은 부가가치를 만드는 데 훨씬 에너지를 많이 쓴다는 얘기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에너지 원단위는 2008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다. 요금이 싼 전력사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앞으로 에너지 쇼크가 닥칠 경우 리스크는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파티는 끝났다. 그리고 폭염이 다가올 것이다. 기름값 통제가 능사 아니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706수] 공공부채 관리대책 시급하다

 

우리 경제가 빚더미에 짓눌려 휘청거리고 있다. 정부ㆍ공기업ㆍ지방자치단체ㆍ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들의 부채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부를 비롯한 공공 부문의 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어 이대로 가다가는 중남미 국가들의 전철을 밟게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39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올해는 42조7,000억원 늘어난 435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해 이자만도 22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286개 공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안고 있는 부채는 388조6,000억원에 달한다.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다. 지자체들이 선심성 사업을 남발하면서 떠안은 부채가 75조원을 넘어섰다. 지난 한해 동안 무려 24조원이 급증했다. 재정능력과 사업성 등을 감안하지 않고 무리하게 선심성을 사업을 벌인 결과 지자체와 지방공기업의 부채는 갈수록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문제는 앞으로 이 같은 부채가 줄어들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노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국민연금ㆍ노령연금ㆍ건강보험 등의 재정악화가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치권이 선거를 겨냥해 반값 등록금, 무상급식 등 포퓰리즘 경쟁을 벌이면서 국가재정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대학등록금 인하와 관련, 1조5,000억원의 정부예산 편성을 요구해놓은 실정이다.

 

우리 경제의 최대 강점 가운데 하나는 건실한 재정이었다. 그러나 대규모 재정적자에다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재정수입을 증대하거나 지출을 조정하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오는 205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137.7%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번 수렁에 빠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것이 빚이다. 부채의 수렁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재정적자를 비롯한 공공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권순활(논설위원)-20110706수] 포퓰리즘 거부 서약

 

영국 저널리스트 찰스 윌런의 저서 ‘벌거벗은 경제학’에는 곱씹어볼 만한 경구(警句)가 많다. 그는 ‘불황에 빠지면 직장에서 해고되는 노동자가 가장 큰 피해를 본다’고 썼다. ‘현실에서는 양심보다 호주머니가 더 큰 힘을 발휘한다’ ‘경쟁은 늘 자기와 무관할 때만 좋다’ ‘브랜드는 때로 제품 자체보다 중요하다’는 말도 밑줄을 그을 만하다. 윌런은 “잠시 대중의 비위를 맞추는 연설을 해서 박수를 받는 것과, 진실을 이야기해서 비난을 받는 것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나는 박수를 받는 쪽을 택하고 싶다”는 전직 미국 상원의원의 발언도 소개했다. 포퓰리즘의 유혹에 빠지기 쉬운 정치인의 속성을 꼬집은 내용이다.

 

▷자유기업원, 시민과함께하는변호사들 등 34개 단체가 참여한 ‘포퓰리즘 입법감시 시민단체연합’은 지난달 1일부터 국회의원 297명을 상대로 ‘포퓰리즘과 세금낭비 입법 안 하기 서약’을 받았다. 서약식이 열린 어제까지 서명한 의원은 전체의 13.5%인 40명에 그쳤다. 그나마 1차 마감일인 6월 17일까지는 16명만 서약했으나 일부 언론이 문제를 지적한 뒤 24명이 추가로 동참했다.

 

▷국정의 일차적 책임을 진 집권여당인 한나라당 의원 169명 중 강길부 나경원 나성린 신지호 이경재 이종구 조전혁 차명진 의원 등 37명(21.9%)만 포퓰리즘 입법을 안 하겠다고 약속했다. 제1야당 민주당 의원 87명 중에는 김우남 의원만 서명했고, 자유선진당에선 이명수 의원만 동참했다. 포퓰리즘 거부를 선언한 40명, 특히 야당인 김우남 이명수 의원의 소신은 돋보인다. 반면에 유력 정치인이나 과거 포퓰리즘의 폐해를 역설했던 경제장관 출신 의원들은 외면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어제 “내년 정치 일정 전후로 각종 지출 요구가 분출하고 재정 포퓰리즘이 확산돼 재정 건전성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의 말이 아니라도 지금은 돈을 어떻게 쓸 것인가 고민하는 베짱이가 아니라, 미래 수요에 대비해 어떻게 돈을 아끼고 모을 것인지 고민하는 개미의 자세가 요구된다. 내년 말까지 우리 경제의 핵심 화두는 정치권의 ‘포퓰리즘 표(票) 장사’가 나라를 망치는 수준까지 가지 못하도록 어떻게 적정 수위로 통제할 것인가에 모아질 수밖에 없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논설위원)-20110706수] ‘알바 지옥’

 

외국어를 축약하는 데 일본이 으뜸이다. 편의점이란 뜻의 ‘콤비니’는 영어 ‘컨비니언트 스토어’를 줄인 것이다. 빌딩은 ‘비루’다. ‘딩’이란 발음은 아예 뺐다. 종종 맥주를 뜻하는 ‘비루’와 헷갈리는 이유다. ‘바이토’는 노동을 뜻하는 독일어 ‘아르바이트(Arbeit)’를 줄인 거다. 이것만은 우리가 더 간명하다. 바로 ‘알바’다.

 

‘아르바이트’는 전후 독일에서 학비를 버는 일이란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폐허 속에서 제대로 공부할 수 있겠나. 휴학하는 학생이 늘자 대학과 정부가 시간제 일자리를 구해준다. 교육은 국가의 백년대계인 것이다. ‘라인강의 기적’ 이후 시간제 용돈벌이로까지 의미가 확장됐지만.

 

우리에겐 고학(苦學)이다. 학비를 스스로 벌면서 고생해 배운다는 뜻이다. 일본 강점기에 성행했나. 1923년 신문에 ‘고학을 목적하고 일본으로 오시려 하시는 여러 형님께’란 글이 보인다. 내용인즉, “신문배달은 조석간을 배달하고 이십원 내외. 밥 사먹고 나면 오륙원으로 근근이 학비는 조달할 수 있다. 우유배달은 먹고 6~7원이지만 아침저녁으로 일하니 복습이나 예습할 시간이 없다. 변소소제는 집마다 10~50전을 주지만 창피와 모욕이 말로 다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력거는 한 달에 10여 차 하면 학비는 되나 “단잠을 못 자고 학교에 간들 강의가 뇌(腦)에 들어갈 이치가 있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고학(苦學)에 고(苦)는 있어도 학(學)은 없다”고 했다.

 

6·25전쟁 이후도 마찬가지다. 당시 신문에 1959년 입학해 1965년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전쟁고아 이야기가 실렸다. 신문팔이·구두닦이를 전전하다 고려대에 입학해 서대문 호떡집에서 빵을 굽고 점심은 굶어가며 졸업했다는 감동 스토리다. 1969년 미국의 국제교육연구소가 파악한 한국 유학생 수는 3765명. 이 가운데 64%가 대부분 ‘접시닦이’ 고학생으로 파악됐다.

 

‘알바 천국’이란 구직 알선업체가 호황이란다. 하지만 실제는 ‘알바 지옥’이다. 구하기도 어렵지만 시간급도 짜다. 등록금 충당하기조차 어려워 ‘청년 백수, 만년 빚쟁이’ 신세다. 여전히 고(苦)는 있지만 학(學)은 어렵다. 독일 아우슈비츠는 ‘아르바이트는 자유를 준다(Arbeit Macht Frei)’고 했지만, 자유는 없었다. 젊음에게 주경야독(晝耕夜讀)이 아니면 야경주독(夜耕晝讀)의 의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알바’가 희망 없는 ‘젊음의 수용소’가 돼선 곤란하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설위원)-20110706수] 예스, 평창

 

강원도 평창에는 여름이 없다. ‘여름인 체하는 계절’이 있을 뿐이다. 대관령면 횡계리의 어느 음식점 주인의 표현이다. “여기는 일년 내내 겨울이에요. 한여름에도 응달에 얼음이 남아 있어요. 이곳 계절은 삼복 때나 잠시 여름인 체하다가 바로 겨울이 되지요.” 그의 식당에서는 8월에도 뒤뜰에 묻은 김장김치를 내놓는다고 한다. 평창군의 연평균 기온은 섭씨 10.3도, 고원지대인 횡계리는 6.1도이니 그럴 만도 하다.

 

‘한국의 알프스’로 불리는 평창군은 해발 700m 이상인 곳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한다. 태백산맥과 차령산맥의 1000m가 넘는 험한 산들이 사방을 둘러싸고 있다. 산이 높으면 하늘이 낮아진다. “평창은 하늘이 낮아 재 위에서는 높이가 석자에 불과하다.” 삼봉 정도전의 표현이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한때 난리를 피하기에는 좋으나 오래 살기에는 적당치 않다”고 적기도 했다. 하지만 두메산골인 평창지역은 구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되는 등 오래전부터 인류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고, 골이 깊으면 유서도 깊게 마련이다. 평창지역에는 골짜기마다 무수한 이야기가 쌓여 있다. 용평면 속사리에 내려오는 전설이다. 옛날에 재를 사이에 두고 친정아버지와 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버지가 병들어 친정에 가야 하는데, 그 재에는 여자가 넘어가면 호랑이가 잡아간다는 얘기가 있었다. 그래도 딸은 밤길에 나서 재를 넘는데, 과연 호랑이가 나타나 으르렁거렸다. 딸은 횃불을 입에 물고 재빨리 물구나무를 섰다. 그러자 호랑이는 “얼굴 없는 짐승은 처음 본다”며 그냥 물러갔다고 한다.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의 얘기다. 다음은 언제 얘기일까.

 

평창에는 아침이 오지 않았다. 해는 떠올랐지만 날은 어두웠다. 하늘에는 금이 가고, 땅에는 먹구름이 가득했다. 산골짜기마다 눈물이 흘러내려, 평창군청 앞마당은 울음바다를 이루었다.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도시가 발표되는 순간 “예스 평창”을 외치던 군중은 숨이 멎었다. 여름날인데도 평창은 한겨울처럼 싸늘하게 얼어붙었다.

 

지금으로부터 꼭 4년 전, 2007년 7월5일의 이야기다. 아직 마르지 않은 눈물은 이제 전설로 흘려보내야 한다. 그날의 아픔을 딛고 평창은 오늘밤 세 번째로 새 역사에 도전한다. 평창에 과연 새날은 올 것인가.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 데스크/진성기(과학기술부장)-20110706수] 노벨상과 `관치과학`

 

"기사 잘 봤습니다. 실제 정책에 반영이 되어 한국의 연구자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 일관성을 가지고 집중할 수있는 환경이 될 것을 상상해보니 참 즐겁습니다. 이런 좋은 기획 많이 하셔서, 정말 연구하기 좋은 환경으로 이끌어주신다면 연구하는 사람의 하나로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며칠 전 미국 코넬의대에 있는 한국인 박사 연구원이 보내온 이메일 내용이다. 매일경제신문이 `노벨상 못타는 한국과학`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한 기획기사에 대한 코멘트였다. 또 다른 과학자는 "한국 과학계의 현주소와 문제점, 앞으로 나갈 방향을 잘 짚었다"는 의견을 보내왔다.

 

기사를 통해 드러난 국내 환경은 노벨과학상 수상과는 한참 동떨어진 모습이었다. 상당수 과학자들이 유행을 좇아 수시로 연구주제를 바꿨고, 국책과제를 따러 밖으로 다니느라 툭하면 실험실을 비웠다. 박사급 연구원들은 실험실 관리에 과제 신청자료 작성, 강의준비까지 `잡일`의 연속이었다.

 

젊은 과학자 양성도 말뿐이었다. `신진연구지원사업` 중 35세 미만 과학자에게 돌아간 것은 5%에 불과했다. 원로ㆍ중진 과학자가 거의 다 챙겨간 것이다. 한국 과학의 현실은 이렇게 뒤틀렸다. 한우물만 팔 수 있도록 연구환경을 만들어주는 선진국과는 대조적이다.

 

노벨상 후보자로 거론되는 미국 록펠러대학 랄프 스타인만 박사는 바이러스나 세균을 잡는 파수꾼인 `수지상세포`만 30년 이상 파고들었다고 한다. 그는 매경 기자에게 "20~30년간 필요한 시간만큼 오랫동안 지원받을 수 있었다는 게 행운이었다. 또 뛰어난 멘토(지도 교수)와 똑똑한 학생들이 있었기에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했다.

 

기사가 나간 뒤 과학자들은 조언과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 응용ㆍ개발연구 중심에서 기초연구로, 대형에서 소규모 연구로, 단기에서 장기 연구로 방향을 돌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문제의 뿌리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른바 `관치(官治)과학`이다.

 

"관료들은 자리에 있는 동안 눈에 보이는 단기성과를 내보이기 위해 대형사업을 만들어냅니다. 이들은 친분 있는 교수나 출연연구소 간부급 연구원에 의존해 대형 국책과제를 기획하죠. 관료의 위임을 받은 과학자는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과제 내용을 짜게 됩니다. 대형사업단은 다 이런 식입니다. 사업단 밑에는 소규모 사업단들을 두는데, 여기에 참여하기 위해 과학자들 간에 치열한 경쟁이 일어납니다. 사실상, 대형과제 책임자 선정 단계부터 치열한 로비와 줄서기가 이어지는 셈이죠. 나이 50대의 사업단장은 3년+3년+2년 등 다단계 구조로 되어 있는 사업에서 다음 단계에 배정되는 예산이 깎이지 않도록 30대의 젊은 사무관에게 잘 보이려 합니다. 지금도 여전히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R&D 정책을 짜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선진국은 개발연구 비중이 많아야 20%인데 우리는 50%나 됩니다."

 

문제점 지적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 대안도 제시했다. "연구비 배분ㆍ관리 체계를 관료로부터 독립시켜야 합니다. 한국연구재단 등 국가 연구비 관리기관을 학계 중심으로 운영하고, 투명성 확보를 위해 철저한 감사를 해야 합니다. 대형사업단 중심의 연구비 배분은 대폭 줄이고, 개별 연구책임자의 창의력에 의존하는 1인 연구과제가 국책연구의 주류가 돼야 합니다. 또한 캐치업(catch-up) 방식의 중진국형 투자에서 벗어나 창조형으로 전환해야 하고요."

 

이런 지적을 하면서도 과학자들은 특정 관료 또는 특정 과학자를 부도덕하거나 무능하다고 탓하지는 않았다. 공무원이 교수에게 줄서라고 한 적도 없고, 교수도 제자 같은 공무원에게 자존심 죽여가며 비위를 맞추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관료 주도로 모든 것이 이뤄지는 국가 R&D 정책 결정 시스템이 문제의 시작이고 끝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엘리트 공무원과 의욕에 찬 과학자를 `악어와 악어새`의 관계에 빠져들게 하는 그런 시스템 말이다.

2011년 7월 20일 수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10720수] 수능 출제관리 이렇게 허술했다니

 

수험생 자녀를 둔 교수와 교사들이 대학 수학능력시험 출제ㆍ검토 위원으로 참여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로 뒤늦게 드러난 것은 어처구니 없다. 규정 위반 여부를 떠나 유관기관들의 기강 해이가 얼마나 심각한지 새삼 일깨운다. 무엇보다 감독 책임이 있는 교육과학기술부는 도대체 뭘 했는지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감사원이 수능 출제를 맡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감사한 데 따르면, 자녀가 대입 수험생인 대학교수와 고교 교사들이 수능 출제 및 검토위원으로 참여한 사례는 한두 건이 아니다. 또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이나 계속됐다. 1차적 책임은'수능 응시 자녀가 없다'고 거짓 확인서를 제출한 위원들에게 있다. 민감하기 짝이 없는 수능 출제를 맡은 공적 책임을 저버린 잘못이 크다.

 

그러나 더 큰 잘못은 70만 수험생의 운명을 가를 수능 출제 관리자로서 규정준수 여부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은 교육과정평가원에 있다, 그런데도 평가원은 "적발된 11명 중 검토위원 9명은 늦게 합류했고, 출제위원 2명의 자녀는 해당과목을 선택하지 않아 문제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문제 될 게 없으니 부실관리 책임도 어물쩍 넘기자는 얘기다. 게다가 교과부는"해당 위원들이 업무를 방해했다면 평가원장이 고발할 수 있다"며 마치 강 건너 불구경 하는 투다.

 

교과부와 유관기관의 무책임한 행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얼마 전 민요 '아리랑'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으로 선정됐다는 인터넷 루머가 국정교과서에 실린 일에 대해서도 끝내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교과부 관계자는 "관련 내용이 틀렸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근거가 없기 때문에 내년부터 관련 부분을 수정하기로 했다"는 해괴한 주장을 펴며 "명확한 규정이 없어 징계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정교과서의 치명적 오류와 수능 출제의 구멍을 이런 식으로 얼버무린다면 국민이 어떻게 교육행정을 신뢰할 수 있겠는가. 이주호 장관이 책임진다는 자세로 직접 나서 바로 잡아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720수] 한-미 자유무역협정, 전면 재검증 필요하다

 

민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10+2 재재협상안’을 내놨다. 이 안은 미국과 재재협상을 해야 할 10가지와 국내 보완과제 2가지로 구성됐다. 반면에 한나라당은 8월 임시국회에서 비준동의 절차를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혀 야당과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놓고 정치권이 정략적 공방만 벌여서는 안 된다. 오히려 국회가 그동안 제기된 비판과 문제의식을 수렴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끄는 생산적 토론의 장을 열 때다.

 

민주당은 최근까지 ‘참여정부가 맞춰놓은 이익의 균형이 이명박 정부 들어 추진한 재협상에서 깨졌다’며 재재협상을 통해 원점으로 되돌려놓을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어제 낸 제안은 한발 더 나아갔다. 애초 타결된 협정문 가운데 투자자-국가 직접소송제(ISD) 등 이른바 ‘독소조항’으로 지적된 내용도 미국과 재재협상을 통해 폐기 또는 수정하도록 요구했다. 이는 민주당 스스로 처음부터 잘못된 협정이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주권국가라면 자유무역협정은 선택의 문제인 만큼 필요하면 재재협상도 요구할 수 있다. 미국도 자국 자동차산업이 위기를 맞자 재협상을 요구해 핵심 조항을 대폭 수정한 바 있다. 민주당은 애초 잘못된 협상안을 받아들였던 과오를 바로잡는다는 뜻에서라도 재재협상안 관철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정부·여당 역시 미국 의회가 이미 이행법률안 심의에 들어갔다는 이유 등을 들며 비준동의 절차를 서두르는 대신 국익의 관점에서 재고해야 한다. 특히 국내 보완과제, 즉 통상절차법 개정과 무역조정지원제도의 강화는 여당도 반대할 명분이 없다. 민주적이고 투명한 통상조약 심의·의결 절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에서부터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은 국회에서 통과되면 곧바로 특별법의 효력을 갖게 된다. 협정은 두 나라 사이의 교역 질서뿐 아니라 공공정책과 국민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량만 무려 763쪽에 이르는 또하나의 큰 법전이다. 협정과 충돌하는 국내 법률이 정부 쪽 추산으로도 30가지가 넘는다. 그런데 주요 내용에 대한 정부의 설명은 달랑 3쪽이다. 이런 상태에서도 한나라당이 8월 국회에서 야당의 반대 의견을 무시하고 강행처리하려 한다면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각오해야 한다. 전면 재검증은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20110720수] 호화청사에 예산 낭비 말고 호텔급 분만실 갖춰야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 병·의원이 없는 시·군이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49곳이나 된다. 전남의 경우 17개 군 단위 지역 가운데 6개 군은 산부인과 병·의원이 없거나 있더라도 분만실이 없고, 8개 군은 1시간 안에 분만 가능한 병·의원으로 가기 힘든 '분만 취약지'이다. 전남 장흥의 산모는 작년 12월 갑작스러운 출혈로 지역 병원 구급차를 타고 광주 대학병원까지 1시간 50분을 달려가야 했다.

 

국 3600개 산부인과 병·의원 가운데 분만실이 있는 곳은 17.6%인 634곳에 불과하다. 분만실은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산부인과 의사 2명에 간호사 6명, 그리고 언제라도 와서 도와줄 수 있는 마취과·소아과 의사가 있어야 하고 산모 식당도 갖춰야 한다. 이런 부담을 걸머지면서 수지(收支)를 맞추려면 한 달에 적어도 20~30건의 출산을 채워야 하지만, 저출산 경향 때문에 농·어촌 산부인과에선 한 달 10건도 힘든 실정이다. 그런 데다가 산부인과 의사들이 고(高)위험 시술인 분만 진료 때문에 의료분쟁에 휘말리는 걸 기피해 분만실을 없애고 외래진료만 하려는 경향도 있다. 전남 강진군은 2억5000만원의 전세보증금을 대신 부담하고 월 600만원씩 지원하겠다는 조건으로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 병·의원을 유치하려 했지만 신청이 없었다고 한다.

 

이것이 저출산 극복을 최우선 국가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태아와 산모 보호에 필요한 분만실 하나 제대로 갖춰놓지 않고서 육아수당·출산축하금을 줄 테니 아이를 낳아달라고 호소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그런데도 지자체들은 주민에게 가장 절박한 곳보다 자기들 업적으로 과시할 호화청사·공설운동장·실내체육관·박물관·문화예술원 같은 으리으리한 시설을 짓는 경쟁에 돈을 퍼쓰고 있다. 시장·군수들은 구멍 뚫린 시루에 돈을 퍼부을 것이 아니라 그 돈으로 공공 의료시설에 호텔급 분만실부터 설치해야 한다.

 

 

[경향신문 사설-20110720수] 공신력 잃은 교육과정평가원 이대론 안된다

 

대입수학능력시험을 비롯한 시험업무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위탁받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시험관리가 부실하기 짝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2008~2011학년도 평가원에 대한 기관운영감사를 실시했더니 대입 수능과 고입선발고사 출제과정에서 수험생을 둔 학부모가 부당하게 참가한 사실이 밝혀졌다. 4년간 대입 수능 출제과정에 부적격자 11명이 ‘수능 응시 자녀가 없다’는 허위 확인서를 쓰고 참여했다고 한다. 또 비평준화 지역 고입선발고사에서도 5명의 교사들이 자신의 자녀가 응시할 시험의 출제과정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제 규정상 수험생 자녀가 있는 교수나 교사의 참여가 금지되어 있는데도 평가원은 허위 확인서를 걸러내지 못한 것이다. 고입과 대입의 당락을 좌우하는 국가시험이 이처럼 허술하게 관리되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

 

이번 감사에서 드러난 ‘허위 확인서’는 참으로 어이가 없다. 수험생 부모를 출제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은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르는 문제의 사전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통상 출제·검토위원으로 선정되면 합숙에 앞서 2~3주 신변정리 기간을 갖는데, 이때 출제경향이나 문제유형을 자녀에게 알려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런데 지난 4년 출제과정 참여자 가운데 허위 확인서를 쓴 부적격자가 적발됐다. 이는 해당 출제·검토 위원이 고의적으로 허위 기재했거나, 해마다 수백명의 출제요원을 확보해야 하는 평가원 측이 관행상 임의로 확인서를 조작했기 때문일 것이다. 어떤 경우라도 평가원은 책임을 피할 길이 없다. 출제·검토 위원의 가족관계를 확인하지 못했다면 직무유기일 터이고, 허위를 묵인했다면 시험 사전유출을 방조했다는 뜻인 까닭이다.

 

이번에 적발된 수능과 고입선발고사 출제과정의 부적격자 비율은 높지 않다. 하지만 사전유출 가능성도 없어 공정성을 심각히 훼손할 정도는 아니라며 유야무야해서는 결코 안될 일이다. 고입과 대입의 국가시험은 공정성이 생명이다. 지난해 수능의 샤프펜슬 불량도 평가원의 관리부실이 원인인 것으로 이번 감사에서 드러났다. 평가원의 공신력은 땅에 떨어졌다. 평가원의 부실한 관리를 4년이나 방치한 교과부도 책임을 피하기 힘들다. 교과부와 평가원은 수험생과 학부모의 불신을 씻어주는 후속조치를 내놓아야 한다. 부적격자의 참여 경위를 철저히 추궁해야 하겠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시험관리의 공신력을 떨어뜨린 평가원에 대해 인적 쇄신을 단행하는 일이다.

 

 

[서울신문 사설-20110720수] 독도문제 차분·단호하게 대응한다지만…

 

일본 외무성이 대한항공의 독도 항로 시험비행을 이유로 그 이용을 자제하라고 지시한 데 이어 자민당 의원 4명이 다음 달 2일 울릉도를 방문한다는 계획이 보도되면서 독도 문제가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갈수록 노골화, 치밀화, 지능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그동안의 대응책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다시 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정부의 독도 대응책은 줄곧 ‘조용한 외교’ 전략을 유지해 오다가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차분하고 단호한’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명박 정부는 독도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책을 밝히지 않아 기존의 대응책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확실한 대응책이 제시되지 않다 보니 외교통상부 등 관련 부처에서 단호한 대응과 차분한 대응 간의 이견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와는 별도로 정치권에서는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할 때마다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을 해왔다.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 계획에 대해서도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정치인들의 목소리가 크다. 일본 측의 치졸한 계산을 모르지는 않지만, 이들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등 과격한 대응을 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의 유력지 월스트리트저널이 15일 독도 관련 기사에 처음으로 다케시마라는 명칭을 병기한 것은 여러 가지로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대로 우리 정부의 대응이 국내와 일본에만 국한돼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의 대응이 미흡했을 수도 있다. 반대로 월스트리트저널의 이번 조치가 우리 민간 측의 뉴욕타임스 광고, 타임스퀘어 광고 등에 대한 역작용이라는 지적도 경청할 필요는 있을 것 같다.

 

정말로 걱정되는 것은 10년 뒤에 나타날 현상이다. 현재 일본에는 독도가 일본 땅이 아니라고 믿고, 말하는 양심적인 인사들도 많다. 그러나 일본의 10대들은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왜곡된 역사 교과서로 교육을 받고 있다. 이들이 성인이 된 뒤에는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잘못된 신념을 머릿속에 새긴 채 독도 문제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정부로서는 이런 문제까지 포함해 장기적이고 전반적인 독도 대응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720수] 4대강 저주하던 자들은 지금도 말이 많고…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성과가 입증되었다. 기록적 장마에도 불구하고 4대강 유역에서는 농경지와 가옥 침수 소식이 거의 들리지 않았다. 사업에 반대하던 일부 농민들도 이제는 홍수 걱정에서 해방됐다며 이 사업에 대한 종전의 인색한 평가를 바꾸고 있다. 이번 장마는 강우기간이 평년보다 1주일이나 길었고 강우량도 642㎜에 달해 동일기간 평균 강우량 249㎜의 2.5배에 달했다. 강우량이 평년의 5배가 넘는 곳도 허다했고 특히 한 시간에 30㎜ 이상 내리는 폭우가 전국에서 65차례나 쏟아졌다. 예년 같으면 강이 범람하고 농경지와 가옥이 침수하는 피해가 엄청난 규모였을 것이다. 하지만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흔히 물받이라고 불렸던 지역들에도 피해가 적었고 하천 유역 근처 농경지나 가옥들의 피해도 보고된 사례가 눈에 띄게 줄었다.

 

피해 총액도 1500억원(17일 기준)에 불과하다. 1999년에는 10일 동안 95~633㎜의 호우로 1조원이 넘는 피해가,2004년엔 불과 300㎜의 비로 2041억원의 피해가 있었던 것에 비하면 놀라울 정도의 결과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세세한 설명이 필요없다. 현재 4대강 준설량은 7일 기준 4억3000만㎡로 목표의 94%를 완료한 상태다. 4대강 사업의 성과가 아니라면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홍수기에 두고보자"며 4대강 꼬투리 잡기에 몰두해온 사이비 자연정령 숭배자들은 지금도 반성은커녕 사소한 문제들을 침소봉대하며 거짓을 전파하기에 여념이 없다. 일부 지역에 토사가 다시 쌓이는 현상이나 지류의 제방이 유실되는 등의 부분적인 문제를 마치 전체의 문제인양 호도하는 낡은 선전 수법에 머리를 박고 꼬투리 잡기에 골몰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은 처음부터 과학적 방법론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드러난 증거를 외면하고-이는 천안함도 마찬가지다-주술적 자연정령주의를 환경철학으로 가장하면서 반대 투쟁만 해왔을 뿐이다. 호우가 닥치면 두고보자던 뒤틀린 자들의 태도가 바뀌기를 기대하는 것은 처음부터 잘못이다. 국민들이 사실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할 뿐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720수] 은행권의 고졸채용 확대가 갖는 의미

 

일부 은행들을 중심으로 고졸 행원 채용이 늘고 있어 고졸자들의 취업기회 확대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은행과 국민은행에 이어 산업은행도 15년 만에 고졸채용제를 부활해 하반기 채용 예정인 신입사원의 3분의1을 고졸자로 채우기로 했다. 양질의 일자리라는 평가를 받는 은행들이 이처럼 고졸자 채용을 늘릴 경우 고등학교만 나와도 질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줌으로써 무조건 대학에 진학하는 풍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열이 높은 것이 문제될 것은 없지만 80%를 넘는 과도한 대학진학률은 높은 청년실업률로 이어져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이 병적으로 높은 것은 대학졸업장이 있어야 취업이 되고 사람 대접을 받을 수 있는 사회풍토 때문이다. 또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은 물론 기업들도 대졸자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굳이 고졸자를 채용할 필요가 없어 고졸자가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지게 된 것이다. 학력에 따른 임금격차가 클 뿐 아니라 승진속도 등에서의 불이익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다 보니 직장에서는 고졸자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직무를 대졸자들이 담당하는 학력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은행ㆍ보험 등 국내 금융회사 일선 창구에서 근무하는 창구직원 가운데 고졸 사원의 비중은 34%에 불과해 미국(83%)보다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현재 근무 중인 은행 등 금융권 종사자 가운데 고졸 출신 사원은 대부분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입사자들이다.

 

은행을 비롯한 기업들의 인력채용 정책은 자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업무의 난이도와 직무특성에 가장 적합한 인력을 확보해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일부러 대졸자를 기피하고 고졸자를 우대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고졸자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직무에 굳이 대졸자를 쓸 이유는 없을 것이다. 인건비 부담이 클 뿐 아니라 업무만족도 등도 오히려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고졸 채용 분위기가 공기업 등으로 확산돼 학력 인플레이션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송평인(논설위원)-20110720수] 사회참여 연예인

 

미국 홈쇼핑 채널 QVC은 최근 베트남전 반대운동으로 유명한 미국 여배우 제인 폰다의 신간 ‘프라임 타임’을 홍보하려던 계획을 취소했다. 그의 반전운동 경력을 비판하는 시청자들의 항의 때문이었다. 폰다는 당시 베트콩의 대공포 위에 앉아 웃는 사진이 공개되면서 미국 참전 용사들로부터 맹비난을 받았다. 폰다는 나중에 여러 차례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지만 전쟁에 반대한다는 주장은 굽히지 않았다.

 

한국에서 최근 다시 사회참여 연예인이 주목받은 것은 여배우 김여진 씨의 반값등록금 1인 시위부터다. 그 전에 홍대 청소용역 노동자 농성장을 방문하는 활동을 할 때만 해도 김 씨는 기성 언론이 소홀히 한 분야에 관심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반값등록금 시위 이후 한진중공업 파업사태 등 곳곳에 얼굴을 비추면서 ‘영화나 드라마보다는 뉴스 현장에 더 자주 나타나는 배우’라는 비아냥도 받는다.

 

▷MBC가 “사회적 쟁점에 대해 특정단체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지지 또는 반대하는 발언이나 행위”를 한 경우 고정출연을 제한하는 새 심의규정을 만들었다. 이 규정으로 김 씨의 라디오 고정패널 내정이 취소됐다. 즉각 조국 서울대 교수, 소설가 공지영 이외수 씨 등이 반발해 MBC 출연거부를 선언했다.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첨예하게 대립된 이슈에서 한쪽 편을 든 연예인을 출연시키면 MBC가 그런 극단적인 견I해를 지지하는 것으로 시청차들이 오해할 수도 있다. 연예인뿐만 아니라 교수 의사 등에도 해당하니까 연예인을 특별히 차별대우하는 것도 아니다.

 

▷판단력이 흐린 청소년들에게 연예인의 발언은 파급력이 크다. 광우병 파동 때도 몇몇 연예인들이 비과학적인 선동을 해 청소년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쳤다. 공중의 전파를 사용하는 방송은 개인이 돈을 투자해 만드는 영화나 공연과는 달리 출연 연예인의 선정기준에서 더 엄격한 것이 당연하다. 사회참여 연예인이라는 뜻으로 소셜테이너(socialtainer)란 말이 한국에서 유행한다. 영어에도 없는 국적불명의 말이다. 우리처럼 국내의 정치적 이슈만 따라다니는 연예인이 아니라 수단 다르푸르 평화활동을 펴는 조지 클루니 같은 진정한 사회참여 연예인을 보고 싶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논설위원)-20110720수] ‘꿈꾸는 쪽방’

 

“단칸 쪽방에 식구들이 살을 붙여 포개어 살다, 창문 달린 집으로 이사한 날 밤 하늘이 참 예쁘고 넓다는 걸 알았다.” 시인 장시아의 『까치집 사람들』 중 한 대목이다. ‘까치집’은 산동네에 위치한 쪽방의 별칭이다. 말 그대로 쪼갠 방이 쪽방이다. 넓이는 한 평 남짓. 최저 주거기준 9.9㎡에 못 미친다. 두 명이면 새우잠을 자야 한다.

 

서울 돈의동은 쪽방촌으로 유명하다. 일제시대에는 땔감을 팔던 시장이었다. 해방과 6·25를 거치며 ‘종삼’이 된다. 도심 사창가다. 1968년 속칭 ‘나비작전’으로 된서리를 맞고, 품팔이 노동자가 자리를 대신한다. “늘어 처진 육신에 또다시 다가올 내일의 노동을 위하여”(박노해 『노동의 새벽』) 기어드는 노숙 직전 마지막 주거 양식이다. 서울 종로·용산·영등포·중구에 아직도 쪽방 3508가구가 몰려 있다.

 

조개의 상처가 진주를 맺고, 진흙에서 연꽃이 피는가. 조세희의 소설에서 난쟁이가 작은 공을 쏘아 올린 ‘낙원구 행복동’도 쪽방촌이다. 소설가 신경숙이 10대 후반의 아픈 영혼을 추스른 『외딴 방』 역시 구로공단의 쪽방이다. 비록 손수건만 한 햇볕이 아쉬운 공간이지만, 꿈만은 세상을 덮는 보자기만 했던 셈이다. ‘꿈꾸는 쪽방’이랄까.

 

다락은 부엌 위에 이층을 만들어 물건을 두는 곳이다. 확장된 개념이 다락방이다. 그래도 여기는 좀 낫다. 밖으로 난 창이 있다. 소설 『소공녀』에서 하녀로 전락한 주인공 사라의 다락방. 창문은 행복한 꿈이 실제로 이뤄지는 통로다. 그래선지 소녀들은 유난히 다락방을 좋아한다. 노래도 있다. “우리 집 제일 높은 곳, 조그만 다락방. 난 그곳이 좋아요.” 그 바람에 다락방을 낸 아파트가 유행이고, 다락방 인테리어도 성업이다.

 

이런 쪽방과 다락방이 요즘 품귀란다. 대학가 월세대란 때문이다. 서울 홍제동 노인요양시설을 개조한 대학생 임대주택 ‘꿈꾸는 다락방’에 8대1의 입주 경쟁이 벌어졌다. 고려대 근처의 월세 15만원짜리 ‘쪽방’은 방학인데도 꽉 차 있다고 한다. 쪽방의 주역이 노동자에서 등록금 빚에 몰린 대학생으로 교체된 것인가.

 

이지성씨는 저서 『꿈꾸는 다락방』에서 ‘R=VD’란 공식을 주장했다. 생생하게(Vivid) 꿈꾸면(Dream) 현실화(Realization)한다는 것이다. 등록금 장사에 혈안이 된 대학들이 그대들을 쪽방으로 내몰았어도 꿈마저 쪼가리일 수는 없지 않은가. 드넓은 쪽방의 꿈, 하늘 높은 다락방의 꿈을 위하여.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설위원)-20110720수] 여름 화로

 

쓸모없는 짓이나 불필요한 물건을 가리켜 흔히 ‘하로동선(夏爐冬扇)’이라고 한다. 여름날의 화로나 한겨울의 부채질은 생각만 해도 뜬금없다. 그런데 선가(禪家)에 들어서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여름 화로와 겨울 부채는 ‘병 속의 새’처럼 쉽게 깨치기 힘든 화두가 된다. 중국 당나라의 선승 동산양개 화상의 일화다.

 

어느 학인이 양개 스님에게 물었다. “더위나 추위는 어떻게 피해야 합니까?” 스님이 답했다. “더위도 추위도 없는 곳으로 가거라.” “네?” “더울 때는 그대를 덥게 하고, 추울 때는 춥게 하라. 그러면 더위도 추위도 없다!” 더위 속에는 더위가 없고, 추위 속에는 추위가 없다는 것이다. 비슷한 선문답이 또 있다. 어느 선사에게 피서법을 묻자 이런 답변이 돌아왔다. “끓는 가마솥과 타는 화로 속에서 더위를 피하라. 거기에는 어떤 고통도 없느니라.”

 

더위를 피하는 길은 더위 속에 숨어 있다. 더우면 더위 속으로 들어가라는 말은 마음으로 들어야 들린다. 여름나기에 몸이 지친 선인(先人)들은 마음으로 더위를 다스리고자 했다. ‘여름 화로’는 선방의 수행자뿐만 아니라 옛사람들은 누구나 품었던 공통 화두이기도 하다. 조상들의 피서법을 들여다보면 한 줄기 선풍(禪風)이 느껴진다. 가령 다산 정약용의 ‘소서팔사(消暑八事)’는 상상만 해도 마음에 삽상한 바람이 인다. 다산은 1824년 여름에 쓴 시에서 ‘8가지 피서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즉 솔밭에서 활쏘기, 느티나무 그늘에서 그네타기, 빈 누각에서 투호놀이하기, 대자리 깔고 바둑두기, 연못의 연꽃 구경하기, 비오는 날 시짓기, 달밤에 탁족하기, 숲 속에서 매미소리 듣기가 그것이다. 가히 선경(仙境)이라고 할 여름날의 풍경이다.

 

부채는 땀을 식히지만 매미소리는 마음을 식힌다. 마음이 시원하면 몸도 시원해진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시다. “사람들이 더위를 피해 이리저리 다니지만/ 항(恒) 선사는 홀로 방에서 나오지도 않네/ 선방엔들 무더위가 없으랴만/ 단지 마음이 안정되면 몸도 시원한 것을!” 더위를 다스리려면 마음을 다스리라고 백거이는 노래하고 있다.

 

긴 장마가 끝나자 폭염이 전국을 덮쳤다. 열대야에 잠을 설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화로를 끌어안은 듯 뜨거운 나날이다. ‘여름 화로’는 저리도 맹렬한데 이를 다스릴 ‘겨울 부채’는 어디서 구해야 하나.

 

 

[매일경제신문 칼럼-테마진단/김진수(건국대 행정대학원 교수)-20110720수] 공공관리제도 1년을 돌아보며

 

서울시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도시ㆍ주거환경정비사업 공공관리제도가 도입된 지 1년이 지났다. 도입 초기 대부분 전문가가 취지에는 공감하나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는 게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던 대로 1년이 지난 지금 공공관리 부작용이 하나둘씩 드러나고 있다.

 

재개발ㆍ재건축사업 투명성 제고에는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현장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공공관리제가 각 현장에 대한 관리ㆍ감독은 강화하면서 정작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책이 거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과 사단법인 주거환경연합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현 공공관리제도에 만족한다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불만족이라는 의견이 76.1%로 나왔다. 물론 이는 추진위ㆍ조합 임원과 관련 업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였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면 조금 다른 결과가 나왔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재개발ㆍ재건축 일선 현장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당사자와 관련 업계 전문가 평가가 이 정도라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공공관리 도입 당시 가장 큰 목표는 투명성 제고와 사업비 절감이었다. 투명성 제고에서는 선거를 통한 추진위 구성, 클린업시스템 도입을 통한 정보 공개 등으로 상당 부분이 개선됐다고 볼 수 있다. 사업비 절감에 대해서는 아직 공공관리를 통해 사업이 완료된 곳이 없기 때문에 검증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어찌 보면 공공관리제는 당초 목적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관계자들 인식은 왜 좋지 않은 것일까.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 부문에서도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고 예기치 않았던 문제점도 속속 생기고 있으며 지원책은 없이 오히려 사업 진행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선거를 통해 추진위 구성 시기를 단축했지만 추진위 구성 이후에 주민 갈등으로 홍역을 겪는 사례도 발생하고 클린업시스템으로 정보를 공개해야 하지만 일부 반대 세력에서는 이를 이용해 집행부를 흠집 내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정확하지 못한 사업비ㆍ분담금 산정 프로그램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기도 했으며, 이에 대한 책임 소재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업체 선정에서도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시공사 선정을 사업인가 이후로 늦춘 상태에서 추진위ㆍ조합 운영비 조달에 대한 불만 목소리가 매우 높다. 담보대출은 애당초 쉽지 않은 문제고 과거 보증인을 5명에서 1명으로 줄였다고는 하지만 일선 조합 처지에선 자기 개인사업도 아닌데 자기 재산을 담보로 보증에 의한 신용대출을 받아 사업경비로 충당하기란 어불성설인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선 현장에서는 공공관리제도를 `해주는 것은 없이 참견만 하는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뉴타운사업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고 공공관리제도를 흠집 내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가뜩이나 현장 여론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재개발ㆍ재건축ㆍ뉴타운사업 등 도시재생사업은 도심 내 부족한 질 좋은 주택을 공급하고 효율적인 도시 공간 재구조화와 경제 활성화, 고용 창출 등 도시 경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도시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공공관리제를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공공관리`만이 아닌 `공공지원`이 적극적으로 강구돼야 한다.










[한국일보 사설-20110804목] 도요타와 어깨를 겨루는 현대-기아차

 

현대ㆍ기아차가 올 상반기 일본 도요타를 제치고 세계 4위 자동차메이커로 자리한 실적이 놀랍다. 도요타가 중국 생산 판매분을 합할 경우 여전히 앞선 것으로 수정 확인됐으나 이 역시 간발의 차여서 현대ㆍ기아차가 도요타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1999년 합병 당시 세계 7위를 목표로 내건 지 10여 년 만에 거둔 비약적인 초과 성과다.

 

현대ㆍ기아차의 약진은 지난해 도요타가 미국에서 대규모 리콜 사태를 맞으면서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그러나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실적으로 연결한 마케팅과 품질 제고 노력은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움직이는 국가 홍보관인 자동차 분야에서 도요타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는 사실은 TV 냉장고 등에서 국내 기업이 일본 소니를 제친 것과는 전혀 의미가 다르다.

 

하지만 현대ㆍ기아차의 최근 실적은 도요타의 부진에 따른 반사이익인 데다 국제 시장의 최근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는 점에서 마냥 박수만 보낼 수는 없는 상황이다. 도요타는 이미 리콜의 후유증을 이겨내고 지진의 여파에서도 벗어나 생산능력을 거의 회복, 신형 캠리 등을 앞세워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다. 최대 시장 미국에서 내성을 키운 도요타와 언제 어떤 어려움에 봉착할지 모르는 현대ㆍ기아차는 사정이 전혀 다르다.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국내시장에 몰려오는 유럽차를 보면 국내 시장도 더 이상 현대ㆍ기아차의 독무대는 아니다. 국내외 시장 모두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글로벌 전략이 필요하다.

 

정몽구 현대ㆍ기아차회장은 품질 면에서는 그 어떤 양보가 없고 우수 마케팅 직원만큼은 통 크게 관리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런 경영방식이 현대ㆍ기아차의 고속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현대ㆍ기아차가 도요타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고질적인 노사관계 불안, 협력업체와의 진정한 동반성장에도 통 큰 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번 실적이 현대ㆍ기아차와 정 회장에게 스마트한 한국의 대표 글로벌 기업, 대표 경영인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치밀한 검증과 전략 개발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804목]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섣부른 축소 안 된다

 

정부가 65살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 하위 70%’로 돼 있는 기초노령연금 수령 대상자를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보건복지부는 그제 국회 연금제도개선특위에 이런 방침을 보고하고 ‘최저생계비 150% 이하 노인’을 유력한 대안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현재 70% 수준인 수령 대상자가 2030년엔 51% 정도로 줄 것으로 예측돼, 노인층의 대량 빈곤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현행 기초노령연금이 저소득층 노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앞으로 국민연금 수령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 등을 제도 개편이 필요한 이유로 꼽는다. 기초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 가입자 월평균 소득액의 5%로 산정하는데, 올해의 경우 1인 가구가 9만1200원으로 1인당 최저생계비 53만원의 17% 수준에 불과하다. 이 정도론 노인층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에 도움이 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2028년까지 국민연금 평균소득액의 10%로 높일 예정이라지만, 더 일찍 지원 규모를 현실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도 복지부는 기초노령연금 수령 대상자를 줄인다는 방침만 밝혔을 뿐, 지원액을 늘릴지 여부에 대해선 보고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 국민연금의 경우 2007년 국민연금법이 개정돼 당시 60%(중간소득자 기준)였던 소득대체율이 해마다 낮아져 2028년엔 40%로 떨어지게 돼 있다. 노후빈곤 예방 기능에 상당한 구멍이 뚫려 있는 셈이다.

 

기초노령연금은 한국 사회의 오늘을 일궈낸 60~70대들이 빈곤에 신음하지 않도록 2007년 도입됐다. ‘세대간 부의 재분배’라는 철학이 상당히 배어 있는 제도다. 이들은 죽어라 일했지만 스스로 노후를 준비하지 못했고, 그렇다고 자식들의 부양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처지다. 2000년대 중반 우리나라 노년층의 상대적 빈곤율(중위가구소득 절반 미만의 소득자 비율)은 45%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인 13.3%보다 월등히 높다. 지난해 536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1%였던 노인 인구는 2030년엔 1181만명으로 늘어나 전체 인구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게 된다.

 

재정 부담 등의 문제가 있지만 기초노령연금 대상자를 줄이는 게 능사는 아니다. 정부는 노인층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과 규모를 늘리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옳다.

 

 

[조선일보 사설-20110804목] '납북' 피해자의 恨 많은 세월

 

정부가 김상덕 전 반민특위위원장 등 6·25전쟁 기간 중 자기 의사에 반해 강제로 북으로 끌려간 민간인 55명을 '납북(拉北) 피해자'로 결정했다. 우리 정부가 '납북 피해자'를 공식 인정하고 인적사항과 납북 일시(日時)·장소를 구체적으로 조사해 밝힌 것은 61년 만에 처음이다.

 

이번 결정으로 그동안 납북·월북(越北) 구분 없이 '북에 갔다'는 이유만으로 손가락질당하며 한(恨)의 세월을 살아온 납북 당사자와 그 가족의 명예가 조금이나마 회복될 길이 열렸다. 납북자 가족들은 사랑하는 가족과 생이별을 당하고서도 '신원특이자' 가족으로 분류돼 오랫동안 공직 진출이나 해외여행 등 사회활동에서 많은 제약을 받았다.

 

북한은 그동안 6·25 민간인 납북 문제와 관련해 "납치된 사람은 없고 모두 자유 의지로 북에 온 사람들"이라고 억지 주장을 펴왔다. 그러나 8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는 6·25 납북자의 절대다수가 북한군과 부역(附逆) 세력에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이다. 이번에 납북자로 인정된 55명 중 53%인 29명은 서울 출신으로 이들은 북한의 남침 이틀 만에 정부가 피란을 가는 바람에 정부 보호를 전혀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북에 끌려갔다.

 

북한의 민간인 납북은 전시(戰時) 민간인 보호 의무를 규정한 제네바 협약에 저촉되는 전쟁범죄 행위다. 그러나 역대 우리 정부는 민간인 납북의 진실을 밝히고 필요한 사후 조치를 취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김대중 정부는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에 따라 남한의 북 비전향 장기수 63명을 돌려보내면서도 북한에 억류된 우리 납북자 송환은 요구조차 하지 않았다.

 

국무총리실 산하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는 각 시·도에서 받고 있는 납북 피해자 신고 절차와 방법을 더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다. 활동시한도 2013년까지로 못박지 말고 보다 적극적으로 납북 피해자를 찾아내야 한다. 6·25 납북자들은 대부분 영양실조와 강제 노역에 시달리다 이미 세상을 떴거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나이에 접어들었다. 납북 피해자 가족들의 한결같은 꿈은 한시라도 빨리 북에 있는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는 일이다. 정부는 생존해 있는 납북자들의 경우엔 한국의 가족들과 편지 교환이나 상봉(相逢)이 가능하도록 북에 요구하고, 세상을 뜬 경우엔 유해라도 가족 품에 안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경향신문 사설-20110804목] 양화대교에서 드러낸 서울시의 위험 불감증

 

서울 양화대교 구조 개선 공사를 하기 위해 설치 중인 임시다리(가교) 철주 177개 중 2개가 최근 폭우에 5도가량 기울어졌다고 한다. 다른 철주들과의 연결 작업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거센 물살과 상류에서 떠내려온 부유물의 힘을 견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양화대교 공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서해뱃길 사업의 일부다. 6000t급 크루즈가 다닐 수 있도록 교각 간격을 넓히고 상판을 아치 형태로 만드는 공사다. 아직 가교가 완공되기 전이라 차량이 통행하지 않고 있어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번 일을 대수롭지 않게 보면서 위험 불감증을 그대로 드러내는 서울시의 자세에 있다. 최근 누구도 예상치 못한 우면산 산사태를 겪은 터라 더욱 그렇다.

 

가교 설치 시공업체부터 문제가 있다고 한다. 감사원은 지난 6월 가교 설치공사가 면허가 없는 하도급 업체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며 업체를 교체하고 원청업체는 영업정지처분을 하라고 통보한 바 있다. 관련법상 교량 철구조물을 제작하려면 철강재 설치 공사업 면허가 있어야 하나, 실제 시공업체는 조립·설치만 할 수 있는 강구조물 공사업 면허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서울시의 해명은 걸작이다. 최근 2년간 전국적으로 15개 강구조물 공사업 면허업체가 72건의 가교를 시공한 반면, 철강재 설치 공사업 면허업체는 시공 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자격이 없는 업체라도 실적만 많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처럼 들린다. 서울시는 문제의 하도급 업체가 철구조물을 제작하지는 않고 납품받아 조립만 하기 때문에 위법하지 않다는 주장도 한다. 감사원의 지적이 틀렸다는 것이다.

 

가교 철주가 기운 사실도 서울시가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 서해뱃길 사업 반대운동을 벌이던 시민단체에 의해 그제 발견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강 수위가 높아 한 달 가까이 공사가 중단된 상황이라 철주가 기운 사실을 인지했는지 여부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한다. 공사 현장도 제대로 감독하지 않고 있었다는 얘기다. 서울시는 또 이번 일은 공사 중 수위 상승 등으로 일어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완 공사를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 안이하고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 수 없다. 서울시는 시의 그런 자세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과 불신을 헤아려야 한다. 서해뱃길 사업도 문제이지만 시민 안전을 위해서라도 양화대교 구조 개선 공사를 중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신문 사설-20110804목] 룸살롱서 업무보고 받은 지경부 엄단하라

 

국토해양부의 ‘놀자판 연찬회’ 파문 이후에도 공무원들의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식경제부 과장급을 포함한 공무원 11명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수차례에 걸쳐 산하기관들로부터 룸살롱 접대를 받았다가 총리실 공직복무관리실에 적발됐다. 이들은 업무보고를 받겠다면서 대전에 있는 한국기계연구원과 경주에 있는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직원들을 과천 청사로 불러들인 뒤 룸살롱에서 향응을 받았다고 한다. 일부는 성접대 의혹까지 거론된다니 비리 요지경이 따로 없다. 연루된 산하기관 간부 2명은 최근 사표를 내는 등 죗값을 치렀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접대를 받은, 죄질이 더 나쁜 지경부는 “사실무근이다.”라는 설익은 해명만 하기 바쁘지 비리 공무원들에게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공사 관련 업무가 많은 국토부의 비리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심지어는 수해가 나면 속으로 웃는 공직자도 있다는, 믿기 어려운 황당한 얘기까지 들린다. “수해 복구는 긴급 예산이 투입되는 공사이기에 입찰 없이 수의계약을 할 수 있어 그동안 돈 받은 업자들에게 나눠줄 공사가 늘어난다.”는 것이 감찰에 나섰던 총리실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국민의 시름을 깊게 하는 수해가 일부 공무원들에게는 돈벌이 호재로 받아들여진다니 공직사회가 썩어도 너무 썩은 것이 아닌가. 지난해 10월 말 제주도에서 워크숍을 가졌던 환경부의 한 공무원은 내연녀까지 동행해 산하기관으로부터 접대를 받았다고 하니 이쯤 되면 공직자의 자질을 논하기도 부끄러운 일이다.

 

총리실을 비롯해 감사원까지 대대적으로 공직비리 척결에 나섰다는 소식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런데도 공직사회에서 여전히 사정기관의 감찰 의지를 비웃기라도 하는 듯 비리를 저지르는 간 큰 공무원들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공직기강 해이가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비리를 저지른 공무원들에게는 분명 그에 상응하는 엄한 징계가 있어야 한다. 사정기관에 적발돼도 일단은 제 식구 감싸기에 나서는 정부 부처의 온정주의가 있는 한 공직사회에서 비리를 뿌리 뽑기 어렵다. 비위 공무원들이 다시는 발을 못 붙이도록 일벌백계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804목] 사상 최고 기름값, 물가장관들은 말이 없으시고…

 

서울시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가격이 어제 ℓ당 2028원97전으로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억지 인하가 종료된 지난달 7일(1991원33전)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오름세다. 정유사에 '성의표시'를 요구하고 주유소 회계장부를 들춰보겠다던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나,ℓ당 2000원은 안 넘을 것이라던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꿀먹은 벙어리가 됐다. 설상가상으로 낙농업자들은 3년간 동결된 원유(原乳) 가격을 올려달라며 어제 하루 납품을 중단했다. 앞으로 우유값은 물론 아이스크림 과자 빵까지 덩달아 오를 게 뻔하다.

 

7월 소비자물가는 4.7% 뛰었다. 올 들어 7개월째 4%대 고공행진이다. 야당에선 이를 두고 MB정부의 '747 공약'이 실현됐다고 쾌재를 부르는 판이다. 문제는 8월 이후에도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인다는 점이다. 이미 전기료가 오른 데다 전 · 월세,대학등록금,가스 · 상수도 · 교통요금까지 들썩이고 있다. 가뜩이나 이른 추석(9월12일)에다 수해가 겹쳐 과일 · 채소대란도 염려된다. 당장 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공공요금 인상시기를 늦추는 것 외에 뾰족한 게 없다. 급기야 박 장관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물가를 잡을 아이디어를 공모하겠다고 나섰다. 두 손 두 발 다 들었음을 실토한 셈이다.

 

우리는 작금의 물가대란이 시장원리를 무시한 정부에 대한 시장의 보복이라고 본다. 업자를 망신 주고 윽박지르고,안 되니 성의표시라도 하라는 '완장 장관'들의 자업자득이다. 금리인상은 뒷북만 치고 환율정책은 진퇴양난이니 최악의 결과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거시정책과 미시정책이 엇박자를 내는데 아이디어도 없는 장관들이 현장에 나가본들 장사 안돼 울상인 상인들만 귀찮게 할 뿐이다.

 

본란에서 누차 지적했듯이 시장원리 말고는 뛰는 물가를 잡을 수 있는 왕도(王道)란 있을 수 없다. 정부가 원가 들여다보고 가격을 강제로 눌러 성공했다는 얘기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들어본 적이 없다. 차라리 내버려두느니만 못한 짓은 그만두는 게 낫다. 우유값에 대해선 로베스피에르를 단두대로 보낸 그 유명한 반값 우유 파동을 모르진 않으실 테고….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광화문에서/유윤종(동아일보 기자)-20110804목] 장엄

 

한밤, 헤드폰을 끼고 앰프의 볼륨을 올린다. “인간은 커다란 고통 속에 있도다(Der Mensch liegt in grosser Pein)….” 말러의 가곡 ‘원광(原光)’이 귓전을 울린다. 모처럼 안락한 시간이지만 하루 동안의 자잘한 과오와 우행(愚行), 사소한 득실이 머리를 어지럽힌다.

 

인간은 괴로움을 통해 비로소 앞으로 나아가는 존재일까. 그럴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인간이 어려운 시간에도 당당할 수 있다는 점은 누구에게나 한결같은 위안이다. 최근 읽은 몇 페이지의 글에서 벼락같은 힘을 얻는다. 세상의 이치를 주어와 서술어, 수식어 몇 개로 드러내는 글의 힘, 상징의 힘. 바로 문학의 힘이다.

 

‘꿈인지 생시인지/사람들이 정치를 하며 살고 있다/경제를 하며 살고 있다/사회를 하며 살고 있다//꿈인지 생시인지/나도 베란다에서/화분에 물을 주고 있다’(‘물 위에 씌어진 3’)

 

이 시를 쓴 최승자 시인은 최근 출간한 시집 ‘물 위에 씌어진’을 정신과 병동에서 썼다. 단 하나 남은 혈육인 외삼촌만이 그를 면회할 수 있다. 시인은 시집의 서문에 쓴 대로(‘하루 낮에도 천국과 지옥을 오락가락하는 게 시인이 아니더냐’) 갈피가 잡히지 않는 세계를 넘나든다. 극심한 불면증, 갑작스러운 환청과 환각이 그의 정신을 착취해 들어가고 있다고 했다. 체중은 어느새 34kg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나 그의 새 시집 ‘물 위에 씌어진’에는 고통과 고독, 생사까지도 깔고 앉은 정신의 강력함이 있다. ‘슬펐으나 기뻤으나/그래도 할 일이 없어 오른 산(山)/오른 발을 동에 두고 왼 발은 서에 두고/굽어 보고 굽어 봐도/슬펐으나 기뻤으나의 그림자들일 뿐/세상은 간 곳 없고 부풀어오르는 먼지뿐(‘슬펐으나 기뻤으나’)이라고 말하는 그의 인생관과 존재관에는, 다윈 식으로 말하면 ‘장엄함이 깃들어 있다’.

 

또 하나의 장엄한 정신이 있다. 최승자 시인의 시집이 도착한 그날(7월 14일) 본보 지면에 실린 최인호 작가의 인터뷰를 읽는다. 항암 치료의 후유증으로 손톱이 빠지자 손가락에 골무를 끼워가며 작가는 장편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완성했다.

작가는 같은 처지에 있는 이들을 향해 이렇게 말한다. “병(病)의 동굴에 갇혀 있지 말고 푸른 바다 위에 떠 있어라!” 단지 병뿐일까. 일상의 우울이나 무기력의 동굴에 갇혀 있을 이들에게도 두려움 없는 그의 정신은 환한 감동을 준다. 한 독자는 인터뷰를 읽고 종일 눈물을 흘렸다고 했다. “최 작가님이 빠삐용처럼 우뚝 일어나시기를 빌었습니다.”

 

인터뷰 끝에서 작가는 “내년 만우절에 기자회견을 열 것”이라고 했다. 자신의 암에 대해 껄껄 웃으며 소리치겠다고 했다. “뻥이야!” 그 폭소는 장엄하다. 모차르트가 삶의 마지막을 예감하는 속에서도 환한 밝음으로 써낸 마지막 교향곡 ‘주피터’의 마지막 C장조 화음만큼이나 그러하다. 생사를 앞에 놓고 이렇게 장엄하고 존엄할진대, 일상의 과오와 우행이 문제이겠는가. 두려움이 무슨 필요겠는가.

 

두 권의 책, 시집 ‘물 위에 씌어진’과 소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이번 휴가 트렁크에 넣으려 한다. 모처럼 머리를 쉬는 시간, 정신을 바짝 차리게 만드는 텍스트가 어울리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쉬는 시간이기에 비로소, 인간의 운명적인 괴로움과 극복에 대해 거리를 두고 음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고대훈(논설위원)-20110804목] 골드 러시

 

황금(黃金)에 대한 욕망이 없었다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1~1506)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그는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빠져 ‘황금의 땅’을 동경했다. 책에서 동방은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은 금이 나오고, 순금으로 뒤덮인 멋진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됐다. 1492년 콜럼버스의 탐험은 황금 찾기를 위한 인도 항로 개척이 목적이었다. 그는 “황금은 영혼이 낙원에 가는 것까지도 도와주는 보물”이라고 했을 정도다. 그해 10월 12일 ‘성스러운 구세주의 섬’이라는 뜻의 산살바도르에 상륙함으로써 대륙 개척이 시작됐다. 이후의 역사가 말해주듯 그의 황금 욕망은 노예무역, 잉카와 아즈텍 문명 파괴라는 엄청난 결과로 이어졌다.

 

예나 지금이나 황금은 권력과 부귀(富貴)를 상징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황금은 태양신의 분신이었다. 파라오 투탕카멘의 관은 110㎏짜리 순금으로 제작됐고, 미라 얼굴에는 황금 마스크를 씌웠다. 황금으로 장식함으로써 파라오가 신과 동격임을 알린 것이다. 중국인의 황금 사랑은 정평이 나 있다. 청(淸) 왕조 건륭제는 밥그릇도 황금으로 만들어 썼다고 한다. “중국인의 최대 종교는 황금”이란 말까지 있다.

 

황금은 탐욕의 대상이었다. 황금을 독차지하려는 욕심 때문에 피로 얼룩진 약탈 전쟁이 수없이 벌어졌다. 19세기 미국 서부의 ‘골드 러시(gold rush)’도 황금에 관한 집착과 광기를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대 골드 러시가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광복 전까지 3000개 금광에서 300여t의 금을 채굴해갔다. 노다지와 벼락부자의 꿈을 좇는 열풍이 불었다. 무지렁이 농사꾼이 낫 대신 곡괭이를 들고 금맥을 찾겠다며 논밭을 파헤쳤고, 김유정·채만식 등 당대의 문인들까지 금광업에 뛰어들던 시절이다.

 

우리에게 황금의 위력은 한동안 잊혀졌다. 불과 몇 해 전만 해도 한 돈(3.75g)에 5만~6만원 하던 돌반지를 선물하는 게 인사치레였다. 요즘 금 한 돈에 20만원을 훌쩍 넘는다. 국제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연일 갈아치우는 중이다. 한국은행이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25t을 사들였지만 금 보유량은 세계 45위에 그친다. 금 부족 국가라는 얘기다. 우리나라에 방치된 금광은 1800여 개를 헤아린다고 한다. 금값 고공행진이 계속된다면 한국판 골드 러시라도 추진해야 하는 건 아닐까.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서루이원)-20110804목] 동대문 예언

 

옛날 사람들은 서울 동대문을 ‘動大門’이라고도 불렀다. 움직이는 대문이라는 것이다. 땅에 터를 잡은 건축물이 움직인다면 예삿일이 아니다. 예부터 동대문은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한쪽으로 기운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에 대한 야담이 몇 개 전해진다.

 

광해군 말년에 동대문 문루가 북서쪽으로 기울어졌다. 사람들은 변고의 징조라며 쑥덕거렸는데, 과연 얼마 후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이 쫓겨났다. 그런데 반정군은 한양의 북서쪽인 홍제동에서 기병해 세검정을 거쳐 북서문(彰義門)을 통해 들어왔다. 동대문은 몸을 움직여 나라의 격변을 예언한 것이다. 임오군란 때도 동대문은 변란을 예고했는데, 이번에는 남동쪽으로 기울어졌다. 군란이 일어나자 민비는 변장을 하고 동대문을 빠져나가 장호원에 피신했다. 장호원은 동대문의 남동쪽 방향이었다.

 

동대문이 움직인다는 것은 옛날 얘기만이 아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가 결정되기 전에도 동대문이 동남쪽으로 기울었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잠실 올림픽경기장은 동대문의 동남쪽이다. 호사가들이 지어낸 것인지는 몰라도, 풍수가들은 동대문을 거론할 때 이런 얘기를 빼놓지 않는다. 동대문 현판이 서울의 다른 문과 달리 ‘흥인지문(興仁之門)’의 네 글자인 것도 풍수와 관련이 있다. 풍수가들이 볼 때 동대문이 위치한 곳은 땅이 낮고 지세가 약했다. 그래서 현판의 글자 수를 늘려 지세를 보완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동대문이 움직인다는 것은 과학적 사실이기도 하다.

 

학자들이 동대문에 측정장치를 부착해 3년 동안(1983~86) 조사해봤다. 그랬더니 동대문은 해마다 10월이면 동남쪽으로 기울기 시작해 이듬해 봄에 제자리로 돌아왔다. 괴이한 현상이지만 이유는 간단했다. 문루를 지을 때 수축·팽창률이 다른 목재를 섞어서 쓴 탓이었다. 1396년 조선초에 건립된 동대문은 1453년(단종 1) 중수되고, 1869년(고종 6) 전면적으로 개축됐다. 출생의 비밀 탓인지 풍수 탓인지, 동대문이 새로 설 때마다 나라는 격랑에 휩싸였던 셈이다.

 

동대문의 지붕이 폭우에 훼손돼 신고 4일 만에 보수작업을 했다고 한다. “하마터면…” 하고 가슴을 쓸어내리게 하는 뉴스다. 동대문이 변하면 변고가 생긴다는 속설을 떠올리면 더욱 예사롭지가 않다. 머리에 상처가 난 동대문은 과연 무엇을 예언하고 있는가.

 

 

[매일경제신문 칼럼-기자 24시/서대현(사회부 기자)-20110804목] 반구대암각화 말로만 보존

 

선사시대를 대표하는 국보 285호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이 원점에서 재논의된다. 울산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춰 반구대암각화가 물에 잠기는 현상을 해결하고, 부족한 식수를 인근 경북 청도 운문댐에서 끌어오는 보존 방안 전제조건인 `경북ㆍ대구권 맑은물 공급사업`이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기 때문이다.

 

반구대암각화 보존 논의는 2003년 7월 보존을 위한 용역부터 시작됐다. 이후 9년간 지루한 논쟁 끝에 보존 방안이 마련됐지만 국보 가치는 결국 경제 논리에 밀리고 말았다. 1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겨우 마련한 보존 방안이 휴지 조각이 되면서 울산지역 정치권과 문화계는 무기력증에 빠졌다. 더 이상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는 회의적인 분위기도 팽배하다.

 

그동안 정부와 정치권이 보였던 반구대암각화 보존에 대한 관심도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김황식 국무총리가 다녀가고,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까지 가세해 기대감을 높였지만 실망만 주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말로만 반구대암각화를 보존한다"는 비아냥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문화재는 한번 훼손되면 되돌릴 수 없다. 화재로 전소된 국보 1호 숭례문이 복원된다고 해도 건축물 자체로서는 숭례문의 고유한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회복할 수 없다. 반구대암각화는 일부 바위 그림 윤곽이 흐려지고 사라지는 등 이미 훼손이 상당히 진행됐다. 바위 그림이 사라지고 나면 국보로서 가치도 사라질 것이다.

 

문화재를 살리는 데 10년 가까이 협의만 하는 것이 제대로 된 문화행정인지 의문이 든다. 지금도 반구대암각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면 1965년 이후 반세기 동안 침수와 노출을 반복하면서 붕괴 위기에 몰린 반구대암각화를 보존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 말로만 보존을 외칠 상황은 분명 아니다.

 

 

[서울경제신문 칼럼-로터리/이득춘(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장)-20110804목] 개인정보보호법 정착 하려면

 

3,500만명에 이르는 네이트 포털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충격적인 발표가 있었다. 그도그럴 것이 SK커뮤니케이션즈는 보안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던 우리나라 3대 포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해킹 사고들의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개인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오는 9월30일 '개인정보보호법'전면 시행이 채 두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해 한 번쯤 제대로 짚고 넘어가야 할 듯하다. 개인정보보호란 말 그대로 '개인의 신상ㆍ이력ㆍ재산 등 중요한 정보를 도용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을 말하고 개인정보보호법은 이와 관련된 사항을 법으로 규정해 각종 유출 사고들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사업자들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이다. 법 시행에 따라 적용 대상이 기존 50만개에서 약 350만개로 늘어나고 모든 공공기관과 민간사업자ㆍ비영리단체ㆍ개인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런데 연이어 터지는 유출 사고들을 보면 정작 중요한 정보가 모두 유출된 개인 당사자들에 대한 보상이나 대처는 뒷전이다. 그러므로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과 더불어 구성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질 것이다. 여기에는 단순히 법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보안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인물들이 참여해야 할 것이다. 대통령 소속의 15인으로 구성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출범하면 개인정보보호 기본 계획 및 시행계획, 개인정보보호 정책ㆍ법령ㆍ제도개선 등 주요 정책 사안을 심의ㆍ의결하고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기본 취지에 맞는 제도가 운영되도록 독립성 보장과 함께 철저히 감시하고 더불어 힘을 실어줘야 할 것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은 보안뿐만 아니라 전산업 분야에 걸쳐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것이지만 이슈화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개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립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비 온 뒤 땅이 굳어지듯 다양한 경우의 시행착오들을 넘어선 뒤에야 비로소 개인정보보호법은 제대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일보 사설-20110822월] 서울시장 신임투표로 변질된 무상급식

 

모레 실시되는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오세훈 시장의 신임을 묻는 양상으로 변질된 것은 유감이다. 오 시장은 어제 기자회견을 갖고 투표율이 33.3%에 미달하거나, 넘더라도 자신의 뜻과 다른 결과가 나올 경우 시장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주민투표 결과와 관계없이 차기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내놓았을 때도 정책투표에 지나친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번 발언은 아예 정치적 신임투표로 삼겠다는 선언과 다르지 않다.

 

오 시장은 주민투표에서 지면 자신의 원칙과 철학이 무너지는 것이기에 시장직을 계속 수행할 수 없다고 했다. 자신이 주장하는 단계적 무상급식 방안을 시민들이 적극 지지해 달라고 당부하면서 이번 투표를 '복지포퓰리즘과의 전쟁'이라고 규정했다. 한마디로 오세훈을 선택할 것이냐, 포퓰리즘에 영합할 것이냐에 대한 선택을 강요하는 형국이다. 정책 결정에 대한 주민들의 판단을 묻겠다는 투표 발의 취지를 스스로 변질시킨 것은 1,000만 시민의 살림을 책임진 시장으로서 경솔하다는 지적이 많다.

 

주민투표 결과 오 시장의 주장이 무산된다면 앞으로 시정을 수행하는 데 사사건건 발목이 잡혀'식물 시장'이 되어버린다는 우려가 없지 않다. 시의회의 4분의 3을 야당이 차지한 상황에서 무상급식 문제는 시와 의회가 모든 걸 걸고 대립한 상징적인 사안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의 일치된 지지를 확보하지도 못한 채 그 역시 자연스럽게 신임투표 형태로 이끌려 가는 상황이 된 측면도 있다.

 

결국 서울시민이 판단하고 선택해야 할 문제다. 법률적 논란의 여지가 다소 남아 있으나 24일로 예정된 주민투표는 합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 모두가 결과에 승복해야 할 상황이다. 무상급식 정책을 결정하는 투표에 이미 정치적 요소가 첨가된 만큼, 유권자들은 그것까지 함께 헤아려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유권자의 선택에 따라 정치적 의미는 새롭게 부여될 터이다. 여야 정치권이 미리 왈가왈부하는 것은 부질없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822월] 종편이 광고 직거래하면 언론계 난장판 된다

 

‘공정방송 복원과 조중동방송 광고 직거래 저지’를 내걸고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온 전국언론노동조합이 85%선의 압도적 찬성으로 오늘부터 총파업 일정에 들어간다. 방송의 광고영업을 대행·규제하는 미디어렙 법안 처리를 지금까지 방치해온 의원들은 이런 상황에 이르게 된 데 대해 크게 반성해야 한다.

 

조중동 등 보수수구언론에 종합편성 채널을 4개나 허용해준 정부는 거대언론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세계적 흐름과는 거꾸로 종편사에 특혜를 주기 위해 별의별 수단을 총동원해왔다. 여기에 국회에서 미디어렙 법안 처리가 지연되면서 방송사와 광고주의 직거래 가능성이 커지자 언론단체들이 파업까지 하기에 이른 것이다.

 

방송통신위는 지금까지 종편에 특혜를 주기 위해 황금채널 배정 추진은 물론, 광고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등 갖은 방법을 시도해왔다. 최근에는 외주제작사도 간접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방송법 개정안을 확정해 10월 국회에 내기로 했다. 정부의 이런 움직임들은 시청자의 시청권이나 국민의 건강권을 훼손하고 여론의 다양성을 무너뜨리는 것은 물론 광고시장의 파행으로 결국 언론 생태계 전체의 파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사정이 이런데도 의원들, 특히 제1야당인 민주당의 태도는 매우 실망스럽다. 지도부와 의원들의 언론관이 의심스러울 정도다. 오죽하면 그동안 미온적이던 손학규 대표까지 나서서 “그렇게 안이하게 하려면 그만두라”고 문방위 의원들을 질책했겠는가. 원내대표란 사람이 별생각 없이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안을 처리해주려다 반발을 샀음에도 언론 환경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한 것 같지는 않다.

 

연내 개국을 준비중인 보수수구언론 종편사들은 직접 광고영업을 할 수 있게 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해왔다. 이러던 차에 최근 <에스비에스>가 독자적인 미디어렙 설립을 위한 인사발령까지 내자 방송사들이 술렁이는 등 우려하던 바가 가시화하고 있다. 광고시장이 흔들리면 언론시장이 흔들리고, 결국 건강한 언론들의 존립마저 위협받게 된다. 자칫 언론계 전체가 ‘돈’에 휘둘리는 난장판으로 빨려들어갈 수도 있다. 여기에 선거용 정략까지 가세하면 사회 전체가 갈등과 혼돈에 휘말리지 말란 법이 없다.

 

미디어렙 법안 없이 종편 채널을 개국시키는 일은 절대 없도록 하겠다는 각별한 각오가 민주당 의원들에게 절실하다.

 

 

[조선일보 사설-20110822월] 北 장사정포 대응에 한 치 빈 틈도 없어야

 

우리 군이 북한 장사정포의 기습공격에 대비해 운용하는 대(對)포병 레이더가 숫자도 모자라고 고장도 잦아 대응 능력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겨냥해 서부전선 비무장지대 인근에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다연장 로켓포) 같은 장사정포 340문을 집중 배치해 놓고 있다. 군 당국이 여기에 대비해 운용하는 대포병 레이더 20여대 중 스웨덴제 6대가 작년에 78차례 고장났고, 미국제 두 가지는 지난 5년 사이 98차례와 60차례씩 고장을 일으켰다. 레이더 숫자도 최소한 10대를 더 늘려야 제대로 감시할 수 있다고 한다.

 

북한의 장사정포는 최대 사정거리가 54~65㎞로 서울·인천은 물론 안양·성남·군포까지 타격할 수 있다. 240㎜ 방사포는 유독 가스로 된 화학탄까지 쏠 수 있다. 북한이 툭하면 위협하는 '서울 불바다'의 수단이 바로 이 장사정포다. 우리 군은 평소 미군 무인 항공기와 군사 위성을 통해 북한 장사정포 진지를 파악해 두고 있다. 북한이 장사정포를 일제히 쏘아대는 전면전이 벌어지면 우리 군은 최신예 전투기 F-15K 40여대와 KF-16 130여대 중 일부로 정밀유도폭탄을 투하해 북한 장사정포 진지를 무력화시키게 된다.

 

문제는 전면전 상황이 아니라 북한이 장사정포 몇 발로 서울을 기습 공격할 경우다. 이때는 북한이 장사정포를 발사한 뒤에야 포탄 궤적을 거꾸로 추적해 포를 쏜 진지를 찾아낼 수 있다. 이 공격 원점(原點)을 신속히 추적해 대응공격을 하는 데 필수적인 장비가 대포병 레이더다.

 

지금처럼 그 레이더가 고장이 잦고 숫자도 모자라선 만일의 상황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미국제는 도입된 지 오래돼서, 스웨덴제는 숫자가 얼마 안 돼 무리하게 가동하는 바람에 고장이 자주 난다고 한다. 만약 서울에 장사정포가 한두 발이라도 떨어지면 포탄에 의한 직접 피해를 입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가스관·LPG통·주유소·자동차로 큰 불이 번질 수 있다. 상상만 해도 끔찍한 사태를 막기 위해선 대포병 레이더의 24시간 감시에 허점이 없도록 보완을 서둘러야 한다.

 

 

[경향신문 사설-20110822월] 해킹 부르는 민감한 개인정보 수집 중단해야

 

한국엡손 홈페이지에 가입한 35만명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회사 측은 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 사례는 없다고 해명했지만 지금까지 해커의 정체는 물론 발신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말 SK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는 네이트·싸이월드 가입자 3500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각별히 높아진 상태에서 또다시 터진 해킹 사건이라 국민이 느끼는 불안감은 이만저만 아니다.

 

이번 사건은 해킹의 위험에 기업들이 얼마나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다시금 보여줬다. 한국엡손은 지난 13일 해킹 사실을 확인하고도 1주일 뒤에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알렸다. 내부에서 조용히 해결하려다 여의치 않자 뒤늦게 신고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더욱 큰 문제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일상화하고 있음에도 기업들이 보안 강화를 위한 투자에 인색하다는 것이다. 초대형 기업조차 자체 보안 점검 결과 취약성이 드러나자 내부 문책과 추가 비용을 걱정해 덮었다고 한다. 관련 당국의 보안 불감증도 이에 못지않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용경 의원에 따르면 올 방통위의 개인정보 보호 예산은 2008년 52억원에서 27억원으로 도리어 삭감됐다. 방통위가 인터넷 실명제 적용 사이트 확대 등 개인정보를 더 많이 수집하고 보관하도록 규제를 강화해온 것을 감안하면 무책임하기 그지없다.

 

스마트폰 가입자가 1500만명에 이르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가 늘고 있어 해킹 위험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 와중에 다음달 말부터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지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우선 기업들이 보안 시스템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 정보를 보호하지 못한 기업은 엄벌해야 한다. 방통위는 정보를 유출한 기업에 과태료나 과징금 부과만 했을 뿐 수사를 의뢰한 사례가 없다. 인터넷 실명제와 주민등록번호 수집을 폐기하는 문제도 당장 검토해야 한다. 주민등록번호와 전화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모아 관리하기 때문에 해킹의 목표가 되는 것이다. 관련 당국의 정보 보호 노력 강화도 필수적이다. 이런 보안 수준으론 ‘IT(정보기술) 강국’이 아니라 ‘해킹 천국’ 소리를 들어도 싸다.

 

 

[서울신문 사설-20110822월] 김정일 방러 한반도 평화에 도움되기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9년 만에 러시아를 방문한 사실이 확인됐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의 초청으로 시베리아 및 원동 지역을 비공식 방문한다고 엊그제 보도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초청인 만큼 양국 간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려 경제협력 방안을 포함한 다양한 현안을 깊이 있게 논의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한반도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비록 최근에 남북 외교장관 회담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있었고, 북·미 당국자가 뉴욕에서 회동하였다고는 하나 한반도 주변 정세는 여전히 팽팽한 긴장·대치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천안함 폭침·연평도 포격 이후 남북 간 교류는 전면 중단되다시피 했으며, 미국의 대북 압박은 더욱 거세졌다. 반면 북한은 이에 대응해 중국과 정치·경제 관계를 강화해 왔다. 그러므로 현 상황을 타개하려면 6자회담의 나머지 당사국인 러시아에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러시아의 등장을 주목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2001년 김 위원장의 첫번째 러시아 방문 때 합의한 8개항의 공동선언 실행에 구체적인 진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 선언문에는 남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설치,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한반도 종단철도(TKR) 연결이 주요 경제협력 사업으로 들어 있다. 이는 러시아가 기회 있을 때마다 북한 쪽에 요구한 사업으로, 만성적인 경제난 탓에 러시아의 원조를 바라는 북한으로서도 더 이상 외면하기는 힘드리라 본다. 그 결과 사업이 구체화된다면 남한-북한-러시아 사이에는 새로운 연결고리가 생겨 경직된 남북관계에도 숨통이 트이게 될 터이다.

 

한반도 정세는 어차피 주변 세력의 견제와 균형으로 무력 충돌 위험성을 줄이면서 남북이 스스로 평화와 통일의 길을 찾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번 북·러 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결론이 나도록 정부는 외교력을 총동원해 대처해 나가기 바란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822월] 세계 기업들은 재도약 위한 초경쟁으로 내달리고…한국 정치는 기업 발목 붙잡고 갈라먹자하고

 

세계 산업지도가 재편되고 있다. 20세기형 산업 지도가 폐기되고 21세기형으로 지각변동 중이다. 이것이 금융위기가 만들어 내는 진정한 변화다. 금융위기는 경제위기로 발전하고 경제위기는 필연코 새로운 산업지도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는 아예 체계적으로 경제와 산업의 목을 조르고 있다. 그동안의 조그만 성과에 도취돼 "나눠 먹자, 뜯어 먹자, 같이 가자"며 앞선 자의 뒷다리 잡기에 안달이 나 있다.

 

권력이 내건 목표가 동반성장이며 공생발전이다. 어떤 미사여구를 갖다 붙여도 성공을 처벌하는 것이며 타인의 성과를 빼앗는 반기업적 반시장적 선동에 불과하다. 금융시장의 먼지가 가라앉은 뒤 새롭게 출현할 글로벌 경제지도에서 과연 한국의 위치는 어디에 있을지 실로 위기감을 갖게 된다. 당장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업의 새판짜기 움직임부터 심상찮다. 일본 자동차 회사들의 대대적인 반격이 시작되고 있다. 도요타 등은 하반기 생산을 20%나 늘릴 계획이다. 기업 간 제휴와 공격적인 해외기업 인수도 본격화됐다. 전기차에서 닛산과 미쓰비시가 제휴하고,닛산은 러시아의 최대 자동차회사 아브토비스를 인수한다.

 

삼성 타도를 외치는 일본 전자업계의 재편도 속도를 내고 있다. 반도체 역공에 이어 최근 소니와 도시바, 히타치는 휴대폰용 LCD 패널사업을 전면 통합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이합집산은 다른 산업으로도 급속히 확산된다. 히타치와 미쓰비시는 에너지 및 발전사업에서, 신일본제철과 스미토모금속은 철강에서, 후지필름과 미쓰비시상사는 제약에서 통합, 제휴,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의 산업은 미국의 견제와 중국의 추격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해 왔다. 미국의 변화는 더욱 그렇다. 애플 구글 등은 IT산업의 생태계를 완전히 뒤집어 놓고 있다. 전후방 IT 가치사슬의 전부를 장악하겠다는 의도는 더욱 분명하다. 세계 특허를 쓸어담으며 대대적인 특허공세에 나서고 있는 것도 그렇고,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에 이르기까지 수직 통합을 강화하는 것도 그렇다. 사생결단식의 행군이다. 한국을 추격하고 있는 중국은 선진국 기업을 대거 인수하는 방법으로 뜀박질을 하고 있다. 지난해 188건이던 중국의 해외기업 M&A는 올해 214건에 이를 전망이다. 가전 석유화학 자동차 등 업종을 불문하고 쓸 만한 기업은 다 쓸어담는다.

 

일본의 부활, 미국의 적극적 공세, 중국의 추격은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위기 구조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이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 기업들의 창의와 상상력 발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고 도전적인 기업가 정신이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 기업 환경은 정반대다.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은 경쟁적으로 기업과 기업가 때리기에 여념이 없다. 국가의 장기적 생존 전략 등은 안중에도 없다. 세계 산업의 재편에 대비해야 할 지경부 등은 기름값을 내리겠다며 주유소와 싸우느라 정신이 없다. 결국 한국의 산업 발전은 여기서 멈출 것인가. 이것이 한국인의 한계일지도 모를 일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822월] '소비기한 표시제' 빠를수록 좋다

 

지난 26년간 유지해온 식품의 '유통기한 표시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 결론적으로 말해 소비기한 표시제는 유통기한 표시제에 따른 식품의 무차별 폐기 등 사회적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식품가격 하락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8일 물가장관회의에서 "식품에 대한 현행 유통기한 표시제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 식품ㆍ유통산업 발전, 소비자들의 인식수준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대안으로 미국ㆍ일본 등과 같이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될 경우 원자재가 상승으로 오르고 있는 식품가격의 안정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사회적 낭비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행 유통기한 표시제는 유통기한이 판매기한을 의미하는 데도 소비자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들을 폐기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우유의 경우 냉장보관만 잘하면 유통기한보다 2∼3일 정도 지나도 위생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유통기한이 곧 소비기한'이라고 오해하는 소비자들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무조건 폐기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식품의 경우 이 같은 유통기한에 대한 오해로 발생되는 반품비용만도 한 해에 6,500억원, 폐기처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는 19조6,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소비기한 표시제는 이 같은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식품업체들이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폐기하지 않고 어느 정도 가격을 할인해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유통기한에 여유가 생길 경우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소비기한 표시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 식품업체들은 식품의 안전성을 더 높임으로써 소비자들이 소비기한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김순덕 칼럼/김순덕(논설위원)-20110822월] 똑똑한 남학생들은 다 어디 갔을까

 

“똑똑한 여학생은 너무 많은데…”

 

대기업 인사담당자가 개탄하듯 말했다. 채용 기업으로 보나, 나라 장래로 보나 박수칠 일인데도 그는 그러지 않았다. “토익이나 학점, 말주변도 남자들이 여자 못 따라간다. 간신히 성별 안배하고 나면 여직원들은 주로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인데 남자들은 아니다. 아예 지원을 안 하는 모양이다.”

 

“그럼 똑똑한 남학생들은 다 어디로 갔나요?” 내가 묻자 옆에 있던 교수가 말했다. “외국유학이나 다국적 기업을 가지요.”

 

아니나 다를까 LG전자가 4월 미국 새너제이에서, 지난주엔 일본 도쿄에서 엘리트 엔지니어와 유학생들을 초청해 글로벌 연구개발(R&D) 인재영입 행사를 열었다. 삼성이 이건희 회장의 특명에 따라 며칠 전 모셔온 S급(슈퍼급) 인재들 역시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출신이다. 산업화시대의 유학생은 학위만 따면 조국에 돌아와 봉사하는 걸 영광으로 여긴 애국선배였다. 요즘은 다르다. 웬만하면 안 오려고 해 임원들이 삼고초려해야 할 판이다.

 

2007년 동아일보는 ‘5년 뒤 한국과 5대 도전’이라는 창간 87주년 기념특집 중 ‘엘리트를 길러라’ 편에서 ‘평준 고교에 대충 대학…쓸만한 인재가 없다’고 걱정했다. 당시 포스텍 박찬모 총장은 “5년 뒤 고급인력이 없어 한국경제의 엔진이 멈출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그 우려가 지금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 4년 전 신문기사 “두뇌유출 우려”

노무현 정부야 평등을 최고가치로 삼은 좌파정권이라 어쩔 수 없었다 치자. 그러나 ‘글로벌 창의인재 육성’을 국정목표의 하나로 내걸었던 이명박 정부가 교육정책의 최우선을 사교육 억제로 돌리면서 인재들의 해외탈출을 증가시킨 건 납득도, 용서도 하기 어렵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여개 회원국 중 유학생 최다 배출국이 됐다. 외국 대학 석·박사 과정까지의 유학생은 2004년 15만 명이 안 됐지만 5년 뒤인 2009년 18만 명으로 늘었다. 국력의 상징이 아니라 ‘교육 엑소더스’다. 세계경제포럼(WEF) 교육경쟁력 순위에서 고등교육체제의 질은 2007년 19위에서 2010년 57위로 추락했다. 정부는 2009년에는 과학고 입시에서, 2010년엔 모든 대학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올림피아드 성적을 못 쓰게 시시콜콜 간섭했다. 덕분에 그 전까지만 해도 늘 5등 안에 들던 우리 고교생들의 국제 수학올림피아드대회 성적이 올해는 13등으로 북한(7등)에도 뒤지고 말았다.

 

더 심각한 문제는 박사학위를 딴 뒤 미국에 남겠다는 이들이 늘어난 점이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두뇌유출지수를 보더라도 국가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유출 정도가 더 심해졌다.

 

글로벌 인재들이 귀국을 원치 않는 주된 이유도 교육에 있다. 교수로 가고 싶은 국내 대학엔 철밥통 교수들이 버티고 있어 가기 어렵다. 국책연구소라도 갈라치면 “애들 학교 때문에 안 된다”고 아내가 결사반대다. 귀국할까 말까 하던 미혼 석·박사들도 교포 여성들에게 생포당하면 차라리 잘됐다며 주저앉기 십상이다.

 

인재 부족에 정보통신(IT) 빅뱅까지 겹치면서 삼성 같은 기업만 흔들리고 있는 게 아니다. 우리와 비슷한 두뇌유출지수인 이탈리아를 보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 이탈리아는 중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도 않고 무시험 대학 입학에, 전 대학의 학위를 동일 평가하도록 강제한 반(反)실력주의 정책을 폈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과 전교조가 주장하는 교육과 닮았다. 그 결과 생산성 경쟁력은 추락했고 오늘날 청년실업률 27.8%에 디폴트(국가부도) 위기다. 똑똑한 남자가 사라지는 나라에선 여자들 고생도 심해진다. 당장 한국에서도 고학력 미혼여성들이 신랑감을 못 구하는 비극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다.

 

작년 3월 1일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인공임신중절(낙태) 예방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그 결과가 10대 미혼모 증가(19일자 동아일보 보도)다. “낙태만 줄어도 저출산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던 전 전 장관에게 그래서 지금은 행복하신지 묻고 싶다. 낙태금지는 임신기간이 열 달이어서 벌써 비극적 정책 결과를 목격했다. 교육정책은 MB 취임 때 학생이었던 세대가 죽을 때까지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돼 있어 더 무섭다.

 

* 교육과 R&D에 평등은 없다

 

내 자식은 엘리트가 못 되더라도 나라에는 엘리트가 있어야 국민이 먹고 살 수 있다. 삼성이 밉더라도 이 나라에 삼성 같은 기업은 있어야 한다. IT 빅뱅시대를 살아남으려면 고학력 고숙련 인력이 필수인데도 정부부터 공부 열심히 하는 걸 죄악시하는 나라가 또 어디 있는지 궁금하다.

 

저소득층을 위한 비영리 교육단체인 벨웨더교육의 창립자 앤드류 로더햄은 “대학교육이 계층상승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라고 했다. 정부는 좌파교육의 비극을 겪고도 더 못한 교육정책을 편 죄를 어떻게 갚을 작정인가.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강혜란(문화스포츠부문 기자)-20110822월] 덕수궁 석조전

 

1968년 한운사의 소설 『대야망』엔 이런 대목이 있다. 한때 외교관을 지낸 한 인사를 모델로 했다는 주인공은 덕수궁의 이곳저곳을 담은 사진을 외국 실력자들에게 뿌리며 자기 집이라고 자랑한다. ‘내 집이 이 정도니 한국에서 내 위치를 짐작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도였는데, 곧잘 통했다. 석조전·정관헌 등 고풍스러운 양식 건물이 자아낸 분위기 때문일 터다. 실제로 당시 해외 펜팔 하던 어느 언론인이 석조전 앞에서 사진을 찍어 제 집인 양 소개했다는 일화가 전해 온다.

 

 석조전은 조선 궁궐 내 지어진 첫 서양식 전각이다. 1897년 고종은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을 황궁으로 정하고 황제에 오른 뒤 궁역을 넓히며 전각을 신축했다. 석조전은 정전(正殿)인 중화전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세워졌는데 실내공사까지 완료된 것은 한일합병 해인 1910년이었다. 덕수궁 전체가 제국의 영욕을 함께한 곳이지만 석조전은 특히 애달픈 데가 있다. 유학을 명목으로 일본에 볼모로 잡혀 있던 이은(훗날의 영친왕) 왕세자 부부가 22년 일시 귀국했을 때 생후 8개월 된 아들 진이 이곳에서 급사했다. 고종 독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인(이방자 여사)의 피가 섞인 아들을 독살한 것이라는 설이 돌았다.

 

 조선 궁궐 양식을 따르지 않은 석조전은 일제에 의한 식민 근대와 맞물려 곱지 않은 눈길을 샀다. 건축재료인 석조를 기반으로 한 성의 없는 작명이라느니, 전통 조경에 없는 분수대 정원이라느니 하는 비판이다. 총독부 치하에서 일본 미술품 진열 전시장으로 쓰이다가 해방 후 미·소 공동위원회 건물로 쓰이는 등 외세에 시달린 쓰임새도 부정적 인식을 강화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석조전 건립이 고종의 근대 국가 구상이 투영된 것이었다는 데 비중을 둔다. 전통에 없던 돌집을 짓고 그 정체성을 이름으로 한 것 자체가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것이다(『덕수궁』 안창모 지음, 2009).

 

 석조전의 최초 설계도(1898년)가 한국 건축공학자에 의해 발굴됐다는 소식이다. 일제에 의한 훼손 운운하지만 ‘석조전 미술관과 박물관 사이 2층 복도에 민간인이 경영하는 실내 축구장이 설치’(본지 1968년 6월 4일자)됐을 정도로 우리의 문화재 인식도 별 볼 일 없었다. 제대로 된 원형 복원을 통해 석조전과 덕수궁에 서린 근대 제국의 꿈과 아픔의 역사를 곱씹게 됐으면 한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설원)-20110822화] 프레네미

 

‘친구이자 적’을 한 단어로 줄일 수 있을까. 난센스 퀴즈라면 “바로 너”라며 웃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사전에서 그런 단어는 찾기 힘들다. 그런데 영어의 신조어에 그런 게 있다. ‘프레네미(frenemy)’, 즉 친구(friend)와 적(enemy)의 합성어가 그것이다. 올해 초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이 열렸을 때 미국 언론들이 만들어낸 말이다. ‘친구이자 적’인 양국관계는 이제 ‘오월동주’ 등 기존의 점잖은 단어로는 표현하기 힘들어진 모양이다. ‘프레네미’라는 조어는 ‘오월동주’보다 훨씬 더 노골적이다.

 

미·중 관계를 함축했던 기존의 한자어는 ‘오월동주’ 외에도 많다. 워싱턴 정상회담 때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동주공제(同舟共濟)’라는 성어를 썼다. “같은 배를 타고 함께 어려움을 건넌다”는 뜻이다. 한 배를 탔으면 함께 노를 저어야지, 딴 방향으로 젓지 말라는 견제구였다. 후진타오 주석은 이에 “구동존이(求同存異·차이를 인정하고 공통점을 추구함) 정신으로 등고망원(登高望遠·높은 데서 멀리 바라봄)하자”고 응수하기도 했다.

 

클린턴 장관은 지난 5월 방중 때 ‘수도동귀(殊途同歸)’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길은 달라도 이르는 곳은 같다”는 뜻이다. 가이트너 재무장관은 “양국관계는 풍우동주(風雨同舟·비바람 속에서 같은 배를 탐)”라고도 말했다. 중국 측의 대답은 ‘예상왕래(禮尙往來)’였다. 즉 “오는 게 있으면 가는 게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확실히 중국은 도광양회(韜光養晦·재주를 감추고 때를 기다림)를 내걸었던 때와는 달라졌다. 1980년대 덩샤오핑은 ‘영불당두(永不當頭)’라는 유훈으로 미국과 대적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하지만 중국은 이제 머리를 꼿꼿이 세우고 미국과 맞서고 있다. 그런데 지난주 중국은 미국을 향해 머리가 아니라 아예 주먹을 내밀었다.

 

베이징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의 친선 농구경기가 난투극으로 엉망이 됐다는 소식이다. ‘핑퐁외교’ 40주년을 맞은 양국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1971년 3월25일 미국 탁구팀이 중국땅을 밟았을 때 언론은 이렇게 표현했다. “만리장성에 탁구공만한 구멍이 뚫렸다.” 40년이 흘러 양국이 함께 탄 배에는 농구공만한 구멍이 뚫렸다. 그 구멍 사이로는 또다른 풍랑이 밀려들어오고 있다. 안 그래도 G2가 함께 타기에는 이제 배가 좁다.

 

 

[매일경제신문 칼럼-특파원 칼럼/임상균(도쿄특파원)-20110822월] 닌텐도가 부러운 이유

 

세계 최대 게임기업체인 닌텐도를 두고 일본인들은 `히토리카치(一人勝ち)`라고 부른다. `혼자만 잘나간다`는 뜻이다. 도요타, 소니 등 쟁쟁한 기업들조차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도 닌텐도는 최고 실적을 거듭하며 성장해 왔다.

 

그런 닌텐도가 돌연 위기에 빠졌다. 지난 분기(3~6월) 매출 989억엔에 영업적자 377억엔을 기록했다. 영업적자는 창사 이래 처음이다. 매출액도 1년 전보다 반토막이 났다.

 

스마트폰 하나면 얼마든지 싼 값에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세상이다. 소셜네트워크는 또 얼마나 재미있는가. 몇 십만원씩 하는 게임기를 사야 할 이유가 없다. 2008년 1조8386억엔 매출에 30%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초우량 기업이었지만 지금은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게 당연하다. 결국 지난 11일 충격적인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닌텐도 3DS`의 판매가격을 2만5000엔에서 1만5000엔으로 40%나 내렸다. 올초 미래를 책임질 주력제품이라며 출시한 지 반 년 만이다. IT 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재팬에 따르면 3DS의 하드웨어 제조원가는 103.25달러다. 경상비용을 고려하면 1만5000엔의 판매가격은 사실상 원가 수준이다.

 

삼성이 갤럭시폰을, LG가 평면TV를, 현대차가 쏘나타의 가격을 단번에 이만큼 내린다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다른 기업은 상상도 못할 카드를 꺼낸 닌텐도의 뱃심이 궁금했다.

 

닌텐도의 2010년 결산서를 뜯어보니 주력제품인 `닌텐도 DS`의 경우 지난해 하드웨어 판매량은 1750만개였지만 DS 소프트웨어 판매는 이보다 7배나 많은 1억2100만개였다. 가정용 게임기인 Wii는 하드웨어(1500만개)보다 소프트웨어(1억7130만개) 판매량이 11배나 많다. 지난해 매출액 중 소프트웨어 판매비중이 40%를 점했다.

 

그들은 애초부터 게임 기계보다는 제조원가가 거의 들지 않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수익의 원천으로 삼아왔다. 소비자들에게 일단 게임기 한 대씩을 갖게 해놓고는 지속적으로 매력적인 게임 소프트웨어를 출시해 닌텐도를 찾아오게끔 만드는 전략이다. 1983년 게임시장에 들어온 이후 포켓몬스터, 슈퍼마리오, 두뇌트레이닝 등 `세상에 없는 것`들을 수없이 창출해온 혁신의 경쟁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원가로 제품값을 내린 닌텐도에서 패배자의 굴욕감보다는 "몇 년만 버티면 세상은 또 바뀐다. 그때 보자"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유타 노무라증권 게임담당 애널리스트도 40% 가격인하에 대한 분석보고서에서 "과연 닌텐도가 자신의 길을 잃은 것인가"라는 평가를 내놨다. 구글의 모토롤라 인수를 계기로 소프트 경쟁력이 부족한 한국 IT기업들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다. 하지만 닌텐도는 "소프트 경쟁력은 성장의 원천일 뿐 아니라 이제는 당장 살아 남기 위한 필수조건이 돼 버렸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에 묻는다. "휴대폰, TV, 자동차가 갑자기 쓸모없어진다면 당신네 기업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라고…

 


[한국일보 사설-20110823화] 북, 금강산 관광 파국으로 얻을 게 없다

 

북한이 어제 금강산관광지구 내 남측 재산을 실질적 법적으로 처분하겠다고 밝혔다. 금강산관광 중단 사태 장기화를 빌미로 새로 제정한 금강산관광 특구법에 근거해 재산권 처분 단행이라는 최종 조치를 취한 것이다. 북측은 그 동안 현대아산의 금강산관광 독점권을 취소하고, 남측에 국제관광 참여나 재산의 임대ㆍ양도ㆍ매각을 요구하며 응하지 않으면 처분하겠다고 위협해왔다. 금강산지구의 남측 재산은 투자 기준으로 4,841억원 상당에 이른다.

 

북측이 남측 재산권을 자의적으로 처분해 버리면 금강산 관광은 파국이다. 1998년 11월 남북화해와 공존의 상징으로 시작된 금강산 관광이 2008년 7월 관광객 총격 피살 사건에 따른 파행을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12년 8개월 만에 완전히 끝장나는 셈이다. 안타깝고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북측은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의사가 전혀 없는 남측 정부에 모든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관광객 피살 사건 진상조사 및 재발 방지, 신변보장 등 3대 전제조건을 외면하고 관광 재개를 요구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더욱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2차 핵실험 강행, 천안함ㆍ연평도 포격 도발 등으로 남북관계를 최악으로 몰아 넣은 것은 북측이다. 그러면서 금강산 관광을 정상화하자는 것은 이만저만한 이율배반이 아니다. 당국간 합의와 사업자간 계약 위반인 일방적 재산권 처분을 철회하고, 천안함ㆍ연평도 사건과 핵 문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현안 진전 속에서 금강산 관광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옳다.

 

우리 정부도 보다 적극적이고 유연한 자세로 임할 필요가 있다. 북측의 재산권 처분 단행에 대해 국제사회에 부당성을 알리고, 국제상사중재위 제소 등 외교적ㆍ법적 조치를 취한다지만 공허하다. 벌어진 사태 대처에 급급할 게 아니라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비전을 갖고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에 선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김정일의 중국 방문에 이은 러시아 방문, 북미 대화 재개 등으로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소극적인 태도로는 급변하는 정세에 대처하기 어렵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823화] 금강산 관광, 이대로 좌초시킬 순 없다

 

북한이 어제 금강산지구 남쪽 기업의 재산권에 대해 법적 처분을 하겠다며 남쪽 인원의 철수를 요구했다. 금강산 관광에 대한 현대아산의 독점권 취소를 거론해온 북쪽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대응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 교류의 상징이며 평화의 디딤돌 구실을 해온 금강산 관광이 좌초 위기를 맞았다.

 

북쪽의 행동에는 이해할 구석이 없진 않다. 2008년 7월 남쪽 관광객 피격사망사건으로 관광이 중단된 지 3년이 흘렀다. 남쪽은 사건 뒤 북쪽에 사과와 재발 방지,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 등의 3개항을 요구했다. 북쪽은 유감 표시와 함께 필요한 후속 조처를 할 뜻을 비쳤다. 하지만 구체적인 협의가 진척되지 않은 가운데 천안함·연평도 사건마저 일어나면서 관광 재개는 더욱 멀어져갔다.

 

남쪽 정부는 최근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 협의를 제안했다. 그러나 관광을 재개하려는 적극적인 의지가 담겼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부의 정책 기조가,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대북 교류·협력을 전면적으로 단절한 5·24 조처의 테두리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북쪽으로선 이런 상황이 불만스러울 수 있다. 어디까지나 북쪽 영역에 속하는 관광자원을 활용하지 못해 상당한 경제적 불이익을 보는데 뒷짐만 지고 있을 순 없다고 판단할 법도 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북쪽의 행동은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무엇보다 현대아산에 관광사업 독점권을 부여한 남북 당국간 합의와 사업자간 계약을 정면으로 무시하는 처사다. 국제사회의 상거래 규칙과 도의에 당연히 어긋난다. 북쪽은 최근 중국과 미주 지역에 새로운 금강산 사업자를 선정하고 독자적인 관광사업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한다고 해서 관광객 모집이 잘될 수 있을지 의문스러운 상황이다.

 

지금 남북 양쪽이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남쪽은 발상을 근본적으로 바꿔 관광 재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북-중 정상회담에 이은 최근의 북-미 대화와 북-러 정상외교 등으로 한반도 주변 정세가 변화하고 있다. 이런 마당에 남쪽이 금강산 관광을 선도적으로 재개한다면, 우리의 정세 주도력을 강화할 수 있다. 북쪽 역시 남쪽이 요구하는 관광 재개 3대 조건과 관련해 문서 보장 등 전향적인 조처를 마다해선 안 된다. 특히 금강산내 남쪽 재산을 제3자에게 매각하는 극단적인 조처는 결코 하지 말아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20110823화] 北, 금강산 남측인원 추방하며 제 발등 찍나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2일 "금강산 국제관광특구의 남측 재산에 대한 실제적인 법적처분을 단행하겠다"면서 "특구(特區)의 물자·재산에 대한 반출을 21일 0시부터 중단하며, 특구에 남아있는 남측 성원들은 72시간 안에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금강산에 남아 있는 현대아산 직원과 골프장 관리담당 등 14명을 내쫓겠다는 것이다.

 

북측은 작년 4월 금강산 관광단지 내 우리측 부동산의 몰수·동결을 선언했고, 지난 4월엔 2052년까지로 돼 있는 현대아산의 금강산 사업독점권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5월엔 금강산 사업을 북이 자기들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금강산특구법을 채택했고, 7월엔 미국의 한국계 사업가에게 금강산 사업을 위임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북이 금강산 내 우리측 재산권을 강탈하는 조치를 이처럼 잘게 쪼개서 밟아온 것은 우리측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가며 금강산 사업을 재개토록 하겠다는 속셈이었을 것이다. 우리 정부는 금강산 사업을 다시 시작하려면 2008년 7월 우리측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가 북한 경비병에 의해 피격 사망한 사건에 대해 유감표명과 재발방지 약속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민의 신변안전과 관련된 일인 만큼 당국 간에 약속이 필요한데 북은 김정일 위원장이 현대아산 현정은 회장을 만나 "다시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한마디 한 것으로 해결됐다는 주장이다.

 

북은 이제 우리측 금강산 시설을 빼앗아 독자적으로 관광사업을 해 보겠다는 마지막 협박 카드를 꺼낸 모양이다. 그러나 북 계산대로 될 일이 아니다. 북측이 우리측 발전(發電) 설비까지 가로채 전기를 생산해 보려 해도 발전설비를 가동할 기름값을 대려면 하루 수백명의 관광객이 금강산을 찾아야 한다. 1998~2008년 금강산을 찾은 관광객 193만4662명 중 외국인은 1만2817명으로 1%도 안 된다. 1년에 1200명, 하루 평균 4명꼴이다. 남측 관광객은 가로막힌 우리 땅을 밟아 보겠다고 휴전선 넘는 통과비용까지 따로 지불하며 금강산을 찾았지만, 외국인들에게 금강산 관광은 신기한 오지(奧地) 체험일 뿐이다.

 

대북 투자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저울질하던 외국 자본들은 금강산 사업을 처리하는 북한의 일방통행적 방식에 화들짝 놀랐을 것이다. 현대아산과 맺은 50년 독점 계약서를 휴짓조각처럼 찢어버리고 법까지 새로 만들어 다른 사업가와 계약을 맺는 나라와 어느 자본가가 사업을 하려 하겠는가. 북이 제 발등을 찍는 막가파식 행태를 바꾸지 않는 한 김정일이 러시아로 달려가 가스관 파이프 연결 문제를 꺼내본 들 헛일일 뿐이다.

 

 

[경향신문 사설-20110823화] 금강산 관광을 역사의 뒤안길로 내몰지 마라

 

지난 3년 동안 벼랑 끝에 걸려 있던 금강산 관광사업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북한은 그제부터 남측 부동산 및 설비에 대한 법적 조치에 들어갔으며 체류 남측 인원 전원에게 72시간 내에 떠날 것을 요구했다. 금강산 남측 인원이 모두 철수한다면 금강산 관광사업이 1998년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북한의 이러한 조치에 맞서 정부는 외교적·법적 조치로 맞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반도 평화와 화해의 문을 열었던 금강산 사업이 남북 당국의 변변한 재개 노력 없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금강산 사업이 이 지경이 된 데는 남북 모두의 책임이 크다. 정부는 3년 전 관광객 피살사건이 발생하자 관광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진상규명·신변안전보장·재발방지’를 내세웠다. 갓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이를 계기로 관광 재개보다 북한 길들이기에 주력했다. 정부의 입장은 지금도 변화가 없다. 북한은 당국 차원의 책임있는 조치보다는 대화다운 대화를 거부한 채 무조건적 재개를 요구해오다 지난해부터 아예 남측 재산 몰수·동결 조치에 이어 독자적인 국제관광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남북이 금강산 관광사업이 갖는 역사적·민족적 의미보다는 상호압박에만 관심이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양측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제 갈 길을 고집하는 한 해법이 없어 보인다. 앞으로 예상되는 현실적 결과를 미리 그려볼 수는 있다. 북한은 미국 등 외국 사업자들과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스스로 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실효성이 의심스럽다. 그동안 금강산을 다녀간 관광객은 196만명으로 이 중 외국인은 불과 1200명이었다. 여기에다 미국은 대북 경제제재를 계속하고 있다. 또 일방적인 북한의 계약 파기는 북한이 추진 중인 해외 투자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은 불문가지다. 북한의 계획이 현실적이지 못하다. 여기에다 금강산 관광 사업 폐기로 인해 남북 사이에 더욱 깊은 생채기가 생기는 것은 불가피하다.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남북 당국이 자신의 입장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금강산 관광을 재개한다는 대전제 아래 우선 머리를 맞대는 것이다. 남북이 강한 의지를 갖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해결책을 찾는 것이 어렵지 않을 듯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상황을 더 악화시키지 않도록 북한이 국제관광특구 추진을 포기하고 정부는 적극적 자세를 보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금 남북 당국에 필요한 것은 솔로몬의 지혜가 아니라 금강산 사업에 대한 믿음과 의지다.

 

 

[서울신문 사설-20110823화] 마침내 비참한 최후 맞은 리비아 카다피

 

리비아를 42년간 철권통치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가 임박했다. 리비아 반군은 어제 수도 트리폴리 입성에 성공했다. 카다피의 차남과 3남은 생포됐다. 트리폴리는 카다피의 최후 거점 도시다. 이에 앞서 반군은 카다피 5남이 지휘해온 트리폴리 외곽의 친위 정예부대 기지를 접수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휴가지인 마서스 비니어드섬에서 성명을 통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는 힘이 정점에 달했다.”면서 “트리폴리는 독재자의 손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6개월여간의 지루했던 내전은 미국, 영국 등 다국적군의 지지와 지원을 받은 반군의 승리로 사실상 끝이 났다.

 

지난해 말부터 아프리카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불어닥친 ‘피플파워’는 24년간 통치했던 벤 알리 전 튀니지 대통령을 축출하고, 30년간 이집트를 강압 통치한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권좌에서 내쫓은 데 이어 카다피를 끌어내리는 데도 사실상 성공했다. 총과 대포로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찾겠다는 시민들을 굴복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불가능할 것 같던 일이 튀니지의 재스민혁명을 시작으로 북아프리카에서 연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카다피의 몰락에 따라 민간인들에 대한 유혈 진압도 서슴지 않고 있는 시리아의 알아사드 정권에 대한 퇴진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이제 리비아에서는 ‘포스트 카다피’ 체제를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반카다피 진영의 대표기구인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졌다. 미국 등 국제사회는 리비아에 민주정부가 수립돼 하루빨리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카다피 정권의 몰락을 가장 우려스러운 눈으로 볼 대표적인 정권은 아무래도 3대째 세습을 준비하는 북한의 김정일 정권일 것이다. 북한 정권은 주민을 억압만 한다고 해서 제대로 굴러가는 것은 아니라는 교훈을 얻어야 한다. 정부와 군은 북한의 움직임을 보다 면밀히 점검해 만반의 대비를 해야 한다. 또 정부는 교민 안전은 물론 카다피 이후에도 리비아의 건설사업에 우리 건설업체들이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차분하면서도 내실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823화] 대한민국,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길을 묻다

 

서울시 초 · 중등학교 무상급식에 대한 주민투표가 내일 실시된다. 서울시민들은 이번 투표를 통해 오세훈 시장이 주장하는 단계적 실시와 민주당이 지배하는 시의회에서 요구하는 전면실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그렇지만 투표 결과는 서울이라는 특정 지역이나 무상급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선별적 복지론과 전면적 복지론이 정면 충돌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그렇다. 국가 복지정책의 향후 진로가 판가름나는 중대한 기로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번에는 무상급식이지만 다음에는 무상의료,무상보육,무상교육으로 전선이 확대될 게 틀림없다. 이대로 넘어가면 여태껏 축적한 결코 크지 않은 성과를 미래세대로 넘기지 않고 당장 써서 즐기고 보자는 공짜 파티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복지비용은 한 번 쓰고 마는 것이 아니라 매년 계속해서 지출해야 하고 그것도 누적적으로 늘어나는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처음 시작하는 것은 쉬울지 몰라도 지속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복지 포퓰리즘이란 독배를 삼킨 결과가 얼마나 무서운지는 지금 그리스를 비롯한 남유럽국가들의 재정이 파탄날 지경에 이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세훈 시장의 고군분투는 보기에 민망하고 안타깝다. 그가 투표결과에 시장직까지 걸면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렸던 것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한나라당이 정체성을 잃고 계파별 이해득실에만 몰두한 나머지 오로지 오 시장 한 사람에게만 책임을 지우고 뒷짐을 지고 있는 꼴이 한심하고 딱한 것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투표에서 지면 오 시장의 사퇴가 불가피해 서울시장을 야당에 넘겨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고 하지만,그것은 그들만의 문제일 뿐 우리의 관심대상이 아니다. 이렇듯 무책임해서야 언제 어떤 선거를 한들 별로 나아질 것도 없을 것이다. 다른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을 뻔히 알면서 재정건전성을 고려치 않는 정책을 쏟아내고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지 않는 여당은 야당만도 못하다. 불량 정당,나쁜 정당일 뿐이다. 한나라당이 이번 투표 결과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대단한 착각이요,오판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823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 시급하다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연착륙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ㆍ4분기 가계부채는 전분기에 비해 19조원이나 늘어난 876조3,000억원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빠른 것도 문제지만 내용면에서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ㆍ4분기의 경우 마이너스 대출을 비롯한 기타 대출이 무려 4조1,000억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급전수요가 그만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식투자 등을 목적으로 하는 대출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생활자금 마련을 위한 대출수요도 크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생활자금을 위한 가계대출의 경우 경기가 나빠지면 상환능력도 떨어져 부실위험이 커진다는 점이다. 앞으로 경제침체가 심화돼 소득증가율이 떨어질 경우 연체율이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계부채발 금융불안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일시에 가계대출을 중단하거나 무리하게 회수에 나설 수도 없는 실정이다. 며칠 전 금융당국이 일부 은행의 가계대출을 전면 중단하는 초강수를 뒀으나 혼란과 부작용에 부딪쳐 철회한 것이 좋은 예다.

 

금융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점진적으로 풀어야지 충격적인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위험수위에 이른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총량억제도 중요하지만 가계부채의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해 대출조건별 리스크를 산출하고 그러한 위험성을 감안한 대출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는 것은 물론 가계대출의 전반적인 위험성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하다면 소득부채비율 또는 주택담보비율을 더 엄격하게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최근 급증하고 있는 카드론이나 2금융권 대출 추이에 대한 금융당국의 관심이 요구된다. 이들 대출은 대부분 고금리일 뿐 아니라 주식투자 등의 목적이 많아 대출 부실화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가계대출발 금융불안이 가시화되기 전에 연착륙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정성희(논설위원)-20110823화] 청소년 유해물 심사

 

내가 커피를 마시는 걸 보고 초등학생 아들이 노래를 한다. “아메리카노 좋아 좋아 좋아∼” 이 노래는 여성가족부 음반심의위원회가 16일 청소년 유해물로 지정한 인디밴드 10cm의 ‘아메리카노’다. ‘여자 친구와 싸우고서 바람 필 때/다른 여자와 입 맞추고 담배 필 때/마라톤하고 간지나게 목축일 때/순대국 먹고 후식으로∼’ 후렴만 들을 때는 몰랐는데 전체 가사를 보면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이 따라 부르기엔 부적절해 보인다.

 

▷음반심의위가 최근 아이돌 그룹의 일부 노래와 뮤직비디오에 청소년 유해물 판정을 내린 이후로 여성가족부가 오빠부대의 전화 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음반심의위는 14일 그룹 비스트의 ‘비가 오는 날에’를 유해물로 결정했다. ‘취했나봐/그만 마셔야할 것 같애’라는 부분이 음주를 권고한다는 이유였다. 비스트 멤버 양요섭이 트위터에 ‘앞으로 동요를 부를 생각이다. 진짜 너무 하네요’라는 글을 올리자 소녀 팬들이 “오빠를 괴롭히지 말라”며 여성가족부에 항의전화를 걸고 있다. ‘아메리카노’와는 달리 ‘비가 오는 날에’의 이 한 소절이 음주를 부추긴다고 보기는 어렵다.

 

▷2008년 동방신기의 노래 ‘주문-MOROTIC’의 가사 중 ‘넌 내게 빠져’ 등이 청소년 유해물로 판정되자 당시 청소년 유해물 심의를 맡고 있던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가 팬들의 항의로 마비되다시피 했다. 동방신기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가 제기한 소송에서 서울행정법원은 “은유적으로 성행위를 표현한 것으로 느낄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청소년의 성행위를 조장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동방신기의 손을 들어줬다.

 

▷음심위는 매년 3만 건의 음반을 모니터해 유해음반 여부를 결정한다. 유해음반으로 판정받은 노래는 2008년 653건에서 2010년에는 1057건으로 늘어났고 올해 상반기에만 516건에 달했다. 음심위의 모호하고 자의적인 심의기준이 장르음악을 죽이고 창작의욕을 꺾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국가 주도의 심의제도가 존재하는 한 이런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미국은 1990년부터 미국음반회사연합(RIAA)이, 일본은 1983년부터 일본레코드협회 산하 레코드윤리심사회가 유해물을 판단한다. 음반대국의 자율심의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심상복(논설위원)-20110823화] 유통기한

 

식품은 변한다. 특수처리를 해도 한계는 있다. 정부가 1985년부터 유통기한제를 운용하고 있는 이유다. 사랑도 변한다. 하지만 변질방지법 같은 건 없다. 상온에서 사랑은 얼마나 오래 변치 않을까. 미국 코넬대 인간행동연구소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8~30개월이라고 한다.

 

‘내 남자의 유통기한’. 2006년 제8회 서울여성영화제에 초청된 독일 영화다. 원제(The Fisherman & His Wife)보다 훨씬 센스 있는 제목이다. 성공 지향의 여자와 작은 행복에 만족하는 남자가 사랑에 빠져 결혼하는데, 그들의 감정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차분하게 다뤘다.

 

사랑을 측정할 수 있을까. 과학자들은 대뇌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신경물질과 호르몬으로 사랑의 크기를 잴 수 있다고 말한다. 연애에 빠지면 뇌에서 도파민·페닐에틸아민·옥시토신·엔도르핀이 다량 분비되고 사랑이 식으면 이런 호르몬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2002년 코넬대 연구팀은 남녀 간의 뜨거운 애정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50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대략 1년 반이 지나면서 대뇌에 항체가 생겨 사랑의 화학물질 생성이 더뎌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정도가 심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사랑의 유통기한이 다한 것일까. 그렇다고 다 깨지는 건 아니다.

 

식품도 비슷하다.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해서 다 변질되진 않는다. 그럼에도 지금은 유통기한을 넘긴 식품은 무조건 판매를 금하고 있다. 만든 기업이 다 수거해 폐기해야 한다. 그런 비용이 한 해 6500억원쯤 된다고 한다. 의약품이나 화장품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업계에선 유통기한이 너무 엄격하다고들 한다. 냉장고가 흔치 않을 때 정해진 기준이라고도 한다. 우유의 경우 유통기한이 5~7일인데, 냉장시설에 잘 보관하면 20일 정도는 문제 없다고 한다. 과자와 라면은 보통 6개월 안팎인데 이보다 한두 달 늘어난다 해도 국민건강을 해칠 일은 별로 없다고 말한다.

 

 정부가 유통기한(sell-by date)보다 긴 소비기한(use-by date)이라는 새 용어를 만지작거리는 배경이다. 언제까지 소비하라는 날짜다. 일본과 영국이 이렇게 하고 있다고 덧붙인다. 유통기한은 지났지만 소비기한이 남은 제품의 값을 왕창 낮추면 물가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아원·양로원에 식품 보내기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라고 한다.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을 일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손동우(논설위원)-20110823화] 평화의 비행기

 

집회나 시위의 분위기는 대체로 엄숙하고 비장했다. ‘민중 애국가’로 불리는 ‘님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퍼지면 군부독재에 대한 분노가 서서히 끓어올랐고, ‘나부끼는 깃발’ 아래서 ‘산 자는 따라가야’ 했다. 사회자가 ‘열사의 뜻 이어받아 군부독재 타도하자!’고 외치면 참가자들은 ‘타도하자, 타도하자, 군부독재 타도하자!’며 구호 뒷부분을 4음절, 4음절, 8음절로 끊어서 후창(後唱)하는 방식도 일종의 매뉴얼로 굳어졌다. 시위 진압경찰의 최루탄 발포나 진압봉 공격에 맞서 쇠파이프나 죽창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시위 양태는 억압적인 군부독재에 대항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천편일률적인 진행방식이 거부감을 일으켜 일반인의 참여를 막는다는 지적도 없지 않았다.

 

전투적 시위 문화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계기는 바로 2008년의 쇠고기 촛불시위였다. 이때도 극우보수세력들은 ‘좌파세력 배후’를 운운하며 예의 색깔론을 들먹였다. 그런데 ‘주축세력’의 하나였던 젊은 주부들은 유모차를 몰고 나왔고, 여중생들은 한바탕 축제마당을 연출함으로써 색깔론자들의 시대착오적 음모론을 분쇄했다. 올해 우리 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한진중공업 사태에서도 색다른 시위·집회 방식이 빛을 발했다. 전국 방방곡곡에서 출발한 ‘희망버스’는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이 크레인 농성 중인 부산 영도조선소에 몰려가 정리해고의 부당성을 고발하면서 연대의 힘을 과시했다.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기 위해 ‘평화의 비행기’가 뜬다고 한다. 참가자들은 다음달 3일 김포공항에서 항공편으로 제주에 도착한 뒤 강정마을 주변의 올레길을 걷고 평화 콘서트를 열게 된다. ‘희망버스’가 시민사회의 큰 호응을 얻었고, ‘평화의 비행기’도 그럴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성과가 단지 집회 방식의 기발함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 ‘희망버스’에서는 김진숙이라는 여성 노동자의 눈물겨운 헌신과 진정성이 평범한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가슴을 울렸기 때문에 폭발적인 호응이 가능했다. ‘평화의 비행기’에서도 의미있는 성취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까닭은 행사를 주관하는 천주교 인권위원회가 인권·평화를 위해 펼쳐온 성실한 활동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역시 외형보다는 ‘콘텐츠’가 더 중요하다.

 

 

[매일경제신문 칼럼-글로벌포커스/남영숙(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20110823화] 외국 진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얼마 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글로벌 관점`이라는 세미나에 참석했다. 아시아, 아프리카, 북남미에서 온 참석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규범과 사례에 대해 발표했고, 필자도 한국 내 CSR 활동 흐름과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그런데 참석자들은 국내가 아니라 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CSR에 대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했다. 남미에서 온 한 참석자는 2000년대 초 멕시코에 있는 나이키 하도급공장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이 열악한 노동조건에 항의하던 직원들을 대량 해고하고 아동노동 등 인권유린 혐의도 받으면서 미국 내에서 나이키 불매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던 사태를 언급하면서 그동안 이런 문제와 관련해 변화가 있는지를 물었다. 아프리카에서 온 참석자는 아프리카 현지에서 한국 기업들이 대량으로 토지를 매입하고 있다면서 토지는 아프리카 주민 생존권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기업의 국외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와 염려가 동시에 섞인 이러한 반응은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기업 활동과 관련된 이해관계자 범위도 글로벌화하는 것을 반영한다고 하겠다.

 

1990년대부터 낮은 임금을 좇아 중국에 대량으로 진출했던 한국 기업들은 중국 내 급격한 임금 인상에 따라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미얀마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현지에서 노사관계나 환경보호 관련 문제를 일으키고 갈등을 겪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몇몇 한국 기업이 일으키는 문제는 한국 기업 전체에 대한 이미지 훼손과 반한 감정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그동안 한류로 쌓은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쉽게 무너뜨리는 것이다.

 

OECD는 1976년에 `다국적 기업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고용, 인권, 환경, 소비자, 정보공개 등에 있어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 원칙과 절차적 요소들을 정립했고 최근에는 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해 왔다. 유엔도 2000년 유엔 글로벌콤팩트를 제정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발도상국 개별 국가 차원에서 노동, 인권, 환경 관련 기준도 강화하는 추세다. 인도네시아와 같이 CSR 활동을 법적 의무로 규제하기 시작한 사례도 있다.

 

외국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이 이런 국제적ㆍ국내적 규범에 부합하는 기업활동을 하는 것은 이제는 선택사항을 넘어 생존전략이자 글로벌 사회적 책무를 이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연구는 사회적 책임 관련 규범을 자발적으로 준수하는 것이 기업의 중장기적 경영 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과 달리 외국 진출 중소기업이 현지에서 법적ㆍ윤리적 책임을 다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비용적 측면에 더하여 현지 상황과 법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오는 문제도 크다. 이런 점에서 외교통상부가 최근 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CSR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주로 아시아와 남미에 진출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시작한다고 하는데, 너무 드러나는 관 주도 CSR 지원활동은 주의해야겠지만 한국 기업이 현지에서 `착한 기업`으로 자리 잡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는 CSR 활동이 기부나 봉사활동에 의존한 보여주기식 표면적 마케팅 수단으로 주로 활용됐는데 한걸음 더 나아가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무한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경영환경에 요구되는 외국 진출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해 중장기적이고 폭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2011년 8월 30일 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10830화] 곽노현 교육감 사퇴하고 검찰조사 받아라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그제 교육감 후보단일화 상대였던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2억 원을 몰래 건넨 사실을 시인하고도"어려운 처지를 외면할 수 없어 선의의 지원을 했을 뿐"이라고 둘러댔다. 그러나 지지자들조차 "말이 안 되는 얘기"라며 혀를 차고, 반대자들은 "내게도 선의로 2,000만원만 지원해 달라"며 조롱하고 있다. 검찰은 두 사람이 오랫동안 돈 문제로 다툰 정황을 밝혔으며, 박 교수의 측근도 곽 교육감의 주장을 일축했다. 곽 교육감은 즉각 서울시민에게 사과하고 사퇴한 후 법의 심판을 기다리는 게 좋겠다.

 

곽 교육감은"범죄인지 아닌지, 부끄러운 일인지 아닌지 사법 당국과 국민의 판단에 맡긴다"는 묘한 말을 하며 사퇴를 거부했다. 오히려"합법성만 강조하고 인정을 상실하면 몰인정한 사회"라거나,"정치적인 의도가 반영된 표적수사"라면서 자리에 연연하는 모습이다. 법원의 선거사범 신속재판 규정에 따르더라도 검찰 수사와 1심 재판 6개월, 2ㆍ 3심 각 3개월을 합쳐 그럭저럭 1년 이상'합법적'으로 교육감 노릇을 더 할 수 있다고 계산했을 수 있다.

 

하지만 거대 서울시의 교육행정을 책임진 교육감이 중대 범죄혐의를 받으면서 그대로 자리에 머무는 건 옳지 않다. 서울시 교육감은 한해 6조원 예산과 5만5,000명 교원의 인사를 좌우하는 막중한 권한과 책임을 갖고 있다. 곽 교육감은 "학교는 자유와 민주, 법과 자율, 자치의 체험교육장이 돼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강조했다. 학생들에게 법의 엄정함을 일깨우기 위해서라도 더 이상 머뭇거려서는 안 된다. 해괴한 논리를 앞세워 시간을 끄는 것은 그 자신에게도 더욱 욕될 뿐이다.

 

검찰은 곽 교육감의 진퇴와 별개로 엄정한 수사를 해야 한다. 무엇보다 10ㆍ26 재보선에서 전개될 우리 사회의 복지 논의를 왜곡시키지 않도록 수사를 조속히 매듭짓기 바란다. 특히 2억 원의 출처와 후보 단일화 뒷거래의 전모를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 그 것이 교육자치의 미래를 위한 길이다.

 

 

[한겨레신문 사설-20110830화] 곽노현 교육감, 권위와 도덕성 이미 잃었다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이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데는 ‘부패’에 대한 단호한 척결 의지가 크게 작용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전임 공정택 교육감이 인사청탁 대가로 1억4600만원을 받은 사실이 들통나 구속된 것에 대한 심판의 측면도 있었겠지만, 곽 교육감이 법학 교수 시절 등을 통해 보여준 깨끗하고 도덕적인 이미지가 단단히 한몫을 했다. 삼성그룹 편법승계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그가 힘을 쏟은 ‘스톱 삼성’ 운동이 대표적인 사례다. ‘반부패 전사’를 자임했던 곽 교육감이 후보 단일화를 이룬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2억원을 건넨 혐의로 검찰 소환이 임박했으니 참으로 유감스럽고 잘못된 처신이 아닐 수 없다.

 

어떤 이유로든 곽 교육감이 2억원을 건넨 것은 합리화되기 어려운 행위다. 돈을 전달한 방법이나 횟수, 금액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선의’라는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박 교수의 처지가 아무리 어려웠다고 해도 후보 단일화를 한 특수관계자에게 거금을 준 것은 국민의 상식과 눈높이에서 용인되지 않는다. 단일화의 대가로 비칠 소지가 크다. 이런 상황이 “미안함과 고마운 마음”이라는 말로 설명되리라 판단했다면 수도 서울의 교육수장이라는 자리를 너무 쉽게 생각했다고 할 것이다.

 

설령 선의를 인정한다 해도, 곽 교육감은 또다른 불법 시비에 휩싸일 수 있다. 당장 ‘2억원에 대한 증여세를 냈느냐’는 질문이 나오면 어떻게 답변할 것인가. 고위 공직자들이 자녀에게 수천만원을 줬다가 인사청문회에서 증여세 탈루로 곤욕을 치르는 게 현실이다. 우리 사회의 도덕적 잣대는 그만큼 엄격해졌다.

 

이번 사건으로 국민들이 반부패 교육 등에 실망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곽 교육감 당선에 애를 쓴 진보·개혁 진영의 정치적·도덕적 상처 또한 적지 않다. 사법 처리의 관건인 대가성 여부와 관계없이 그가 교육감 자리를 지속할 수 있는 권위와 도덕성을 잃었다고 판단하는 이유다. 정치권은 물론 교육감 선거에서 그를 지지했던 시민사회단체들까지 나서서 사퇴를 요구한 것은 시민의 지지라는 근본 토대가 무너졌음을 보여준다. 곽 교육감은 스스로 물러나는 게 옳다. 이와 별개로 서울시민들이 곽 교육감 선출을 통해 표출한 교육부패 추방, 학생인권 강화, 교육복지 확대 등의 가치들이 이번 사건으로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

 

 

[조선일보 사설-20110830화] 민주당 복지 플랜은 '舊式 복지모델' 아닌가

 

민주당은 29일 무상 급식·무상 보육·무상 의료에 반값 등록금을 합친 소위 '3+1 복지 플랜'을 실현하기 위해 매년 평균 33조원의 재원을 조달하겠다고 발표했다. 33조원의 복지 비용은 예산 지출 삭감을 통해 12조3000억원, 건강보험료율 인상을 비롯한 기존 복지제도 개혁을 통해 6조4000억원, 조세부담률을 올해 19.3%에서 2017년 21.5%로 올려 14조3000억원을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복지공약만 찍어내던 정치권이 뒤늦게나마 구체적인 비용 마련 계획을 내놓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제 국민과 전문가들이 이런 비용 조달 계획이 현실적이고 지속가능한 것인지 점검할 차례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취약 계층에 기본 생계를 보장하는 정책을 '선택적 복지'라고 이름 붙이고,모든 국민에게 기본 생계비는 물론 의료·교육·일자리·주거까지 제공하겠다는 자신들의 정책을 '보편적 복지'라고 선전해왔다. 그러나 민주당이 내건 '만인(萬人)을 위한 복지', 이른바 '보편적 복지'라는 단어는 이미 선진국에서는 사어(死語)가 돼버렸다. 1950~60년대에 걸쳐 등장한 만인을 위한 복지는 '영국병' '네덜란드병' '스웨덴병'을 차례로 불러왔고, 요즘은 EU 전체가 실업률은 올라가고 성장이 하락하는 'EU증상(症狀)'에서 어떻게 탈출하느냐를 놓고 머리를 싸매고 있다. 민주당이 내건 보편적 복지란 앞서간 나라들이 넘어진 자리에서 우리도 넘어지겠다는 '구식(舊式)모델'이다.

 

민주당이 복지 재원 마련을 위해 예산 지출을 삭감하고 각종 복지 제도를 손보겠다고 나선 것은 옳다. 우리 경제 성장률이 3%대(臺)로 하락했고 걸핏하면 금융위기에 빠지는 현실에서 그동안의 씀씀이를 개혁하지 않고서는 안 되는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년 조달하겠다는 33조원은 올해 정부 예산 309조원의 11%에 가까운 금액이다. SOC사업비부터 산하기관 출자금까지 민주당이 삭감하겠다는 예산 항목들은 모두 지역 주민, 공무원은 물론 민주당 의원을 포함한 국회의원들의 이해관계가 얽힐 대로 얽혀 있는 프로젝트다. 민주당이 과연 이런 예산을 과감하게 삭감할 각오라도 되어 있는가.

 

금융파생상품 거래에 세금을 부과하고 기존의 비과세·면세 혜택을 대폭 축소해 새로운 세금을 신설하지 않고 조세부담률을 21.5%까지 올리겠다는 구상도 지켜봐야 한다. 전 국민이 건강 보험료율을 올리겠다면 선뜻 동의하겠는가. 민주당은 애타게 구원의 손길을 원하는 계층에 먼저 복지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복지의 원점(原點)에 서서 생각을 정리해야 한다.

 

 

[경향신문 사설-20110830화] 민주당 복지재원 방안이 ‘복지국가 비전’ 되려면

 

민주당이 어제 보편적 복지재원 조달 방안을 내놓았다. 올해 초 발표했던 ‘3(무상급식·무상보육·무상의료)+1(반값 등록금)’ 재원조달 방안을 보완한 것이다. 2013년부터 5년 동안 연평균 33조원의 재원을 마련해 17조원은 ‘3+1’ 정책을 위해 쓰고, 여유재원 16조원은 취약계층 지원·일자리·주거복지 등에 활용한다는 것이 큰 줄기다. 16조원의 사용 계획은 추후 내놓기로 했다. ‘재원 없는 복지는 선거구호’라는 비판을 의식한 탓인지 복지재원을 현행 국가예산의 10% 가깝게 늘린 것이 눈에 띈다.

 

33조원은 재정지출 절감으로 12조3000억원, 복지체계 개혁으로 6조4000억원, 감세철회·비과세감면 축소 등으로 14조3000억원을 조달하게 돼 있다. 민주당은 국채를 발행하거나 세금 신설은 없이 재정·복지·조세 등 3대 개혁을 통해 소비성·중복성·선심성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한마디로 ‘나라살림을 최대한 아껴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낭비를 줄여 복지에 쓰겠다는 민주당의 원칙에 반대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내놓은 몇몇 복지정책을 위한 재원마련 차원을 뛰어넘어 복지국가 비전을 제시하려면 복지국가에 걸맞은 틀이 갖춰져야 한다. 소득재분배를 강화하는 경제성장 구조, 지속가능한 복지를 떠받치는 재정 구조, 직접세 비중 상향 등 공평과세를 담보하는 조세체계 등 국정의 다양한 측면에서 명실상부한 복지국가의 모습이 제시돼야 하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중요한 재정확대 문제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 재정확대는 증세와 연결된다. 민주당은 “국민 세부담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세부담률이 현재 19.4%에서 2017년에 21.5%로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증권거래세 확대를 제외하면 감세철회·비과세 축소가 세부담 증가의 전부다.

 

더 걷고 더 쓰는’ 혹은 ‘더 내고 더 받는’ 적극적 복지국가의 틀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지 청사진과 함께 국민이 부담할 몫과 부담 방식을 분명하게 제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는 보편적 복지에 대한 국민적 동의를 공고히 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무상급식·무상보육과 달리 보장범위와 투입비용을 둘러싸고 논란이 크게 마련인 무상의료 부문에서 이런 정직한 접근이 필요하다. 재정 개혁은 더 과감해야 한다. 57조원에 이르는 경제사업 예산을 5%(2조8000억원) 절감하는 것은 지역개발 공약이 판치는 정치현실에 대한 개혁의지가 부족함을 보여준다. 토건사업 등 과도한 경제사업 비중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는 것은 재정지출의 효율성뿐 아니라 복지국가의 틀을 갖추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서울신문 사설-20110830화] 장애인 채용 대신 돈으로 막겠다는 대기업

 

송승환, “문화부장관 하라” MB가 제의하자…오세훈 굴욕 “한달간 공관 사용하려면 관리…日 새 총리 ‘보수 우파’ 노다‘빅뱅’ 대성 무혐의 처분레이디가가 맹비난한 여성부 위원장 결국..…165㎝ 육상계의 김연아 얼마나 예쁘기에...대기업들의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점차 늘고 있다고 한다. 장애인 고용부담금이란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장애인 의무 고용비율(공공기관 3 %, 민간기업 2.3 %)을 지키지 못해 대신 정부에 내는 돈을 말한다. 기업들의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늘었다는 것은 장애인 고용을 하느니 차라리 돈으로 때우겠다는 인식이 여전하다는 방증이다. 씁쓸하고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제 한 국회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대기업들은 총 1652억원의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납부하겠다고 신고했다. 지난해 1246억원보다 24.5 % 늘어난 수치라고 한다. 지난 4년간 납부현황을 보면 삼성전자가 307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LG전자 108억여원, LG 디스플레이어 98억여원, 하이닉스반도체 70여억원이다. 법적으로는 장애인 채용 대신 벌금 성격의 부담금을 내는 것이 문제되지 않는다. 하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생각한다면, 일의 능률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장애인 채용을 기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기업이 이익 추구를 위한 집단인 것은 분명하지만, 따뜻한 사회를 만들고 윤리경영과 상생번영을 실천해야 하는 책무도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장애인 고용에 좀 더 열린 자세를 가져 주기를 촉구한다.

 

최고의 복지는 고용이다. 장애인들에게는 더욱 절실한 얘기다. 시혜성·일회성 지원보다 생존권이 위협받지 않도록 일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공생발전’ ‘상생’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선진사회일수록 장애인을 동반자로 인식하고 함께 간다. 장애인·비장애인 차별 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세상이야말로 공정한 사회다. 이제 기업들이 인식을 바꾸어야 할 때가 됐다. 정부도 장애인 미고용 기업에 부담금만 부과할 게 아니라 징벌적 제재를 포함해 좀 더 적극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10830화] 국민연금, 가입자가 선택하게 확 뜯어고쳐라

 

보건복지부가 어제 국민연금 기금운용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기금운용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 거래 증권사와 위탁운용사의 세부 평가항목과 선정기준, 평가배점 등을 내년부터 홈페이지에 모두 공개하겠다고 한다. 외부 인사가 포함된 거래증권사 및 위탁운용사 선정위원회를 신설하고 부정행위를 저지른 임직원에 대한 처벌도 강화키로 했다. 이렇게 해서 거래 증권사의 평가점수를 조작하거나 과도한 전관예우를 허용하는 등 비리의 소지를 뿌리뽑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정도의 미시적인 대책이 얼마나 통할지는 지극히 의문이다. 국민연금 비리는 내부통제 장치나 시스템이 미비해서 생긴 것이 아니다. 문제는 보다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데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 증권사를 통해 연간 189조원을 굴리는 큰손 중의 큰손이다. 증권사에 지급하는 수수료만도 연간 500억원에 육박할 정도다. 국민연금이 이처럼 엄청난 이권을 손에 쥐고 증권사의 목줄을 잡고 있는 한 아무리 고도의 감시체계를 구축해본들 봐주기와 부정부패에 대한 유혹을 원천봉쇄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봐야한다.

 

정부가 정말로 비리를 없애고 싶다면 국민연금의 운용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뜯어고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본다. 국민연금은 국민 1945만명으로부터 의무적으로 거둬들인 340조원이라는 막대한 돈을 굴리는 둘도 없는 공룡이다. 이런 커다란 덩치를 그대로 둬서는 관리가 방만해지는 건 오히려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결국 이미 외국에서 도입한 대로 국민들이 복수의 연금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운용사를 스스로 고를 수 있도록 하는 게 최선의 방책이다. 민영화 내지는 복수 경쟁체제로 가야 한다는 얘기다. 그것이 2060년이면 재원고갈이 예정된 국민연금도 살리고 국민들이 자신의 노후를 보다 잘 설계할 수 있게 하는 길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10830화] 가계대출 금리인상 부작용 최소화가 과제

 

다음달부터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금리를 인상할 방침이어서 가계의 이자부담이 가중되고 소비위축 등 상당한 후유증이 예상된다. 위험수위에 이른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것이 사실이다. 문제는 대출금리를 올리게 되면 신용과 담보력이 취약한 서민과 영세 자영업자, 그리고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이 가중된다는 점이다.

 

농협ㆍ신한은행ㆍ우리은행 등은 오는 9월부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0.1~0.2%포인트 인상할 계획이다. 은행들은 이에 앞서 지점장 판단으로 우대하는 전결금리도 없애 대출금리는 실질적으로 0.4%포인트 안팎 올랐다. 가계부채가 경제불안의 뇌관이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금리인상은 불가피한 대책이다.

 

분기당 10조원 이상씩 급증하며 900조원에 이른 가계부채가 경제를 흔드는 시한폭탄이 되지 않게 하려면 가계빚을 통제 가능한 수준에서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증가율을 월평균 0.6% 이내에서 묶고 은행들이 이자율을 올리면 가계대출 수요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가계대출 억제는 경기부진과 함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저소득 서민층의 자금사정을 더 악화시킬 우려가 크다. 금리인상은 장기적으로 원리금 상환액이 증가해 가계의 가처분소득 감소와 소비지출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회복에도 걸림돌이 된다. 특히 금리인상으로 이자부담이 무거워지면 고소득층과 대기업보다는 저소득층, 영세 중소기업들이 더 큰 충격을 받게 된다. 2ㆍ4분기의 경우 빚을 내 생활하는 적자가계 비율이 26.2%에 이르고 올 들어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이자비용이 지난해 동기 대비 11.4%나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서는 금리인상이 불가피하지만 서민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예대마진의 합리적 조정을 비롯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를 기준으로 한 변동대출금리 산정 등에 따른 시장금리 왜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신용카드 등 각종 수수료 인하방안도 검토돼야 한다. 은행의 가계대출금리 인상이 신용경색은 물론 실물경제의 침체요인이 되지 않도록 정책적 관심이 요구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오늘과 내일/권순택(논설위원)-20110830화] 사회적 동정 악용하는 ‘희망버스’

 

서울에서 열린 제4차 ‘희망버스’ 행사의 참가 규모나 열기를 보면 희망버스의 열기도 식어가는 듯하다. 한진중공업에서 8개월째 농성 중인 김진숙 씨는 이제 크레인에서 내려올 수도, 무한정 고공농성을 계속할 수도 없는 난감한 처지에 놓인 것 같다.

 

김 씨는 가난 때문에 중학교 졸업 후 가출해 1981년 한진중공업 전신인 대한조선공사 용접공이 된 뒤 방송통신고에 가려고 했다. 재직증명서를 떼러간 그에게 회사 대리는 “방통고 나온다고 니 인생에 꽃이 필 거 같나”라며 거부했다. 그의 책을 읽으면서 글재주에 놀랐다. 그가 방통고를 거쳐 대학에 갔다면 시인이나 소설가가 됐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물여섯에 해고된 뒤 세 번의 남영동 대공분실 조사, 두 번의 구속과 수배생활 5년이란 그의 이력도 달라졌을지 모른다.

 

종북(從北)도 좌파도 아니면서 제 돈 들여 ‘희망버스’에 탄 사람 중에 김 씨의 기구한 인생 스토리에 사회적 동정(social sympathy)을 느낀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나도 짠했다. 가난하고 힘없는 사회적 약자에게 측은지심이나 동정심을 느끼는 건 자연스럽다. 겉으로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목표로 내건 ‘희망버스’의 동조자가 적지 않은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비정규직이 870만 명이나 되고 직장인이라면 정리해고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니 동병상련을 느낄 만하지 않은가.

 

그러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동정과 법을 무시하면서 불법행동을 지원하는 건 구분돼야 한다. 김 씨는 “악법도 법이니까 지켜야 한다는 쪽보다는, 어느 한쪽만 일방적으로 피해를 보는 나쁜 법은 자꾸 문제를 제기해서 깨 버리자는 논리에 더 수긍이 간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화된 세상에서 법을 어기면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다. ‘궤변 법학자’인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라면 사회적 약자가 법을 지키지 않거나, 약자를 돕기 위해 법을 어기는 걸 ‘착한 불법’이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설사 ‘착한 불법’이 있다고 해도 그게 합법일 순 없다. 국민이 불법에 무감각해지면 사회의 갈등과 혼란은 악순환할 수밖에 없다.

 

법치 개념이 약한 국민을 이용해 정치적 잇속을 챙기려는 세력은 얼마나 많은가. 뒷감당할 능력도, 책임질 마음도 없으면서 굿판이 벌어지는 곳마다 몰려가는 자들이야 말로 경계해야 할 위선자들이다. 광우병 사태나 용산참사 때 맹활약한 주역들이 희망버스 행사에 열심이다. 순진한 여중생들을 앞세워 정권에 대한 적개심으로 세상을 뒤집으려 한 세력과 한진중공업 사태를 주도하는 세력은 크게 다르지 않다.

 

희망버스를 탄 사람들 가운데 누구도 공개적으로 김 씨에게 이제 그만 내려오라고 말하지 않는 건 참으로 잔인한 짓이다. 8개월 동안 추위와 더위, 비바람을 견디며 크레인 위에서 사는 건 감옥생활보다 나을 것도 없을 게다. 김 씨는 이제 스스로 크레인을 내려올 수도 없다. 희망버스가 저렇게 응원하는데 어떻게 그러겠나.

 

김 씨를 동정하고 응원하는 사람 누구도 그 대신 구속될 수도, 감옥생활을 해줄 수도 없다. 김 씨가 희생양이 되길 바라지 않는다면 ‘5차 희망버스’는 그를 내려오게 해야 한다. 야당도 우리가 국회에서 노력할 테니 이제 내려오라고 김 씨를 설득할 때다. 1998년 노사정 합의로 정리해고제를 도입한 민주당이 김 씨의 불법 크레인 시위를 이용해 정치적 이득이나 노린다면 위선의 정치일 뿐이다.

 

 

[중앙일보 칼럼-비즈 칼럼/이재우(동국대 국제정보대학원 석좌교수, 초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장)-20110830화] 해킹 방지 1원칙 : 훔칠 게 없으면 도둑도 없다

 

초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장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해킹을 당한 기업의 위상은 추락하고, 소중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불안에 떠는 피해자들은 늘어나고 있다. 해킹에 대한 우려와 피해가 확산되면서 업계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관행을 질타하고, 차제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정부의 법 제도 개선과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사회적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고로 ‘물 샐 틈 없는 바가지’라야 진정한 바가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물 샐 틈 없는 보안시스템의 구축은 불가능하다. 날로 지능화·고도화하는 해커들의 공격 기술에 대해 100%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최신 기술로 이중, 삼중 안팎을 두르고 인(人)의 장벽을 쳐 막고 감시하는 게 최선의 보안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정부와 기업들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관행에 제동을 걸자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해킹 사건이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는 것은 해킹한 정보 자체가 돈이 되기 때문이다. 해킹한 정보들은 음성적으로 거래되고, 불법적으로 악용된다. 피해는 국민 개개인에게 되돌아온다. 만약 기업들이 불필요한 고객 정보를 보관하지 않는다면 해커들은 공격 대상을 찾지 못해 스스로 떠돌거나 존재 기반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최근 늘어나는 타깃 해킹의 주요 목표가 되는 개인정보를 최소화하면 기업이 해킹 당하더라도 최소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2차, 3차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SK커뮤니케이션즈가 해킹 재발 방지 차원에서 ‘9월부터 주민번호를 수집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훔칠 게 없는 집에 도둑이 들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9월 말 시행되는 개인정보 보호법과 함께 실효성 있는 시행령들이 뒷받침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정부는 개인정보 수집을 규정하거나 조장하는 법 제도를 정비해 기업들이 불필요한 고객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도록 하고, 꼭 필요한 정보는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의무화하며, 이를 위반했을 경우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규제는 과감하게 풀고, 업계에 자율권을 보장하되 업계는 핵심 정보를 반드시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정부는 차제에 해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피해를 보는 고객과 국민이 늘어남에도 적절한 처벌과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현재의 모순된 고리를 끊어야 한다.

 

 기업과 기관들은 이러한 노력에 더해 유사시 해킹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사전 위기대응 지침을 갖춰야 한다. 위기대응 지침에는 해킹 방지 및 피해 최소화, 2차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방법들이 구체적이고 일목요연하게 명시돼야 한다. 해킹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정작 해킹 사건이 일어났을 때 신속하게 사태를 파악하고 일사불란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기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야만 기업이나 고객들이 볼 수 있는 2차, 3차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고객을 최우선 보호하고, 기업도 지속 가능한 경영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태관(논설위원)-20110830화] 10초 인생

 

육상의 100m 달리기는 흔히 ‘10초 드라마’라고도 일컫는다. 뚝딱하는 순간에 승부의 명암이 갈리고, 희비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짧은 드라마지만 그 10초가 빚는 감동은 여느 대하드라마 못잖다. 거기에는 희극도 있고 비극도 있으며, 복선도 있고 반전도 있다. 경기는 10초에 끝나지만 그 여운은 평생을 가기도 한다. 100m 스프린터는 한순간에 운명이 좌우되는 ‘10초 인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생은 마라톤이라고들 말하지만, 노년(老年)에게 물어보면 대개 100m 달리기와 같다고 답할 것이다. 어어하다 휙 지나가 버렸다는 소감들이다. 세월여류(歲月如流)라지만 인생은 순식간이다. 초음속시대이니 ‘흐르는 물’보다는 광음여전(光陰如箭), 백구과극(白駒過隙) 등의 표현이 더 와닿을지도 모르겠다. 세월은 쏜살 같고, 인생은 흰 망아지가 달리는 모습을 문 틈으로 내다보는 것처럼 잠깐이다. <장자>의 ‘소요유’에는 이런 표현이 나온다. “하루살이는 밤과 새벽을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내일이 없는 하루살이는 덧없고, 내년을 모르는 쓰르라미는 허망하다. 천년이 하루 같다는 신의 눈으로 보면 백년도 못사는 인간은 하루살이 같은 존재일지도 모른다.

 

하루살이에게 10초라는 시간은 얼마만큼의 인생일까. 최근 밀리언셀러에 등극한 <아프니까 청춘이다>에는 이런 셈법이 나온다. 대학을 막 졸업한 스물넷 청춘의 인생시계는 아침 7시12분이다. 계산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하루 24시간은 총 1440분이다. 이것을 인생 80년으로 나누면 1년은 18분이고, 10년에 3시간씩 간다. 요즘 정년을 맞고 있는 50대 베이비붐 세대는 인생시계의 오후 3시를 겨우 넘겼을 뿐이다.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100m 달리기의 10초라는 시간은 팔십 평생의 사흘 정도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 짧은 순간은 선수의 평생을 좌우하기도 한다.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우사인 볼트 선수의 실격이 화제다. ‘번개’라는 그가 100m 결선을 뛰어보지도 못하는 날벼락을 맞았다. 단 한번의 실수도 용납않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가 빚은 대반전이다. 그런데 볼트의 비극이 남의 일 같지만은 않은 것은 왜일까. 어어하다 하루아침에 일생을 망친 사람이 어디 그뿐이겠는가. ‘10초 인생’이 아니어도 인생에 리플레이는 없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포럼/장경덕(논설위원)-20110830화] 빚쟁이 對 빚쟁이

 

빚쟁이가 찾아올까 겁내는 이는 채무자다. 빚쟁이가 도망갈까 겁내는 이는 채권자다. 빚쟁이는 빚을 준 이를 뜻할 때가 많지만 빚을 진 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그러니 우린 모두 빚쟁이다.

 

우리가 진 빚은 1000조원에 이르렀다. 1억원으로 쪼개도 1000만명이 나눠 져야 한다. 일반 기업이나 금융회사나 정부의 빚을 모두 빼고 개인 금융부채만 합친 게 그 정도다.

 

빚을 진 이도 빚을 준 이도 어느 때보다 힘들어하고 있다. 모든 금융자산은 다른 누군가의 빚이다. 돈을 맡기는 이와 돈을 빌리는 이들 사이에 있는 은행은 채무자인 동시에 채권자다. 잔치를 해야 할 처지에 내몰리지 않을까 불안한 마음에 밤잠을 설치기는 모두가 마찬가지다. 그럴수록 더 절박한 심정으로 한줄기 위안거리라도 찾아보려 한다.

 

빚쟁이들에게 초미의 관심사는 인플레이션이다. 예상을 뛰어넘는 인플레이션은 원금과 이자의 실질적인 무게를 덜어준다. 빚을 진 이들은 이득을, 빚을 준 이들은 손실을 본다. 1920년대 독일이나 2000년대 짐바브웨에 초(超)인플레이션이 나타났을 때 채무자들은 갑자기 모든 빚이 사라지는 마술을 경험했다. 지금은 아무도 그처럼 초현실적인 인플레이션을 상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30년간 잊고 있었던 인플레이션의 마술이 재현될지 모른다는 생각은 누구나 해볼 수 있다.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억누를지 부추길지 가늠하려면 누구 입을 바라봐야 할까. 한국은행 총재일까, 대통령일까. 대통령이 소집한 회의에 한은 총재가 국무위원들과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을 보면 이 둘을 함께 주목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이들보다 더 중요한 입이 있다. 달러를 찍어낼 수 있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 입이다. 김중수 총재가 지난주 말 그의 한 마디를 들으러 미국의 머나먼 산골짜기까지 달려간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지난주 세상 모든 빚쟁이들과 통화정책 수장들이 버냉키의 한 마디를 숨 죽이며 기다렸다. 하지만 `헬리콥터 벤`은 생각보다 무기력해 보였다. 지난 3년 동안 헬기에서 돈을 뿌리듯 엄청난 유동성을 퍼부었던 그는 이번에는 말을 아끼고 몸을 사렸다. 일자리를 만드는 재정정책을 촉구하며 대통령과 의회에 공을 넘겼다.

 

화끈한 3차 양적 완화(QE3) 작전을 기대하는 이들은 앞으로도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 공화당 유력 대선 주자는 "내년 선거 때까지 돈을 더 찍어내는 건 반역적"이라고까지 버냉키를 몰아세우는 마당이다. 연준 안에서도 버냉키에 드러내놓고 반기를 드는 매파가 많다. 연준의 유동성 파티는 완전히 끝나지는 않더라도 훨씬 더 절제된 형태가 될 수밖에 없다.

 

연준이 또다시 다른 나라들에 인플레이션을 강요할까 염려했던 이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김 총재도 그중 한 사람일 것이다. 그는 금리 정상화 필요성을 거듭 밝혔다. 물가가 올해 들어 줄곧 한은의 중기목표(3%±1%)를 크게 벗어난 마당이라 다른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

 

하지만 금리 정상화로 가는 길은 결코 순탄치 않을 것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정치권이 가만 있을 리 없다. 빚에 짓눌린 가계를 생각해 금리를 낮은 수준에 묶어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일 것이다. 그러는 새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 커질 수 있다. 물가는 뛰고 성장은 둔화되는 것은 가장 나쁜 시나리오다.

 

그렇다면 빚쟁이들의 계산도 달라져야 한다. 인플레이션으로 쉽게 빚 문제를 풀 생각을 하는 이가 있다면 꿈에서 깨야 한다. 사실 뜻밖에 큰 폭으로 치솟는 인플레이션이 아니라면 빚의 무게를 더는 데 별 도움이 안 된다.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면 돈을 빌려주는 쪽에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상쇄할 만큼 높은 이자를 요구할 것이다.

 

거의 모든 빚이 변동금리 대출인 데다 상환 만기도 매우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인플레이션이 빚의 무게를 줄여주지 않고 실질소득만 줄이게 되면 빚을 갚기는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빚쟁이들의 불면의 밤은 계속될 것이다. 이들을 위한 마법은 어디에도 없다.

 

 



[경향신문 칼럼-여적/노응근(논설위원)-20111031월] 갑을관계

 

60갑자(甲子)는 천간(天干) 10개와 지지(地支) 12개의 조합으로 이뤄진다. 천간은 하늘의 시간적·계절적 기운 흐름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로, 지지는 땅의 기운 흐름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라는 문자로 각각 표현한 것이다. 10천간이든 12지지든 대자연의 기운 흐름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을 뿐, 우열·서열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차례대로 끝없이 순환하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더 낫고 못함이 없는 것과 같다.

 

‘갑을관계’는 이런 의미의 10간에서 유래했으나 뜻은 영 딴판으로 쓰이고 있다. 계약서상 계약 당사자를 단순히 ‘갑’과 ‘을’로 지칭한다지만, 관용적으로는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쪽을 갑, 낮은 쪽을 을이라 부른다. 양자 관계에서 상대방의 생살여탈권을 쥔 강자가 갑이라면, 살기 위해 목숨을 구걸해야 하는 약자는 을이다. 서류상에만 갑을관계일 뿐, 실질적으로는 상하관계, 주종관계다.

 

갑을관계의 을보다 더 못한 약자를 ‘병’이라 한다. 대기업을 기준으로 1차 협력업체가 을이라면, 2차, 3차 협력업체는 병이다. 을은 직접 하청을 주는 병과 또 다른 갑을관계를 형성한다. 병은 대기업보다 1차 협력업체를 더 무서워할 수밖에 없다. 갑을관계가 먹이사슬처럼 계속 이어지는 것이다. 갑을병관계에서 ‘갑을병’은 힘이 강한 순서를 나타낸다. 이런 10천간의 우열 개념은 일제시대 때 초등학교 성적 표시에도 활용됐다고 한다. 성적을 ‘갑을병정’ 식으로 표시했다는 것이다.

세간에는 갑도 을도 아닌 ‘병의 입장’도 있다. 때로는 갑 입장, 때로는 을 입장이 되는 사람을 일컫는다. 상대방에게 뭘 요구하면서도 상대방의 부탁도 들어줘야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갑을관계에서처럼 갑이 을에게 일방적으로 힘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갑과 을이 힘의 균형을 이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동반성장이 강조되는 것은 대기업과 협력업체간 갑을관계의 폐해가 그만큼 심각하기 때문이다. 1%의 갑의 횡포에 99%의 을이 숨죽이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재벌 총수는 앞다투어 “협력사와 갑을관계는 없다” “갑을관계의 낡은 생각을 버려라”고 외치지만, 본말이 전도됐다. 현실에서 대·중소기업 간 진정한 동반자 관계가 정립되면 갑을관계란 말은 자연스레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서른과 마흔 사이 (30대에 이루지 못하면 평생 후회하는 70가지)

2011년 5월

땅만 보고 걷는자 결코 멀리 가지 못한다.

과거에게 먹이를 주지마라
- 과거와의 결별은 필수

1.행운의 어미니는 불운이다.
- 팔만 부러진 행운 (뭐든 기회, 긍정으로 판단)

2.리프레이밍의 기술을 익혀라
- 야단 친 상사 앞에서 씩씩한 목소리로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명심하겠습니다.'
- 키워주고 싶은 부하는 '언제나 쾌활하고 적극적인 사람'

3.눈 앞에 존재하는 것에 몰입하라
- 쓸때 없는 푸념, 걱정 없이 현재 주어진 것에 몰입하라

4.멋지고 당당하게 삼진을 당하자
- '정리해고 당하지 말자'-> '능력을 발휘해서 승진하자' 이런 자세라면 해고를 당해도 당당하고 멋지지 않은가.

5.일상을 철저하게 정돈하라
- 주변을 잘 정돈하지 못하는 사람은 늘 미루고, 해보겠다는 말을 늘여놓는다.

6.심플하고 담백한 삶을 살아라
- 읽지 말자' 책은 선물하면 된다. / 단순화시키고 담백하게 만들자

7.한 번 더 넘어져라
- 나에게는 큰 고민인....나는 다른사람들의 시선만 신경쓰는 바보였다.라는 의문이있었다 하지만
- 사람들에게 나를 모욕하라고 허가해주고, 나는 흔들리지 않았다. 그들의 자유를 존중했다.

8.고통도 구원도 모두 당신의 몫이다.
- 인간관계에서 내 뒷담화를 하겠지? 라는 쓸데 없는생각을 버리는 것
- 타인의 시선에 연연하지말고, 사소한 것에 목숨걸지 말자.

9. 세상은 숨기지 않는 사람에게 열려 있다.
- 회의중 어려운 문제가 나올시 질문을 하며 제가 머리가 너무 나빠서 그런지 계속 이해가 안된다.라고 솔직하게 말하는것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사람들에게 완벽하게 보이려고 하면 할수록 그들은 당신에게서 멀어진다.

10.근거 없는 자신감을 권하는 이유
- 근거 없어도 열정과 근거 없는 자신감이 있다면 어떤 데이터든 이길 수 있다.

11.눈부신 실패에는 상을 주어라, 평범한 성공에는 벌을 내려라.

12.매일 0.2%라도 자신의 최고 기록을 갱신하라
- 남과 나 자신을 비교하지 마라
-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며 자기 주도적 삶을 살자

13.확실한 것은 없지만, 확신은 있다.
- 검토해 보겠습니다.=>해보겠습니다! 라는 말을 해라, 노가 아니라 예쓰부터 시작해라.

14.자아도취 습관을 길러라
- 내가 하는 일은 마치 에베레스트 등정을 하루 앞둔 알피니스트다. 많은 사람들이 나는 주목하고 있다. 이 소중한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마치 일하는 것을 이와 비교한다. 그리고 성공하면 기자 간담회를 하는 것처럼 자아도취에 빠진다. 내가 정말 어려운일이 있을때 이런 방법은 큰 효과가 있다.

15.먼저 이하하고 나중에 이해시켜라
- 상대를 먼저 이해하고 나중에 이해시키는게 성공의 방법이다.

16. 자신의 꿈과 소중한 가치들을 하찮은 것으로 만들려는 사람들을 가까이 하지 말라.

17.오토크라인을 적극 분비시켜라
- 생각을 언어로 바꿔서 소리내어보면 정리가 된다.

18.매달꿈을 갱신하라
- 정기적으로 꿈을 업그레이드해보라, 그러면 없던 의욕이 새로운 에너지가 싱싱하게 가슴 저 밑에서 떠오를 것이다.

19.플러스 사이클
- 꿈과 같이 움직이는 시간,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나서 스포츠센터에서 수영을 하는 등 꿈에 맞는 행동을 하자

20.꿈을 머리속에서 수첩으로 이동시키는 자가 반드시 이긴다! 위대한 수첩을 만들어라
- 틈틈이 꿈과 관계된 계획을 세워라. 예를 들어 자격증 같은 것


* 참 구매잘한 책. 난 누구보다 앞서가길 원한다. 그래서 이책도 보게 된것, 미래에 대처하고 내 삶의 Q&A 자료를 준비한 느낌이다.
실제로 바로 적용시킬 항목이 꽤 많다. 20대였으면 조금은 패스할만한 내용들, 역시 아는 만큼 보이고 느끼는구나.
다른책에서는 볼 수없는 리얼 30대 자기경영 내용이 들어있다., 브라이언 트레이시 책을 보는 느낌이였다.




2011.4~5

생각하지 않고 오감으로 느끼면 어지러운 마음이 서서히 사라진다.

이 책 늦게 읽었다. 한 친구의 대화명에 항상 생각 버리기 연습이라고 적혀있었다. 무엇인지 몰랐으나..
나에게 참 필요한 책이란걸 알았다. 난 생각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인간의 세 가지 기본 번뇌 : 분노, 탐욕, 어리석음

감각에 능동적으로 대처해라 : 보인다-> 본다, 들린다->듣는다
- 한가지 감각에 집중할 수 있다.

1.몸과 마음을 조정하는 법
가.말하기
사실의 자극의 입력(input), 생각의 자동적인 반응(output)

싫은 자극이 입력되면 반발하라는 명령이 반사적으로 내려온다.
상사: 그 일을 슬슬 처리하지 그래?
나 : 죄송합니다만, 다음주에 회의 결과를 보고 정하는 쪽이 어떨가요, 지금하라면 하겠습니다.
나의 마음 : 내가 바보야?, 시켜야만 하는 사람으로보여?, 날 이해 못하는 군
* 그냥 실행했더라면, 쓸데 없는 대답을 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게 좋다.

"화가 치민다"면 마음속으로 "화가 치민다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주문하라. "그냥 ~라고 생각할 뿐이다"라고 생각하라 그럼 반사적 반응을 막을 수 있다.

변명은 자신의 행동이나 실수로 상대방이 고통 받는 게 분명한 경우, 진심어린 변경을 하면 상대방이 편해지는 경우 성실한 변명을 해야한다.

'감사병'은 마음을 비뚤어지게 한다.
감사하다고 느끼지 않으면서 감사하다고 하는 것은 피곤할 뿐 만아니라 상대방은 진실 되지 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붓다는 제자들에게 '고맙다'라기 보다는 '아주 잘하고 있다', '훌륭하다'라고 긍정적으로 말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듣기
소리가 난다 > 무슨 소리일까> Xx 소리다> 시끄럽네
소리가 난다>>>>> 이와 같이 반사반응을 멈추기 하는 훌련

일상생활 중에도 소리를 내지 않고 행동하는 연습을 한다는 자세로 지내는 것이 좋다.

비판 받을 때 상대방의 고통을 헤아리는 여유를 찾는다.
소리의 파장이 단순히 청각 신경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이때 소리가 어떤 종류의 소리인지를 명확하게 분석해 음색과 음정 같은 사실적인 정보들을 모을 수 있다. 그 말을 하는 상대방의 동기와 심리적인 배경 등을 알아내는 데 이용된다.
차분히 관찰하고 분석하는 습과을 들이면, 생각이 머리 속으로 숨어들어 분노를 증폭시키는 일 없이 냉정하게 대처 할 수 있다.

고기의 비율을 낮추고, 야채를 많이 먹는 쪽으로 식단을 짜면 몸에서 나는 냄새를 많이 줄일 수 있다.


3.보기

반쯤 감은 부처의 눈을 흉내내 집중한다, , 마음이 불안해지거나 긴장이 되면 일단 눈을 반쯤 감고, 호흡에 의식을 집중한다.

4.쓰기와 읽기

종이에 미리 써둔 뒤 올릴 것을 권한다. 손으로 쓰는 것보다 훨씬 빨리 쓸 수 있기 때문에 머리속의 생각이 걸리지지 않는다, 3~4편 정도로 줄인다.

글을 쓰며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저 가게 망했으면 좋겠다=> 저 가게가 망했으면 하고 바랄 정도로 나는 화가 났다

5.먹기

맛이 난다는 실제의 맛과 식감의 100분의 1도 채 느끼지 못한다.
음식을 입에 넣을 때에는 입 안의 혀에 닿는 촉감을 천천히 느낀다.
혀의 움직임에 집중한다, 무언가를 마실 때에도 지금 마시고 있다, 지금 다 마셨다.. 하는 식으로 의심을 집중해본다.

6.버리기
인터넷을 안쓸땐 선을 뽑는다.

물건을 소유한다는 의미는 마음이 그것을 강렬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것을 읽어버리는 것에 대한 강한 저항을 기억하고 있다.

물질을 소유하려는 것은 인격도 나빠지게 만든다. 내가 이런거 갖고 있으니깐 날 이렇게 대해줘라는 상관관계가 성립되낟.

*사기
싸다-> 이익이니까 사두자 라는 생각의 잡음이 생기니 한 박자 쉬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자기
소화를 시키기 위해 혈액이 위로 쏠리 때문에 머리가 멍해지고 졸립게 된다.



&내가 이 책을 보며 느낀 것은
우리 사회에는 너무 많은 정보와 자극이 현존한다는 것이다.
그런 것으로부터 자신에게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는 연습이 필요 하다는 것이다.
내가 잘 이해를 못해서 일 수도 있지만 여기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실행한다면
그는 참으로 대단한 사람이며 재미없는 밋밋한 사람일 수 있다.
나는 아직 20대다 자극에 자극받을 수 있는 나이다.
그 자극이 다른 자극과 다른 열정을 불러 오게 할 수도있다.
난 이 책의 정보를 모두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다.
눈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내가 필요한 부분을 받아들이고 실행에 옮기겠다.
다음은 벌써 다 읽은 화내지 않는 연습



아웃라이어(OUTLIERS)
2011.3

구매는 2010년에 했다. 패킹이 된 상태였다. 새것처럼보여 팀원 선물할때 주려고도 했다.
하지만 결국 내가 읽게 됐다.

아웃라이어
집단,환경과 1만시간 실행이 주요포인트로 보인다.

미스터 하키로 성공하는 법은 매우 흥미진진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이 바로 생년월일이였다니..
생일이 빠른 아이들이 유리한 이유는 캐나다에서 1월 1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고 그에 맞춰 하키 클래스를 짜기 때문이다.
또래중 가장 큰애들은 더 좋은 코치에게 집중 훈련을 받는다.
누적적 이득

1만 시간의 법칙은 몰입에 대한 것 같다.
부자들의 타이밍 1860~1870년도에 가장 큰 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에 많은 부자가 탄생했다.
1970년도에는 퍼스널 컴퓨터 혁명이.. 그래서 현재 IT CEO들 연령대는 1950년도 출생이다.

알렉스가 얼마나 서슴없이 의사의 말에 끼어드는지 보라.
이것이 '권한'이다. 라루에 따르면 가난한 계층의 아이들은 이렇게 대응하지 못한다고 한다.

터마이트 730인의 기록, 가정환경이라는 재앙
IQ가 높은 지적수준 730인의 성공을 3가지로 분류 A>B>C그룹 (성공순)
A그룹은 중,상류층 집안 친근하고 균형이 잡혀 있으며 매력적이고 옷도 잘입는다는 평을 받다
C그룹은 1/3은 부모 중 한 사람이 초등학교 중퇴

유태인이 뉴욕에서 변호사로 일하기 가장 좋은 시대
산업혁명, 기계전문-양복/의류 제작자>변호사 (가계도)
폴란드-가죽공예 기술자>가방 제작자>의사, 변호사
루마니아 출신 유태인-작은 식료품점>슈퍼마켓>의사, 변호사
이들은 가문의 흐름에 따라 전문직에 종사할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 양동마을, 하회마을의 가문 처럼말이다.)

사실 우리가 좀 더 자세하게 예측해볼 수 있다. 19세기 산업재벌들의 출생연도처럼 뉴욕의 유태인 변호사가 되기에 가장 적합한 연도가 따로 있다.
출생인구가 적은 세대의 이점을 십분 누릴 수 있는 1930년이 바로 그렇다. 그때에 태어나면 1970년 즉, 법률계에 혁명이 벌어지는 날

문화적 유산
북부출신, 남부출신 차이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생사를 결정짓는 의사소통력, 완곡어법
권력관계지수(PDI) 높은 우리 나라
이부분은 조직사회에 많은 연관성이 있다. 업무적으로 사고를 내는 것과 마찬가지다.
타 부서와의 관계도 마치 관제탑과 같다.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발음 길이의 차이, 농사
성공은 대개 보통사람이 30초 만에 포기하는 것을 22분간 붙잡고 늘어지는 끈기와 지구력, 그리고 의지의 산물이다.
상류층 자녀는 여름방학이 지나고 9월에 돌아오면 읽기 성적이 15점이나 뛰어오른다. 반면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빈곤층 자녀의 읽기성적은 거의 4점이나 떨어진다. 빈곤층 아이들은 학교가 문닫으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히딩크는 무조건 반말을 사용하기로 한다. 명보야 밥먹자

소수의 유색인종이 백인 혼혈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엄청난 이점
오빠 루퍼스는 교사였고 동생 카를로스는 의복 공장을 차렸고 아버지 찰스 포드는 도매업에 종사했다. 어머니 앤은 결혼 적 파월이라는 성을 썻고
2대 후 콜린 파월이 태어났다. 데이지의 삼촌 헨리는 자산가였다.

이 책의 포인트는
누적적 이득, 가정환경, 태어난 연도, 문화적 유산+1만시간 실행
환경+노력
운도 뒤따라야 한다는 말이있다.
그래 맞다.

빌게이츠가 2000년도에 태어났더라면,,,
김연아가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더라면...

환경 중요하다. 하지만
노력이 더 중요하다.
전문적을 가질 정도의
노력없이 환경은 무의미하다.


말콤 글래드웰


수트를 제대로 입는 Tip 95가지 -GQ

 


1. 재킷에 달린 단추 갯수가 두개든, 세개든 단추를 잠글 때는하나만 잠근다.


2. 즉, 2버튼 수트는 윗단추를, 3번튼 수트는 가운데 단추를 잠그는 것이다.


3. 베스트를 입는다고 꼭 뚱뚱해 보이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가능하면 베스트 자체를 입지 말 것.


4. 만약 당신이 수트를 한 벌만 가질수 있다면 그것은 차콜그레이어야 한다.


5. 만약 당신이 다행히도 수트를 두 벌 가질수 있다면 그것은 차콜그레이와 네이비블루이어야 한다.


6. 만약 당신이 신 혹은 부모님, 재벌 여자친구의 도움으로 수트를 세 벌 맘대로 가질 수있다면
그것은 차콜그레이, 네이비블루, 그리고 그레이어야 한다.


7. 남자가 여자보다 더 신중해 보인다면 그것은 남자의 옷 색깔이 여자의 옷 색깔보다 더 진하기 때문이다.


8. 처음에 사는 수트들은 무늬가 없는 것이 좋고, 점점 스트라이프나 체크같은 페턴을 시도해본다.


9. 키가 커 보이고 싶은 남자에게는 짙은 색상의 2버튼 수트가 좋다.


10. 좀 날씬해 보일 필요가 있는 남자도 짙은 색 3버튼 수트를 입어라.


11. 좀 뚱뚱한 사람이라면 더블이 좋다. 색상도 어둡게.


12. 왜소한 체격을 감추기 위해 헐렁하게 입은 수트는 당신을 더욱 왜소하고 초라하며 결국에는
자신감도 취향도 없는 이상한 사람으로보이게 만든다.


13.다른 사람이 입은 수트 상표를 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화제에 올리지 마라.
설사 그가 아라비아 왕자들만 입는 지구 최고급 수트를 입고 있다 할지라도..


14. 입어보지 않고 수트를 사는 것은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여자와 결혼하는 것과 같다.


15. 수트 재킷에는 골드 컬러 단추를 달지 않는다. 왜냐면 그건 블레이저용이니까.


16. 재킷 주머니에는 가능한 한 아무것도 넣지 마라.


17. 재킷 가슴 포켓에 넣을 수 있는 건 포켓스퀘어 뿐이다.


18. 바지 길이는 아무리 길어도 구두 뒷굽을 덮지 않아야 한다.
지금보다 3cm 줄여라. 4cm 줄여도 무방한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19. 수트엔 긴 소매 드레스셔츠를 입는 것이 기본이다.


20. 셔츠 안에 러닝셔츠를 입지 말아라. 그렇게하면 구속되는 법이 입안되기를 소망한다.


21. 꼭 러닝셔츠를 입어야겠다면 아예 수트를 입지 말아라.


22. 수트에는 반드시 흰색 셔츠만 입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라.


23. 그렇다고 하와이언 셔츠처럼 화려한 셔츠를 입으려는 생각은 더욱 버려라.


24. 아시다시피 셔츠 깃과 소매 끝은 늘 청결해야 한다.


25. 셔츠 소매는 약 1.5cm정도 재킷 소매 밖으로 나오게 입는 것이 적당하다.


26. 제대로 다려지지 않은 셔츠를 입고 출근하느니, 셔츠를 다려 입은 다음 상사에게 지각에 대한 주의를 듣는 편이 낫다. 단, 이 사항은 회사 문화와도 관련있으므로 탄력적으로 적용!


27. 아무리 주말이라 할지라도 수트 속에 터틀넥을 입는 것은 곤란하다.
수트는 Formal. 터틀넥같은 Kniw는 Casual.


28. 비지니스 수트에 실크 셔츠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29. 버튼 다운 칼라 셔츠도 모든 수트에 어울리지 않는다. 그것은 재킷과는 매치가 가능하다.


30. 반팔 셔츠를 입고 넥타이 매고자 하는 사람도 아까 런닝입는 사람과 함께 구속했으면 좋겠다.


31. 여행을 다닐 때는 반드시 수트 케이스를 따로 챙겨 간다.
언제 어느 상황에서 품위있는 레스토랑에 초청될지 모른다.


32. 어떠한 상황에서도 바지 밑단을 걷어올리지 마라.


33. 수트를 입을 때 반드시 벨트를 매어야 한다.


34. 벨트 색깔은 반드시 블랙 아니면 브라운이어야 한다.
게다가 벨트 색상과 구두 색상 정도는 맞춰주는 센스.


35. 요란한 디자인의 금색 벨트는 정말이지 곤란하다. 조폭이시라면뭐 할수 없고.


36. 정장용 벨트를 청바지에 하는 것은 웃기지만 캐주얼용 벨트를 정장에 매는 것은 더 웃기다.


37. BY THE WAY 페라가모 벨트는 정말 별로다.페라가모의 로퍼는 더 후지다. 커다란 로고꼴 하고는....


38. 벨트와 서스펜더는 함께 하지 않는다. 속옷을 두 개 입는 것과 같다.


39. 수트 차림에 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는 러버 잰드 시계는 어울리지 않는다.


40. 디자인이 복잡하고 화려한 시계 역시 수트 차림에 어울리지 않는다.


41. 수트에 어울리는 시계는 블랙 혹은 브라운 가죽 스트랩.
(머할래가 덧붙임 : ㅡㅡ;;; 메탈도 괜찮을텐데 ^^)


42. 설사 구두를 닦으러 보낸 동안이라 하더라도 수트 차림에 슬리퍼를 신고 있지 말아라.


43. 기온이 40도까지 올라간다 하더라도 수트 차림에 샌들을 신는 것은 금물이다.


44. 스니커는 당신을 어려보이게 해주지만 때로는 당신을 코메디언처럼 보이게도 한다.


45. 로퍼 역시 중요한 사업 파트너를 만나러 갈 때 신기엔 너무 캐주얼 하다.


46. 한 켤레 구두를 이틀 연속해서 신는 것은 무조건 피하는 것이 좋다.


47. 소위 말하는 '불광'을 이용해 구두를 닦는 곳에는 구두를 맡기지 마라. 구두 수명이 1/2로 단축된다.


48. 여자들은 당신 구두가 얼마짜리인지 귀신같이 알아챈다. 단, 관리를 잘한다면 귀신도 모른다.


49. 구두는 아무리 깨끗해도 지나치지 않다.


50. 구두는 운동화와 다르다. 구겨신지 마라.


51. 구두 소재는 반드시 천연가죽이어야 한다.


52. 뱀피로 만들어진 신발은 레니 크레비츠를 위한 것이지 당신을 위한 것은 아니다.


53. 악어 가죽 역시 마찬가지다.


54. 흰 색 신발은 조깅화만으로도 충분하다.


55. 어지러운 프린트의 실크 타이보다 검은 색 니트 타이가 훨씬 더 멋스럽다.


56. 타이를 고를 때 신경 써야 할 것은 컬러와 패턴만이 아니다. 반드시 얼마나 모양이 잘 만들어지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매어보지 못하게 하는 타이 매장은 두번 다시 가지 마라.


57. 재킷 라펠 크기가 커지면 넥타이 매듭도 커져야 한다. 이 두가지는 함께 가는 것이다.


58. 넥타이는 세탁하면 금방 망가진다. 세탁하지 않아도 되도록 깨끗하게 매라.


59. 세로 줄무늬 타이는 사지 마라. 선물로 받았다면? 그래도 매지 마라.


60. 보우 타이를 맬 수 있는 옷은 원칙적으로는 턱시도 뿐이다. 랄프로렌에서 디스플레이한다고 해서 직접 하려는 시도를? 용기만은 지지.


61. 넥타이 끝은 젤대 벨트 가장 아랫부분보다 아랫쪽에 위치해서는 안된다.


62. 헤비 메탈 가수나 로커 얼굴이 프린트되어있는 넥타이는 스무살이 넘은 남자에겐 어울리지 않는다.


63. 자동차 안전벨트는 반드시 넥타이 밑에 있어야 한다.


64. 어떤 상황에서도 넥타이 끝부분을 셔츠 가슴 포켓에 구겨 넣지마라. 차라리 풀어라.


65. 넥타이 핀은 타이 뒷쪽 상표가 위치한 자리에 꽂아준다. 하지만 왠만하면 하지 마시라.


66. 브리프케이스는 비지니스맨 필수품이다.


67. 수트에 백팩을 메도 멋있는 건 정우성과 조인성 뿐이다.


68. 싸구려 브리프케이스를 들고 다닐바에는 100원짜리 서류봉투를 들고 다녀라.


69. 양말은 반드시 신어야 한다.


70. 양말 색은 바지 색에 맞춘다.


71. 표현을 하기 위해 일부러흰 양말을 선택한다면 굳이 말리지는 않겠다.


72. 장지갑을 바지 뒷주머니에 꽂는 것은 소매치기를 유혹할 때나 하는 짓이다. 머니 클립을 이용해 보자.


73. 바지 뒷주머니에는 잘 다려진 손수건을 넣어 두어라.


74. 잘 정돈된 헤어스타일은 값비싼 수트처럼 당신을 멋져 보이게 한다.


75. 헤어스타일은 적어도 한달에 한번, 가능하다면 한달에 두번 다듬어 준다.


76. 반지는 하나면 충분하다.


77. 장교 반지나 졸업 반지 등은 하나도 곤란하다.


78. 타이 핀이나, 반지, 커프링크스 등 장신구 컬러는 통일하는 것이 좋다.


79. 안경이 갑자기 부러질 때를 대비해서 사무실 서랍에 여벌의 안경을 준비해 놓는 것이 좋다. 수트를 입었다면 부드러운 표정을 지어라.


80. 안경은 벨트와 구두 색깔에 맞추는 것이 좋다.


81. 사람들은 당신의 수트가 얼마짜리인지 알아채기에 앞서 당신 코에 삐져나온 코털을 먼저 발견하게 된다.


82. 면도가 잘되어 있는 턱은 깨끗한 셔츠만큼이나 중요하다.


83. 간혹 턱은 깨끗하게 면도 하면서 코와 입 사이를 잊는 남자들이 있다. 거울은 장식품이 아니다.


84. 지저분한 손톱은 당신의 수트까지 싸구려로 전락시킨다.


85. 네일케어 숍에서 손톱을 정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메니큐어만 칠하지 않는다면..


86. 입가에 허옇게 일어난 각질은 어깨 위에 떨어진 비듬보다 더 심각하게 당신의 이미지를 손상시킨다.


87. 그렇다고 어깨위에 떨어진 비듬이 괜찮다는 건 절대 아니다.


88. 지저분한 100만원짜리 브랜드보다 깨끗한 10만원짜리 시장 더 멋지게 보일수 있음


89. 당신의 옷장에 적당한 여유 공간을 남겨두어야 수트가 숨을 쉴 수 있다.


90. 수트를 걸어둘 땐 반드시 나무로 된 수트용 옷걸이를 사용한다.


91. 수트 재킷 주머니에는 절대 손을 넣지 않는다.


92. 바지 주머니에도 가급적 손을 넣지 않는 것이 좋다.


93. 손이 시리면 장갑을 껴라.


94. 수트에 어울리는 모자는 훌륭한 액세서리가 된다. 그러나 스틱은 당신이 예순이 될때까지는 잡지 않는 것이 좋다.


95. 수트를 입었다고 신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수트를 입을 때는 자신의행동이 수트차림에 어울리는 것인지 항상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니생각(review) > 반듯가짐(attitu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정장에 대해서  (0) 2011.02.26
오드리 햅번  (0) 2008.09.11

남성 정장에 대해서

 

다음의 글은 사회 초년생으로서 첫정장을 구입하려는 사람이 대상입니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지침을 따른다면 10년 후에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글을 쓰려고 했지만 일단 급한대로 중요한 것만 간략하게 적어 봅니다.

여기서 포멀하다는 것은 격식을 갖춘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정장은 당연히 격식을 갖춘 것으로 해야 합니다.

간혹 연예인들은 아래 지침에 따라 정장을 입지 않는 것 같은데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들은 말 그대로 연예인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옷차림은 결코 포멀한 정장 차림이 아닙니다.

일단 급한대로 간략히 쓰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자세히 쓰겠습니다.

 

1. 정장

(1)    2버튼, 다크네이비로 구입할 것

(2)    다크네이비 다음으로 구입할 색은 차콜그레이(쥐색)

(3)    검정색은 결혼식(신랑), 장례식, 성직자의 색깔임

(4)   일명 아저씨 브렌드를 구입할 것, 캐릭터 브렌드는 절대로 구입하지 말 것. 캐릭터 브렌드는 나이트 갈때나 입을 것.

(5)    가리봉 같은 곳에서 구입하는 것도 좋은데 반드시 입어보고 구매할 것. 첫 정장이라면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것도 좋음.

(6)    점원이 추천하는 것이 좋은게 아님. 점원은 항상 악성 재고부터 팔아제끼려는 경향이 있음. 절대로 점원의 말에 홀리지 말 것.

(7)    절대로 캐릭터 정장은 구입하지 말 것. 은갈치 정장, 먹갈치 정장은 어린 여자애들이 멋지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사람의 품위를 떨어뜨림. 당신이 비즈니스맨이라면 어린 여자애들과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아저씨들과 하는 것임을 기억할 것.

(8)    반짝이는 것은 절대 금물, 무조건 모100%를 구입할 것.

(9)    드라마 같은 것에서는 재벌 2세 같은 부잣집 도련님들이 은갈치, 먹갈치를 입고 나오지만 실제 부잡집 도련님들은 그런거 입지 않음. 가끔 뉴스보면 젊은 기업 오너들(혹은 자식들) 보면 다 아저씨 정장 같은 걸 입는 것을 볼 수 있음.

(10)                          요약하면, 매장에 가자마자 이렇게 외치면 됩니다. 2버튼 다크네이비, 모100% 이외의 것은 결코 구입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면 점원이 헛짓하지 못함.

 

2. 셔츠

(1)    셔츠는 흰색이 기본임

(2)    흰색 다음은 파란색임

(3)    그 다음은 가느다란 줄무늬

(4)    셔츠 안에는 원칙적으로 아무것도 입지 않는 것임, 셔츠가 속옷임. 셔츠에 큐빅이나 이런거 박혀 있는 것은 절대로 구입하지 말 것. 백화점 매대에서 아저씨 셔츠를 구입하면 됨. 가격은 2~3만원대일 것임.

 

3. 타이

(1)    첫 정장이 다크네이비나 차콜그레이라면 타이는 무지네이비네이비 땡땡이로 할 것. 땡땡이는 작은 것일수록 포멀한 것임.

(2)    그 다음은 네이비 줄무늬 줄무늬는 사선으로 된 것을 말함. 줄무늬에는 여러 가지 색이 섞여 있을 수 있는데 3가지 색을 넘지 않는 것이 포멀한 것임.

 

4. 구두

(1)    끈있는 옥스포드화로 할 것. 끈이 있어야 포멀한 것임. 끈없는 로퍼(슬립온)는 캐주얼 쪽이라고 보면 됨.

(2)    색은 짙은 갈색이 좋지만 첫 구두라면 그냥 검정색으로 할 것.

(3)    윙팁, 플레인토 등 뭐가 뭔지 모르겠으면 끈있고 발등에 아무 무늬도 없는 것으로 하면 됨. 이거 굉장히 포멀한 것임.

 

5. 양말

(1)    양말은 잘 모르면 무조건 검은색이나 짙은 회색으로

(2)    양말의 색은 정장 바지 보다는 짙은 색이어야 하고 구두보다는 옅은 색이거나 같은 색이면 됨. 즉 검은색으로 하면 가장 무난한 것임.

 

6. 벨트

(1)    가장 기본적으로 생긴 것을 할 것.

(2)    가죽으로된 것이어야 하며 구멍에 끼우는 것이어야 함.

(3)    정장벨트는 너비가 3센티 정도 할 것임.

(4)    구두가 검정색이면 검정색 가죽 벨트, 구두가 갈색이면 갈색 가죽벨트를 할 것. 구두와 벨트는 반드시 색을 맞출 것.

(5)    페라가모, 구찌 등의 농협마크 같은 상표가 버클에 크게 되어 있는 것은 절대로, 네버 착용하지 말 것. 그것은 아껴두었다가 나이트 갈 때 사용할 것. 바클에 상표가 큼지막하게 드러나 있는 벨트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7. 시계

(1)     정장 시계는 얇은 것이 좋음. 가죽 끈으로 된 것이 좋음. 가죽 색깔은 갈색이 좋음.

(2)     시계는 숫자(로마숫자)만 적혀 있는게 좋음(경우에 따라서는 아라비아 숫자도 허용) 심플한게 최고의 정장시계임.

(3)     남성 정장 차림에는 시계와 반지(결혼한 경우) 외에는 절대로 번쩍이는 것(금붙이) 같은 것이 없어야 함. 그래야 포멀한 것임.

(4)     목걸이, 팔찌 등 번쩍이는 거 하지 말 것.

 

8. 가방

(1)     어깨에 매지 말 것. 어깨에 매면 정장 상의를 망가뜨리게 됨. 정장 차림에는 가방을 매는 것이 아니라 들고 다니는 것임.

(2)     겉을 지퍼로 여는 것보다는 덮게를 여는 것이 더 포멀한 것임. 그런 것을 구매할 것.

(3)     가방의 색은 구두, 벨트와 맞추는 것이 좋음. 단 구두와 벨트가 검정색이라도 갈색 가방의 경우가 좋지 않나 생각함(개인적인 의견)

(4)    구두와 벨트가 갈색이라면 반드시 갈색 가방이 정석임.

(5)     정장에 서류가방은 반드시 가죽가방이 정석임. 가죽가방을 구매할 돈이 없으면 차라리 서류봉투에 넣어가지고 다니는게 나음.

 

 

시간이 없어서 이정도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것을 따르면 10년이 지나도 후회하지 안을 수 있다고 감히 장담해 봅니다. 저도 이런 것에 관심이 없다가 최근에 관심을 갖고 자료들을 찾아보게 된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구요. 동의하지 않더라도 테클은 사절입니다. ^^

 

http://www.skkulove.com/bbs/zboard.php?id=fb2008_1&page=3&category=2&sn1=&divpage=54&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58810&searchtype=

'니생각(review) > 반듯가짐(attitu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트를 제대로 입는 Tip 95가지 -GQ  (0) 2011.04.10
오드리 햅번  (0) 2008.09.11


알바왕 13년 알바로 4억빚 청산 “니퍼로 생니까지 뽑았다” 왜?

관심지수
48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뉴스엔 박영주 기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잠들어 있는 시간. 누군가에게 쫓기듯 어디론가 달려가는 남자가 있다. 하루 아르바이트 7개, 잠잘 시간도 없이 바빠 보였다.

2월4일 방송된 SBS '당신이 궁금한 이야기'에서는 하루 22시간 아르바이트로 하루를 보내는 이종룡(52)씨를 만났다.

그를 쫒아 도착한 곳은 한 대중목욕탕. 그는 목욕탕을 청소하는 아르바이트로 하루를 시작했다. 오후 11시 20분부터 오전 2시까지 청소를 마치자마자 이번엔 신문 배달 아르바이트에 나섰다. 신문 보급소에 도착한 남자는 신문에 전단지를 끼어놓기 시작했다.

1분 1초 쉬지 않고 움직이던 이 씨는 아파트 17개 동을 돌며 신문을 배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고작 3시간뿐이다. 그 후 그는 숨 돌릴 틈 없이 다음 아르바이트 떡집으로 향했다.

하루 1시간 반 밖에 자지 않고 있는 그는 7개의 아르바이트를 소화하고 있었다. 그렇게 해서 그가 한 달에 버는 돈은 520만 원 가량. 연봉으로 따지면 6,000만 원이 넘는다. 통장도 여러개다.

"난 월급을 한 달에 몇 번을 타는지 모른다. 한 달 내내 돈이 들어오는 것 같아 행복하다"고 미소를 지었다. 그러나 그의 재산이라곤 성한 곳 하나 없는 낡은 승합차 한 대 뿐에 한 달에 쓰는 돈의 4각의 담배 값, 1만 원 뿐이었다.

한때 그는 월 3,000만 원의 고소득을 올리는 잘나가는 시계방 사장이었다. 쉽게 번 돈인 만큼 씀씀이도 무척 컸다. "그 때는 70만 원짜리 신발에 몇 백만 원하는 시계를 차고 다녔었다"는 그는 그야말로 폼에 죽고 폼에 죽는 사나이였다.

하지만 갑자기 불어 닥친 외환위기로 시계방은 문을 닫게 됐고, 그는 한 방에 회복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큰돈을 노리고 투자했던 돈들은 도리어 4억의 빚이 되어 돌아왔다.

"집에 있는 연장통을 뒤져서 니퍼로 생니 두개를 뽑았다. 그때는 기절할 뻔 했다"는 그는 굳은 결심을 몸에 새기고 22시간을 일하며 13년을 버렸다, 마침내 지난 2008년 4억의 빚을 깨끗이 털어냈다.

이종룡 씨는 "많이 울었다. 내가 눈물이 없는 줄 알았는데 신발이 없어서 슬리퍼 신고 자빠지고 울고 무릎으로 기고..빚이라는 머리 빗는 빗도 싫어하는 사람이다"고 지난 세월을 떠올렸다.

하지만 빚을 다 갚은 지금도 그는 여전히 아르바이트 중이다. 돈을 너무 쉽게 생각했던 지난 날에 대한 반성은 13년이 지난 지금도 변함이 없었다. "한번에 대박을 터뜨려야겠다는 그런 생각은 없다. 죽을 때까지 이렇게 열심히 사는 모습이 아름다운 것 같다"는 그는 일확천금의 꿈없이도 행복해 보였다.

박영주 gogogirl@newsen.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회는 자신을 찾아주는 사람을 좋아한다

짐 라이더 라는 미국의 한 청년은
골프 대회의 공이 호수에 자주 빠지는 장면을 보고
공을 건져내어 다시 판매했다.
현재 그는 골프공을 회수하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8백만 달러에 이르는 수익을 올리고 있다.

머리회전이 빠른 사람은 남들이 하찮게 여기는 것이나
위험한 영역에서도 기회를 발견해 가치를 창조할 줄 안다.
맹목적으로 대세를 따르거나 오랫동안 형성되어온
사고방식에 속박당한 사람들은
생각을 전환하기 쉽지 않다.

지금도 제한된 사고방식에 속박당하고 있다면
다르게 생각하라.
남들보다 더 많은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다면
당신의 성공도 멀지 않다.

- 왕경국 (저술가) -


내게 있어 죽음은 아직 낯설기만 하다.

 

내가 만약 죽는다면?

 

그런 상상만으로도 두려움이 엄습하고 마음속에는 섬뜩한 바람이 지나간다.

 

어떻게 나의 모든 것들이 한 순간에 끝날 수가 있단 말인가!

 

표 나지 않은 내 영혼이지만 이제껏 겪은 많은 일들 때문에 광대한 것들이 스며있다.

 

고스란히 남아있는 내 추억과 기억,

 

아직도 끊임없이 생각하는 내 머릿속,

 

조그마한 것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내 심장.

 

수만 수천 번 거울을 볼 때마다 도대체 누구를 보았겠는가!

 

나를 너무 잘 알고 있기에 끝내기에는 너무 아깝고 끝날 날을 기다리기에는 너무 아프다.

 

할 수만 있다면 죽음을 피하고 싶지만 나는 잘 알고 있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이 예약 되어있었다는 것을.

 

예외 없는 죽음이 언젠가는 내 방문을 두드릴 것이라는 것을.

 

그렇다고 내 사랑하는 이들과 이별하고 나와도 이별하고 병든 육신을 버리고 어디로 사라지는지도 모른 채 떠나가야만 하는 것일까?

 

알 수도 없고 알고 싶지도 않은 예측불허의 죽음의 두려움을 누구나 꼭 격어야만 하는 것일까?

 

그리고 살아가면 살아갈수록 죽음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일까?

 

나는 소리 내어 말하고 싶다.

 

그렇지 않다고!

 

정말 모든 것들이 한 순간에 사라지는 것이 죽음이라면

 

누구든 죽음이라는 암담한 공포를 미래에 두고는 한 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아니다.

 

모두들 죽음의 공포 따위는 신경 쓰지 않고 내일을 맞이하고 하루하루를 힘내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은 마지막 순간 까지도 희망을 가지고 싶다는 바람으로 삶을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예 죽음이라는 단어를 지우고 살아가기도 하고 종교에 의지해보기도 한다.

 

나는 종교가 없다.

 

그리고 죽음을 떠올리지 않기에는 너무 생각이 많지만 내게도 죽음 앞에서도 무릎 꿇지 않을 간절한 바람이 있다.

 

언젠가 내게 아버지께서 말씀하셨다.

 

아빠가 다음에 먼저 저쪽에 가서 기다릴 테니 나중에 꼭 오라고.

 

나는 그 말을 듣는 순간 거짓말같이 내 심장을 움켜쥐었다 놓았다 하는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버릴 수 있었다.

 

아버지께서는 말 한마디로 내게 죽어도 끝나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신 것이다.

 

근거 없는 말일지라도 나는 믿고 싶다.

 

그리고 나는 이제 더 이상 죽음이라는 끝이 정해진 삶의 덧없음에 더 이상 질문을 던지지 않을 것이다.

 

지금의 나는 죽음이라는 단어는 알아도 끝이라는 단어는 모르기에.

 

 

 

 

죽어서도 레테의 강을 건너지 않고 빠짐없이 기억하리라. 그리고 되도록 부끄럽지 않은 ‘나’로써 다시 만나리라. 죽음, 일단 나는 그렇게 생각하기로 했다. 혹 모를 일 아닌가. 어차피 아무도 모르는 것을.



201067일 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607] 4대강 사업, 정부와 야권의 타협 절실하다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정치권 논쟁의 전면에 등장했다. 야권 광역단체장 당선자들은 합심하여 4대강 사업을 중단시키겠다고 선언했다. 공약으로 내세운 일이지만 무엇보다 선거에서 지역 민심을 체감한 데 따른 움직임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어제 4대강 사업은 변함없이 추진한다고 밝혀 한치 양보 없는 대결로 치달을 것이 우려된다.

 

4대강 사업의 타당성 논란을 되풀이할 계제는 아니다. 다만 정부는 두 가지를 깊이 성찰해 야권 및 반대세력과의 소통을 모색할 때라고 본다. 첫째는 생태 환경과 경제적 측면에서 무리하다는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굳이 2012년 대통령 임기 내에 조기 마무리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다. 둘째는 여전히 적지 않은 국민이 4대강 사업을 대운하 건설의 정지작업으로 의심하는 현실이다.

 

물길을 넓혀 강을 살린다는 명분에 반대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22조원이 넘게 들어가는 공사를 불과 1년 만에 30%를 완성하고, 올해 안에 60%까지 진척시키겠다니 부작용이 너무 크다. 과도한 예산 때문에 상당한 부담이 지자체에 돌아가고, 교육 복지 등 민생 예산이 삭감되는 것은 물론 시급한 사회간접시설 투자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동시다발로 서두는 공사가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하다.

 

대운하도 포기 선언을 믿지 않는 국민이 많다. 13조원이면 된다고 했다가 22조원 이상으로 늘렸고, 퍼내는 토사량도 2에서 5이상으로 늘었다. 당초 대운하 예정지에 예산의 70%가 집중되고, 바닥 준설과 개폐식 대형 보()건설에 가장 많은 돈을 쓴다. 이러니 홍수방지와 수질개선을 위한 순수한 '강 살리기'라는 주장의 설득력이 부족한 것이다.

 

지금 4대강 사업을 없던 일로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임기 안에 준공식을 갖겠다는 욕심을 버리지 않고, 대운하 의혹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지금 중단하는 게 나을 수 있다. 4대강은 국토와 국민의 젖줄이다. 이를 온전히 살리겠다는 진정성이 확고하다면, 대통령이 대화와 타협에 앞장서 대역사를 이어가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607] 문화방송, 적반하장의 징계조처 철회해야

 

<문화방송>(MBC)이 지난주말 노조위원장 등 41명에게 해고 등 중징계 조처를 내렸다.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신동아> 인터뷰로 확인된 문화방송에 대한 권력의 부당한 인사개입에 항의해 파업을 벌인 데 대한 보복이다. 특히 놀라운 사실은 사내 인트라넷에 김재철 사장을 비판한 글을 썼다는 이유로 오행운 피디를 해고한 것이다. 권력에 의해 지명된 김 사장이 비판언론에 재갈을 물려온 현 정권의 언론정책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꼴이다. 부당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사실 징계를 받고 물러나야 할 쪽은 노조위원장이나 노조원들이 아니라 징계를 주도한 김재철 사장과 황희만 부사장이다. 문화방송의 파업 사태는 김 사장이 노조와의 약속을 깨고 황희만씨를 부사장으로 임명한 데서 촉발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김 사장은 김우룡 전 이사장이 제기한 큰집 조인트의혹을 해소하려는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았다. 신동아와 김 방문진 전 이사장을 고소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또 노조와 한 애초 약속을 뒤집고 권력 쪽의 요구대로 황희만씨를 보도와 제작을 총괄하는 부사장직에 임명했다. 결국 김우룡씨가 말한 바대로 스스로 권력의 하수인임을 인정한 것이나 진배없다. 엠비시의 구성원들이 이런 그를 공영방송 사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고 부끄러움을 안다면 스스로 물러났어야 했다.

 

그런데 자숙을 해도 시원찮을 그가 적반하장으로 중징계 조처를 들고 나왔다. 그것도 무분별한 언론장악 기도를 위시한 현 정권의 오만과 독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심판 결과가 확인된 다음날이었다. 큰집의 지시에 따라 움직여온 그의 전력에 비춰 볼 때 이번 징계 결정을 그의 독단적 행위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현 정권이 선거로 나타난 민심을 무시한 채 언론장악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정권과 김 사장의 무리수가 그대로 통용될 것으로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이 정권은 아무리 반대가 있더라도 방송만 장악하면 그뿐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우리 국민들이 그런 오만을 좌시하지 않고 있음은 선거 결과로도 확인됐다. 또 벌써부터 엠비시 안팎에서 비판의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다. 권력은 엠비시 장악 기도를 중단하고, 김 사장은 징계조처를 철회해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20100607] 4대강, 영산강 먼저 다운 만드는 게 열쇠다

 

민주당과 무소속 출신 광역시장·도지사 당선자들이 당선 일성(一聲)으로 4대강 공사 저지를 들고 나왔다.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는 "4대강 사업을 중단시키기 위해 도() 차원의 인·허가권 활용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는 "정상적인 치수사업의 범위를 확정해 중단 가능한 4대강 사업이 무엇인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충북지사·강원지사·광주시장 당선자도 4대강 사업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4대강 사업은 지자체들이 협조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반대할 경우 사업 시행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기초자치단체의 시장·군수는 준설토 적치장 인·허가권을 갖고 있다. 4대강 사업 준설토는 57000. 100m, 높이 10m로 쌓을 경우 570나 이어지는 양이다. ·군에서 적치장을 마련해주지 않으면 준설토 대란(大亂)이 벌어진다. 정부는 준설토의 상당 부분을 하천 인근 농지를 돋우고 높여 홍수 피해를 막는 데 쓸 계획이었다. 그러나 농지 리모델링 인·허가권도 광역자치단체장에게 있어 이들이 반대하면 준설토를 쌓아둘 곳이 없다.

 

4대강 사업은 전체 공정의 16.5%, () 공사의 경우 33.4% 진척돼 있다. 16개의 보를 세우다 그만두면 홍수 때의 물 소통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더구나 정권으로선 야권 지자체 단체장들이 반대한다고 4대강 사업을 중단하거나 틀을 바꾸는 것은 자존심이 쉽게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여당이 6·2 지방선거에서 이렇게 무너진 것은 정부가 우격다짐 식으로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인 데 대한 민심의 반발도 작용했다는 점을 생각해봐야 한다.

 

정부의 계속 추진과 야권 지자체 단체장의 결사반대 사이에 걸려 있는 4대강 사업의 활로(活路)는 어디에 있을까. 그 방법의 하나는 하천 정비가 가장 시급하고 지역민의 호응도 받고 있는 영산강을 골라 정부가 생각하는 4대강 정비의 모델을 현실로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의 영산강은 홍수로 떠밀려온 토사(土沙)가 강 복판의 곳곳에 쌓여 배를 드러내놓고 있고, 지천(支川)에서 흘러드는 오수(汚水)는 여름철이면 퀴퀴한 냄새를 풍기고, 수량이 부족한 강줄기는 흐름을 잊어버린 채 흐르듯 말듯 하고 있다. 이 영산강의 물을 깨끗이 하고 흐름을 되찾게 해 강변에 갈대 숲 무성한 예스런 모습을 회복시켜 주민들에게 돌려주라는 것이다. 그래서 4대강 사업이 사방에 시멘트를 두르고 강의 흐름을 무리하게 직선으로 곧게 펴는 반자연적(反自然的) 토목사업이라는 오해를 씻어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나머지 한강·낙동강·금강의 사업은 속도를 조절하면서 민심의 흐름을 지켜볼 일이다.

 

영산강은 전체 길이 1384대강 가운데 가장 짧지만 금강(24800억원), 한강(2400억원)보다 많은 26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두 군데 보를 만들고 3000를 준설할 예정이다. 영산강 하류 무안 지점의 2008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5.1PPM이었다. 한강의 노량진 3.8, 낙동강 물금 3.0, 금강 부여 지점 4.2PPM과 비교해 가장 나빴다. 영산강은 상류 4개 댐에서 수돗물과 농업용으로 물을 빼쓰는 바람에 갈수기 때 중류 아래로는 광주 하수처리장에서 배출하는 하루 72t이 강을 채우는 실정이다. 영산강 하굿둑이 생긴 이후에는 물 흐름조차 단절돼 강바닥엔 오염된 흙이 쌓여 있다. 영산강 유역인 전남 지역 하수도 보급률은 전국 평균 85.5%보다 훨씬 낮은 45%에 불과해 강의 오염을 방치해둘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박준영 전남지사도 "다른 강은 몰라도 영산강 사업만큼은 꼭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시장 시절 청계천 사업과 버스노선 정비 성과를 발판으로 대통령이 됐다. 그러나 4대강 반대론자들은 이 대통령을 대통령으로 만든 그 청계천 사업을 4대강 사업의 반대 근거로 갖다 대고 있다. 청계천은 시멘트를 쏟아부은 인공(人工) 하천이라는 것이다. 도심에 건물이 들어찬 상태에서 하천을 복원해야 했던 한계(限界)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정부는 4대강 가운데 먼저 영산강을 골라 시멘트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불구불 유장(悠長)하게 흐르는 강의 원모습을 유지시키고 곳곳에 백사장·습지가 복원되고, 강변엔 갈대·부들 같은 수변 식생이 자라고, 강물 속엔 지금보다 몇 배 더 많고 더 다양한 물고기와 생물이 사는 풍요로운 강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런 뒤에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도지사들과 종교단체의 사람들을 되살려놓은 영산강의 강변으로 초대해 4대강 사업은 바로 이런 것이었다고 말해보라. 그러면 한강·낙동강·금강 지역 사람들이 우리 강()도 되살려 달라며 손을 내밀지 않겠는가. 발상의 대전환이 진퇴양난에 빠져있는 4대강 사업의 새 활로를 뚫는 유일한 길이다.

 

 

[서울신문 사설-20100607] 세종시·4대강 국익과 민심 조화시켜야

 

6·2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패배함에 따라 이명박 정부가 추진해 온 핵심 국책사업인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 우선 세종시 수정안은 한나라당이 충청권에서 참패해 동력을 상실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나라당 주류에서도 출구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야당 소속 시·도지사 당선자 상당수가 저지 방침을 밝히고 있다. 여권에서도 속도조절론이 나오고 있어 두 사업은 당분간 흔들릴 것으로 우려된다.

 

세종시 수정안이나 4대강 사업에 대해서 여야 간, 여권 내 계파에 따라 해법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자칫 당리당략에 따른 국론 분열 심화가 우려된다. 우리는 두 문제의 해법은 국익과 선거민심을 조화시키는 방향에서 찾는 것이 정도라고 본다. 이번 선거 민심은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으로 해석되고 있다. 세종시와 4대강 사업은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하지만 4대강 사업은 수조원대의 예산이 이미 투입돼 진행되고 있다. 계속 추진하기도, 중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해법은 조속히 찾아야 한다.

 

우리는 지방선거 뒤 세종시 수정안을 즉각 철회하고 4대강 사업을 중단하라는 야당 일각의 일방적 공세에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특히 일부 광역단체장들은 선거에서 나타난 민의를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정부의 몰아붙이기식 국정운영도 문제지만 야당의 몰아붙이기식 대정부 요구나 주장도 곤란하다. 국회와 차기 광역단체장들은 국익과 지역 민심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차분히 논의해봐야 한다. 대규모 국책사업은 정부와 국회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해법을 찾아야 효율적이다. 민심과 조화된 국익 추구가 절실하다.

 

정부도 더 이상 일방적 정책 밀어붙이기를 자제하고 국민과의 소통을 통한 추진을 모색해야 한다. 정부는 더 솔직하고 낮은 자세로 국민에게 사업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속도 조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이 민주정치다. 국회도 정부와 충분히 절충, 세종시와 4대강 사업에 대한 결론을 빨리 내주어야 한다. 두 사업이 이도 저도 아닌 상태로 표류하면 국가적 낭비는 엄청날 것이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이 됨을 명심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607] 나로호 발사순간까지 점검·준비 빈틈 없도록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I)9일로 예정된 2차 발사 이틀을 앞두고 오늘 발사대에 세워진다. 마무리 단계인 발사체 총점검 및 발사운용 준비상황 점검도 어제까지 순조롭게 이뤄졌다고 한다. 다행히 발사 성패의 최대 변수인 당일 나로우주센터 주변 기상상태는 비교적 좋을 것으로 예상돼 어느 때보다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나로호는 오늘 발사대로의 이송과 각종 기계 · 전기적 케이블 연결 후 발사체 기립,추진제 주입장치 연결,탑재장비 점검이 완료되면 내일 최종 모의연습을 실시한 후 카운트다운에 들어간다. 발사는 9일 오후 5시 전후로 예정돼 있다

 

지난 해 81차 발사때 위성 보호덮개인 페어링 분리가 안돼 우주궤도 진입에 실패한 문제점은 집중적인 개선과 반복 성능시험으로 완벽하게 해결됐다는 것이 기술진들의 평가다. 나로우주센터 연구진들이 이번에는 자신감을 갖는 이유다.

 

이번에는 나로호 발사가 반드시 성공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9일 나로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우리나라는 자국 땅에서 자력으로 위성을 쏘아올린 '우주클럽'10번째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우주발사체는 기계 전기전자 신소재 화학 등 과학기술 모든 분야의 첨단기술 집합체로 부품 수만 30만개에 이른다. 발사체 기술 확보는 관련산업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가 될 뿐 아니라,경제적 이익 외에 안보적 차원에서도 막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부는 나로호 발사체의 핵심인 1단 액체로켓 관련 기술을 러시아 측으로 부터 이전받지 못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독자적인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번 발사 성공이 그 기술개발을 가속화하고 우주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마지막 순간까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점검과 준비로 성공적인 발사가 이뤄지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607] 금융안전망 구축 합의한 G20 재무회의

 

지난 4일부터 이틀간 부산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과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공조에 합의함으로써 세계경제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체제 구축에 한발 다가서게 됐다. G20은 공동성명에서 "각국 경제상황을 고려한 성장친화적 재정건전성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며 "자본변동성과 위기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한 국내지역적다자간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를 비롯한 당면 과제는 물론 앞으로 경제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G20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에 합의한 것은 오는 11G20 정상회의 개최국의 위상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세계 금융시장이 하나로 통합된 결과 특정국에서 위기가 터지면 세계 모든 나라가 충격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유럽 재정위기가 세계경제의 최대 불안요인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재정건전성을 위한 국제공조의 첫 단추를 끼운 것도 의미 있는 진전이다. 국가부채가 많은 나라들은 재정긴축을 통해 회생을 도모하고 재정여력이 있는 나라들은 내수를 확대하는 차별화된 정책을 시행한다는 합의를 이끌어낸 것이다. 이는 재정건전성을 위해 각국이 일률적으로 재정감축에 나설 경우 세계경제를 되레 위축시켜 더블딥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위험을 감안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금융위기 극복비용의 일부를 은행에 부담시키기 위한 은행세 도입문제는 회원국 간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부실 금융기관의 규제에 대해서도 원칙적 선언에 그치는 등 숙제를 남겼다. 그러나 그리스에서 시작된 재정위기가 스페인에 이어 헝가리 등 동유럽으로 확산되고 있고 국제공조의 필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거둔 성과가 11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G20 정상회의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해나가야 한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황호택 칼럼/황호택(논설실장)-20100607] 서울대 115주년의 꿈

 

조국 서울대 법대 교수는 2007년 대외협력본부 부본부장을 맡아 외국에 서울대를 소개할 기회가 자주 있었다. 조 교수는 수백 년 역사를 지닌 외국 대학의 사람들에게 서울대가 개교한 지 60년을 조금 넘었다는 안내 자료를 주다 보면 스스로 꿀리는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영국 옥스퍼드대는 올해로 개교 914주년이고 미국 하버드대는 374주년, 일본 도쿄대는 133주년을 맞는다. 오래됐다고 반드시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국가를 대표하는 대학의 연륜은 그 나라 고등교육의 역사와 학문의 전통을 보여준다.

 

서울대는 미군정 하에서 경성대학과 9개 전문학교를 합쳐 종합대학으로 출범한 1946년을 개교 원년(元年)으로 잡는 바람에 이런 디스카운트를 자초했다. 경성제국대학(광복 후 경성대학)은 일본인 교수와 일본인 학생이 주류를 이루던 식민지 대학이었다.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국사학)경성제대에 대한 거부감으로 광복 이전에 세워진 9개 전문학교들도 서울대 교사(校史)에서 추방됐다고 설명한다.

 

서울대가 통합한 9개 전문학교 중 원년이 가장 이른 법관양성소는 첫해에 50명이 입학해 47명이 졸업했다. 법관양성소의 커리큘럼은 오늘날 법과대학의 필수과목이 다 들어 있어 한국 최초의 근대적 법과대학으로 부르기에 손색이 없다. 법관양성소는 법학교경성전수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로 개편되다가 법통(法統)이 서울대 법대로 그대로 전수됐다. 서울사대도 같은 해 세워진 한성사범학교의 법통을 물려받았다. 1904년 설립된 농상소학교는 서울대 농대로 이어졌다.

 

* 校史에서 사라진 법관양성소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한국인의 고등교육을 억압하는 바람에 대한제국이 세운 고등교육기관들은 대학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전문학교 수준에 머물러야 했다. 조선총독부는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좌절시키기 위해 1924년에야 경성제대를 세웠다. 서울대는 경성제대의 후신이 아니다. 경성제대는 서울대로 통합한 10개 교육기관의 하나였을 뿐이다. 서울대로 통합된 전문학교들은 18955월 설립한 법관양성소를 필두로 대한제국이 교육을 통해 근대화를 달성하려던 개혁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다.

 

서울대는 1946년 대통합을 통해 새롭게 태어난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근대적 교육을 통해 국권을 바로 세워보려던 비원(悲願)의 역사를 지워버린 것은 잘한 일이 아니다. 서울대 법대는 법관양성소 졸업생인 이준 열사와 함태영 전 부통령을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으로 현창한 바 있다. 단과대학의 역사는 한 세기를 넘겼는데, 종합대학교가 된 날로부터 개교 원년을 따지는 것은 기형적인 역사인식이다. 이 열사나 함 부통령 같은 애국지사들을 폐교(廢校)의 미아로 만들어버린 결례다.

 

여러 교육기관이 합쳐져 종합대학이 된 경우 가장 오래된 기관의 설립일자를 원년으로 삼은 대학도 있고, 통합 시점을 원년으로 삼는 대학도 있다. 대학의 원년을 정함에 있어 세계적으로 공통된 기준은 없다. 어디까지나 대학 구성원의 합의와 선택의 문제이다. 연세대는 1957년 연희대와 세브란스의대가 통합해 오늘의 모습을 갖추었다. 연세대는 세브란스의대의 뿌리인 제중원(濟衆院)을 효시로 삼는다. 1884년 고종황제의 명으로 세워진 광혜원이 제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세계 유수의 명문대학들도 그 시작은 미약했다. 거대한 종합대학이 된 후부터 원년을 따진다면 하버드대도 개교 원년을 한참 디스카운트해야 한다. 하버드대는 미국 플리머스에 최초로 유럽인들이 이주한 지 16년 만인 1636년에 설립됐다. 처음에는 교사 1명에 학생 9명으로 시작한 목사 양성소였다. 1886531일 미국 북감리교 여선교부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 여사가 서울 정동의 자택에서 여학생 한 명을 데리고 수업을 시작했다. 이것이 124주년을 자랑하는 이화여대의 최초 모습이다. 서울 공릉에 있는 국립 서울산업대는 올해 개교 100년을 알리는 대형 아치를 세워놓고 1910년 설립된 어의동실업보습학교로부터 한 세기 내려온 학풍을 자축하고 있다.

 

* 元年바로잡아 세계로 도약해야

 

서울대의 국제적 위상은 대한민국의 자존심과도 연관된 문제다. 서울대가 한국의 경제규모에 걸맞게 세계 10위권 대학으로 도약하려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의 명문대학들과 경쟁해야 한다. 해외에서 심사하는 대학평가에서 학문의 전통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외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더라도 서울대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51년의 역사를 별 이유 없이 내팽개친 경우에 해당한다.

 

대한제국이 제국주의 열강의 발톱 아래서 신학문을 가르쳐 나라를 구해보려던 구국(救國)교육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은 서울대의 잃어버린 뿌리 찾기이자 격랑의 시대를 살다간 선배들에 대한 예의다. 서울대가 법인화를 계기로 한 세기가 훌쩍 넘는 개교 원년을 회복해 세계 속으로 도약할 기회를 잡기 바란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기선민(문하스포츠부문 기자)-20100607] 축구 아는 여자

 

아들의 결혼식과 잉글랜드 대표팀의 월드컵 경기가 겹친다면, 아들 결혼식은 비디오로 보겠다.” 가족에게서 버림받기 딱 좋을 성싶은 이 철없는 발언을 한 사람은 영국 작가 닉 혼비다. 축구팬들에게 피버 피치(Fever Pitch)라는 축구 에세이로 유명한 그 사람이다.

 

그는 영국 프로축구팀 아스널의 광()팬이다. 소년 시절부터 “(아스널의) 경기가 있는 날 아침이면 속이 메슥거리다 두 골 차이로 앞서 나갈 때쯤 겨우 괜찮아지는증세에 시달렸다. “축구는 나를, 아내가 어느 순간에 아이를 낳는다 해도 병원에 함께 가지 않을 사람으로 만들어놓았다.” 한때 아스널이 FA컵 결승전을 치르는 날 하필 아이가 태어나는 광경을 상상하던, 이 못 말리는 축구광의 고백이다.

 

혼비 같은 남자를 멋지다고 생각할 여자는 드물다. 스포츠에 대한 남자의 지나친 몰입은 남녀의 소통 단절을 불러오기 일쑤다. 특히 월드컵 시즌은 남자와 여자의 취향 차이가 집단적으로 드러나는 시기다. 축구를 비열한 개싸움이라고 멸시했던 네덜란드 학자 뵈이텐디예크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많은 여성은 아직도 축구를 ‘22명이 공 하나에 매달려 90분간 몰려다니는일로 여긴다.

 

소통 단절은 한쪽의 소외를 낳는다.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유럽에 등장했던 월드컵 과부(worldcup widow)’가 그것이다. “그냥 과부는 유산이라도 물려받거나 남들의 동정이라도 사는데, 월드컵 과부는 그런 것도 없다는 우스개가 돌 정도다. 월드컵 과부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낚시 붐과 더불어 사회적 이슈가 됐던 일요 과부보다 고약하다. 낚시는 남편 혼자 갔지만 축구는 아들까지 한통속으로 끌어들이기 때문이다.

 

반면 축구를 좋아하는 자신을 이해해주는 여성에 대한 남자들의 로망은 커져만 간다. 여성 스포츠 MC 이은하가 쓴 축구 아는 여자의 추천사에서 아나운서 김성주는 남자들은 군대 가서 축구 한 얘기에 공감하는 여자에 열광한다고 했다. 소설 아내가 결혼했다의 주인공 인아처럼 아이를 낳으면 지단 넘버원이라는 뜻에서 지원이라고 짓겠다는 여자 말이다. 남아공 월드컵이 나흘 후면 개막한다.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를 알자는 책이 쏟아지고, 문화강좌도 개설됐다고 한다. 대상은 대개 여성이다. ‘축구 아는 여자가 되자는 캠페인이라고나 할까. ‘()’과부의 타협점이 찾아진다면 축구 좀 아는 여자가 돼도 나쁠 건 없지 싶다.

 

 

[경향신문 칼럼-서배원(논설위원)-20100607] 리니언시

 

신의를 저버리는 뜻의 배신(背信)’은 동서와 고금을 막론하고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배신자나 배신행위 등이 좋은 뜻으로 쓰이는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정책적으로 당근을 주면서 배신을 유도하는 제도가 있다. 담합 행위 조사 때 적용되는 리니언시(leniency·자진신고 제재 감면)’ 제도다.

 

담합 행위를 자진신고한 기업에 대해 과징금 등 제재를 감면해줌으로써 증거 확보가 어려운 담합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제도다. 공범인 죄수에게 먼저 자백하면 감형, 반대의 경우는 가중처벌, 혐의를 부인하면 석방되는 조건이 주어질 때 죄수가 서로를 믿지 못해 둘 모두에 불이익이 되는 선택(자백)을 한다는 게임이론 죄수의 딜레마와 닮았다.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날 주말 한 강연에서 “2005년 이후 지난해까지 과징금을 부과한 담합 사건 138건 가운데 리니언시를 적용한 사건이 62건으로 4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 등 세계 29개국 경쟁당국이 담합 사건을 적발하는 데 이 제도의 도움을 크게 받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가장 무거운 벌을 받아야 할 기업이 면죄부를 받는다는 점이다. 담합에 따른 과징금은 매출액에 비례한다. 따라서 자진신고를 통해 얻게 될 이익이 클 수밖에 없는 시장점유율 1, 2위 기업이 처벌 대상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제도가 사회정의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과징금 면제 비율은 첫 번째 신고자 100%, 두 번째 신고자 50%.

 

이 제도가 경쟁기업을 흔드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 의심할 만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최근 국제 항공사들은 화물운임을 담합해온 사실이 드러나 미국·호주·한국 등에서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담합을 주도했던 루프트한자가 자진신고를 통해 과징금을 면제받았다. 그런데 오랫동안 화물운송 1위였던 루프트한자가 대한항공에 밀려 2위로 내려앉은 때는 2004, 담합을 자진신고한 때는 당국의 조사가 시작되기 전인 2005년이었다고 한다. 대한항공은 이 건으로 미국에서 15개 항공사 중 가장 많은 3억달러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조사의 효율성과 사회정의 실현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죄가 가장 큰 기업에 100% 제재 감면은 아무래도 지나쳐 보인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시평/김기정(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20100607] 6·2선거를 움직인 民心

 

선거는 국민이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는 통로다. 또 국민에게 주어진 정치적 권한을 선출자에게 일정 기간 위임하는 절차이기도 하다. 그래서 각 정당과 후보자들은 국민의 뜻과 마음을 얻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선거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결국 국민의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이라 부른다.

 

이번 62지방선거는 여당 패배, 야당 승리로 끝났다. 몇 가지 요인이 민심의 향배를 결정한 듯 보인다. 우선 정부 여당의 독주에 대한 견제심리가 하나다. 이는 정치적 중용과 균형점을 갈망하는 국민의 의사로 읽어도 무방하다. 다수에 근거해서 일사불란하게 밀어붙이기를 저어하는 국민들의 정치적 의사다. 정치에서 소통의 중요성이나 국민에 대한 겸허함이 필요하다는 진실을 일깨워 주는 대목이다.

 

북풍과 관련된 결과도 흥미롭다. 일각에서는 국민들이 안보문제에 둔감해졌다며 전 정권이나 국민 탓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안보의식이 둔감해졌다기보다 국민들은 여당 측에서 안보문제를 선거용으로 이용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한 것 같다. 아울러 만약 정치적 기획의도가 있었다면 북풍이면 필승이라는 판단이 현시대 상황에서 과연 옳은 것인지 이제 되물어 봐야 한다. 안보의 개념과 추진방법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안보의식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며 조형된다. 이번 선거에는 남북 관계를 대결국면으로 몰고 갔던 정책적 방향에 대해 비판심리도 작동했다. 정부 여당 측에서는 지방선거 결과가 그리 대수겠느냐고 애써 위안할 수 있을지 몰라도 정부의 주요 사업 추진 방식, 대북정책 등이 모두 쟁점으로 부상하여 치러진 선거인 만큼 선거 이후 정치는 분명 국민적 의사를 반영하면서 조정돼야 할 것이다.

 

선거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한국 정치의 현주소를 반영한다. 이번 선거 결과 중 특히 주목해 봐야 할 것은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나타난 무소속 당선자 숫자다. 전체 기초자치단체장 228석 중 무소속이 36명에 이른다. 무려 16%. 특히 민주당 텃밭인 전남에서 22석 중 7, 한나라당 지지기반인 경남에서는 18석 중 6석이 무소속 당선자에게 돌아갔다. 이러한 현상은 1987년 이후 지역분할구도를 붙들고 생존해 왔던 정당정치 체제에 대한 따끔한 일침이다. 각자 텃밭에서는 누구를 후보로 내세워도 당선된다는 안이함이 정당정치의 위기를 키워왔다. 정당은 국민들의 정치적 의사를 대변하는 조직이다. 지역분할구도 속에서 이러한 대의적 기능이 취약해진 것이 아닌지 여야 모두 심각하게 자문해봐야 한다. 정치적 현실주의라는 괴물 속에 안주해 온 지역분할구도를 청산하지 못하면 한국 정치에는 더욱 심각한 위기가 가중되어 나타날 것이다.

 

정치는 국가나 지방정부라는 정치적 조직의 경영을 의미한다.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발휘된 동원과 조직, 민심 얻기의 묘수만이 정치가 아니라는 뜻이다. 투표 결과에 드러난 민심을 헤아리면서 제대로 경영능력을 발휘해야 정치가 바른 길을 갈 수 있다. 정치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갈등과 문제점을 해결해 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끝없는 대화와 소통, 협의와 관용이 관건이다. 정치에는 살벌한 대결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승자는 승자대로, 패자는 패자대로 어느 한편에 서기를 자처하면서 소신과 진정성이라는 괴물에 압도당하게 되면 정치는 갈등만 재생산하게 된다. 이번 선거에서 패배한 여당이나 승리한 야당이 모두 유념해야 할 점이다. 국민은 현명하고 냉정하다. 여야 모두 다가올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길 원한다면 이제부터라도 겸허한 마음으로 국민에게 다가서야 한다. 이것이 이번 선거가 정치권에 주는 귀중한 교훈임을 명심해야 한다.




메리어트호텔 CEO가 일흔다섯에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기사입력: 10-05-26 17:54   조회2442  
[사례로 배우는 IT 리더십] 밀레니얼 세대 잡으려면 “Total Engagement”하라


소셜 미디어와 친한 CEO? 한국에서는 단연 두산 박용만 회장이다. ‘트위터 하는 회장님’으로 알려진 박회장은 팔로어가 4만 명을 넘어섰다. 미국에서는 블로그나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CEO 수가 훨씬 많다. 메리어트 호텔의 빌 메리어트 회장은 2007년부터 블로그를 꾸려왔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CEO가 소셜 미디어에 직접 관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IT경영’의 전문가, 아메리칸 대학(American University) 이관후 교수는 “24시간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고 ‘재잘거리기’를 좋아하는 새로운 세대, 즉 밀레니얼 세대로 이뤄진 고객•직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은 지금 기업이 당면한 이슈들 중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말한다. 그가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Total Engagement가 무엇인지 살펴보자.(편집자주)


빌 메리어트는 메리어트 호텔의 CEO이다. 그는 창업주인 부친으로부터 경영권을 승계 받아 40여 년 간 메리어트 호텔을 경영했으며, 18개의 호텔 브랜드를 가진 세계 우량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1932년생인 그가 3년 전인 2007년 정월, 75세라는 고령의 나이에 새롭게 시작한 작은 일이 있었다.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블로그였다.

홍보 담당 임원의 끈질긴 권유에 못 이겨 시작했지만 그 동안 그의 블로그(blogs.marriott.com)에는 크고 작은 변화와 효과가 있었다. 우선 그의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들이 꾸준히 늘어 2009년 한해 동안 21만 명의 방문자수를 기록했다. 메리어트 직원들이 워낙 많으니 그 정도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아니다. 방문자의 22 % 정도만 메리어트 직원이고 나머지는 모두 고객이다. 자, 그럼 좀 더 실질적인 효과는 무엇이냐고? 한 해 동안 블로그 방문자들이 200만 달러 이상 매출에 기여했고 364명의 신규고객이 CEO의 블로그를 계기로 메리어트 호텔의 VIP 고객 프로그램 멤버로 가입했다.

CEO가 블로그를 하면 어떤 이득이 있나?
빌 메리어트는 블로그를 통해 회사의 소식과 경영 계획을 자신의 목소리로 알릴 뿐 아니라 개인적인 관심분야에 대한 글을 고객과 직원에게 그 어떤 미디어보다 더 친밀하게 전달한다. 블로그를 통해 돌아오는 고객의 실시간 피드백은 현장 경영을 중시하는 그에게 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온라인 채널을 통해 고객, 직원과 맞닿아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것이 그의 일을 더욱 재미있고 보람있게 만들어 주고 있다. 이것이 블로그를 처음 시작했을 때 반신반의 하며 주저했던 그가 이제는 블로깅을 즐기게 된 이유다.

메리어트 호텔은 CEO 블로그 외에도 작년부터 호텔 최고 요리사(corporate chef)의 블로그를 통해서 호텔 식당, 요리사, 메뉴 및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chefblog.marriott.com). 고급호텔인 메리어트의 고객들은 예상대로 이에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호텔 식당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라 예측된다.

블로그를 통해 고객과 직접 대화하는 CEO는 빌 메리어트 뿐만이 아니다. 이미 수많은 국내외 기업의 CEO들이 블로깅을 하고 있으며 정부기관의 고위관료들도 블로그를 통해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CEO가 블로깅을 하는 것이 과연 ROI가 있을까? 사실 엄청나게 바쁜 일정의 시간을 쪼개어 그리 익숙하지도 않은 온라인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CEO의 확고한 의지가 없으면 힘든 일이다. 더군다나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당장 재무제표에 명확하게 숫자로 나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ROI를 대차대조표에 나타나는 숫자만으로 보려 한다면 중요한 포인트를 놓치고 있는 것이다. 블로그를 통해서 얻는 가장 큰 효과는 바로 고객과 직원의 주의와 관심을 끌어들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객과 직원을 기업과 브랜드에 깊이 ‘참여(engage)’ 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정보와 지식 경제에서 시간이나 자금보다 더 중요한 자원은 고객의 주의와 관심이다. 고객의 눈이 가장 희귀한 자원이며 이를 사로잡지 못하는 기업에게 미래는 없다.

Total Engagement란 무엇인가?
고객과 직원을 참여(engage)시키는 방법은 블로그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세계 우량 기업들은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와 웹 2.0등의 이머징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고객과 직원의 “전면적인 참여(Total Engagement)”를 추구하고 있다. 그럼 Total engagement란 무엇일까? Total engagement는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CEO 부터 현장근무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레벨의 직원, 고객, 협력업체, 외부전문가 등 광범위한 사람과 조직이 참여한다. 당장은 현실성이 없지만 궁극적으로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비전이다. 둘째,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넘어 문제해결, 의사결정, 프로젝트 협력, 제품과 서비스 개발 및 경영 혁신 등의 광범위한 기업 활동에 참여시킨다. 셋째, 9-to-5가 아닌 24/7/365개념으로 지속적인 참여가 이루어 진다. 넷째, 모바일 컴퓨팅의 발달로 장소와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참여가 이루어 진다.

이렇듯 Total engagement가 실현되면 고객 중심 비즈니스 모델로의 혁신이 이뤄지며, 기업의 유연성과 민첩성이 제고될 뿐 아니라 제품과 서비스의 혁신이 과거에 상상할 수 없었던 빠른 속도와 낮은 비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메리어트 호텔의 예를 들어 보자. 메리어트 리워드 인사이더라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준비 중에 있는데 그 비전은 수십 만의 메리어트 고객들이 질문하고 대답하고, 또 관심 분야별로 소그룹을 만들어 자신들의 여행 경험을 공유하는 등의 온라인 포럼으로 정착하는 것이다. 메리어트는 이미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만 명의 팬도 확보하고 있다. 카트리나 허리케인이나 최근의 BP 오일 누출 등 재해가 발생하면 그 지역의 호텔 정보를 트위터를 통해서 고객들에게 하루에도 수십 차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고객이 여행 계획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직원만을 위한 페이스북도 있다. 직원 개개인의 업무 경험, 전문분야 등 상세 프로필을 공유토록 해 신규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추진할 경우 가장 적합한 직원을 찾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사업부별 부서별로 인력교류가 없었던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결하고 있다.

직원•고객을 참여시키면 ‘소통’도 되고 ‘오픈 이노베이션’도 되고
메리어트 호텔 외에 다른 기업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뉴욕에 본사를 둔 제약회사 화이자는 작년부터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혁신에 사내 전 직원과 일부 협력업체 직원을 참여(engage) 시키고 있다. 과거에는 본사 전략팀의 소수 직원과 외부 컨설턴트들이 조용하고 소외된 곳으로 가서 수일 동안 마라톤 회의와 워크샵을 하여 전략과 혁신의 밑그림을 그렸다. 그러나 이제는 온라인 아이디어 포럼을 통해서 직원 누구나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상호간의 의견교환과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서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 전략과 혁신의 방향을 설정한다. 이로 인해 현장에 근거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일회성으로 끝났던 전략계획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프로세스로 바뀌게 되었다.

스타벅스의 예도 보자. 스타벅스는 최근 몇 년간 던킨 도넛, 맥도널드 등의 커피시장 도전으로 큰 어려움을 맞았다. 그러자 은퇴했던CEO 하워드 슐츠가 2008년 경영일선에 복귀하면서 회사를 살리는데 적극 나섰다. 그가 가장 먼저 한 일 중 하나는 바로 마이 스타벅스 아이디어 닷 컴 (mystarbucksidea.com)의 론칭을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의 실현이었다. 이를 통해 불과 2년 2개월 만인 2010년 5월 현재, 9만 1028개의 아이디어가 접수되었고 그 중 수십 가지의 아이디어가 채택 실행되어 스타벅스의 고객 경험, 서비스, 및 제품 개선 및 혁신에 이미 활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레고, 나이키, P&G, 델, IBM, BMW 등의 기업들이 고객을 이노베이션 프로세스에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시키고 있다. 미국정부에서는 오바마 정부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혁신의 한 방향을 열린 정부(Open Government)로 하고 정부기관의 자료를 시민에게 온라인으로 공개해 시민들을 정책개발에 참여시킴으로써 투명성, 참여도, 협력(Transparency, Participation, Collaboration) 제고를 정책의 큰 틀로 제시하고 있다. 국내에도 삼성 등 일부 선두기업들이 고객을 혁신에 참여시키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 공략, Total engagement가 해답
기업의 미래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고객, 직원, 협력업체, 외부전문가 등의 광범위한 이해 당사자들을 기업의 의사결정, 문제해결, 혁신 등에 참여(engage)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특히 1981년에서 1991년 사이에 출생한 소위 밀레니얼(Millennials) 세대가 수년 뒤에 고객의 주류가 되고 직원의 주류가 되면 Total engagement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밀레니얼 세대는 그 전 세대인 X세대와는 현격히 다른 특징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이메일은 이미 낡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여겨지고 텍스팅이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더 익숙하고 편하다. 일과 놀이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24시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생활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건 힘들어도 한밤중에 자다가도 텍스트 메시지가 도착하면 확인하는 것이 밀레니얼 세대이다. 매스커뮤니케이션 보다는 인터넷의 뉴미디어에서 주로 정보를 얻는다. 따라서 현재의 비즈니스 모델과 커뮤니케이션 채널로는 그들을 효과적으로 참여시킬 수가 없다.

밀레니얼 세대에 맞는 비즈니스와 소통 등의 문제는 향후 수년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기업은 인간이 미래에 어떤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일을 하고 네트워킹을 하고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지를 깊이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필자는 그 해답의 시작이 Total engagement라고 본다. 필자의 다음 칼럼에서는 Total engagement에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이슈와 도전 과제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선두기업들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내가 흐르지 않으면 시간도 흐르지 않는다


옷걸이에 축 늘어진 채 걸려 있는 옷을 보면서 문득

'나는 어디로 갔지'라고 생각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태양은 대기업의 빌딩 위에만 떠오르지는 않습니다.


개복숭아 나무에게 물었다.

언제 꽃피울 거니.

개복숭아 나무가 대답했다.

절로, 꽃피우는 거지

작정하고 꽃피우는 거 아닙니다.


행복해지고 싶으신가요.

계절이 변하면 입을 옷이 있고

허기가 지면 먹을 음식이 있고

잠자기 위해 돌아갈 집이 있다면,

마음 하나 잘 다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교훈은 간직하라고 전해주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라고 전해주는 것이다.


당신이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때마다

밤하늘에 별이 하나씩 돋아난다면

당신 때문에 생겨난 밤하늘의 별은 모두 몇개나 될까요.

설마 한개도 만들지 못한 사람은 없겠지요.


무엇이 푸르냐고 나에게 묻지 말라.

그대가 푸른 것이 곧 진실이다.


울지마라.

사랑은 시간이 지나면 말라버리는 접시물이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고여서 넘치는 옹달샘이다.

울지 마라.

헌 사랑이 떠나면 새 사랑이 오나니.

울지 마라.


하나님, 제 마음속에도 DEL키를 달아주세요.

터치 한번으로 말끔하게 마음을 비우고 싶으니까요.


당신의 사랑이 자주 흔들리는 이유는

그것이 진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천사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쪽보다는

당신이 직접 천사가 되는 쪽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듭니다.


시궁창 물에도 하늘은 비친다.

물속에 들어 있는 혼탁한 물질들이 문제지

물 자체는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다.


사랑은 너를 위해

내가 기꺼이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이다.


수많은 생명들에게 자신의 살과 뼈를 내어주고

지금은 가장 낮은 자리에 엎드려

하찮은 것들의 목숨까지도 거두어 주는 땅-평지가 바로 명당이다.


연인과 헤어진 분 있으신가요.

새벽 2시에 '내가 잘못했어,한번만 용서해줘'라고 치신 다음

♥ 하나를 덧붙여 문자를 보내보세요

예기치 못했던 일이 일어날지도 모릅니다.


기적은 하나님이 내려 주시는 것이 아니라

그대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외수의 비상법 / 아불류 시불류 중에서.



앞으로 울고 싶어지면 동전을 보거라.

동전의 앞과 뒤가 같듯이,

슬픔도 기쁨도 사실은 별다를 게 없단다.

이쪽을 슬픔이라고 정하면 슬픔이 되고,

저쪽을 기쁨이라고 생각하면 곧 기쁨이다.

살아가면서 슬픔을 아주 안 만날 재간은 없겠지.

중요한 건 슬픔 속에서 기쁨을 찾아내려는 마음 가짐이란다.


조창인의 '길' / 본문에서



제일 빨리 달리는 게 반드시 이기는 게 아니고

이긴 것처럼 보이는 게 반드시 승자가 아니라는 것을,

뭔가를 걸 만한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역시 뭔가를 걸지 않으면 안되는게 있다는 사실을.


미야베 미유키 / 오늘밤은 잠들 수 없어



모든 일은 다 그럴 것이다.

한 번의 페달이 쌓이고 쌓여 먼 거리를 달려가게 하듯이

한 시간 한 시간 하루 하루의 노력이 쌓여

커다란 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인생에서 무언가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공식이 아닐까.


달려라 / 하다 케이스케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

 

진다고 생각하면 이미진 것이고

도전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도전할 수 없으며

성공을 바라지만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당신은 성공하지 못하리라

언젠가 당신은 알게 되리라

실패할 것이라 생각하면 꼭 실패하는 것을

 

성공은 사람의 의지에서 비롯 되는 것을

성공은 마음의 자세에 있다

뛰어나려면 뛰어나다고 생각 해야하며

높이 오르려면 높이 생각 해야하는 법

성공을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믿어야 한다

인생의 싸움터에서 승리자는

언제나 더 강하거나 더 빠른자가 아니라

최후의 승자는 바로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 월터D월튼




고양이는 예쁜 장화를 샀지만 장화를 신을 수가 없었습니다.

 

장화를 신고 다니면 장화에 스크레치가 날 수도 있고,

 

장화가 닳을 수도 있어서 걱정스러웠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우연히 길을 가던 중 고양이는 자신에게 장화를 팔았던 곰 아저씨와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고양이야! 장화는 어쨌니?”

 

“장화가 너무 예뻐서 아껴서 신고 있답니다.”

 

“그럼 발이 아플 텐데. 자주 신어야 네 발에 잘 맞을 수 있게 길들여 진단다.”

 

“하지만 저는 오래오래 장화를 신고 싶어요. 자주 신으면 빨리 닳잖아요.”

 

“너무 조심스러우면 예쁜 장화를 신어도 제대로 걸을 수가 없지 않겠니?

 

그러다 넘어져서 다칠지도 몰라. 늘 가게 유리창 밖에서 장화를 바라보기만 했던 그때의 너와 장화 주인이 된 지금의 너는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구나. 이 곰 아저씨는 어서 빨리 장화 신은 고양이가 보고 싶구나!”

 

하지만 그 이후로 아무도 장화 신은 고양이를 볼 수 없었습니다.

 

사실 그 장화는 엄청난 속력을 낼 수 있는 마법의 장화였고

 

이 사실을 알게 된 두더지가 고양이 집으로 잠입하여

 

장화를 훔쳐 신고 저 멀리 달아나 버렸기 때문이었습니다.

 

 

 

기회는 손 안에 들어온 금화와도 같다. 금화를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구경만 하다가 언제 금화가 땅으로 떨어져 버릴지 모른다. 떨어진 금화는 눈 깜짝할 사이 다른 사람이 주워갈 것이다. 바로 그 사람이며, 지금이다.


1.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것
그것은 아마도 무리의 일들 중에서 가장 어려울 것이다.
궁극적인 최후의 시험과 증명.
단지 다른 모든 일들을 그것을 준비하는 것일 뿐이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2. 진실은 단지 마지막의 존엄- 사람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의 이야기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아마 우리가 영원을 엿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일 것이다.
- 헬렌 헤이스 -

3. 그녀(사랑)은 내 안에서 싸우고 정복한다.
그리고 나는 그녀 안에서 살아가면서 숨쉰다.
그리하여 나는 삶과 존재를 가지게 된다.
- 미구엘으 세르반테스 -

4. 모든 기쁨에서 함께 나누며
조용한 무언의 기억에서 서로 하나가 되는데 있어서
두사람의 영혼이 함께 한다는 것을 느끼는 것보다
더 강한 것이 도대체 무엇일까?
- 조지 엘리엇 -

5. 사랑은 눈으로 보이는게 아니라 마음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사랑은 눈먼 큐피트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

6. 이기심과 불평이 정신을 유혹하고 흐리게 하는 것처럼
사랑은 그렇게 기쁨으로 시야를 맑게하고 날카롭게 만들어 준다.
- 헬렌 켈러 -

7. 사랑은 약속이며,
사랑은 한번 주어지면 결코 잊을 수도 사라지지도 않는 선물이다.
- 존레논 -

8. 세상이 한 사람으로 줄어들고
한 사람이 신으로 까지 확장된다면 그것은 사랑이다.
- 빅토르 위고 -

9. 사랑은 다른 사람의 행복이 본질적으로 네 것이 되는 조건이다.
- 라버트 하인라인 -

10. 만약에 내가 사랑이 무엇인지 안다면 그것은 당신 때문이오.
- 헤르만 헤세 -




[한국일보 사설-20100604] 정부·여당에 강력 경고한 6·2 민심

 

62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사실상 참패와 민주당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호남지역 세 곳만 내주고 광역단체장을 싹쓸이했던 한나라당은 이번에 수도권 세 곳 가운데 경기에서 초반에 승세를 굳혔을 뿐, 인천에서 패하고 서울에서는 한 치 앞도 점치기 어려운 박빙의 접전을 거듭했다. 천안함 침몰 사건에 따른 '북풍'이 수도권 표심에 미쳤을 영향을 감안하면 최종 승패와 무관하게 이미 여당의 체면은 구길 대로 구겨졌다.

 

세종시 수정안 논란으로 충청권에서 득표력이 크게 후퇴, 대전과 충남에서는 일찌감치 패배가 확정되고 충북에서 엎치락뒤치락한 것도 뼈아프다. 전통적 강세지역인 경남과 강원에서의 고배까지 합치면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서 이어졌던 압도적 지지 분위기와의 거리는 아득해졌다. 집권당에 참패를 안겼던 역대 지방선거와 비교, 패배의 심각성이 덜하다고 자위하고 넘어가기도 어렵다. 특히 전승을 기록했던 서울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참패, 야당에 많은 자리를 넘긴 것은 바닥 민심의 분명한 경고음이 아닐 수 없다.

 

무소속 김두관 후보나 각 광역단체에서 선전한 민주당 후보들이 노무현 전대통령 계열을 축으로 짜여졌다는 데서 확인된 '노풍'의 위력도 여당과 청와대에 부담을 지웠다. 경남과 강원 등에서의 '노풍'이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중립' 자세를 배경으로 위력이 커졌다는 관측도 눈길을 끈다. 정부여당이 민심은 물론 '당심'조차 절반은 챙기지 못한 증거로, 심각한 자성과 정치 방식의 변화 요구가 제기된 것과 다름없다. 한나라당 주류와 청와대의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나 민주당이 '북풍'을 꺾고 선전했다고 선거결과를 반기고 있을 수만도 없다. 우선 역대 지방선거에서 야당이 번번이 대승을 기록했던 데 비해 이번 승리는 크기가 한참 작다. 그 승리 또한 민주당이나 지도부의 득표력에 기대기보다는 '노풍'에 의존한 바 크다는 점에서 정치적 부담이 작지 않다. 더욱이 수도권은 물론이고 강원을 비롯한 취약 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예상을 크게 웃도는 승리를 기록하고도, 전국적 지지율을 크게 끌어올리지 못해 수권정당의 앞길에 가로놓인 걸림돌을 확인한 것도 고민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해묵은 고질병 일부는 고쳐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지역정치의 실상이 한결 뚜렷해진 것은 정치권 모두가 우려해 마땅하다. 여야 할 것 없이 후보 공천 과정이 들쭉날쭉한 것에 대해서도 왜 선거 때마다 공천의 기본원칙이 바뀌어야 하는지도 납득할 만하게 설명해야 한다.

 

그나마 투표율 저하 추세에 제동이 걸린 것은 고무적이다. 잠정 집계결과 투표율은 55%에 육박했다. 18대 총선의 46.1%, 지방선거에서의 48.9%(2002), 51.6%(2006)를 크게 넘어섰다. 선거전 막판 각 후보 진영의 득표 노력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젊은 층이 '표로 말하겠다'는 유권자 의식을 끌어올린 결과라서 반갑다.

 

선거는 끝났다. 대신 정부여당은 통합과 소통의 정치에 공을 들이고, 야당은 더욱 실천적 노력을 기울이라는 민심의 주문이 남았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604] 확실하면서도 질서있게 교육의 기본 다시 세워야

 

전국 교육감을 직선으로 뽑는 첫 선거에서 진보를 자임한 후보가 6명이나 당선했다. 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사는 서울·경기 지역을 비롯해 호남권과 강원도까지 진보 교육감을 선택한 이런 결과에서 교육의 변화에 대한 국민의 갈망이 얼마나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이명박 정부 들어 우리 교육 현실은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다. 수월성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를 확대해 입시부담을 가중시키고, 일제고사와 수능 성적 공개를 통해 학생간·학교간 지필고사 경쟁을 강화함으로써 아이들은 시험과 경쟁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이런 맹목적 경쟁을 위해 감당하기 어려운 사교육비를 투입하지만, 그것이 아이들의 안정된 미래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사실은 갈수록 분명해지고 있다. 게다가 교육현장은 온갖 비리로 몸살을 앓고 있다. 교장 인사를 사고판 공정택 전 서울시교육감의 사례는 상징적이다.

 

그런데도 정부·여당은 산적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기는커녕 우리 교육의 한 축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 교사집단에 대한 마녀사냥에만 골몰했다.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전교조 조합원 명단을 멋대로 공개하고, 민주노동당에 소액 기부한 교사까지도 파면·해임하겠다고 을러댔다. 교육감 선거를 전교조 심판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심산이었다. 하지만 유권자들은 이런 잔꾀에 넘어가지 않았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무상급식과 혁신학교 등의 과제를 내걸고 분투해온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사례를 똑똑히 눈으로 봤기 때문이다. ‘김상곤 실험은 우리 교육에도 새로운 대안이 있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했다.

 

그렇다고 진보 교육감만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진보와 보수를 넘어 모든 교육감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머리를 맞댈 때 더 나은 대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새 교육감들이 해야 할 시급한 과제는 잘못 가고 있는 이 정권의 교육정책에 제동을 거는 일이다. 당장 현안으로 걸려 있는 교사징계 문제에 대한 합리적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전교조를 개혁의 동반자로 끌어안아야 한다. 일제고사는 표집방식으로 바꾸고, 평가방식 역시 획일적인 교육을 창의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도록 전면 개편해야 한다. 교장공모제와 혁신학교 등 새로운 실험을 적극 장려해 공교육 내부에서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 선거에서 국민적 공감대를 확인한 무상급식 문제는 각 시·도의 형편에 따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난마처럼 얽힌 교육문제들이 하루아침에 해결될 수는 없다. 개혁을 제대로 하려면 우선순위를 잘 정하고, 교육 주체들의 동의를 구해가며,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급하다고 서두르다간 개혁 자체를 그르칠 위험이 높기 마련이다.

 

 

[조선일보 사설-20100604] 지방 권력 잡은 민주당, 재집권 시험대에 오르다

 

민주당이 6·2 지방선거에서 사실상 완승(完勝)했다. ·도지사 선거는 물론 시장·군수·구청장 선거, ·도의원 선거에서 모두 한나라당을 눌렀다. 4년 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에 완패하고, 직전 대선과 총선 연속해서 사상 가장 많은 표 차이로 한나라당에 졌던 것에 비교하면 큰 '반전(反轉)'이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3"이번 선거는 민주당의 승리가 아니라 부도덕한 정권에 냉엄한 심판을 내린 국민의 승리"라고 했다. 민주당이 잘해서 이긴 게 아니라 정권의 실정(失政)에 불만을 느낀 국민들이 이를 표출할 통로로 민주당을 활용한 측면이 크다는 뜻일 것이다.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국민 평가가 50%에 가깝고, 지난 대선 이후 민주당 지지도도 한나라당에 줄곧 10~20%포인트 뒤져왔다.

 

실제 민주당이 대선 패배 후 걸어온 길은 10년 집권 경험의 토대 위에서 재()집권을 노리는 정당답지 못했다. 민주당은 미디어 법, 세종시, 한미FTA 같은 쟁점이 불거질 때마다 국회를 팽개치고 거리로 뛰쳐나갔다. 의회 정치의 주역이 되는 길을 마다하고 거리 정치의 조연(助演)으로 끌려 다녔던 셈이다. 국회에 돌아와서도 툭하면 회의장을 점거하고 물리력으로 의사 진행을 가로막기 일쑤였다. 지난 2년 반 국회가 정치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밀려나간 책임의 절반은 여당에, 나머지 절반의 책임은 제1야당에 있다.

 

그렇다고 대북(對北)정책의 방향을 둘러싸고 여당에 맞서 독자적 목소리를 논리적으로 주장하고 국민을 설득하지도 못했다. 민주당은 천안함 사태의 와중에서 북한 책임 부분을 애써 외면하다 북한 어뢰라는 물증이 제시된 뒤에야 마지못해 '문제가 있다면 북한도 책임지라'는 식으로 얼버무렸다. 정부의 대북정책이 어땠기에 남북문제가 여기까지 표류했는지에 대한 책임 추궁과, 그런 상황에서 무법적 도발에 나선 북한에 대한 책임 추궁을 전략적·전술적으로 구분해 명백히 밝히는 데 실패한 것이다.

 

민주당이 이번 선거를 통해 여러 지방정부와 많은 지방의회를 맡게 된 것은 민주당이 재집권 능력과 자질을 증명해야 할 시험대에 올라섰다는 말이다. 민주당은 이제 자신의 비전과 전략, 정책으로 지방정부의 성공적 운영 실적을 보여야 하고 중앙 정치에서도 제1야당으로서 정권을 견제·감시하면서 실효성 있는 대안을 함께 내놓아야 한다. 중앙과 지방 모두에서 높은 도덕성은 필수다.

 

민주당은 지난해 5"21세기에 과거의 좌파·우파는 낡은 개념이다. 민주당은 반대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대안과 타협을 앞세워야 한다"'뉴 민주당 플랜'을 발표했다. 그 해 11월에는 정세균 대표가 직접 나서 "민주정부 10년에만 매달리지 않겠다. 좌파나 우파, 진보나 보수의 틀을 벗어나 과감하게 정책을 선택해 국민의 평가를 받겠다. 교육·복지·노동·경제 등 전 분야에서 정책 전환을 시도하겠다"고 한 뒤 이번 선거에서 몇 가지 공약도 내놓았다. 민주당은 지금 이 약속과 다짐을 실천해 국민에게 '변화한 민주당'을 실감하게 하여야 한다.

 

민심은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살아있는 생물'이다. 민주당이 변해야 할 때 변하지 못하고 지켜야 할 것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민심은 오늘 한나라당을 떠났던 방식으로 민주당을 떠나갈 것이다.

 

 

[서울신문 사설-20100604] 새 지방권력 지역회생 책무 무겁다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절묘한 선택들을 했다. 그중 하나는, 몇몇 지역에서 광역단체장과 소속이 다른 정당의 기초단체장·광역의원을 절대 다수로 뽑은 점이다. 서울·경기·강원·충남·경남·제주가 그런 경우다. 해당 광역단체장들 처지에선 여소야대상황을 맞은 셈이다. 이들 지역에서 유권자들은 각급 후보에 대해 예전처럼 같은 정당에 줄줄이 투표하지 않았다. 인물 중심으로 뽑고 일당 독주를 견제하려는 표심을 동시에 드러냈다. 광역단체장에게는 설득과 양보를 통해 상생정치를 펼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에게는 지방권력의 합리적 사용 및 수권(受權) 능력을 엄중히 시험하겠다는 뜻을 표에 담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울에서는 한나라당 시장에 구청장은 민주당 21, 한나라당 4명이 뽑혔다. 시의회는 지역구 의원 96명 중 민주당 74, 한나라당 22명으로 구성됐다. 2006년 민선 4기에서 한나라당이 시장·구청장·시의원을 싹쓸이하다시피 한 상황과 판이하다. 서울시가 구청을 감독하고 정책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부구청장을 지명하면서 시장과 구청장의 갈등을 부를 소지도 많아졌다. 집행부와 시의회의 관계도 매끄럽지 못할 수 있다. 시의회의 인준을 필요로 하는 각종 예산과 사업 등이 정쟁에 발목이 잡히면 시정(市政) 자체가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서울시장은 야당 구청장과 시의원을 진심으로 설득하고 협조를 구하는 일에 정치력을 최대한 발휘해야 할 것이다. 경기·강원·충남·경남·제주 등 광역단체도 사정은 서울시와 대동소이하다고 본다. 지역발전과 주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일에 여야가 함께 고민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지혜를 짜내야 할 것이다.

 

단체장과 지방의원을 특정정당이 휩쓴 지역도 이제는 한패끼리 짜고 치는 식의 독주를 멈춰야 한다. 한나라·민주당의 텃밭인 영·호남에서 이번에 무소속 후보들이 많이 당선됐다. 이는 유권자들이 지역당의 안주 행태를 준엄하게 꾸짖은 것이다. 썩은 지방권력은 4년 후 가차없이 심판받는다는 점을 명심하라. 당선자들은 기쁨에 앞서 책무의 무게를 느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604] 일선 교육현장 혼란이 걱정스럽다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성향 후보들이 서울,경기를 비롯한 6개 시 · 도에서 당선됨에 따라 정부의 교육정책 기조(基調)에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수밖에 없게 됐다. 무엇보다 이들 진보성향 교육감 당선자들은 대부분 수월성을 강조하는 정부의 핵심 교육정책을 반대하면서 평등성을 앞세우고 있어 정부정책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선 교육현장은 물론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혼란이 예상되는 실정이고 보면 우려스럽기 짝이 없다.

 

교육감의 권한은 막강하다. 특목고 자사고 설립 , 학교 평준화, 급식방식 선택, 교원평가제 및 교장 공모제 실시 등의 결정권을 갖는 것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교육감들이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면서 정부와 대립각을 세울 소지도 그만큼 커졌다.

 

우선 무상급식이 가장 큰 현안이다. 이를 위한 예산편성 권한은 교육감에게 있지만 해당 시 · 도 의회의 예산심의를 받아야 하고 재원이 부족하면 중앙정부 지원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양측의 입장이 다를 경우 이를 둘러싼 갈등은 불을 보듯 뻔하다.

 

무상급식 문제만 그런 게 아니다.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자율형 사립고 설립이나 교원평가제,고교 선택제,학업성취도 평가 등의 현안을 놓고 지역 교육감들과 정부의 갈등이 증폭되면 그 파장은 가늠하기조차 어려워지고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예측가능성이 결여된 정책이야말로 최악의 정책이고,특히 교육의 경우 정책 일관성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그 폐해가 어떠할지,우리 교육경쟁력을 얼마나 훼손시킬지 굳이 설명이 필요치 않을 것이다. 당장 이 같은 부작용을 해소하고 일선 교육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시급히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나아가 앞으로 교육감 선거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우리 생각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604] 원칙과 현실 절충한 '타임오프 매뉴얼'

 

노동부가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관련해 3일 내놓은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 적용' 매뉴얼은 노동계의 현실과 제도의 취지 등 양면을 감안한 절충안으로 평가된다. 매뉴얼은 경영계와 노동계의 입장이 엇갈려 쟁점사안이던 타임오프 대상 업무범위와 적용 대상자 문제와 관련해 어느 일방의 주장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의 의견을 다 같이 반영하고 있다.

 

타임오프 적용 업무범위는 사용자와의 협의교섭고충처리산업안전활동 등 노조법과 다른 법률에서 정하는 업무, 그리고 건전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노동조합의 유지관리 업무로 정해졌다. 그러나 노동계가 요구했던 파업, 공직선거 출마 등은 타임오프 업무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 상급단체 파견 업무도 파견자의 소속 사업장과 무관한 순수 상급단체 활동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또 타임오프 적용 대상자가 아닌 일반 노조간부들의 노조활동은 임금을 주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다만 노사협의회산업안전보건위원회 등 개별법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에 참석하는 등 해당 법률에 의한 활동을 할 경우 임금지급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경영계는 타임오프 대상자가 아닌 일반 간부의 노조활동시 무급을 주장해왔는데 원칙은 그렇게 정하되 예외규정을 마련해 일반 간부들의 유급 노조활동의 여지를 둔 것이다.

 

파업 등의 활동이나 상급단체 파견자의 순수 상급단체 활동 등을 타임오프 업무범위에 포함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이들 업무는 노사 공동의 이해관계와 무관하며 건전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업무라고 할 수 없고 파견자의 순수 상급단체 활동은 전임자의 무분별한 증가로 이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노사관계 선진화라는 제도의 취지가 퇴색된다. 일반 노조간부들이 부분적 유급 노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노동계의 현실을 고려한 조치로 이해된다. 노조간부들의 활동을 한꺼번에 막으면 노동운동의 급격한 위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경영계노동계 모두에 매뉴얼이 불만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제도의 연착륙 차원에서 적절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과도기적 조치로 준비할 시간을 가짐으로써 시행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미흡한 부분은 시행하면서 보완하면 될 것이다.

 

 

* 오늘의 주요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육정수(논설위원)-20100604] 디지털 선거의 進化

 

16만 여명의 젊은 트위터 팬을 가진 한 소설가는 그제 투표 완료라는 글과 인증샷(투표소 앞에서 찍은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어느 화백은 투표자 선착순 1000명에게 판화 작품을 주겠다고 댓글을 달았다. 한 배우는 연극표 100장을, 유명 바둑기사는 100명에게 함께 사진을 찍고 기념 사인을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인증샷 방법으로는 투표용 도장을 손등에 찍은 사진이 많았다.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탄생에 기여한 휴대전화 문자에 이어 트위터 스마트폰이 새 도구로 등장한 것이다.

 

국민참여당 유시민 경기지사 후보는 결국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에게 졌지만 선거 일주일 전 여론조사에서의 15% 차이를 5%까지 따라붙었다. 문자메시지와 트위터의 덕을 본 것 같다. 유 후보 자신도 선거 당일 오후 3시 출구조사 기준 2% 안으로 따라잡고 있다며 투표를 독려했다. 선거 전날에는 내일 부모와 할아버지 할머니를 모시고 놀러가자는 젊은 트위터도 있었다. 자기 표는 아깝지만 한나라당에게 갈 몇 표를 줄이기 위해 디지털 전사(戰士)’로 나선 것이다.

 

우리나라의 트위터 사용자는 현재 약 60만 명이다. 대부분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젊은층이어서 3006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선거운동 시대의 본격 도래로 망신을 당한 쪽은 여론조사기관이다. 휴대전화의 전면 보급 때문에 종전처럼 집 전화를 통한 여론조사는 민심을 정확히 읽어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연세대 김주환 교수는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모바일미디어와 음성인식기술 등을 활용한 새 조사기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미래 시대에는 투표소에 가지 않고 디지털 기기로 투표를 하는 날이 올 것이다. 개인 컴퓨터나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다면 어디서든 투표가 가능해 막대한 선거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미 디지털 투표를 하고 있는 국회는 의원이 보턴을 누르면 전광판에 순식간에 결과가 나타난다. 세종시, 4대강 살리기 같은 문제도 디지털 국민투표로 간단히 매듭지을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선거가 진화를 할수록 젊은층의 영향력은 점점 커질 것이 분명하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논설위원)-20100604] 여론조사 오류

 

선거 여론조사는 시작부터 오류였다. 18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존 퀸시 애덤스와 앤드루 잭슨이 붙었다. 당시 해리스버그 펜실베이니언 신문은 기자를 동원해 여론을 수집했다. 결과는 잭슨의 당선. 하지만 실제로는 애덤스가 선출됐다. 표본집단이 너무 적었다.

 

1936년 선거에서 리터러리 다이제스트는 1000만 장의 인기투표 용지를 발송하고 230만 장을 회수했다. 집계 결과 공화당의 앨프리드 랜던이 민주당의 프랭클린 루스벨트를 압도적으로 눌렀다. 하지만 뚜껑을 열자 거꾸로 루스벨트가 61%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한다. 표본집단의 양이 아니라 편향성이 문제였다. 전화가입자와 자동차 소유주의 주소록을 활용했는데, 이는 공화당 지지 성향의 중산층이었다.

 

이 틈에 조지 갤럽이 두각을 나타낸다. 그는 샘플링 기법을 적용, 표본의 양보다 질로 승부해 루스벨트의 당선을 예측한다. 갤럽도 1948년 대선에서는 트루먼의 당선을 맞히지 못했다. 부동표를 감안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렇게 조사기법이 발달해 왔지만, 그럼에도 틀린다. 그때마다 조사기관은 그럴싸한 이유를 찾는다. 대표적인 것이 독일의 사회과학자 엘리자베트 노엘레-노이만의 침묵의 나선이론. 자기의 의견이 우세하다고 여기면 목소리가 커지고, 열세라고 인식하면 침묵한다는 것이다. 요즘 말로 숨은 표.

 

브래들리 효과도 있다. 1982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의 흑인 후보 톰 브래들리가 공화당의 백인 후보를 이기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실제는 달랐다. 유권자들이 인종 편견을 감추기 위해 거짓 응답한 것이다. 2008년 대선에서는 버락 오바마에 대한 백인들의 역() 브래들리 효과에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그러면 유권자 전수(全數)조사를 한다면 완벽한 예측이 가능할까. 글쎄다. 조변석개(朝變夕改)하는 내 마음 나도 모른다. 미국 심리학자 로버트 펠드먼이 실험한 결과 모르는 상대에게 일반적으로 10분에 세 차례 크고 작은 거짓말을 하더란다.

 

이번 6·2 지방선거에서도 여론조사가 도마에 올랐다. 하지만 예상 밖은 정치권의 안이함을, ‘숨은 표모바일 효과는 조사기관의 무능함을 드러내는 것 아닐까. 민심을 깊이 살피기보다 유력 후보에 쏠리는 밴드왜건이나 동정표를 구하는 언더독효과만 노린 것은 아닌가. 민심의 뿌리는 깊다. 온갖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풀뿌리.

 

 

[경향신문 칼럼-여적/김철웅(논설실장)-20100604] 민심론

 

민심은 정치판에서 뻔질나게 쓰이는 말 중 하나다. 특히 선거 때 자주 등장하는데 이번 지방선거도 예외가 아니다. 어제 새벽 한나라당 대변인은 민심을 읽어내지 못했다고 패인을 분석했다. “한표 한표에 담긴 민심을 깊이 헤아리고 마음에 새겨 앞으로라고도 했다. ‘이하는 안 들어도 된다. 예외없이 뼈를 깎는식의 상투적 다짐이 이어지니까. 민주당 회의에서도 민심이 동원됐다. “MB정부에서 민심이 떠났다” “민심을 받들 것을 요구한다.

 

선거에서 민심을 얻고 잃는다는 것은 사활적 의미다. 게다가 우리에겐 민심은 천심이란 속담이 있을 정도다. 이 생각은 어떤 종교적 신념과 맞닿아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것은 동양적 문화전통과도 통한다. 영어에도 민심에 해당하는 말, 가령 퍼블릭 센티먼트같은 단어가 있지만 그걸 무슨 하늘의 뜻과 연결짓는 일은 없다. 따라서 민심이란 말이 풍기는 특별한 아우라는 퍼블릭 센티먼트란 말이 흉내낼 수 없다.

 

그러나 좋은 말이라도 지나치게 남용하면 본뜻을 잃어버리고 폐해가 생긴다. 첫째, 살펴 보면 민심이란 말은 정작 국민이 아니라 민심을 조종하기를 원하는 자들에 의해 자의적으로 사용될 때가 많다. 일종의 주객전도다. 평소엔 민심이란 것에 별 신경 안 쓰다가 선거 때만 되면 민심을 받드는 화신이라도 되는 양 행세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는 민심의 주체를 냉소하게 만든다.

 

둘째, 여론 조작을 해 놓고 이것이 민심이라고 우기는 일도 벌어진다. “거짓말을 되풀이하면 처음엔 부정하고 나중엔 의심하고 결국은 믿게 된다는 게 나치 선전장관 괴벨스의 유명한 선동정치 철학이었다. 이 정권이 몇 개 신문과 유착하고 방송을 장악해가며 벌이는 행태가 딱 그런 것이다. 천안함 사건에 관한 의혹 제기는 친북 이적행위라며 융단폭격을 하고 국민 다수가 반대하는 4대강 사업을 마구 벌이면서 민심 운운이라니. 역풍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셋째, 민심 남용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든다. 서울시장 선거를 보라. 선거 전 모든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는 민주당 한명숙 후보를 크게 앞섰지만 개표를 해 보니 초박빙 접전이었다. 결국 강남 3개구가 똘똘 뭉쳐 던진 몰표가 오 후보를 수렁에서 건져냈다. 여론조사는 왜 민심과 어긋났을까. 서울의 민심을 비틀어버린 강남의 민심은 진짜 민심인가, 아닌가. 이런 문제들로부터 하나의 결론이 도출된다. 정치인들이 말하는 민심은 사기성이 있다. 입버릇처럼 가볍게 들먹이지 않는 게 좋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데스크 칼럼/전호림(중소기업부장)-20100604] 공급자 중심 사고방식 깨야 한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한국도로공사 00영업소`라는 표지판과 자주 맞닥뜨린다. 그럴 때마다 운전자가 도로공사 영업소 위치는 알아서 뭣에 쓰나 싶은 생각이 든다. 운전자에게는 그보다 `서평택IC`, `하남톨게이트` 식으로 표시해 주는 게 훨씬 유익하다. 이는 사업자가 자신들 입장에서 사물을 보니까 생기는 현상이다.

 

서울지하철은 언제부턴가 에스컬레이터 두 줄 타기를 권하고 있다. 출퇴근 때 지하철역은 분초를 다투는 승객들로 늘 북새통이다. 그러다 보니 먼저 가려고 좀 비켜 달라는 사람과, 자신은 `법대로` 서 있다는 사람 간에 하찮은 승강이가 벌어진다.

 

원래 한 쪽은 급한 사람이 먼저 지나가는 `추월선`이었는데 왜 그런 계몽을 할까. 들어보니 한 쪽에 무게가 쏠리면 에스컬레이터가 고장 나기 쉽고, 서둘러 오르내리다 다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럼 서울보다 더 많은 사람으로 붐비는 도쿄 지하철이나 뉴욕은 왜 그런 무례한 부탁을 승객한테 하지 않을까? 그쪽은 우리보다 에스컬레이터를 더 혹사하는데도, 왜 툭하면 고장 나서 멈춰 서 있는 곳은 찾아보기 어려울까.

 

한 쪽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이 난다면 설계를 변경해서 튼튼하게 만들면 될 것이다. 달나라에도 오차 없이 가는 세상에 까짓 에스컬레이터 하나 원하는 대로 못 만들면 무엇이 OECD 국가인가. 그런 노력 없이 제 편한 대로 이용자에게 부담을 지우는 것 역시 공급자 위주 사고방식이다.

 

이런 일도 있었다. 술 취한 두 남자가 옥신각신하다 엘리베이터 문에 쿵 부딪혔는데 문이 열리면서 아래로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그 손해배상 재판에서 법원은 사망한 사람 쪽에 잘못이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

 

도시인은 하루에도 여러 번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린다. 청소년들이 장난치다 문짝에 부딪힐 수도 있고 취객 여럿이 기대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란 그런 안전성을 철저히 따져서 설계해야 하고, 열림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연장으로 비틀지 않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만들어야 정상이다. 달리는 지하철 문짝에 웬만한 충격을 가해도 열리지 말아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는 엘리베이터를 만드는 기업이 견고성의 기준을 제 편리대로 해석했기 때문이며, 법원 판결 역시 공급자 편이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공급자 위주의 원조는 공무원이다. 지식경제부는 도량형을 갑자기 바꿨다. 땅과 아파트 거래에서 완전히 몸에 밴 평()을 버리고 로 쓰도록 한 것이다. 일본에서 들여온 것이고, 국제기준에 맞춰 통일할 필요도 있었다는 설명이다. 국제기준 단위야 계산기만 있으면 금세 고칠 수 있다. 미국은 야드나 피트를, 영국은 파운드를 제멋대로 쓴다. 무엇보다 국민 편의가 우선이요, 꼭 바꿀 필요가 있으면 적어도 3년 이상 적응기간을 줘야 한다.

 

지금 우리가 쓰는 단어는 거의 일제가 만들어낸 용어다. 그렇다면 일제 침략기에 들어와서 우리말화()된 단어를 모조리 쳐내야 한다. 그게 과연 의사소통이 될까. 외래어처럼 도량형도 이미 우리 것이 되어 불편이 없으면 그대로 써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혼쭐난 것도 자기만족적 시민무시 행정이라고 생각한다. 시민들은 그 자체로도 아름답고 충분한 즐거움을 주는 남산 허리를 파내고 물길을 내는 데 큰돈을 낭비했다고 보는가 하면, 엄청난 돈을 들여 조잡하기 그지없는 광화문광장을 만들어 놓고 거기다 또 수억, 수십억 원을 들여 수시로 뜯어고치고 바꾸느라 돈을 허비했다고 여긴다. 시민의 세금을 허락도, 견제도 없이 쓴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서울의 교통이 갈수록 지옥인데 `여자가 행복한 도시 만들기``디자인 서울`에 올인하는 정책이 전시행정으로 비춰졌을 수 있다. 돈 대는 호구로 보이는 납세자와 유권자는 때로 `권한의 공급자`이기도 하니 늘 눈치를 살펴야 한다.

 



어머니가 말씀하셨다...

산다는 건 늘 뒤통수를 맞는 거라고.

인생이란 놈은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어서

절대로 우리가 알게 앞통수를 치며 오는 법은 없다고 .

나만이 아니라. 누구나 뒤통수를 맞는 거라고.

그러니 억울해 말라고.

어머니는 또 말씀하셨다..

그러니 다 별일 아니라고.

하지만 그건 육십 인생을 산 어머니 말씀이고,

아직 젊은 우리는 모든 게 다 별일이다 .젠장 .


노희경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운명이란 무정한거야

그렇지만 생명은 그 무정함 속에서만 자랄 수 있으니 .

태어나서 죽고 ,이 세상은 그런 반복인 것이야 .

슬퍼하기도 하고 기뻐하기도 하고 그런 일의 반복이지

행복을 깔고 살아가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 않을까 .

어차피 인간은 죽으니까 ,

슬픔은 모든 사람에게 있어 .

설령 그 사람이 왕이라 해도 어쩔 수 없지 않겠니 .

전 인류에게 주어진 숙명 같은 것이야 .

영원히 사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아

그러므로 살아가는 가치도 생기는 거고 ,

인간이란 고통받는 것이 당연한 존재란다 .

슬픔이 기본이야 .

외로움에서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불가능해.

크건 작건 모두 괴로워 .

그것이 살아있는 자의 기본이지..


츠지 히토나리 / 큐 이야기 2



모든 살아 있는 것일수록 불완전하고 상처는 자주 파고들며

생명의 본질이 연한 것이기에 상처는 깊다.

상처받고 있다는 사실이 그만큼

살아 있다는 징표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하면,

싫지만 하는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처를 딛고 그것을 껴안고

또 넘어서면 분명 다른 세계가 있기는 하다.

누군가의 말대로 상처는 내가 무엇에 집착하고 있는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거울이니까 말이다.

그리하여 상처를 버리기 위해 집착도 버리고 나면

상처가 줄어드는 만큼 그 자리에 들어서는

자유를 맛보기 시작하게 된다.

그것은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내리는

신의 특별한 축복이 아닐까도 싶다.


공지영 /아주 가벼운 깃털 하나



가끔 우리 살아가는 모습이 꼭 외줄타기 광대와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

어디 기댈 곳도 ,함께할 사람도 없이

홀로 외줄을 타고 한 발자국씩 내딛습니다 .

손에 잡은 균형대의 한쪽은 생명의 끈 ,

또 다른 한쪽은 희망의 끈을 매달고 조심조심 앞으로 갑니다 .

조금만 발을 헛디뎌도 그대로 공중낙하 ....

아니 ,열심히 집중하고 걸어도

예기치 않게 어디선가 날아오는 돌멩이에 뒤통수를 맞기도 합니다.

때로는 아래 까마득하게 보이는 세상이 너무 겁나서

아예 눈을 감아버리고 싶습니다 .

아니...가느다란 희망의 끈 ,

생명의 끈도 놓아버리고 아예 나 스스로 떨어져버리고 싶습니다 .

그러면..

모든 두려움 다 잊고 아름답게 편하게 잠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하지만 시인은 '아름다운' 죽음은 없다고 말합니다 .

그 어떤 방법을 택해도 죽은 자체가 큰 고통이니,

죽을 용기가 있으면

차라리 다시 한 번 시작해보라고 권유합니다 .

생명 자체가 살아갈 이유입니다 .

개똥밭을 굴러도 이승이 낫다지요.

그리고 오늘도 용감하게 줄타기를 하면 언젠가는 ...

줄 위에서도 덩더쿵 춤출 수 있는 외줄타기의 달인이 되지 않을까요 ..


장영희 / 축복



버리면 얻는다 .

그러나 버리면 얻는다는 것을 안다 해도

버리는 일은 그것이 무엇이든 쉬운 일이 아니다 .

버리고 나서 오는 것이 ..

아무것도 없을까봐......

그 미지의 공허가 무서워서....

우리는 하찮은 오늘에 집착하기도 한다 .


공지영 / 수도원 기행




2010년 3월 22일 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322월] 전교조 명단공개, 6·2선거용 아닌가

 

교육과학기술부가 전국 16개 시ㆍ도 교육청을 통해 전교조 등 교원노조와 교원단체 가입 교사 명단을 파악 중이라고 한다. 시ㆍ도교육청에 보낸 공문은 각급 학교 교원의 교원 단체 및 노조 가입 현황을 24일까지 보고토록 돼 있다. 교과부는 명단이 취합되는 대로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에게 전달하고, 조 의원은 이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니 전교조 교사명단 공개는 시간문제인 셈이다.

 

교과부는 원래 "교원단체별 가입교사 명단 제출은 개인의 사생활 또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명단 파악 및 국회 제출 요구를 거부해왔다. 그러나 최근 법제처가 "교원의 교원단체ㆍ노조 가입 자료는 교원의 기본인권을 현저히 침해할 우려가 있는 개인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유권해석하자 입장을 바꿨다.

 

문제는 명단이 공개될 경우 전교조 소속 교사라는 이유만으로 기피나 매도 대상이 되는 등 부작용이 뻔하다는 점이다. 더구나 법제처의 해석에 무리라는 주장도 많은 상황에서 교과부가 법제처 해석에 기대어 쉽게 입장을 바꾼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전교조는 예상대로 강력 반발하고 있어 일대 파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6ㆍ2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교조 명단이 공개된다는 점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 받을 만하다. 무상급식 논란에서 야권에 주도권을 뺏겨 수세에 몰린 한나라당이 국면 전환용으로 전교조 문제를 부각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지방선거기획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이 "이번 선거를 전교조 심판으로 몰아가겠다"고 공언했다니 당연히 의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2008년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는 전교조 심판론이 박빙의 판세를 가르는 이슈가 된 바 있다.

 

전교조가 초심에서 벗어나 과도하게 이념화 양상을 보이는 것은 비판 받아 마땅하지만, 합법적인 테두리 내의 전교조 활동은 보장돼야 한다. 전교조의 이념화를 빌미 삼아 이를 선거에 이용하는 것은 교단 분열을 부채질하고, 학생 교육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전교조 교사 명단의 공개와 이의 정략적 이용을 자제하고 경계해야 할 이유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322월] 봉은사 직영사찰 전환에도 권력 입김 작용했나

 

조계종 총무원이 지난 11일 서울 강남의 봉은사를 직영사찰로 전환한 것을 두고 논란이 점점 커지고 있다. 봉은사 주지인 명진스님이 지난 14일 일요법회에서 봉은사 직영사찰 전환 과정에서의 ‘외압설’을 제기했을 때만 해도 반신반의했다. 하지만 어제 일요법회에서 명진스님은 외압의 실체를 직접 거론하며 강력대응 방침을 밝혔다. 만약 이런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는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일이다.

 

이번 사안을 가볍게 볼 수 없는 건 정치권력이 종교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려 한 중대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정치와 종교는 그 영역이 엄연히 다르다. 그럼에도 정치권력이 종교에 간섭하기 시작하면 이는 권력이 국민의 영적인 세계까지 장악하겠다는 것으로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다. 정교 분리에도 어긋날뿐더러 불교계로서도 부끄러운 일이다.

 

불교계에서 명진스님이 차지하는 위상도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더해준다. 명진스님은 그동안 4대강 사업 반대, 용산참사 유가족에게 1억원 전달 등 이 정권에 밉보이는 일을 거침없이 해왔다. 수행자로서 종교적 신념에 따른 행동이었을 것이다. 이런 그의 행동에 비춰 보면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현 정권에 저렇게 비판적인 강남의 부자 절 주지를 그냥 두면 되겠느냐”고 했다는 말이 빈말로 들리지 않는다. 정권에 비판적인 사람은 아무리 종교인이라도 그냥 두지 않는다는 게 이 정권 핵심 인사들의 사고방식임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안상수 의원은 “황당한 얘기”라며 이런 발언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여당 원내대표가 공식적으로 부인하는 것이니 그의 말을 믿고 싶다. 하지만 명진스님은 “내 말이 근거 없는 허황된 말이라면 조계종 총무원을 찾아 승적에서 내 이름을 지울 것”이라고 말했다. 종교인으로서 모든 것을 걸고 하는 말이다. 이제 이번 사안은 유야무야할 수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

 

결국 진실 규명이 불가피해졌다. 열쇠는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이 쥐고 있다. 우선 안 대표와의 만남에서 무슨 얘기가 오갔는지 가감없이 밝혀야 한다. 그리고 명진스님이 제기한 외압설의 실체가 과연 무엇인지 있는 그대로 드러내야 한다. 그러지 않고 이번 일을 어물쩍 넘기려 한다면 불교계는 국민의 신뢰를 크게 잃을 것이다. 이번 사건이 정권과 불교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동아일보 사설-20100322월] 휠체어 타고 쏘아올린 또 하나의 큰 희망

 

우리가 캐나다 밴쿠버에서 또 하나의 기적을 이루었다. 한국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2010 겨울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서 금메달만큼 값진 은메달을 따내는 쾌거를 이룩한 것이다. 한국 휠체어컬링 사상 첫 은메달이자 겨울패럴림픽 단체전에서 첫 메달이다. 밴쿠버 겨울올림픽에서 김연아 모태범 이상화 이승훈 이정수 선수가 딴 금메달만큼이나 소중하다. 휠체어를 타고 큰 희망을 쏘아 올린 강미숙 김명진 김학성 박길우 조양현 선수와 김우택 감독에게 뜨거운 박수가 터지고 있다.

 

‘얼음 위의 체스’라 불리는 휠체어컬링은 7년 전 처음 국내에 도입된 종목이다. 얼음판 위에서 돌을 밀어 보내는 경기 자체가 워낙 생소해 국민의 관심이 크지 않았다. 선수층이 얇은 비인기 종목에서 유럽과 북미의 강호를 누르고 은메달을 차지한 것은 손기술 이전에 강한 정신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국내 최초의 팀이 2003년 8월 결성됐으나 연습장 구하기부터가 힘들었다. 대표팀은 올림픽을 앞두고도 전용 컬링장이 없어 경기 이천시의 장애인종합훈련원 수영장 바닥을 얼린 임시 컬링장에서 연습했다. 이런 악조건을 딛고 처음 출전한 우리 선수들은 컬링의 강호 캐나다팀과 결승전을 벌여 초반 1 대 8에서 역전의 문턱인 7 대 8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다. 캐나다는 팀 주장의 운동경력이 52년이고, 인구 3000명에 1개꼴로 경기장이 있는 나라다. 애석하게 패하긴 했지만 캐나다 관중도 한국팀의 선전(善戰)에 격려를 보냈다.

 

산업재해나 사고로 장애를 입은 선수들은 재해연금으로 생활을 꾸리면서도 연습을 포기하지 않았다. 치과의사인 김 감독은 선수 경험이 없지만 누군가는 해야 한다는 생각에 자원봉사로 대표팀을 맡았다.

 

한국은 이달 1일 막을 내린 겨울올림픽에서 모두 14개의 메달을 따내 종합성적 5위, 아시아권 1위라는 역대 최고의 성적을 올렸다. 겨울올림픽이 어느 면에서 부자 나라들의 잔치라면 장애인의 강인한 의지와 함께 사회참여 정도를 보여주는 패럴림픽은 국격(國格)을 나타내는 한 지표다.

 

누가 세상이 춥고 힘들다고만 하는가. 장애와 열악한 환경에 굴하지 않고 밴쿠버의 하늘에 태극기를 올린 패럴림픽 선수들의 도전정신과 투지를 모든 국민이 본받자. 밴쿠버에서 거푸 이룩한 신화의 정신이 각 분야로 퍼지기를 기대한다.

 

 

[조선일보 사설-20100322월] 입법·행정·사법부 신뢰 폭락은 憲政 위기의 씨앗

 

사회통합위원회가 전국 20세 이상 남녀 2012명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국회와 정당을 신뢰한다는 비율은 3.0%, 정부는 19.6%, 법원은 16.8%로 나왔다. 국회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80.4%, 정부와 법원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각각 41.8%와 40.8%에 달했다. 한 나라를 떠받치는 세 기둥인 입법·행정·사법부에 대한 국민 신뢰가 이 정도이면 헌정(憲政)의 위기, 대한민국 정체(政體)의 위기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여론조사 기관들이 실시한 신뢰도 조사에 따르면 국회에 대한 신뢰도는 1996년 49%에서 2003년 15%로, 정부 신뢰도는 62%에서 26%로 떨어졌다. 2006년 한국개발연구원이 불신은 0점, 신뢰는 10점으로 해서 실시한 조사에서는 국회가 3.0점, 정부 3.3점, 법원 4.3점으로 법원을 빼고는 처음 만난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도(4.0점)보다도 낮게 나왔다. 교육기관(5.4), 시민단체(5.4), 언론(4.9), 군대(4.9), 대기업(4.7)에 비할 바가 못 됐다.

 

미국 비영리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의 2007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들의 국가에 대한 만족도는 9%로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11%)나 우간다(22%)보다 낮고 레바논(6%), 팔레스타인(5%)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통령과 장관 등 국가지도자들이 나라 운영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한 응답 비율은 한국이 24%로 조사 대상 32개국 중 꼴찌에서 세 번째이자 일본(50%)이나 미국(40%)의 절반 정도였다.

 

2006년 한국개발연구원 조사에서 국민들은 '공무원들이 부패했다'(70%), '공무원들이 국민에게 정보를 잘 공개하지 않는다'(60%), '공무원들이 법을 잘 지키지 않는다'(61%)라고 응답했다. 국가기관들이 공무원들에 대한 이런 불신을 제거하지 못하면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는 떨어지고 그럴수록 헌정 교란을 노리는 세력의 활동 공간은 넓어진다.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이 무너지고 나치 세력이 정권을 잡아 독일을 비극적 최후로 몰아간 출발점도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 폭락이었다.

 

 

[서울신문 사설-20100322월] 장애 딛고 희망 쏜 휠체어컬링 은메달

 

밴쿠버의 기적은 끝나지 않았다. 지난달 동계올림픽에서 ‘피겨퀸’ 김연아와 스피드스케이팅의 모태범, 이상화, 이승훈 선수 등이 일군 역사적 쾌거에 화답하듯 동계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서도 한국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은메달을 따내는 기염을 토했다. 한국은 결승전에서 세계 최강 캐나다와 접전 끝에 7대8로 아쉽게 금메달을 놓쳤지만 당초 목표로 했던 4강 진출을 뛰어넘어 역대 최고의 성과를 거뒀다. 역경을 딛고 인간 승리의 뜨거운 감동을 선사한 그들이 너무나 자랑스럽다.

 

신체 움직임이 적은 대신 섬세함과 집중력이 요구되는 휠체어컬링은 유럽과 북미에선 오래전부터 사랑받아온 시니어 대중 스포츠다. 본격적인 국제대회는 2000년 스위스 휠체어컬링 월드컵부터 시작됐다. 이에 비해 한국 휠체어컬링은 2003년 8월 클럽 창단 이래 이제 겨우 7년이 됐다.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복안으로 서둘러 도입된 탓에 인력이나 장비, 지원 모두 턱없이 부족했다. 2004년 스위스 세계선수권대회에 처음 출전할 때는 여행 경비가 부족해 감독과 임원이 선수단의 무거운 짐을 직접 운반하다 허리를 다쳐 수술을 받기도 했다. 이번 올림픽을 앞두고는 연습할 곳이 마땅치 않아 수영장의 물을 얼려 활용할 정도였다고 한다. 대부분 척수 장애로 오줌주머니를 달고 생활해야 하는 휠체어컬링 선수들에게 신체 장애보다 더 큰 장애물은 아마도 이런 사회적 무관심이었을 것이다. 때문에 사상 첫 올림픽 출전에서 장애와 무관심의 이중 핸디캡을 견디고 따낸 휠체어컬링 대표팀의 은메달은 금메달 이상으로 값질 수밖에 없다.

 

휠체어컬링의 은메달은 동계 패럴림픽, 더 나아가 한국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조금이나마 바꾸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1992년 알베르빌에서 시작된 한국 동계 패럴림픽 역사에서 이전까지 메달 획득은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의 알파인 좌식스키 은메달리스트 한상민이 유일했다. 휠체어컬링이 아니었다면 오늘 폐막하는 밴쿠버 동계패럴림픽은 대다수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조용히 막을 내렸을 것이다. 대표팀에게 아낌없는 갈채를 보낸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322월] 사라지는 환율효과 기업체질 강화가 살길이다

 

상장 기업들의 지난해 실적이 예상했던 것보다는 좋지 않아 기업들의 수익기반이 아직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한 민간정보업체가 어제 12월 결산 유가증권 상장사 581개 기업의 작년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이 전년보다 1.14% 줄고 영업이익은 고작 0.48% 증가하는데 그쳤다.자산재평가,지분법 이익 등을 포함한 순이익은 53.6% 늘었지만,특히 순익증가분의 76%는 원·달러 환율상승에 따른 외환환산익으로 추정됐다.글로벌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데도 기업들의 경영수지가 환율효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수치에 다름아니다.

 

정부는 올해 수출확대와 기업실적 호전을 기반으로 5% 경제성장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같은 내용에 비춰보면 결코 낙관적이라 할수 없다.당장 환율은 달러당 1150원대 수준이고 앞으로 더 떨어질 가능성도 커 더이상 환율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석유등 원자재값도 슬금슬금 올라 기업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는 어느 때보다 글로벌 차원의 수출전쟁이 격화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렇다.미국 오바마 정부가 수출을 두배로 늘리겠다며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고,일본 또한 엔화가치 절하를 통한 수출확대에 나설 것임을 거듭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기업과 상품 경쟁력 자체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실적 악화마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인 것이다.

 

올 초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우리나라 7대 주력산업 가운데 조선과 석유화학은 중국에 추월당하기 직전이며, 자동차와 휴대폰 정도만 상대적으로 안정권에 있다고 분석했었다.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고 보면 해외시장 여건 또한 갈수록 나빠질 공산이 크다.

 

수출을 늘려야 지속경영이 가능한 것이 대다수 우리 기업의 현실임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우선적으로 기업 스스로 글로벌 시장의 우위 확보를 위한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급선무다.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품질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제품경쟁력 제고,해외시장 여건 악화에 대비한 기업체질 강화에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된다.정부 또한 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세심하게 살펴 그 걸림돌을 제거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노력을 기울여야 할것이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322월] 한국 국격에 먹칠하는 어글리 코리안들

 

지난주 말 한국인의 낯을 뜨겁게 만드는 두 건의 뉴스가 있었다. 캐나다 토론토에서 한인 여성 4명을 집단 성폭행한 혐의로 한인 남성 피의자 6명의 얼굴이 공개됐고, 캄보디아에선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한국 남성과 현지 여성의 결혼을 일시 정지시키는 사태가 벌어졌다.

 

캐나다 사건의 경우 피의자 6명은 현지 경찰에게서 집단 성폭행 외에도 살해 위협, 아동포르노 제작, 약물 투여 등 무려 67가지 혐의를 받고 있고 피해 여성 중에는 미성년자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 캐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놀라운 선전을 펼치며 `코리아 이미지`를 한껏 높여놓은 게 바로 몇 주 전인데 한인들이 이런 행각을 벌였다니 어처구니없는 노릇이다.

 

캄보디아 정부가 여론 악화를 의식해 내린 결혼금지령은 훨씬 더 불미스런 국제 망신거리다. 중개업자 주선으로 한국 남자 한 사람이 캄보디아 여성 수십 명과 동시에 맞선을 보고 곧바로 성매매를 하듯 여성을 다루니 현지 여론이 안 나빠질 리 없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주재 한국 공관도 국제결혼 관련 영사확인 신청서 접수를 하지 않고 캄보디아 결혼이민자의 한국 정착지원 프로그램도 중단키로 했다.

 

성문제와 관련된 사건은 어느 나라에서나 일어나는 일이지만 해외에 나가서도 물불 안 가리는 어글리 코리안들의 추태는 해도 해도 너무한 수준이다. 동남아에 놀러간 관광객들이 매춘 행각을 벌이거나 기업인이나 주재원들이 현지처를 거느리면서 현지인들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사례는 무수히 보고되고 있다.

 

한국이 세계 15위 경제력을 갖추고도 국제사회에서 존경보다는 시기를 더 많이 받는 것은 이런 `졸부 행각`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 한 외신기자가 장관을 향해 룸살롱 문화에 대해 비아냥거리듯 질문을 던진 것도 이런 외국인들의 시각을 드러낸 것이다. 대한민국의 국격과 브랜드 가치는 올리긴 힘들어도 깎아먹는 건 너무 쉽다. 한국인 전체의 얼굴에 먹칠을 하는 행위는 국격 차원에서 엄중히 다스리고 재발 방지책을 세워야 한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허귀식(경제부문 차장)-20100322월] 소국대업

 

300여 년 전 세계 교역의 절반은 네덜란드 차지였다.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인 연합동인도회사가 향신료·비단·도자기·황금을 실어 날랐다. 이 회사는 조선·해운·금융·자원 기업과 종합상사가 한 덩어리인 다국적 거대기업이었다. 암스테르담엔 첨단 바이오 기업쯤 되는 설탕 공장만 50개가 있었다. 유럽 공장의 절반이었다. 세계 첫 증권거래소가 문을 연 곳도 바로 암스테르담이었다.

 

중국 CC-TV는 몇년 전 9개국의 대국화 역사를 그린 ‘대국굴기’를 방영했다. 네덜란드편은 ‘소국대업(小國大業)’으로 요약됐다. 인구 150만 명의 소국이 바다와 혁신에 힘입어 대국을 이뤘다는 내용이다. 네덜란드는 화물을 더 많이 싣는 배를 만들고, 위험을 분산시키는 주식회사를 발명했다. 혁신적인 상업·금융 체계가 부의 열쇠였다.

 

네덜란드가 급부상한 이면엔 관용의 정신이 있었다. 16세기 개종을 강요하는 가톨릭 천하를 떠나 유대인들은 네덜란드로 몰려들었다. 유럽에서 유일하게 종교적 관용을 베푼 나라였기 때문이다. 네덜란드는 유대인의 자본과 인맥, 상업적 통찰력을 등에 업었다.

 

200년 대제국으로 군림한 영국, 서구화 선구자인 일본을 자극한 나라 역시 네덜란드였다. 영국은 네덜란드 모델을 베껴 저력을 쌓았고, 드디어 산업혁명으로 일어났다. 2009년은 일본이 네덜란드와 통상을 시작한 지 400주년이 되는 해였다. 일본은 네덜란드 학문인 ‘난학(蘭學)’을 받아들여 서구화의 씨앗을 키웠다.

 

우리도 표착한 동인도회사 직원 벨테브레와 하멜을 만났다. 벨테브레는 북방 정벌을 준비하는 조선에 첨단무기인 화포 기술을 전했다. 하멜은 표류기를 펴내 조선의 존재를 서양에 알렸다. 그것뿐이었다. 교역은 이뤄지지 않았고, 조선은 은둔의 나라로 남았다.

 

그러던 나라가 조선·해운·통상의 나라가 돼 옛 네덜란드처럼 오대양 육대주를 누비고 있다. 약소국의 설움도 조금 덜었다. “김연아 선수처럼, 오뚝이처럼 우리 민족은 포기하지 않는 정신을 가졌다. 한국은 더 이상 약자(underdog)가 아니다.” 네덜란드가 차지해 뉴암스테르담이라 불렀던 미국 뉴욕에서 기획재정부 차관이 투자자들에게 했다는 말이다. 외국신문의 칼럼 제목을 일부 차용한 것이지만 우리가 이렇게 자신에 찬 목소리를 낸 적이 있던가. 혁신과 관용에서 정상이 된다면 소국대업의 길은 좁지만 열려 있다. 네덜란드가 갔던 그 길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박성수(논설위원)-20100322월] 지구의 벗

 

지난해 12월12일 아침, 덴마크 코펜하겐 거리는 전 세계에서 모인 수만명의 NGO 활동가들로 뒤덮였다. 온실가스 감축 등 구속력 있는 기후협약을 마련키 위한 제15차 당사국 총회가 코펜하겐 벨라센터에서 열리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회의가 각국의 정치인뿐 아니라 세계 환경단체들 사이에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지구인을 모두 모아 놓은 것 같은 다양한 생김새의 사람들이 광장으로 모여들었다.

 

환경운동단체인 ‘지구의 벗’은 ‘기후정의를 위한 홍수’라는 이름으로 행진을 주도했다. 행진모습이 ‘홍수’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예수가 지구를 매단 십자가를 끄는 등 해외 환경단체의 기상천외한 거리행진과 함께 한국 참가자들의 퍼포먼스도 눈길을 끌었다. ‘녹색연합’은 이명박 식 녹색성장을 비꼬는 ‘녹색성장 카페’ 퍼포먼스로 카메라 세례를 받았다. 요리사 복장을 한 이명박 대통령이 참가자들에게 ‘원자력 확대’ ‘4대강 죽이기’를 ‘녹색’이라고 강변하는 상황을 풍자한 것이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총회장에서 기후변화 해결을 촉구하는 기조연설을 했다. 안에서는 녹색성장이 강조되고 광장에서는 ‘4대강 죽이기’ 퍼포먼스가 열리는 아이러니가 연출된 셈이다.

 

‘지구의 벗’은 ‘그린피스’ ‘세계 자연보호 기금’과 더불어 세계 3대 민간 환경단체로 꼽히는 강력한 조직이다. 이들의 활동은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소문이 나 있다. 2001년 4월 백악관 홈페이지에는 초단위로 날아오는 메일로 서버가 두차례나 다운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부시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강조한 ‘교토의정서’를 파기하자 ‘지구의 벗’ 회원들이 항의성 메일 폭탄을 보냈기 때문이었다.

 

‘지구의 벗’ 국제본부 니모 배시 의장이 최근 ‘4대강’을 둘러보았다고 한다. 배시 의장은 “영산강 한쪽에선 불도저 소리가 들리고 한쪽에선 여성들이 미나리를 뜯고 있었다”며 “평화와 파괴가 공존하는 현장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4대강 사업은 결코 녹색성장이 될 수 없다”며 지구촌 차원의 문제로 의제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결연한 의지를 보인 그의 발언이고 보면, 청와대 홈페이지도 언제 공격을 받을지 모를 일이다. 어쩌다 4대강 사업이 세계 환경단체의 걱정거리로 부상했는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서울경제신문 칼럼-동십자각/곽경호(사회부 영남취지본부장)-20100322월] 우려되는 부산 경제의 단면들

 

최근 부산 북항 자성대 컨테이너부두의 운영사가 물량이 없어 선석 반납에 나서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다. 이 운영회사가 처리해온 컨테이너 물량이 '부산 신항'으로 빠져나가 해마다 수백억원에 달하는 부두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 사태를 계기로 부산항 곳곳에 컨테이너 부두를 설치하고 수조원대의 예산을 투입, 신항까지 건설해놓은 결과가 결국 기존 물량 나눠먹기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외선사를 새롭게 유치해 부산항을 동북아 물류 허브항으로 만들겠다는 부산시의 야심찬 계획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부산항의 이번 사태는 '우려되는 부산 경제'의 한 단면에 불과하다. 이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살펴보면 더욱 확연하게 나타난다. 우선 무역 규모를 한번 살펴보자. 지난해 부산 지역 수출액은 95억달러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9위에 머물렀다. 순위도 순위지만 전국 수출액의 겨우 3%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점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국내 두번째 도시라는 위치가 부끄러울 정도다. 그나마 무역수지도 8년째 적자를 헤매고 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수출할 기업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2000년대 초반 부산의 주요 수출 품목은 기계ㆍ정밀기기ㆍ선박ㆍ신발류 등이었다. 하지만 지난해는 선박 외에 자동차나 관련 부품 등이 주로 수출됐다. 알짜기업들은 역외로 빠져나간 반면 새로운 수출 산업은 거의 유치하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구도 갈수록 줄고 있다. 부산 인구는 지난해의 경우 2만1,716명이 감소해 350만명을 가까스로 넘겼다. 지난 14년간 약 32만명이 외지로 빠져나갔다고 한다. 인구 감소는 비단 수치상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시민을 먹여 살릴 동력이 없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으로 심각하게 되새겨볼 부분이다. 최근 부산에서는 서부산권 개발사업, 북항재개발, 동부산 관광단지 개발 등 거창한 개발 프로젝트가 쏟아지고 있다. 이러는 동안 정작 생산성 높은 산업을 육성하지 못했다는 자성과 비판의 목소리가 지역에서 높아지고 있다. 부산시가 더 이상 선진적 경쟁력을 상실한 도시로 전락하지 않기를 시민들은 바라고 있다.


의지가 확실할수록 소원을 이루는 가능성도 높다

 

(-성공적인 시각화를 위한 세가지 요소들)

 아래의 세 가지 모두 이미 우리의 내면에 있는 것들이다.
시각화가 효과를 거두게 될지는 이 세 가지 요소들에 달려 있다.

 

1.소망

시각화하기로  선택한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소유하거나

이루고 싶다는 바람이 간절해야 한다.
진실로 그런지는 스스로에게 물어 보자. 
"내가 정말 이것을 바라고 있는 걸까?"

 

2. 믿음

선택한 목표와 실현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크면 클수록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더욱 강해진다. 가슴에 손을 얹고

다시 한 번 물어 보자.

 

  " 내가 정말 이것을 원하는 것일까?"
  " 이것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정말 믿고 있는가?"

 

3. 열린 마음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기꺼이 받아들여서 자기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간혹 보면, 꼭 성취하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도 없으면서 맹목적으로 어떤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사람들이 있다. 목표보다는 무언가를 향해 질주하고

있다는 생각 자체에 더 안도감을 느끼는 것이다.

 

  "내가 정말 한 치의 거리낌도 없이 진정으로 이것을 원하고 있는 것일까?"

한 번 쯤 스스로에게 물어 볼 일이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세 가지 요소들을 하나로 뭉뚱그러보면 바로

의지로 요약할 수 있다. 무언가를 이루어내려는 의지가 탄탄하다면 -

다시 말해, 목표에 대한 욕망이 간절하며, 그것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하고, 기꺼이 받아들이 받아들이고자 한다면 - 틀리없이

소원은 현실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것도 아주 짧은 시일 내에.


  따라서 목표에 대한 의지가 확고할수록 더욱 빨리 보다 쉽게 시각화의

효과를 맛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의지를

되짚어 보아야 한다.

 

  의지가 약하거나 불투명하다면 혹여 스스로에게 어떤 의혹이나 두려움,

고민이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 번 내면을 세심하게 들여다본다.  

때로는 스스로 인정하고 치유해야만 하는 감정이나 생각이 마음

밑바닥에 숨어 있어서 자신도 모르는 새에 의혹이나 망설임이 싹트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 이런 망설임은 현재의 목표가 자신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신호이기도 하다.

 

 

- 샥티 거웨인, 그렇다고 생각하면 진짜 그렇게 된다 중에서



능청맞은 연기로 애교섞인 내숭 필요

 

연애 초반 그녀를 위한 연애의 전략은 무작정 언니들에게 전수 받았던

 

“여자는 무조건 튕겨야 한다!”는 전략을 수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왜냐하면 연애 초반부터 너무 무리하게 튕기다간 오히려 관심과 호감이 분노의 감정으로 돌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잘해주거나 그의 요구를 전부다 수긍해줄 필요는 없다.

어렵겠지만 적당히 남자의 애간장을 녹일 만큼 튕겨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조건 튕기지 말고 전화를 받되 먼저 전화하지 않기,

 

수신문자에 대한 답장 조금 늦게 보내기,

 

두 번째 걸려 오는 전화 받기,

 

일부러 바쁜 척 전화 빨리 끊기,

 

약속시간 조금 늦게 도착하기 등 좀 더 강도 낮은 튕기기 기술을 한번 사용해 보도록 하자.

 

연애 초반에는 이 정도 강도의 튕기기 만으로도 충분히 남자의 마음을 애타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남자는 여자에 대한 시각적인 판타지가 크다.

 

사실 연애초반 남자의 마음을 움켜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유혹의 무기는 바로 그녀의 외모다.

 

왜냐하면 남자가 여자를 받아들이는 시발점은 마음이 아닌 시각이기 때문이다.

흔히 남자는 여자를 3가지로 분류해서 받아 들이게 되는데 그 3가지란 바로 A.그냥 여자 B.아름다운 여자 C.섹시한 여자다.

 

A.는 말 그대로 마음이 움직일 수 없는 예를 들어 여자로써의 매력이 전혀 없는 그런 여자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과 노력으로써 B.나 C. 중 어느 한 부류에 속할 수 있어야 남자의 마음을 좀 더 쉽게 현혹시킬 수 있다.

또 여자는 남자의 마음속에 일종의 환상 같은 것을 심어 줄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여자의 내숭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숭이란 단순히 공주병 증상과 같은 행동이 아니다.

 

말이 많다면 적당히 말을 줄이고, 목소리 톤이 높다면 톤을 조금 낮추고,

 

음식을 먹을 때 너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말고, 술이 세더라도 약한 척하고,

 

연애경험과 섹스경험이 많아도 없는 척하고,

 

일부러 무서운 척 하고,

 

생리적인 현상은 반드시 숨기고,

 

되도록 처음인 척 그렇게 능청맞게 연기하는 행동을 말한다.

여자들이여 내숭을 떨어라!

 

아직 그리 친밀하지 않은 사이에서 섣불리 여자로써의 환상을 깰 필요는 없다.

 

내숭은 시간과 함께 어차피 깨져버리게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지금 당장 깨지는 것과 몇 개월 후에 깨지는 것과의 차이는 실로 엄청나다.

 

 

 



마지막으로 연애 초반부터 그를 완전히 안심시켜선 안 된다.

 

사실 연애 초반부터 여자가 남자를 죽자 살자 쫓아다녀 연애를 오랫동안 유지하게 되는 경우는 드물다.

남자를 확실하게 안심시킬 수 있는 애정표현만큼이라도 다음으로 미루어 보도록 하자.

 

“사랑한다.” 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좋은 것 같다” 정도로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고 숨길 줄 알아야 한다.

 

이정도만 제대로 지켜도 연애 초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의구심은 지우고, 실천으로 그를 사로 잡아라!

 


연애 초반 그는 당신에게 모든 것을 요구하지 않았다. 그런데 왜 모든 것을 다 바치려 하는가? 금방 질리게 말이다!




귀가 멍해지는 소음 속에도 완전히 정지된 내면의 시간이 있다.

그리고 뼛속까지 내가 혼자인 것을 느낀다.

정말로 모든 것을 정리할 때인 것 같다.

옷에 달린 레이스 장식을 떼듯이

생활과 마음에서 불필요한 것을 떼어버려야겠다.



또 가을이 오고 중에서 / 전혜린





당신두 나처럼 그렇게 살고 있습니까?

혼자된거, 시간남아도는 솔로가 된거, 정말 티내기 싫은데

자꾸 친구들과의 약속에 제일 먼저 나가게 됩니까?

난 오늘도 그랬습니다.

그래서 약속장소 근처를 어슬렁거리다가

누구나 볼 수있게 해 놓은 사진전을 우연히 보게 됐죠.

거기서 아주 예쁜 사진을 하나 봤습니다.

날씨... 아마 늦가을이나 초겨울 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서로 폭~ 안고 있는 그런사진이였어요.

사진 제목은 "외투"

정말 따뜻한 외투구나 생각하면서 돌아서는데,

갑자기 잘 지켜놨던 서러움 같은것이 확 끓어 오르는 느낌...

순간 약속이고 머고 다 귀찮게 느껴져서 그냥 집으로 돌아와버렸죠.

라면을 끓이려고 가스렌지에 물을 올리면서 나는 방금 생각했습니다.

정말 외로운 순간은 혼자 먹을 저녁을 준비하는 시간이 아니라

가장 좋은것을 본 순간,

내 옆에 아무도 없음을 알게 되는 바로 그 순간이라는거...




지금처럼 길을 걷다 운동화 끈이 풀렸을때 난 기뻐해요.

당신도 내생각하는구나. 생각하면서...

오늘 아침 집을 나설때 내가 일부러 헐겁게 묶은 사실은 억지로라도 잊어버리죠.

이유도 없이 당신 생각이 나면

나는 불안해 하거나 슬퍼 하는 대신 또 기뻐해요.

아무일도 없는데 생각이 나는걸 보니

어디선가 당신이 나를 부르고 있나보다 그렇게 살아요.

엄마에게 들키는 대신 친구들에게 푸념하는 대신

혼자서 나를 위로하고 살아요.

혼자로 돌아가는 연습을 해야하니까요.

당신을 만나기 전에도 나는 쭉 혼자였는데...

하지만 그때는 혼자 보는 영화도 혼자먹는 밥도 혼자 걷는 거리도

이렇게까지는 아니였는데...

집에 들어서면 어젯밤 읽다만 침대 위 소설책 한권까지도

외로움에 지쳐 쓰러진듯 보이네요.

그저 혼자였을때에는 둘이 되기 전에는 알지 못했던 기분.

손끝 항상 찬바람이 멤도는 느낌...

이게 진짜 외로움이군요...


이소라의 음악도시 / 그 남자 그 여자



지금 우리의 삶이 힘겹다면 무언가를 얻는 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얻은 것을 버리는 법을 모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원하는 것이 있어도 가진 것을 버리지 못해 포기하지 않았는가?

무엇도 쥐고 있지 않은 손의 다른 말은 무엇이든 쥘 수 있는 손이다.

지금 당신의 손을 펴고 인생에서 정말 간절히 원하는 것,

그것이 무엇인지 찾아라

언제나 문제는 '어떤' 이 아닌 '어떻게' 다.

어떤 상처가 있느냐보다 중요한 건,


어떻게 그 상처를 안고 살아가느냐인 것처럼.

사랑은 시간을 잊게 하고 시간은 사랑을 잊게 한다


100% 스무살 / 김수현



세상엔 가지고 싶어도 가지지 못 하는 것이있고,

돌아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곳이 있다.

기다려도 오지 않는 것이있고,

눈물나게 그리워도 볼 수 없는것이 있다.

눈을 감을수록 선명해 지는 것과,

멈추지 않는 눈물을 흘리는 것과,

외면할 수 록 다가와있는 기억을 인정하는 수 밖에 없다.

사랑하고 싶지 않아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이 그런거 처럼..


하병무 / 남자의 향기 中







2010년 3월 18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318목] 법무장관의 섣부른 보호감호 부활발언

 

이귀남 법무부 장관이 2004년 폐지된 보호감호제의 부활을 예고했다. 연쇄살인범, 아동 성폭행ㆍ살인범 등 강력 범죄자의 장기 격리를 위해 보호감호제 재시행을 포함한 형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는 것이다.

 

이 장관의 발언은 부산 여중생 납치ㆍ피살 사건 등 일련의 흉악 범죄로 커진 국민적 불안과 공분을 명분과 배경으로 삼은 것이다. 그러나 그런 사정을 감안한다 해도 보호감호제 부활은 섣부르고 위험한 발상이다. 교정 행정의 주무 장관이라면 강력 범죄자의 교화와 치료, 사회 복귀에 효과적인 방안을 내놓는 게 우선이다. 그런 노력은 뒤로 미룬 채 즉각적ㆍ현시적 효과만 의식해 어두웠던 과거의 낡은 유산을 불쑥 꺼내 드는 것은 무책임하고 사려 깊지 못한 태도다.

 

청송교도소의 사형집행 시설 설치가 "집행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는 언급도 부적절했다. 인권ㆍ문명국으로서의 국격, 국제관계와 경제ㆍ외교적 실리, 헌법재판소의 사형 대체 입법 권고 등을 두루 고려했다면 섣불리 꺼낼 수 없는 발언이었다. 잠재적 강력 범죄자에 대한 경고 차원이라 해도 경솔하기는 마찬가지다.

 

과거 보호감호제의 심각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생각할 때 이 제도는 결코 부활시켜서는 안 된다.'재범의 우려'를 이유로 형을 마친 죄수를 다시 감옥이나 마찬가지인 감호소에 가두는 제도는 사회로부터의 격리라는 명분으로 포장한 이중처벌이다. 헌법재판소도 이미 이 제도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

 

보호감호제가 수감자의 범죄욕구를 꺾고 사회 적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면 발전된 형태로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감자의 적개심만 오히려 증폭시켜 재범을 조장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사실은 과거 40%나 되던 출소자의 재범률이 확인해 준다. 실질적 교정교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다. 법무장관이라면 감정에 치우친 여론을 무기 삼아 위헌성을 피하기 위한 교묘한 법 형식 논리를 동원해 이미 사회적 합의로 폐지한 제도의 부활을 시도할 게 아니라 효과적인 범죄 예방 및 범죄자 교정ㆍ치료 프로그램 마련과 강화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318목] ‘묻지마 교육감 선거’ 조장할 선관위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6·2 지방선거에서 정당과 교육감 후보 사이의 정책 지지·반대 표명과 정책연대를 금지하는 내용의 선거관계법 운용기준을 그제 발표했다. 비현실적인 과잉규제인데다 활발한 정책토론을 위축시킬 요소가 매우 많아, 도저히 그대로 시행하기 어려워 보인다.

 

선관위는 지방교육자치법을 엄격히 해석해 정당, 정당 소속 지방선거 후보자, 국회의원 등이 특정 교육감 후보의 정책을 지지·반대하거나 정책연대하는 것을 금지했다. 심지어 정당이 교육감 후보자의 정책이나 공약을 비교·평가해 정당 누리집이나 기자회견 등을 통해 공표하는 행위마저 막았다. 기준대로라면 교육감 선거 후보자가 친환경 무상급식을 주장할 경우에도, 정당이나 시·도지사 후보자는 찬반 의견을 밝히면 안 된다.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교육청에 예산을 주는 시·도지사 후보가 교육감 후보의 정책을 살피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선관위 기준은 그 자체로 모순도 안고 있다. 정당이나 지방선거 후보자가 ‘교육 관련 정책을 제시하거나 공표하는 행위’는 허용하면서 ‘특정 교육감 후보자의 정책에 관해 지지·반대’하는 행위는 금지한 게 대표적이다. 같은 정책을 놓고 정당이나 지방선거 후보자의 교육정책이라고 하면 공표가 허용되고, 특정 교육감 후보자의 정책이라고 하면 찬반 의사를 표명할 수 없다는 게 말이 되는가. 이런 모호한 기준을 갖고 감시·단속 활동이 가능할지 극히 의문스럽다.

 

교육감 후보자가 교육감 직무에 속하지 않는 정책으로서 선거쟁점이 돼 있는 정책을 지지·반대할 수 없도록 한 것도 문제다. 선거공간에서는 후보자의 식견과 철학을 되도록 폭넓게 검증하는 게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 문제 등에 대해 교육감 후보자의 견해 표명을 막아야 할 이유가 없다. 이렇게 입을 봉쇄하려 해서는 유권자의 정확한 판단을 흐리고 ‘묻지마 선거’를 초래할 따름이다.

 

교육감 선거의 특수성을 고려해 정당의 과도한 개입을 규제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번 선관위 기준은 숱한 마찰과 혼란을 야기할 게 불 보듯 뻔하며 정책선거를 위축시키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들도 선관위가 지방교육자치법 개정 취지를 과도하게 해석했다고 지적한다. 선관위는 비현실적인 기준을 재검토하기 바란다.

 

 

[동아일보 사설-20100318목] 학교현장 개혁, 교육당국 체질부터 바뀌어야

 

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첫 교육개혁대책회의에서 “이 중요한 시기에 교육의 변화를 주도하고 기본을 잡는 것을 당분간 제가 하려 한다”며 교육 문제를 직접 챙길 뜻을 다시 천명했다. 졸업식 알몸 뒤풀이와 자율형사립고 입시 비리, 교육청의 만연된 부패 등 충격적인 교육 관련 뉴스가 연일 전해지면서 교육 현장의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 문제는 이제 대통령이 나서지 않으면 안 될 만큼 위기 상황에 몰려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교원 교장 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 등 교육의 ‘공급자’들을 강하게 질책했다. 교원평가제에 대해서는 “엄격한 신상필벌이 중요하다”고 언급해 교원평가 결과를 교원들의 인사와 급여에 연계할 뜻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교과부에 대해서도 “대한민국 교육이 바뀌려면 교과부가 바뀌어야 한다”면서 “교과부가 달라지기는 했지만 과거의 사고를 다 바꿨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체질 개선을 촉구했다.

 

‘교육대란(大亂)’에 대한 책임은 일차적으로 교사와 교육당국에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번 교육청 비리에서 드러난 것처럼 상당수 교사들은 철밥통 의식에 안주하며 승진과 ‘물 좋은 학교’로의 이동에만 매달리고 있음이 드러났다. 대부분의 국민이 지지하는 교원평가제를 거부할 정도로 교사들의 소명의식이 얇아진 것도 사실이다. 폭력적인 졸업식 뒤풀이는 우리 교육이 중증(重症)의 총체적 위기에 빠졌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교과부는 문제가 발생하면 발뺌을 하거나 희생양을 앞세우기에 바쁜 인상을 주고 있다. 그러면서도 교육현장에 계속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욕심만은 버리지 않고 있다. 일선학교 교장에게 대폭 자율권을 주는 방안이 어제 대책회의에서 보고됐지만 교육행정 관료들의 체질부터 바뀌지 않으면 실질적인 권한 이양이 이뤄지기 어렵다. 교과부는 대학에 대해서도 입시 관련 3불(不)정책 같은 제한적인 규제 이외에 자율을 거의 넘겨줬다고 주장하지만 대학들은 ‘대학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토로한다. 교과부가 초중고교에 대해 같은 태도로 나온다면 자율은 허구에 불과하다.

 

공교육의 위기를 타개하려면 교육당국부터 학교 현장에 실질적 자율권을 대폭 줘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대통령이 주재하는 대책회의를 아무리 자주 열더라도 현장으로부터의 교육개혁은 말에 그치기 쉽다.

 

 

[조선일보 사설-20100318목] 대법관 수 늘린다고 대법원이 제 역할 할 수 있나

 

한나라당은 14명인 대법관 수를 24명으로 늘리고 대법관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24명 가운데 3분의 1은 법관이 아닌 외부 전문가를 임명하도록 사법제도를 고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대법원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2009년 대법원에 올라온 상고(上告) 사건은 3만2361건이다. 이를 14명의 대법관 가운데 대법원장과 법원행정처장을 뺀 12명이 맡으면 1인당 연간 2700여건, 매일 7건씩이 된다. 그러다 보니 대법원이 사회적 관심을 끄는 주요 쟁점들에 대해 법적으로 허용되는 부분과 금지되는 부분이 어디까지인지 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렇다고 대법관 수를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상고 사건은 2000년 1만6492건, 2005년 2만2587건, 2008년 2만8040건 등 매년 평균 1000건 이상씩 늘고 있다. 대법관을 지금보다 10명 늘리면 당장은 대법관들의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몇 년 못 가서 또다시 사건의 홍수에 치이게 될 것이다. 그때 가서 또 대법관 수를 늘리자고 할 것인가. 세계적으로도 대법관 수는 미국 9명, 영국 12명, 일본 15명으로 우리와 비슷하다. 독일은 123명이지만, 이 나라는 우리와 사법 제도가 다르다. 독일에는 우리의 헌법재판소 같은 연방헌법법원 외에 연방통상법원·연방행정법원·연방재정법원·연방노동법원·연방사회법원 등 분야별로 5개의 대법원이 있다.

 

대법원이 제 역할을 하게 하려면 하급심 재판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여 무조건 대법원까지 가고 보자는 풍토를 개선하고, 전국 5개 고등법원에 가벼운 사건에 한해 대법원 역할을 하게 하는 상고부(上告部)를 설치한다든지 하는 다른 방안을 찾아봐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00318목] 요미우리發 독도 논란은 日에 말려드는 꼴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발언이라고 주장한 요미우리신문 보도와 관련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2년 전 오보로 매듭지어진 사안이 어제 서울중앙지법 356호 법정에서 진행된 변론을 앞두고 뒤늦게 재점화됐다. 요미우리 측에서 보도가 사실이라며 관련 자료를 제출한 사실이 공개되자 불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일본 정부가 오보라고 해도, 청와대가 공식 부인해도 사태가 진정되지 않는다. 논란은 법정에서, 정치무대에서, 인터넷 세상에서 확산되는 추세다. 일본이 독도 분쟁을 키우면 키울수록 좋다는 입장임을 감안하면 우려스러운 형국이다.

 

문제의 보도는 2008년 7월15일자 한·일정상회담 관련 기사다.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가 “교과서에 다케시마라고 쓸 수밖에 없다.”라고 했고, 이 대통령은 “지금은 곤란하다. 기다려달라.”고 답했다는 내용이다. 인터넷에선 “제2의 3·1운동”이라는 등 폭발적인 수준의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흡사 온라인 집단시위 같다. 야권은 이명박 정부 흠집내기에 호기라고 판단한 듯 정치 쟁점화를 시도하고 있다. 민주당은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히고, 일부 의원은 탄핵감이라는 말까지 서슴지 않는다. 현 상황을 차분히 되짚어보자. 정상회담에서 합의가 안 된 내용은 비공개하는 게 관례다. 요미우리가 취재된 내용을 그대로 보도했든, 확대 해석해 옮겼든 출처가 어디겠는가. 청와대일 가능성은 전무하다. 그런 내용이 공개돼 논란거리가 되는 건 일본이 원하는 바다. 우리가 대처해야 할 방향은 자명해진다. 정략이 아닌 국익 차원에서 접근할 일이다.

 

야당은 논란을 키우면서도 국익 운운한다. 강력한 시정조치 요구나 제재조치를 해서 반박 사료를 남겨야 한다는 주장이다. 외교전은 물론 먼 역사에서 요미우리신문의 기사만 증거자료로 남기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일면 수긍이 간다. 그래서 청와대도 무대응으로 일관하다가 어제 대변인을 통해 오보임을 거듭 확인하는 절차를 다시 밟았다. 일본 정부는 이미 공식 부인한 상태다. 논란을 확산시키는 건 현명한 게 아니다. 일본의 일개 신문 보도를 놓고 우리 내부에서 티격태격하는 건 자존심 문제다. 국익을 해치는 자해행위가 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318목] 청년실업률 10%, 고용대책 총체적 재점검을

 

암흑 같던 고용시장에 작지만 희망적인 조짐이 나타났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월 고용동향을 보면 전체 취업자는 2286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만5000명 늘었다. 지난 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실업률은 4.9%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하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실질적인 고용사정이 개선(改善)됐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 또한 현실이다. 2월 실업자는 116만9000명으로 100만 실업시대가 2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10.0%로 뛰어 2000년 2월 10.1% 이래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시기적으로 막 대학을 나온 젊은이들이 구직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청년층 실업률이 높아진 측면도 있지만 실업은 고착되는 성격이 있어 이만저만 걱정되는 게 아니다.

 

전체 취업자가 늘어난 것도 1월의 경우 임시직 감소폭이 12만1000명이나 됐던 반면 2월에는 2만4000명으로 둔화된 게 큰 이유이다. 임시직은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벌여놓은 임시방편적인 공공 일자리 등이 대부분이다. 이런 일자리는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게다가 임시 일자리에 하루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들과 일하고 싶지만 어쩔 수 없이 쉬었다는 사람 등 고용취약계층을 감안한 사실상 실업률은 20%에 육박하는 실정이다. 고용통계의 부분적 호전에 방심할 수 없는 이유다.

 

그런데도 정부의 고용정책은 매끄럽지 못하다. 중소기업들이 추가로 인력을 채용하면 1인당 300만원씩 법인세를 깎아준다지만 현장에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한 유연근로제 시범사업도 호응이 크지 않다. 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자영업자의 고용보험 가입허용도 시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고용대책을 다시 한번 종합점검,효율적인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그 핵심은 결국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주체인 기업들의 투자가 활성화(活性化)되도록 하고 창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318목] 현대차 노조위원장이 고백한 값진 '충격'

 

이경훈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장이 미국의 자동차 중심지 디트로이트를 돌아보고 느낀 충격은 우리 노동계에 던지는 산 교훈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월 노조 간부들과 함께 현대차 해외공장 실사와 연수차 미국에 갔다가 디트로이트를 둘러본 그는 노조신문 기고에서 "디트로이트는 미국의 5대 도시였지만 지금은 15위권으로 몰락하고 있다"며 "인구가 급격하게 줄면서 도심이 폐허가 되고 무너져가는 건물이 즐비한 현장을 보면서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자리가 없어지자 인구는 줄고 건물은 폐허가 되는 산업공동화 현상은 한국의 자동차도시 울산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그가 충격을 받았다는 미국의 몰락한 산업현장은 새로운 장면이 아니다. 그럼에도 관심을 모으는 것은 국내 최대 노조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기업이 망하면 어떤 고통을 당하는지를 목격하고 받은 느낌을 솔직하게 털어놓았기 때문이다. 디트로이트의 쇠락은 GM의 몰락에서 비롯됐다. 11개이던 디트로이트 자동차공장은 지금 2개만 운영되고 있다. 이 지부장은 GM 파산의 원인으로 세계화 전략의 오류를 꼽았다. 세계시장 석권을 위해 값싼 노동력을 좇아 무분별한 해외공장 이전 및 확대와 외형적 성장만 추구한 탓이라는 것이다. 옳은 지적이다.

 

GM은 세계시장 상황과 수요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했다. 그러나 강경노조로 인한 인건비와 복지비용 부담의 과다한 증가도 몰락의 큰 원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이다. 후발업체들의 맹렬한 추격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데 노조는 과거 관행에 빠져 무리한 요구를 일삼았다. 퇴직자들의 연금과 건강보험료까지 부담해야 할 정도였다. 이는 경쟁력 저하로 이어져 끝내 파산의 운명을 맞은 것이다. 혹독한 구조조정이 뒤따랐고 그 결과는 이 지부장이 목격한 지금의 흉물스러운 도시 모습이다.

 

그가 받은 충격은 기업이 살아야 노동자와 노조가 살고 지역경제도 살 수 있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상생의 노사관계는 기업과 국가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필수요소다. 이 지부장의 디트로이트 견문록이 노동계의 인식변화와 새로운 노사문화 정착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진세근(탐사 2팀장)-20100318목] 사형

 

‘대기근(大饑荒)-중국인이 망각할 수 없는 기억’ 신중국 성립 60주년의 찬가가 한창이던 지난해 말,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이 돌연 빼어 든 제목이다. 기사는 안후이(安徽)성 펑양(鳳陽)현 샤오강(小崗)촌의 한 촌로를 인용한다.

 

“1959년부터 3년간의 대기근 동안 수백 명의 이웃이 굶어 죽었다. 들과 산에는 캐먹을 나무뿌리 하나 없었다.” 『남자의 반은 여자』의 작가 장셴량(張賢亮)도 등장한다. “대기근 동안 내 몸의 세포 하나하나는 먹을 것을 찾아 울부짖었다. 인간의 최저선, 야수의 경지였다.”

 

월간지 염황춘추(炎黃春秋)도 가세했다. “펑양현 우마(五馬)공사의 간부는 종자를 먹거나 항의하는 농민에게 매달기(吊), 구타(打), 묶기(捆), 얼리기(凍), 햇빛태우기(曬), 벌금(罰), 감금(關), 굶김(餓), 가옥폐쇄(封門), 생매장(活埋) 등 형벌을 가했다.”

 

대기근으로 3000만 명이 죽어 나갔다. 정부는 재해와 소련 전문가의 철수를 원인으로 들었다. 그러나 진짜 이유는 인재(人災)였다. 마오쩌둥(毛澤東)의 인민공사, 대약진 운동이 주범이다. 중국과 홍콩의 일부 정치학자들이 “대기근 사망자는 사실상 사형당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다.

 

사실 중국은 사형 집행이 가장 많은 국가다. 중국의 공식 확인은 없다. 국제사면위원회(AI)는 “2006년 1010명이 사형당했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집행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런 중국도 달라지고 있다. 최근 2~3년 동안 사형 판결 가운데 70% 정도가 완형(緩刑)이다. 2년간 잘못이 없으면 무기로 감형하는 제도다. 1997년 1월 기존의 총살형 외에 주사에 의한 약물형이 형사소송법에 추가됐고, 그해 3월 28일 쿤밍(昆明)에서 처음 집행됐다. 2006년 10월 31일 법원조직법을 고쳐 사형 판결의 비준권을 최고인민법원(대법원)으로 귀속시켰다. 2007년 한 해 동안 증거부족·부당절차·과잉양형 등의 이유로 사형판결의 15%가 뒤집혔다.

 

이귀남 법무부 장관이 16일 사형집행 검토를 밝혔다. 사형과 범죄예방효과 사이의 연결고리는 취약하다고 판명 난 지 오래다. 중국이 사형 판결을 줄인 이유이기도 하다. 사형 집행은 국민의 격앙된 법 감정만 고려해선 곤란하다. 사회적 구조(救助)의 결여와 무관심, 외교 문제 등 다방면에 걸친 성찰이 뒤따라야 한다. 근본 해결책에 대한 고민 없이 덜컥 사형 집행부터 들고 나오면 경솔하다는 말을 듣기 십상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철웅(논설실장)-20100318목] 농담과 진담, 사실과 허구

 

가벼운 농담을 던졌는데 상대방이 진담으로 들어 얼굴을 붉히면 곤혹스럽다. 이렇게 농담과 진담을 잘 구별 못하다간 ‘고지식하다’는 말을 듣기 십상이다. 고지식하다는 ‘성질이 외곬으로 곧아 융통성이 없다’는 순 우리말이다. 쉽게 말해 꽉 막혔다는 뜻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이른바 ‘회피 연아’ 동영상을 유포한 누리꾼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한다. 이 동영상은 한 누리꾼이 TV 영상을 편집한 것으로 밴쿠버 겨울올림픽 후 개선하는 김연아에게 유인촌 문화부 장관이 꽃다발을 걸어주고 포옹하려 하자 김연아가 피하려는 듯한 장면을 담고 있다. 이것이 장관의 역린(逆鱗)을 건드렸다. 문화부는 고소장에서 “장관이 마치 성추행을 하려는 듯한 모습으로 편집해 올렸으므로 명예훼손 혐의가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웃자고 만든 동영상에 수사의뢰라니 어이가 없다. 그것도 문화부란 곳이. 한 누리꾼은 “시민의 유머를 못 이해하고 바로 고발해 버리는 게 정말 코미디다. 외국에 알려질까봐 걱정이다”라고 했다. “생각 없이, 말 없이, 유머 없이 숨만 쉬고 사는 대한민국”이란 푸념과 “세금이 아깝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러나 누리꾼들의 이런 반응은 아직도 사태파악을 제대로 못한 탓 아닌가 한다. 사달은 농담이 농담으로 통할 거라고 오해한 데서 비롯됐다. 농담과 진담을 구별 못해 인생이 고달픈 사람들 얘기를 못들었나. 문화부는 처음엔 그냥 웃어넘기려고 했지만 유머 수준을 넘어서는 악의적인 댓글들이 계속 나와 고소했다고 한다. 이렇게 진지한 장관, 부처 앞에서 농담과 진담을 왜 구분 못하느냐고 따져봐야 소용 없는 일 아니겠나.

 

그렇다면 방법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정공법이다. 이젠 진지하게 대응해야 하겠다. 유인촌 장관은 취임 초 전 정권이 임명한 문화 기관장들을 ‘코드가 다르다’며 억지로 내몰았다. 그 결과가 지금 문화예술위원회의 두 수장 사태다. 이런 결과에 대해 책임질 기색은 조금도 없다. 국회에서는 사진기자들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작가들을 돈 몇푼으로 길들이려다 ‘저항의 글쓰기’ 운동을 촉발시켰다. 허구(픽션)와 사실을 혼동해 사법처리까지 바란다는 것은 문화 장관으로서 애당초 결격사유다.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일련의 행태가 문화 장관다운 품격과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그만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춘추/김기문(중소기업중앙회장)-20100318목] 기업의 나눔 문화

 

지난 11일 무소유를 몸소 실천한 법정 스님께서 입적하셨다. 모 출판사 사장은 "2월만 되면 스님께서 인세 지급을 독촉해서 오해를 했다"고 한다. 나중에 알고 보니 새 학기에 어려운 학생들에 대한 학비 지원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며칠 전에는 대구의 한 중소기업인이 지역 저소득층에 일자리를 제공해 달라며 자신이 운영하던 주유소를 대구시에 기부했다고 한다. 이처럼 아름다운 사례는 우리 주위에 너무도 많다. 스님, 추기경 등 종교인은 물론 기업 CEO, 유명 연예인뿐만 아니라 고사리손으로 저금통을 들고 오는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마음의 행복을 실천하고, 사회의 등불로 우리 어두운 구석을 밝히고 있다.

 

중소기업계도 굳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라고 하지 않아도 로터리활동과 사회봉사활동 등 나눔의 문화를 실천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필자는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중소기업 사랑나눔 봉사단`을 구성해 정기적으로 소외계층을 방문하며 봉사활동과 기부 금품 전달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나눔의 문화 확산에 다소나마 기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관의 노후화로 인해 증축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레미콘 업계에서 한 업체당 레미콘을 한 트럭씩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기부운동이 전 중소기업계로 확산되고 있다.

 

크고 작은 회원 단체에서 각자 생산하는 제품과 성금을 십시일반으로 기부하겠다는 요청이 꼬리를 물고 있다. 적지 않은 비용이 드는 공사이지만 벽돌 하나씩 성의가 합해져 큰 힘이 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 중소기업의 밝은 미래를 보는 것 같아 가슴이 따뜻해진다.

 

기부 형태가 다양해지고 많아질수록 건강한 사회임에 틀림없다. 매년 12월 15일을 `사회기부의 날`로 정하자는 법안도 제출되어 있다. 그 사회가 얼마나 건강한 공동체인지는 남을 배려하고 돕는 손길이 얼마나 많은가에 달려 있고, 봉사와 기부가 그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척도인 것이다.

 

봄의 전령과 기운이 온 대지에 퍼져 나가는 속도만큼이나 나눔과 기부의 문화가 중소기업계를 넘어 우리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시도하지 않으면 자신감은 솟아나지 않는다.


세상 누구에게나 이루고 싶은 소망이 몇 가지는 있을 것이다.

개인 사업을 시작하고 싶을 수도 있고,

공부를 더 해서 다른 분야로 나가고 싶을 수도 있고,

멋진 대본을 써서 유명한 영화감독이 되고 싶을 수도 있다.

나름대로 정말 열렬한 소망을 갖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그런 꿈을 이루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가?

아마 그리 많은 시간을 투자하진 않을 것이다. 왜 그럴까?


우리 자신의 마음에 귀를 기울여 보면, 아마 이런 저런 변명의 소리가 들려올 것이다.


“당장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혀.”

“지금은 시기가 좋지 않은 것 같아.”

그리고 항상 마무리는 이런 말로 장식된다.

“아직은 자신이 좀 없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자신의 꿈을 추구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자신감으로 충만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러나 이 바램은 말 그대로 바램으로 끝날 뿐이다.


책상 앞에 앉지도 않고서 어떻게 작가로서의 자신감을 찾을 수 있을까?

허구헌 날 소파에 누워 TV나 보면서 어떻게 사업을 시작할 자신감을 찾을 수 있을까?

주말마다 집에 틀어박혀 전혀 사람을 만나지 않고서

어떻게 인간관계에서 자신감을 찾을 수 있을까? 절대 불가능하다!


언젠가는 기적이 일어나 직업을 바꾸거나,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들거나,

한 몫 잡을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은 기적이 일어나서 앞으로 나아갈 용기와 확신이 생길 때까지

마냥 기다리기만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느 쪽인가?

스스로를 돌아보라, 어디서 저절로 용기와 확신이 생기지 않나,

어디 하늘에서 뭔가가 뚝 떨어지지 않나 하고 기다리기만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기를 미루어 온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 말이다.


우리는 너무나도 오랫동안 기다려 왔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마법의 순간은 일정한 나이가 된다고 해서,

또는 좋은 꿈을 꾸었다고 해서 저절로 오는 게 아니다.


어느 날 아침에 일어나 보니 오랫동안 기다렸던 자신감이

드디어 내 몸에 펄펄 넘치고 있을 리는 없다.

아니, 실제로는 그 반대의 경우가 더 많다.


많은 사람들이 ‘자격지심’ 때문에 성공할 기회를 놓치고 있다!

가정에서건 직장에서건 내가 진정 원하는 일을 미루면 미룰수록,

그 일을 향한 열정도 점점 줄어만 간다.

그리고 열정이 줄어든 만큼 두려움은 더욱 늘어만 가고 자신감은 사라져 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사용법을 배우고 싶다고 해 보자.

그럼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그저 어떻게 해야 할지 자신이 서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구입을 나중으로 미루기만 할 것인가?

컴퓨터를 쓸 줄 안다면 일이 훨씬 편해지리란 건 알지만,

걱정이 앞서는 바람에 몇 달이고 몇 년이고 미루기만 할 것인가?


언제까지 가만히 앉아서 컴퓨터에 대한 두려움이 지나가기만을 바라고 있다면,

우리는 언제나 컴맹으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막상 저질러보기 전에는 두려움이 없어지지 않을 테니까 말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 정말 끝내주는 소식이 있다!

우리의 자신감을 겨우 몇 분 만에,

아니 겨우 몇 초 만에도 확 높일 수 있는 방법 말이다!


그저 무엇인가를! 자신의 목표에 한 발자국 다가갈 수 있는

무엇인가를 이루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자신감이 금방 솟아날 것이다!


꿈을 이루기 위해 한 발자국을 내딛는 그 동작만으로도,

부풀어 오르는 자신감과 신뢰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자신이 무엇인가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신뢰의 힘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하든지 더 잘해낼 수 있다.


- 바바라 드 앤젤리스, '자신감' 중에서


오늘 부터 나는 새로운 나를 창조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만들겠다.

나는 낭비한 시간.잃어버린 기회를 아까워 하며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지지 않겠다.

과거의 일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바꿀수 없다.

나의 미래는 다가온다.

나는 미래를 양손으로 움켜 쥐면서 적극적으로 미래를 개척해 나가겠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과 뭔가 해야 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나는 늘 행동하는 쪽을 선택하겠다.

하는 이 순간을 잡는다.

 

지금을 선택한다.

 

나는 행동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나는 언제나 활발하게 행동하는 습관을 들일 것이고 늘 미소를 잃지 않을 것이다.

나의 정맥 속으로 흘러드는 생명의 피는 행동과 성취를 행하여 더 멀리 더 높이 나아가라고 권유한다.

게으른 자에게는 부와 번영이 따라오지 않는다.

 

나는 행동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나는 리더이다.

리드하는 것은 행동을 하는 것이다.

리드하기 위해 나는 앞으로 움직여 나가야 한다.

늘 달리는 사람에게는 많은 사람들이 길을 비켜 준다.

나의 행동은 나는 따르는 사람에게 성공의 파도를 일으킨다.

나의 행동은 한결같을 것이다.

이것은 나의 리더쉽에 자신감을 불어 넣어준다.

 

나는 행동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것도 지금 당장.

 

왼쪽으로 오른쪽으로도 움직이지 않는 사람은 평범한 사람이 될 수 밖에 없다.

하나님은 나의 행동을 기다리고 계신다.

하느님은 나에게 정보를 수집하여 분류하는 머리와 결론에 도달하는 용기를 주셨다.

나는 결정을 잘 못 내릴 것을 두려워 하는 우유부단한 사람이 아니다.

나의 체질은 강인하고 나의 앞길은 분명하다.

성공하는 사람은 재빨리 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마음을 천천히 바꾼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은 결정을 천천히 내리고 자신의 마음을 재빨리 바꾼다.

나는 빨리 결정을 내리고 그것은 나를 승리로 이끌어 준다.

 

나는 행동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나는 과감하다.

나는 용감하다.

이제 내 인생에서 두려움은 더 이상 발붙일 자리가 없다.

나는 두려움이 증기 같은 것이라 생각하며 그것이 다시는 내 인생을 짓누르도록 내버려 두지 않겠다.

나는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

나는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

실패는 그만두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나 있는 것이다.

 

나는 결코 그만두지 않는다.

나는 용감하다.

나는 리더이다.

나는 이 순간을 잡는다.

지금을 선택한다.

 

나는 행동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 '폰더씨의 위대한 하루' 중에서




. http://event.auction.co.kr/event2010/everydaypoint/default.asp

옥션 포인트 모아서 배송비나 이머니로 교환하기. 매일 응모 가능해요

 

2. http://www.panel-i.kr/             패널아이- 이메일로 설문조사 가 오면  100- 5000원 적립해주는 곳..

만원이상시 현금으로 신청이 가능해요.

회원 가입시 500원+ 추천인 500원  적립 해줘요.   추천인 - fpahs5   추천인 써주시면 감사합니다

3. http://cafe.daum.net/young1008   재활용 비누 2개 , 세탁기 비누물 2병 신청하세요

택배비 3천원 입금해야함. 전 비누가 너무 많아서 ... 패스 했구요

 

4. http://promotion.auction.co.kr/promotion/MD/eventview.aspx?txtMD=02C2CA8327

2500원 내면 트리트먼트 무료체험 할수 있어요....전 잘 안해서 또 패스 했어요 ㅜㅜ

 

http://gen.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81521593

지마켓에서 트리트먼트 체험 해요.. 하루 500개 한정  옥션은 하루 200개 한정임...

 

제가 알고 있는 사이트입니다....  또 알고 있는 정보 있으면 추가로 올릴게요

 



휴대전화 기종으로 연인 富 측정할 땐 신뢰 상실

 

휴대전화가 필수품이 되어 버린 이상 휴대전화가 연애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막강하다.

 

그렇기에 휴대전화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연애의 결과가 달라지길 마련.

 

지금부터 똑똑한 휴대전화 사용법을 숙지해 두도록 하자.

먼저 상대의 번호를 저장할 땐 애칭과 함께 0번이나 1번에 저장하도록 하자.

 

상대가 자신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멀리 100번 대에 저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면 분명히 서운하게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자를 보낼 땐 상대방의 단어 수와 근접하게 보내는 전략이 필요하다.

 

액정 가득히 보낸 문자를 받고 답 문자로 ’응!’이란 한 단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면 당신의 무성의함에 감정이 상할지도 모른다.

 

 

문자를 보낼 때에는 상대방의 일과를 분석해 상대방이 심심해 할 시간에 보내는 것이 좋다.

 

아침 출근(등교)시간, 점심시간, 퇴근(하교)시간 등에 문자를 보내면 답장을 받을 확률또한 높아지길 마련이다.

 

상대가 자신이 보낸 문자에 답장을 보내지 않았다고 해서,

 

곧 바로 삐친 듯한 느낌의 문자를 보내거나 폭탄 문자를 보내서도 안 된다.

 

소심하고, 집착하는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의 액정 화면에 상대의 사진을 저장하고 다닌다면 더 큰 믿음을 줄 수 있다.

 

남들에게 자주 보여지는 곳에 상대의 흔적을 남겨둔다면, 그것을 본 상대는 당신의 마음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대의 전화를 피하기 위해 무작정 휴대전화를 꺼놓아서도 안 된다.

 

상대의 집착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피하고 싶은 상대라도 최소한의 예의를 저버려선 안 된다.

다음으로 의심의 여지가 있는 문자는 사전에 미리 지우는 것도 잊지 말자.

 

친구가 장난으로 보낸 “자기야 뭐해?” 같은 문자는 사전에 지워서 오해의 싹은 미리 짤라 두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전화를 받기 위해 자주 자리를 벗어나게 된다면 상대방에게 바람둥이가 아닐까라는 의혹을 심어줄 수 있으니,

 

차라리 빨리 끊든가, 전화를 받지 않는 편이 좋다.

 

 

 

끝으로 절대 피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알아 보자.

 

휴대폰 기종으로 상대방의 부를 측정하기,

 

의심과 집착으로 상대방의 휴대폰을 샅샅이 뒤지기,

 

각종 비밀번호 암기하기,

 

돈 없는 애인에게 휴대폰 사달라고 조르기,

 

자신의 폰 요금 대신 내달라고 하기,

 

상대방이 선물휴대폰 액세서리 하고 다니지 않기,

 

먼저 전화를 걸어 곧 끊고 상대방에게 다시 전화하라고 하기 등과 같은 행동은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그 동안 쌓아왔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행동이니 자신의 연애를 위해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전략이다.

 

 

연애를 흥하게도 망하게도 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 그것은 바로 당신의 손에 쥔 작은 휴대폰이다.




우리가 함께 어떤 집을 방문한 적이 있어.

자정도 한참 지난 시간 우리는 담배연기가 자욱해 공기가 푸르게 보이던

어떤 방에 앉아 길고 복잡한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고

나는 너의 얼굴에 떠오른 난 여기에 없어라는 표정을 보았고

나는 너를 사랑했어.

우리가 같이 본 영화를 네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때,

네가 얼마나 다르게 기억하는지,

너의 기억과 나의 기억이 얼마나 다른지 낙담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나는 너를 사랑했어.

나는 네가 톨스토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처럼

윗입술을 내밀며 글을 읽는 모습을 보았고

나는 너를 사랑했어.

네가 엘리베이터 안의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면서,

너를 바라보는 얼굴이 다른 사람의 것인 양 응시하고,

그러고는 방금 떠오른 것을 찾는 양 핸드백을 뒤지는 모습을 사랑했어.

한 짝은 옆으로 누운 좁은 돛단배,

한 짝은 등이 굽은 고양이처럼 서서

몇시간이고 너를 기다리던 하이힐 안으로 서둘러 발을 넣는 모습을 사랑했고

많은 시간이 흘러 집으로 돌아왔을 때 진흙이 묻은 신발을

다시 비대칭적인 외로움 속에 남겨두기 전

너의 엉덩이, 다리, 발이 무의식적으로 했던 능숙한 움직임을 사랑했어.

내가 사랑한 것은 너였어.

다른 사람은 미로같은 계단을 돌고돌아 극장밖으로 나오는데

너는 지름길을 찾아 먼저 인도로 나올때 입가에 어리는 미소를 사랑했어.

자동차들이 거리를 지나는데도 한쪽 인도에서 맞은 편으로

단걸음에 유쾌하게 건너는 너의 모습을 바라보았을 때

나는 너를 걱정했고 너를 사랑했어.

내가 두 손으로 너의 머리를 감싸 안고 너의 눈을 들여다보며,

삶이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는지 바라볼 때 나는 너를 사랑했어.

네가 사과를 세로로 잘라

완벽한 별모양을 보여주었을 때 나는 너를 사랑했고,

어느 오후 어떻게 왔는지 이해할 수 없는

너의 머리카락 한 올을 내 책상 위에서 보았을 때 너를 사랑했으며,

어느 날 함께 외출했을 때 만워버스 손잡이를 나란히 잡은 우리 손이

별로 닮지않는 것을 슬프게 바라보았을 때

내 몸을 바라보듯 너를 사랑했고,

어디로 향하는지 알 수 없는 기차를 볼 때

너의 얼굴에 나타나는 미묘한 표정을,

그 슬픈 눈길과 똑같이 닮은 것을,

전기가 나가 우리 집 안의 어둠과 밖의 밝음이 천천히 자리를 바꾸었을 때

다시금 너의 미묘하고 슬픈 얼굴을 보았을 때,

내 가슴은 속수무책의 질투심으로 터질 듯 아팠지만

여전히 나는 너를 사랑했어.


오르한 파묵 / 검은 책



그대여, 그립다는 말을 아십니까.

그 눈물겨운 흔들림을 아십니까.

오늘도 어김없이 집 밖을 나섰습니다.

마땅히 할 일이 있는 것도 아니었지만 걷기라도 해야지 어쩌겠습니까.

함께 걸었던 길을 혼자서 걷는 것은 세상 무엇보다 싫었던 일이지만

그렇게라도 해야지 어쩌겠습니까.

잊었다 생각 했다가도 밤이면 속절없이 돋아나

한 걸음 걸을 때마다 천 근의 무게로 압박해 오는 그대여,

하루에도 수십 번씩 당신을가두고 풀어 주는

내 마음 감옥을 아시는지요.

잠시 스쳐간 그대로 인해 나는 얼마나 더 흔들려야 하는지.

추억이라 이름 붙인 것들은 그것이 다시는 올 수 없는 까닭이겠지만

밤길을 걸으며 나는 일부러 그것들을 차례차례 재현해 봅니다.

내가 그리워한 사랑이라는 것은

하나하나 맞이했다가 떠나보내는 세월 같은 것

떠날 사람은 떠나고 남을 사람만 남아

떠난 사람의 마지막 눈빛을 언제까지나 떠올리다

쓸쓸히 돌아서는 발자국 같은 것.

그대여, 그립다는 말을 아십니까.

그 눈물겨운 흔들림을 아십니까.



바람 속을 걷는 방법 / 이정하






2010년 3월 9일 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309화] 북의 나진항 확대 개방을 주시한다

 

북한이 두만강 하구에 인접한 나진항의 대외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 전인대에 참석 중인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간부는 어제 중국이 2008년 나진항 개발 및 사용권을 10년간 확보한 데 이어 추가로 10년 연장을 추진 중에 있다고 전했다. 요즘 외국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북한인 만큼 중국의 나진항 사용권 연장은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도 최근 나진항 5호 부두의 50년간 사용권을 얻어냈다고 한다.

 

북한의 나진항 개방 확대는 올해 본격화하고 있는 대외무역 확대와 외국투자 유치를 통한 경제난 극복의 일환으로 보인다. 그 조짐은 새해 벽두에 나진항이 속해 있는 나선시를 특별시로 승격시키고, 김정일 위원장이 직접 방문하는 등 큰 관심을 기울인 데서 나타났다. 북한은 1991년 나진ㆍ선봉지구를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해 부분적인 개혁개방 조치를 시행했으나 외국자본 진출이 미미해 실패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나진항 개방 확대를 통해 지린성 등 중국의 동북 3성 및 러시아 연해주 등과 연계한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중국은 나진항을 태평양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출구로 보고 훈춘에서 나진항에 이르는 도로의 확장과 보수를 지원하는 등 기반조성에 열심이다. 한때 중국의 이러한 노력에 소극적 반응이었던 북한이 적극적인 자세로 돌아섰다면 중국과 함께 이익을 볼 수 있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해 11월 탈퇴를 선언했던 유엔개발계획(UNDP)의 두만강개발계획에도 외국투자 유치에 활용하기 위해 조만간 복귀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북한의 나진항 개방 확대가 폐쇄적 자급자족 체제에서 벗어나 개혁개방으로 한 걸음 나아가는 과정이라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계획경제를 완화한다는 징후가 보이지 않는 상태여서 얼마나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장기간의 남북관계 경색으로 남북경협이 뒷걸음질하고 있는 상태에서 북중 경제관계가 긴밀해지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기도 하다. 장차 남북경제 통합에 중대한 저해요인이 될 수 있는 탓이다. 북한의 나진항 개방 확대를 편하게만 바라볼 수 없는 이유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309화] 정부엔 들리지 않는 4대강의 고통과 신음 소리

 

천주교 전국 사제들이 어제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주교 5명을 비롯해 1100여 사제들이 선언에 동참했다. 불교계도 지난주 대규모 심포지엄을 열어 4대강 사업 반대를 천명했다. 개신교 인사들도 북한강변 유기농단지에서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릴레이 금식기도를 진행중이다.

 

종교계가 이렇게 한목소리로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건 이 사업이 가장 고귀한 가치인 생명을 죽이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천주교 사제들은 이 사업을 “우리 역사상 가장 참혹한 자연의 죽음”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4대강이 이렇게 죽어가는 것이 우리 모두의 무관심에서 비롯했음을 회개하고, 생명의 강을 지키기 위해 모두 강으로 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4대강이 얼마나 처절하게 난도질당하고 있는지는 지금 달려가면 바로 볼 수 있다. 수천년을 유유히 흐르던 강물은 ‘명박산성’ 같은 철제구조물에 가로막혀 있고, 강바닥은 마구 파헤쳐져 만신창이가 돼가고 있다. 강변 백사장에는 굴착기와 트럭들이 분주히 오가며 모래밭을 깔아뭉개고 있다. 4대강 곳곳에서 상처 입은 대자연의 고통과 신음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4대강 사업은 온갖 편법과 불법으로 얼룩져 있다. 낙동강 준설 과정에서 오염된 퇴적토가 드러나 수질 악화가 우려되는데도 제대로 된 환경영향평가 없이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 높은 관리수위로 강 주변 농지 피해가 예상되지만 지역 주민들은 충분한 설명조차 못 듣고 있다. 이명박 정권 임기 안에 사업을 마무리짓기 위해 온갖 문제점이 드러나는데도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게 지금 모습이다.

 

4대강 사업이 진정 강을 살리고 생명을 살리는 사업이 되려면 시간을 갖고 충분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 게 우선이다. 그러자면 일단 지금 같은 방식의 공사는 중단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 계속 밀어붙인다면 강물 오염과 주변 생태계 파괴, 지역주민 피해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태도를 볼 때 이런 방향 전환을 기대하기 어렵다. 천주교 사제들은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6월 지방선거에서 강을 살리고자 하는 후보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생명을 중시하는 사제들로서 불가피한 선택이다. 정부는 생명을 살리자고 호소하며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종교인들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이기 바란다.

 

 

[동아일보 사설-20100309화] 아동성범죄 잠시 개탄만 하면 예방되나

 

지난해 나영이 사건이 아직도 생생한데 중학교에 진학할 꿈에 부풀었던 초등학생이 악독한 성범죄의 희생양이 됐다. 흉악 범죄로부터 어린 생명을 지켜내지 못한 우리 사회의 책임이 무겁다. 6일 처참한 시신으로 발견된 이유리 양 사건은 성범죄자 감시시스템이 작동했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범죄라는 점에서 더욱 안타깝다. 경찰은 범인을 조속히 검거해 엄정한 법의 심판을 받게 해야 할 것이다.

 

범인 김길태는 1997년 9세 어린이 성폭행 미수를 시작으로 2001년 30대 여성을 감금 폭행해 복역한 뒤 지난해 6월 출소했다. 만일 그가 신상정보 열람, 전자발찌 착용, 경찰의 ‘1대1 전담관리’ 등 성범죄자 관리시스템의 적용을 받았다면 재범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는 2008년 도입된 전자발찌 제도 이전에 형이 확정됐기 때문에 전자발찌를 착용하지도 않았고, 과거에 아동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것이 아니어서 신상정보 공개대상도 아니었다. 이런 제도적 허점을 뚫고 그 같은 성범죄자가 어린 소녀를 성폭행하고 생명까지 앗아간 것이다.

 

성범죄는 재범률이 높은 범죄다. 미국의 경우 성범죄자는 출소 후 25년 동안 약 40%가 재범을 저지르고 아동 성범죄 재범률은 52%로 더 높다. 그 때문에 이중처벌이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동 성범죄자는 출소 후에도 신상이 공개되고 거주지역을 제한받는다. 우리나라도 아동 성범죄자 신상공개 제도가 도입됐으나 열람절차가 까다로워 무용지물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지난해 나영이 사건을 계기로 온 나라가 법석을 떨며 성범죄에 대한 처벌 강화와 예방책 마련을 촉구했지만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올해 1월 1일부터 아동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있으나 금년 형 확정자부터 대상이다. 국회에서는 아동 성폭력과 관련해 40여 개 법안이 제출됐는데도 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만 처리됐다. 우편으로 성범죄자 거주 및 복역현황 등을 피해자 및 그 주변 지역 거주자에게 알려주는 내용의 청소년 성보호법 개정안을 비롯한 나머지 법안은 소관 상임위나 법사위에서 잠자고 있다.

사회적 약자인 여성과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안이 후순위로 밀리는 상황에서 정치권이 외치는 민생정치는 공허하다. 아동 성범죄를 우리 사회에서 추방하기 위한 근원적이고 획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조선일보 사설-20100309화] 다문화 가정 자녀의 10년 뒤 모습 생각해봐야

 

우리 사회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40%가 우리말이 서툴러 학교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다문화 가정 아동 2400여명을 대상으로 우리말 습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우리말 익히기가 10명 중 6명꼴로 또래보다 6개월 이상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살 된 아이들은 80%가 정상(正常) 수준을 보이다가도 6세에 이르면 이 비율이 30%대로 떨어졌다.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취학률(就學率)은 초등학교는 85%, 중학교는 84%, 고교는 71%로 일반 가정 자녀의 초등 97%, 중학교 95%, 고교 89%에 비해 현격하게 낮다. 2008년의 경우 초·중·고 취학 연령대에 속하는 6~18세 다문화 가정 자녀 중 24.5%가 정규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고 고교 연령대에선 69.6%가 교육 과정에서 탈락한다고 한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전문직 부모는 자녀에게 시간당 2000개의 단어를 사용하지만 노동자 계층의 부모는 1300개의 단어를 쓴다고 한다. 두 계층 부모들의 이런 어휘 사용량 차이가 자녀의 지능(知能)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외국인 엄마의 서툰 우리말과 빈약한 어휘 사용량이 자녀의 우리말 습득 수준과 지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외국인 엄마 중 서툴게나마 우리말을 할 줄 아는 중국 조선족 출신은 전체의 17%뿐이다. 다문화 가정은 53%가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라서 특기 과외는 물론이고 유치원 교육도 제대로 못 시킨다.

 

국내 다문화 가정 자녀는 2006년 2만5000여명, 2007년 4만4000여명, 2008년 5만8000여명, 2009년 10만3000여명으로 갈수록 늘고 있다. 10년, 20년 뒤엔 다문화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 숫자가 수백만명을 헤아리게 될 수도 있다. 학업을 중도에서 포기한 이들은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지도 못한 채 낙오자가 돼 우리 사회에 대한 불만과 적개심을 키워 갈 수밖에 없다.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바로 보고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00309화] 경찰 부산 여학생 수사 기본 지켰나

 

중학 입학을 앞두고 실종된 부산 여학생이 11일 만에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됐다. 직선거리 50m 남짓한 이웃집 물탱크에서였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연인원 2만명에 헬기, 수색견까지 동원한 경찰의 수색작업이 도대체 제대로 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군다나 수색작업 중 피해 여학생의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용의자를 발견하고도 그냥 넘겼다니 어처구니없다. 초동 수사단계부터 석연치 않은 구석이 한두 군데가 아니다. 용의자 김모(33)씨의 DNA가 피해 여학생 흔적에서 발견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빨리 용의자를 검거해 피해자와 가족들의 여한을 풀어야 할 것이다.

 

경찰의 수색·수사 과정을 보면 처음부터 빗나갔음을 부인키 어려울 것이다. 현장에 피해 여학생이 쓰던 휴대전화와 안경이 그대로 남아 있는 데다 외부인의 발자국이 확인됐다면 단순실종이 아님은 삼척동자도 뻔히 알 수 있는 정황이다. 미적미적하는 수사로 결국 비극을 초래한 경찰에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경찰은 사건현장에서 성폭행 전과자의 지문까지 확인했었다. 가뜩이나 사건현장 일대는 재개발예정지역으로 빈 집이 많은 탓에 평소 우범자들이 몰려들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단순히 용의자가 살인전과가 없었다는 이유를 들어 여학생의 생존 가능성에만 초점을 맞췄다니 한심한 일이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사실은 이번 사건이 갈수록 흉포해지는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당국의 대책이 잇따른 시점에서 불거진 점이다. 피해자의 집과 경찰이 용의자를 놓친 지점, 시신 발견장소가 반경 100m 안에 있었단다. 범인이 경찰의 헛도는 수색·수사를 비웃으며 유유자적했을 것을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해진다. 공교롭게도 실종된 여학생을 찾기 위한 경찰의 공개수사가 한창인 때 행정안전부는 ‘민생치안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국민의 불안감을 떨칠 실질적 민생치안이 아쉽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309화] 중소기업이 앞장선 일자리 창출 기대 크다

 

일자리만들기는 지금 우리 경제가 당면한 가장 절실한 과제다. 정부 민간이 따로일 수 없고,여야간 구별도 없는 문제가 바로 고용창출이다. 경제발전을 넘어 사회통합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국가적 숙제이지만 딱부러진 해법을 찾기가 어려운 것 또한 일자리 문제다. 올 들어 청와대가 전면에 나서 매달 국가고용전략회의까지 열고 있고,최근에는 지자체까지 여기에 역량(力量)을 집중하겠다고 한 배경이기도 하다.

 

이런 일자리만들기 대열에 중소기업계도 좀더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나서 주목된다. 어제 중소기업중앙회가 여성경제인협회,벤처기업협회와 더불어 출범한 '중소기업 일자리만들기 추진위원회'가 바로 그것이다. 11월11일 '고용의 날'까지 2만명의 일자리창출을 하겠다는 것인데,온라인 일자리 중개시스템 구축,채용박람회 개최와 같은 신규사업이 모두 성과를 낼수 있길 기원한다. 중소기업 근로자 급여 0.3%로 일자리 4000개를 만든다는 일자리기부 캠페인도 찬바람 부는 고용시장에 최소한 정서적으로라도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공공부문도 노력중이지만 의미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산업계,곧 기업이라는 지적은 새삼스런 것이 아니다. 그런 차원에서 대기업에 일차적으로 관심을 돌릴 수밖에 없지만,대기업들도 글로벌 경영,글로벌 경쟁에 나서면서 국내에서만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는 또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대기업이 할 수 없는 분야나 고용시장의 사각지대를 중견 · 중소기업이 적극 담당해 나갈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고용창출 효과가 뛰어난 첨단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하면서,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의 문화를 잘 정착해 나가는 게 앞으로 과제다. 중소기업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創出)과 고용유지는 그 자체로 근래 증가세를 보이는 서민 · 취약계층을 가장 확실하게 지원하는 길도 된다. 이 때문에 언론에서도 중기살리기와 성공적인 창업에 적지않은 관심을 가지지만 중소기업계 힘만으로는 부족할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이 일자리를 만드는데 제도적 관행적 애로점은 없는지,정부와 국회도 끊임없이 살피며 제도개선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309화] 가격 할인 내걸고 소비자 우롱한 대형마트들

 

대형 마트들이 `생필품 가격 인하` 팻말만 내걸고 정작 매장엔 물건을 제대로 구비해놓지 않아 조기 품절되는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전국에 120여 개 매장을 가진 이마트는 지난 4일부터 라면값을 내린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해놓고 사나흘도 못 가서 물량이 바닥났다며 "내일 다시 오라"고 하는 곳이 많았고 홈플러스 110여 개 매장, 롯데마트 70개 매장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다고 한다. 유통업체 말만 믿고 매장을 찾았던 소비자들로선 우롱당한 기분이 드는 게 당연하다.

 

올 들어 대형 유통업체들이 앞장서서 식품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이벤트성 행사가 부쩍 잦아지고 있는데 그 자체를 나쁘게 볼 일은 아니다. 마진을 줄여 더 싼값에 파는 박리다매형 마케팅은 대형 유통업체 본연의 업무이거니와 서민물가 안정과 소비 촉진에도 적지않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원료값이 오르면 제품값도 번개같이 올리면서 반대의 경우엔 꾸물대는 제조업체의 얌체 상혼을 통제하는 차원에서도 긍정적 측면이 있다.

 

하지만 유통업체의 미심쩍은 조기 품절 사태는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곱게 보이지 않는다. 최근 유통사 할인 경쟁을 주도해온 이마트의 경우 올 초 삼겹살, 즉석밥, 세제, 유유 등 12개 품목을 최대 35%까지 싸게 팔면서 그것도 반짝 행사가 아니라 한 달 내지 1년간 지속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매장엔 물건이 공급되지 않아 고객이 허탕을 치거나 1인당 구매량을 제한하는 사례가 빈발했고 심지어 종업원이 가격 인하 사실 자체를 몰라 종전 가격으로 파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혼선은 이번까지 다섯 차례 행사에서 줄곧 반복돼 왔다.

 

상품은 부실하게 갖춰놓고 요란하게 호객행위만 한다면 잡상인이 소비자를 현혹할 때나 쓰는 미끼 전략과 크게 다를 게 없다. 시장 주도권 경쟁에 매몰돼 소비자 신뢰와 기업 이미지를 깎아먹는 건 대형 마트들의 위신에 걸맞은 행태가 아니다. 소비자에 대한 약속은 철저히 지켜져야 하며, 관계당국도 유통사의 불공정거래 여부에 관심을 기울이길 주문한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신예리(논설위원)-20100309화] 미국 차, 일본 차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디트로이트에서 제조하거나 아이오와에서 재배하거나. 생소해 뵈는 후자를 부연하면 이렇다. 아이오와에서 밀을 키운다→밀을 배에 실어 태평양에 띄운다→몇 달 후 배가 도요타 자동차를 싣고 돌아온다. 따라서 “디트로이트 자동차공장 노동자와 아이오와 농민들은 직접적 경쟁 관계에 놓여 있다”고 미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프리드먼은 설파했다. 정부가 무역 장벽을 세워 디트로이트를 보호하는 순간 그 피해가 고스란히 아이오와에 돌아간다는 거다. 왼쪽 주머니 털어 오른쪽 채우는 격이다. 게다가 국민 전체론 자동차 총 구입 비용이 늘어나니 결코 국익에 보탬이 안 된단 주장이다.

 

그럼에도 ‘디트로이트 보호론’은 결코 잠잠한 적이 없다. 일본 차가 미국에 발을 내딛던 초기부터 그랬다. 워터게이트 관련 녹음 테이프 속에 그 단면을 보여주는 비밀 대화 한 토막이 들어 있다. 1971년 4월 헨리 포드 2세와 리 아이어코카(당시 포드 사장)가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게 하소연한다. “일본 놈들이 우리를 산 채로 집어삼키려 합니다. 새 안전 장비가 법으로 요구되면 일본은 시간당 1달러50센트로 해결하겠지만 우린 7달러 넘게 줘야 해요. 비용이 이렇게 높아지면 국민이 우리 차 대신 외제 차를 살 겁니다.” 닉슨의 대답은 이랬다. “맞소. 납득이 됩니다.” 이들의 합의 탓에 안전벨트·에어백 등을 의무화하려던 규정은 20년 가까이 시행이 미뤄졌다.

 

그랬던 미국이 이번엔 일본 차의 안전 문제를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고 있다. “올가을 중간선거를 의식한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 차 편을 들고 나섰다”는 게 일본의 볼멘소리다. 하지만 전혀 멈출 기색이 아니다. 최근 도요타 청문회에서 목축업 중심지인 네브래스카 상원의원 마이크 조핸스는 2003년 말 미국산 쇠고기의 최대 시장이던 일본이 안전에 대한 우려로 수입 금지를 단행한 전력을 꼬집었다. “같은 이유로 미국이 일본 차 수입을 금지하면 어쩔 거냐”고 캐물었다. ‘어차피 네브래스카도 피해 본 마당에 디트로이트를 싸고 도는 게 뭐 어때서?’란 국민 정서를 대변한 셈이다. 조만간 일본에 가는 교통부 장관이 이 문제를 정식 거론할 참이라 안전 관련 공방은 양국 간 무역 분쟁으로 비화할 조짐이다. 쇠고기와 자동차가 엮인다니 남의 일로 넘길 계제가 아니다. 자칫 고래 싸움에 한국 등 터질까 걱정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서배원(논설위원)-20100309화] 할인전쟁

 

지난 주말 일부 대형마트 매장에서 신라면이 동났다는 소식이다. 며칠 전 이마트가 신라면 값을 9% 인하하자 롯데마트가 곧바로 따라 내리면서 물량이 조기 품절돼 소비자들이 헛걸음했다고 한다. 올해 초에는 삼겹살·햇반 등이 할인판매 초기에 품절돼 소비자들이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고객을 위하는 할인판매라면 사전에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기본인데 “우리가 제일 싸다”는 선전에 급급하니 소비자가 골탕먹는 꼴이다. 대형마트 간 ‘할인전쟁’은 지난 1월 초 이마트가 삼겹살 등 22개 품목의 할인판매를 선언한 데 이어 롯데마트와 홈플러스가 “이마트보다 10원이라도 더 싸게 팔겠다”고 받아치면서 시작됐다. 그 뒤 부정적 여론이 고개를 들면서 ‘10원 경쟁’이 끝나는가 싶더니 이달들어 이런저런 이름으로 다시 점화됐다.

 

할인전쟁은 소비자를 위한 출혈경쟁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다르다. 지난해 백화점과 사이버쇼핑 매출은 각각 전년보다 10.5%, 19.4% 증가한 데 비해 대형마트 매출은 3.7% 느는 데 그쳤다. 무차별 매장 늘리기로 성장 한계에 이른 대형마트로서는 인터넷·TV홈쇼핑 등으로 빠져나가는 고객을 붙잡아야 한다. ‘최저가 판매’ 이미지로 업계 파이를 늘려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월 할인판매 이후 한 달간 이마트 고객은 전년보다 4.1%, 롯데마트 고객은 2.3% 늘었다고 한다. 할인품목만 사가는 소비자는 드물 것이므로 매출 증가도 뒤따랐을 것이다. 7만여개에 이르는 취급품목 가운데 할인대상은 대개 수십가지다. 전 품목 대상의 최저가 판매와 달라 ‘미끼상품’이나 다름없다는 혹평도 있다.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1월 이마트가 값을 내린 생필품을 기준으로 할 경우 3.2% 불과하다는 분석이 있다. 소비자 가계 전체로 볼 때 이익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얘기다.

 

정작 고래싸움에 등 터지는 것은 동네 슈퍼마켓이다. 대형마트는 몇개 품목을 밑지고 팔아도 다른 수만가지 품목으로 보전할 수 있지만 동네 슈퍼마켓은 그렇지 못해 값을 따라 내릴 수 없다. 대형마트 할인전쟁이 계속되는 한 손님을 뺏길 수밖에 없다. 대형마트가 자체 비용 절감으로 할인경쟁을 하면 좋지만 납품업체에 가격 인하를 압박할 가능성도 크다. 이래저래 할인전쟁의 승자는 대형마트 자신이 될 수밖에 없다.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임지훈(정보산업부 기자)-20100309화] 게임 과몰입, 근본적 접근을

 

게임에 중독된 부부가 생후 3개월 된 딸아이를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과 30대 남자가 PC방에서 설 연휴를 낀 닷새 동안 게임을 하다 숨지는 사고 등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게임 과몰입 문제에 대한 사회적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 게임업체와 협력해 일정 시간 이상 게임을 한 이용자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게임 시간을 제한한다는 내용의 대책을 황급히 발표했다.

 

게임 과몰입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사회적으로 이슈가 될 만한 사건ㆍ사고가 발생한 뒤에야 대응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뒤늦게나마 게임 과몰입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문제는 이 같은 조치들이 실효성 있는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일정 시간 이상 게임을 하면 불이익을 주는 피로도 시스템이라든지 게임 과몰입 상담치료 등 정부가 내놓은 대책 중 상당수는 이미 게임업체에서 시행해왔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용시간을 제한하더라도 타인의 아이디를 도용할 여지가 있는데다 게임 중독자가 상담치료를 스스로 신청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과몰입의 근본 원인에 대한 접근이 부족해 보이는 점도 문제다. 게임 이용자가 패륜적 범죄를 저지르면 게임의 문제로만 치부하고 게임 이용을 줄이는 것만을 대책으로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사람의 게임이용 행태에 문제는 없었는지, 원래 중독에 약한지, 가정ㆍ학교ㆍ사회 등에서의 문제는 없었는지 등 다양한 요인이 고려돼야 한다.

 

어릴 때부터 게임 이용에 관한 가정과 학교의 교육이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게임 하는 것을 해악시하는 시선은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게임 업체와 학교ㆍ가정이 연계해 건전한 게임 이용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실제로 한 게임 업체는 제주도 본사와 연계해 수학여행 온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몰입 방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데 이 같은 노력도 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 3월 3일 수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303수] 졸속·탁상행정이 빚은 낙태 예방대책

 

정부가 1일 발표한'불법 임신중절(낙태) 예방 종합계획'은 사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현실적 상황 관찰도 크게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다. 생명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불법 낙태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며 내놓은 대책에서 정부의 실천의지를 읽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보건복지가족부에 신고센터를 두고, 낙태시술 광고를 못하게 하며, 해당 의사를 대한산부인과의사회에서 퇴출하겠다는 것 등이 종합계획의 골자인데,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산부인과 의사들의 모임인 '프로라이프 의사회'가 상습적 불법 낙태시술 의혹이 있는 병원 3곳을 검찰에 고발한 일이 종합계획을 마련하게 된 계기가 됐다. 사회적 문제로 불거지면서 대책의 필요성이 강조되자 불과 한 달도 안 되는 기간에 종합대책이라고 뚝딱 만들어 발표했다고밖에 보이지 않는다. 탁상행정의 전형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사문화되어 있던 규정을 손질해 꺼내 놓았는데, 당연히 현실적 대책이 될 리가 없다.

 

정부가 불법 낙태 문제에 얼마나 무심하였는지는 변변한 실태조사 하나 없다는 점에서 잘 알 수 있다. 이번 발표에서도 2005년의 조사결과를 인용하여 연간 34만2,000건의 낙태시술이 이뤄졌다고 밝혔는데, 이후 새로운 현황조사도 하지 않고 어떻게 오늘의 종합대책을 발표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불법 낙태 문제를 신종플루나 조류독감처럼 여기는지 소독약 뿌리듯 병ㆍ의원만 단속하면 된다고 여기는 발상도 놀랍다.

 

지금부터라도 새로 시작해야 한다. 의사들에 대한 그 동안의 제재가 현실성이 없어 규정들이 사문화되었는데 다시 내놓은 대책도 의미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불법 낙태가 만연한 원인에 대한 근본적 처방이 없는 한 이른바 '풍선효과'만 키울 뿐이다. 병ㆍ의원의 관점이 아니라 환자 당사자의 입장과 처지를 아우르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4월 중 '사회협약'을 도출키로 하고 지난 달 첫 회의를 했으니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충분히 수렴해 진정한 종합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303수] 행정정보 사전공표제 규정마저 어기는 정부

 

정부 기관들이 법률에 따라 스스로 공개해야 하는 정보조차 잘 내놓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와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15개 정부 부처와 청와대, 국회 등 공공기관 20곳의 행정정보 사전공표제도 운영실태를 조사해 확인한 것이다. 조사 결과, 이 제도를 성실하게 운영하는 곳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취지로 제정된 공공기관 정보공개법을 정부가 어기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와 국회는 사전공표 대상이 되는 정보가 어떤 것들인지조차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법무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가족부 등은 공개 대상 목록만 올려놓았다. 언제 어떤 식으로 정보를 공개하는지 구체적으로 알리지 않거나, 몇 년 전 정보를 그대로 방치하고 있는 기관도 적지 않았다. 모두 정보공개법에 어긋나는 짓들이다. 정보공개법은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정책 정보,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 정보, 행정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국민이 특정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면 정부는 성실히 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행정정보의 공개는 주권을 위임한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이자 도리다.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면 국민의 행정 참여는 그만큼 촉진되고 따라서 행정도 투명해질 수 있다. 정부의 정보공개는 부정확한 정보의 유통에 따른 폐해를 막는 데도 중요하다. 정부기관 누리집에서 정보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사람은 포털사이트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기관들은 포털의 정보수집까지 차단하고 있다고 한다. 부정확하거나 오래된 정보가 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 퍼져나갈 위험을 방치하거나 조장하는 것이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게 아주 어려워진 걸 고려할 때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확한 정보의 공개는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정부가 정보를 내놓지 않으면, 학자나 각종 기관들은 별도의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제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면 정보수집에 드는 사회적 비용을 그만큼 줄일 수 있다. 정확한 정보가 무엇보다 큰 경쟁력이 되는 시대라는 점에서도 정보공개는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정부는 이제라도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행정정보 공개에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란다.

 

 

[동아일보 사설-20100303수] 외국인 지문등록, 국가안보와 직결된다

 

미국이나 일본의 공항 입국장에서는 길게 줄을 서 여권 심사를 받고 얼굴 사진 촬영과 손가락 지문 등록을 해야 한다. 입국 심사에 시간이 많이 걸려 불편하지만 투덜거리거나 따지는 사람은 거의 없다. 범죄나 테러 예방을 위한 조치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와 호주도 이 제도를 시행 중이고 영국과 캐나다는 준비 중이다.

 

우리나라도 외국인 입국과 등록 때 의무적으로 안면 및 지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출입국관리법 개정안을 마련했으나 국회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다. 정부는 작년 11월 개정안을 확정해 국회로 보냈다. 그러나 관련 상임위는 다른 유사한 의원 발의 개정안들과 함께 심사해야 한다는 이유로 지금껏 깔아뭉개고 있다. 2월 국회가 끝났으니 다시 4월 국회까지 기다려야 할 판이다.

 

범죄를 저지를 우려가 있거나 위·변조 여권으로 입국하려는 외국인을 가려내려면 여권 심사만으로는 부족하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테러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동안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테러가 미국 영국에 집중됐지만 이제는 한국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우리는 아프가니스탄 파병(7월)과 세계 최고 정상들의 모임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서울 개최(11월)까지 앞두고 있다. 한국이 테러의 표적이 될 위험은 그만큼 더 커졌다.

 

우리나라에서 작년까지 5년간 다른 사람 이름의 위명(僞名)여권으로 입출국하다 적발된 사례가 1만772건에 이른다. 얼마 전엔 탈레반 관련 의심을 받고 있는 파키스탄인이 위명여권으로 17차례나 드나들다 붙잡혔다. 우리의 보안체계에 구멍이 뚫려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거주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고, 그중에는 조직폭력 관련자도 수천 명에 이른다. 이렇게 불안한 상황에서 얼굴 촬영과 지문 등록을 통해 외국인의 신원정보를 관리하는 일은 범죄 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다.

 

정치 종교 사상적 이유로 불특정 다수의 목숨을 노리는 테러는 ‘국경 없는 전쟁’으로 일컬어진다. 그런 점에서 테러 방지는 단순히 인명 보호 차원을 넘어 국가안보와 직결된 사안으로 봐야 한다. 만에 하나 G20 정상회의를 겨냥한 테러가 국내에서 발생한다고 상상해 보라. 정부가 테러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하지만 국회도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국회는 출입국관리법 개정안을 미루지 말고 바로 처리하라.

 

 

[조선일보 사설-20100303수] '정크푸드' 표시제 도입 머뭇머뭇할 일 아니다

 

고(高)열량 저(低)영양 식품을 말하는 정크푸드(junk foods·쓰레기음식)를 소비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겉 포장에 표시하자는 '정크푸드 표시제'가 식품업계 반발로 표류하고 있다. 정크푸드는 지방·설탕·소금·인공첨가물 등이 많이 들어 있고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미네랄 등은 거의 없는 식품이다. 정크푸드를 많이 먹으면 소아비만이 되기 쉽고 지방간·고혈압·당뇨·심장질환 등 성인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표시제는 식품 관련 복잡한 기준이나 포함 성분 등을 몰라도 건강에 괜찮은 식품인지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해줘 소비자의 알 권리에 부합하는 제도다. 그러나 "제품에 낙인(烙印)을 찍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식품업계의 강한 반발 때문에 시행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어릴 때 과체중이면 성인이 돼서도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고 성인병 위험이 훨씬 커진다며 어린이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이라고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 초·중·고생 비만율은 1997년 5.8%에서 10년 만에 10.9%로 증가했다. 과체중까지 포함하면 30%가 넘고, 그 증가율은 미국의 세 배에 달한다.

 

미국 오바마 정부의 경우 지난달 '아동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올해 안으로 법안을 마련해 콜라·초콜릿·감자튀김 등 정크푸드를 학교에서 완전히 퇴출시키겠다는 것이다. 대만은 2011년부터 정크푸드에 세금을 물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식품 100g당 지방이 20g, 당분 12.5g, 소금 1.5g을 넘는 식품에 빨간색으로 표시하는 '식품신호등'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2008년 제정한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당초 오후 5~9시의 4시간 동안 정크푸드의 TV 광고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식품업계와 방송사들의 반대에 밀려 지난 1월 발효된 법 시행령은 오후 5~7시 사이에만 TV 광고를 금지하도록 했다.

 

식품업계는 규제를 탓하기 전에 어린이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업 이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가 업계 눈치를 보면서 정크푸드 표시제 도입에 머뭇머뭇하는 것은 국민 건강을 우선시해야 할 정부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

 

 

[서울신문 사설-20100303수] 공무원 시간외수당 또다른 나눠먹기 안돼야

 

정부가 공직사회의 ‘눈먼 돈’ 비판을 받아온 시간외근무수당의 지급 방식을 개선한다고 한다.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지급하는 현행 방식을 앞으로는 초과근무시간 중 수행한 업무의 실적을 엄격히 평가해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는 것이다. 시간외수당을 사실상 폐지하고 이를 성과급으로 전환하겠다는 뜻이다. 우선 다음 달부터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법무부, 국세청, 강원도, 서울 성북구, 서울 초·중·고 등 16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교육기관 등에서 석 달간 시범실시할 방침이라고 한다. 결과가 좋으면 하반기쯤 법령 개정을 통해 시간외수당 지급 방식을 전면 개편한다는 게 골자다.

 

시간외수당은 공무원의 수당 가운데 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보수(報酬) 항목이다. 대다수 공무원들은 교묘한 수법으로 초과근무를 한 것처럼 속여 부당하게 수당을 챙겨 왔다. 이 돈을 못 타먹는 공무원은 바보 취급을 받을 정도다. 워낙 집단적·조직적이라 부처나 지자체 단위의 감사는 하나마나였고, 감사원 감사로 그나마 빙산의 일각이 이따금 드러났을 뿐이다. 이렇게 술술 새는 예산이 한 해에 수천억원에 이른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부당 수령 공무원과 관리·감독 책임을 진 상급자에 대해 형사처벌 및 인사 불이익을 주도록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이번에도 비난을 피할 목적으로 지급 명목만 살짝 바꾸고 책정 예산을 모두 집행하는, 이른바 변형 나눠먹기라면 곤란하다. 이렇게 되면 또 국민을 속이는, 말 그대로 ‘눈가리고 아웅’식이거나 ‘조삼모사’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책정한 예산을 몽땅 집행해서 결국 줄 것 다 주는 방식이 아니라 기왕 개선하려면 확실하게 예산을 절약해야 할 것이다.

 

무분별한 시간외수당 지급으로 예산 낭비를 막으려면 시범운용부터 제대로 실시해야 한다. 우선 근무의 성과측정 기준을 엄정하고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행안부가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을 만들고 구체적인 성과측정을 부처·기관별 자율에 맡겨서는 소기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상급자의 자의적인 성과평가가 있을 수 있고, 연공서열에 따라 배분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서다. 따라서 근무확인 및 평가과정에 대한 제3기관의 검증절차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303수] 저작권 공정이용제 조기도입이 바람직하다

 

저작권 분쟁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가 연내 시행을 목표로 중재제도, 공정이용제 도입 등 저작권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저작권자의 이익을 크게 침해하지 않으면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이용제다. 그동안 공정이용제의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미비해 일상의 많은 행위들이 알게 모르게 저작권 소송의 위험을 안고 있는 것이 지금의 우리 현실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이 제대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선 그 누구도 이견이 없을 것이다. 문제는 합법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또한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이다. 특히 요즘처럼 기술이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이용 환경의 변화에 법이 제대로 대응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한마디로 권리자에 대한 보호 측면과 이용자의 이용 환경이라는 측면간 균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문화부가 공정이용제를 조기에 도입하려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개인적인 사용을 위한 복제행위를 포괄적인 면책대상으로 규정해 놓는 등 그 책임 여부가 불분명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다 보니 권리자는 이를 좁게 해석하려 들고, 이용자는 넓게 해석하려는 경향이어서 갈등과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로 가수 손담비씨의 "미쳤어"를 따라부른 어린이 동영상 UCC가 저작권 침해 논란에 휩싸이는 등 이런 사례들은 일상에서 비일비재(非一非再)하게 일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법무법인의 저작권 위반관련 고소 남용으로 청소년들의 전과자 양산 가능성이 사회적인 문제로 번지기도 했다.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청소년 고소장 각하제를 통해 이를 막고는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저작권의 합리적 이용 범위에 대한 공정이용제의 정착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다.

 

우리는 정부가 공정이용제를 저작권법 개정안에 구체화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본다. 공정이용의 범위에 해당하는 알기 쉬운 사례 발굴 등 합법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홍보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303수] 서울시 의료관광 활성화, 정부도 적극 지원을

 

서울시가 어제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건강검진, 피부, 성형, 한방, 치과 등 5개 분야 협력 의료기관을 선정해 공신력을 높이고 의료관광 상품 개발과 해외 홍보마케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외국의 고급 환자들이 한국에 와서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받고 관광도 즐기도록 하는 건 경제적 측면에서나 국가 브랜드 제고 차원에서나 만시지탄의 발상이다. 일반 관광객이 보통 1인당 100만원 정도를 쓰는 데 비해 의료관광의 경우 평균 374만원을 지출한다는 통계만으로도 그 중요성은 충분히 입증된다.

 

문제는 의료관광객 유치가 늘 말만 요란했지 눈에 보이는 변화가 미미하다는 점이다. 의료 수준에서 한국보다 결코 나을 게 없는 싱가포르, 태국에 외국 환자들을 뺏기고 있다는 사실은 수없이 들어온 얘기다. 한국을 찾는 외국 환자 수가 작년 5만명에서 올해 7만명까지 늘어났다지만 연간 40만명 이상을 끌어들이는 싱가포르와는 비교가 안 된다.

 

물론 외국 환자를 유치, 알선할 수 있도록 한 의료법이 지난해 5월에야 간신히 개정된 상태이니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이르다. 하지만 중앙정부나 지자체들도 식상한 대책만 되풀이할 게 아니라 좀 더 적극적으로 문제점을 찾아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가령 이웃나라인 중국만 해도 한국 의료관광 수요가 엄청난데도 불구하고 비자 발급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불법체류의 염려를 모르는 바 아니지만 고급 관광객에 대해선 선별적으로 우대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해선 가만히 앉아서 환자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수동적 태도도 달라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시가 KOTRA와 공동으로 수출상담회 참석차 방한한 유망 바이어를 대상으로 메디컬 서비스 체험단을 운영키로 한 것은 좋은 아이디어라고 본다. 의료서비스도 수출 시장을 개척하듯 앞으로 적극적인 홍보마케팅 기법을 더 개발해내야 할 것이다.

 

의료관광은 단순히 의사들의 수입을 늘려 준다는 좁은 시각으로 볼 일이 아니다. 산업구조 측면에서 내수시장 확대의 핵심이라 할 서비스 활성화와 직결돼 있고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도 제조업보다 뛰어나다. 세계적 수준이라고 자랑만 해 온 의료 서비스를 언제까지 좁은 국내 시장에 가둬놓아선 안 된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김남중(논설위원)-20100303수] 하숙 보증금

 

‘하숙집’에 대한 기록이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있는 걸 보면 하숙(下宿)의 연원은 꽤나 깊다. 하숙의 의미가 타향살이하는 사람의 숙식(宿食) 해결만은 아니었던 건 예나 지금이나다. 색다른 관계와 경험의 공간이기도 했다. 영국의 대문호 셰익스피어는 일부러 런던 뒷골목의 외국인 하숙생이 많은 프랑스 이민자 가정에서 하숙했다. 400여 년 전 ‘오셀로’ ‘리어왕’ ‘한여름 밤의 꿈’ 같은 작품을 쓰던 시기였다. 이민자에 대한 관찰과 이국적 분위기에서 이끌어낸 상상력, 하숙집 주인이 운영했던 가게 덕에 얻은 머리 장식물 지식 등 하숙 당시 경험이 작품에 녹아든 것은 물론이다(찰스 니콜, 『실버 스트리트의 하숙인 셰익스피어』).

 

쏠쏠한 낭만과 재미는 하숙 생활의 또 다른 매력이다.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진 않지만 시트콤 방송 ‘지붕 뚫고 하이킥’에 나오는 김자옥의 한옥집 하숙생들의 좌충우돌을 봐도 그렇다. 하숙생과 하숙집 딸과의 로맨스도 동서고금이 별반 다르지 않다. 빈센트 반 고흐가 스무 살 무렵 런던 하숙집 주인의 딸을 열렬히 사랑했지만 이뤄지지 않아 깊은 상처를 입고 방황했다는 건 익히 알려진 얘기다. 중국 황소의 난 때 격문을 써서 이름을 날린 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당나라 유학 시절 자신을 짝사랑하던 하숙집 딸에게 시(詩) 한 수를 지어주었다는 얘기도 야사(野史)에 전한다.

 

하숙은 뭐니 뭐니 해도 대학가의 뿌리 깊은 문화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묘사한 대학 하숙촌 풍경도 그걸 보여주는 예다. “대학이 있는 동네의 하숙집 주인들은 학생들의 수가 1000명이 넘으면 축제 소동을 벌이고, 2000명에 이르면 횃불 행렬까지 했다”는 거다.

 

다만 하숙비 부담이 늘 학생을 괴롭힌다는 게 문제다. 중세 유럽 대학의 학생들도 마찬가지였던 모양이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가 칙서(勅書)에서 하숙비를 책정하는 권리가 학생에게 있음을 강조했을 정도다. 14세기 중반부터 볼로냐대학 등 여러 대학 학생들이 ‘우니베르시타스’라는 학생 조합을 만들어 무능 교수 비판과 함께 하숙비 인상에 저항하기도 했다.

 

올봄 한국 대학가 하숙촌에 ‘하숙 보증금’이 등장했다고 한다. 학생이 중간에 나가면 떼겠다며 몇 달 치 하숙비인 50만~200만원을 미리 받는다는 거다. 하숙집 인심 좋다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될지 싶다. 이래저래 학생·학부모 등골만 더 휘게 생겼으니 딱한 노릇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이승철(논설위원)-20100303수] 한·일 사이버 대전

 

‘13시00분 디시인사이드부대를 중심으로 7~9개 여단급의 한국군이 적 본진(2ch) 강습. 13시03분 2ch 본부 궤멸. 13시07분 2ch 거의 모든 기지 궤멸. 13시08분 2ch 기지 변경. 13시10분 2ch 임시 기지 강습, 힘 분산으로 2ch 본진 복구 중. 13시24분 2ch 서버 부활, 한국 강습군 혼란. 13시32분 대열유지. 13시34분 2ch 서버 2개 남기고 모두 폭파.’

 

3·1절이었던 그제 한국 네티즌 수만명이 일본의 최대 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이자 대표적 반한 커뮤니티가 있는 ‘2ch’를 초토화하는 과정을 정리한 내용 중 일부분이다. 전열을 정비한 일본 네티즌들은 이날 오후 6시 보복에 나서 청와대와 민간 사이버 외교사절단인 반크를 공격해 반크를 한 시간여 동안 마비시켰다.

 

일본 네티즌들이 2ch에 지난달 중순 러시아에서 살해당한 한국인 유학생을 비하한 데 이어 피겨 선수 김연아가 밴쿠버 동계 올림픽 쇼트 프로그램에서 일본의 아사다 마오를 이기자 심판 매수, 판정 조작을 주장하는 글을 올린 것이 발단이다. 이에 한국 네티즌들은 지난달 23일 카페를 만들어 회원을 모집해 이날 일제히 2ch 공격에 나선 것이다.

 

사실 한·일의 네티즌 싸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04년 1월 일본 고위관리들의 망언과 독도 우표 발행 문제로 양국 네티즌 사이에 ‘사이버 임진왜란’이 벌어진 이후 한국과 일본 네티즌들의 싸움은 연례행사가 되다시피 하고 있다. 그 중에는 허무맹랑한 내용이 많다. 공격 방법은 단순하다. 사이트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이번처럼 F5(새로 고침) 키를 연속적으로 눌러 해당 사이트의 접속량을 늘리면 된다.

 

사이버 공간은 전쟁터가 될 수도 있고 화해의 장이 될 수도 있다. 쓰촨 대지진이 발생한 후 한·중·일 3국 논설위원들이 서울에 모인 적이 있다. 당시 중국과 일본 논설위원들이 서로 고마워하는 장면을 봤다. 중국 칭다오의 한 네티즌이 일본의 구호활동에 감사한다고 올린 글로 인해 양국 관계가 가까워졌다는 설명이었다. 그런데 한·중 간에는 묘한 기류가 흘렀다. 한국의 한 네티즌이 쓰촨 대지진을 티베트 문제와 연결시켜 ‘천벌’ 운운한 것의 여파였다. 사이버 싸움이 실제 국가 관계에 악영향을 미친 것이다. 한·일 사이버 대전의 승리를 전하는 인터넷 글들을 보면서 파장을 우려한다.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이연선(증권부 기자)-201003030수] 겉만 화려한 브랜드 경쟁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지만 요즘 증권회사 광고들을 보면 찜찜한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연예인이 등장하는 증권사 CF광고가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 투자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그저 세련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데만 급급하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유명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쓰는 경우가 드물다. 신뢰가 목숨처럼 중요한 데 특정 모델 개인에게 금융회사 이미지를 맡기기에는 위험부담이 큰데다 굳이 몸값이 비싼 모델을 쓸 이유도 없다.

 

하지만 자본시장법 도입을 계기로 이런 사정은 달라졌다. 증권사들이 광고경쟁에 시동을 건 것은 지난해 8월 증권사들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에 지급결제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부터다. 은행의 급여통장 고객을 증권사로 빼오려면 일반인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게 필요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올 1월부터 펀드판매사이동제가 도입된 후에는 증권사들의 CF 경쟁은 더욱 뜨거워졌다. 영화배우ㆍ가수ㆍ코미디언 등이 등장한 데 이어 최근에는 만화가ㆍ동시통역사 등으로 다변화(?)되는 모습이다.

 

아울러 기존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다시 포장하는 과정에서 브랜드 작명 경쟁도 불붙기 시작했다. 마치 5~6년 전 부동산시장 버블 당시 대형 건설회사들이 앞다퉈 수억원짜리 브랜드와 모델들을 내세우고 중소형 건설회사들도 여기에 가세했던 행태가 여의도에서도 되풀이는 것 같다.

 

하지만 내실은 별로라는 생각이다. 증권업계가 '자신들만의 리그'를 벌이는 동안 40조원까지 바짝 늘어났던 CMA 잔액은 37조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펀드판매사 '바꿔 바꿔'를 외치면서 펀드를 이동한 고객에게 상품권까지 나눠줬지만 정작 판매회사를 갈아탄 펀드 규모는 1,000억원에 불과하다.

 

물론 서비스 도입 초기에는 당연히 경쟁이 펼쳐진다. 그러나 지나친 경쟁은 독(毒)이다. 일부 건설업체들은 한때 간판급 스타와 CF계약에 성공했다며 쾌재를 불렀지만 지금은 구조조정의 칼날 아래 땅을 치며 후회하고 있다.




인간이 갖고 있는 가장 소중한 것 중의 하나가 언어이다
인간은 이 언어가 있기에 사상을 만들고 문화를 만들고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모든 문학작품도 이 언어를 문자화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의 힘은 놀라운 것이다
한마디의 말로 소망을 얻고 삶의 모습과 목적이
달라지고 한 마디의 말로 절망하고 포기하기도 한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하다'는 표현을 자주 쓰고,
불행한 사람은 '불행하다'는 표현을 자주 쓴다
기쁨이 넘치는 사람은 '기쁘다'는 표현을 자주 쓰고
슬픈 사람은 '슬프다'는 표현을 자주 쓴다

현재 삶이 어떤 모습인가를 알려고 한다면
근래에 자신의 언어표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무슨 말을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알게 된다

언어는 언어를 표현하는 사람의 인격을 나타낸다
말하는 솜씨, 어투,말의 내용이 그 사람의 삶을
표현해준다

유머를 잘 쓰는 사람은 인간관계가 좋고 사귐이
잘 이루어지고 리더 역활을 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화를 할 때는 상대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분명하게 표현 해야 한다

우리의 주변에는 바로 이 언어의 상처를
받은 사람들이 많다
사랑의 언어, 기쁨의 언어, 행복의 언어를
나눔으로 언어의 힘을 선하게 또한 놀랍게
발휘하는 지혜를 기르자


【 용혜원 / 우리 서로 행복할 수 있다면 中에서】


위대한 성취를 이뤄낸 사람들의 공통점 


성공을 이뤄낸 유명인사들의 어린 시절을 수십 년에 걸쳐 탐구한 결과,

그들에게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


그것은 그들 모두 어린 시절 넘지 못할 거대한 장애물에
가로막혀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그들이 맞닥뜨린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인 장애물은
오히려 성공을 위한 강한 자극제가 되어주었다.


만약 그들에게 뛰어넘어야 할 문제가 전혀 없었다면
그렇게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다.

 

-  미국영재교육협회 회장을 지낸 빅터(Victor)& 밀브레드(Mildred) 고어츨(Goertzel) 부부

서로가 중요시 여기는 부분에서 성숙하느냐가 중요

 

점점 연상연하 커플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여기서 말하는 연상연하의 연애는 물론 누나와 동생의 연애를 뜻한다.

 

만약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나이가 많은 연상일 경우 당신은 어떻게 해야 할까?

 

그렇다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연상을 유혹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첫 번째, 먼저 누나를 누나로 부르지 않는 것부터 시작하자. 말이 씨가 된다는 말이 있다. 자꾸 “누나! 누나!” 할수록 당신과 그녀 사이엔 알 수 없는 벽이 존재하게 되고 정말 그렇게 되어 간다. 본인 스스로 자신을 동생처럼 느껴지게 만들 필요는 없다. 존댓말을 사용하되 상대방을 부를 때 누나라고 부르지는 마라. 어차피 그녀는 누나가 아닌 한 여자이지 않았던가?(조금 건방지더라도 양해를 구하고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더 나은 전략이 된다)

 

 

 



▲ 두 번째, 나이로 극복할 수 없는 부분을 다른 부분을 통해 극복하도록 하자. 매너와 자상함을 겸비하라. 적당한 어른스러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매너와 자상함을 통해 어리다는 편견을 깨어 버리도록 하자. 그녀에게 의지하려 하지 마라. 누나라고 해서 항상 당신의 의지 상대가 될 순 없다. 상대방은 정장, 당신은 캐주얼. 만약 상대방이 정장 스타일이라면 당신도 정장 스타일로 맞추어 입는 노력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스타일의 차이가 세대차이를 실감나게 만든다.
세대차이 난다는 말을 하지 마라. 그 말이 습관이 되면 곧 그 말이 현실이 된다. 그녀의 말과 고민을 진지한 자세로 들어주어라. 어쩌면 당신이 유일하게 어른스러워 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상대방이 의지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라. 여자는 수동적이며 의지하고 싶어한다. 오히려 당신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여자에게 의지하려 해선 안 된다. 여자는 남자의 넓은 가슴이 필요하나 당신이 마냥 어리게만 느껴진다면 애인으로 발전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사귀기 전엔 그녀의 친구들과 만나지 마라. 친구의 60% 이상이 당신과 헤어질 것을 강요하거나 어리다는 이유로 사귐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 세 번째, “사랑에 나이 차이는 아무것도 아니야!” 최면을 걸어라! 연하인 당신을 만났지만 당신이 연하란 생각이 들지 못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으론 최면요법이 있다. 상대방에게 나이차를 극복할 수 있는 최면을 걸어라. “이 정도면 어려도 괜찮지!” “나이 많다고 다는 아니야!” “저 남자는 나이도 많으면서 철이 없는 것 같아! 나는 안 그런데!” “가만히 보니 내가 더 오빠 같네!” “네가 더 어린 것 같다!” 자신이 어리다는 이유를 상대방이 이해해줘야 하며 그러한 점을 극복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안겨 줘선 안 된다. “제가 어리고 아는 것도 없고 가진 것도 없지만 좀 받아 주세요…” 당신은 이 같은 전략을 실천에 옮김으로 인해서 무턱대고 돌진할 때 보다 많은 리스크를 줄이게 되고, 연상과의 연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서서히 연상연하의 장벽을 자연스럽게 무너뜨릴 사랑이란 감정이 싹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난 아직 어리니까’ 연하들의 이런 핑계에 질려 연하와의 연애를 접는다는 사실을 연하들이여 제발 잊지 말길 바란다.


어떤 일을 망치는 가장 큰 원인은 두려움이다.

이 두려움이 갖가지 변명거리를 만들어내며

우리를 뒷걸음치게 만든다.

그리고 이 두려움은 누가 우리에게 준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고든 리빙스턴 / 너무 일찍 나이들어버린, 너무 늦게 깨달아버린



젊은 시절은 낭비의 연속입니다.

얼마나 멋지게 그 시간을 낭비했는가?

그것만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학창 시절의 방과 후는

그렇게 낭비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정신없이 사랑과 우정에 빠져드는 것이 좋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야마다 에이미 / 방과 후의 음표 작가의 말 中



여러분들은 가정법 과거완료형의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

인생을 살기 바래요.

내가 거길 갔었더라면, 열심히 노력했더라면,

좀더 공부했다면, 등등.

젊은 여러분에게 이런 문장은 어울리지 않겠지요?

다음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오늘 하루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 생각해봐요.


정미경 / 이상한 슬픔의 원더랜드 中



열심히 무슨일을 하든, 아무일도 하지 않든

스무살은 곧 지나간다.

스무살의 하늘과

스무살의 바람과

스무살의 눈빛은

우리를 세월 속으로 밀어넣고

저희들끼리만 저만치 등 뒤에 남게 되는 것이다.

남 몰래 흘리는 눈물보다도

더 빨리 우리의 기억속에서 마르는 스무살이 지나가고 나면,

스물 한 살이 오는것이 아니라

스무살 이후가 온다.


스무살 - 김연수



20대에는 모든 것에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촌스러운 스타일과 수많은 시행착오의 흔적으로

다 상해 버린 머릿결을 하고


헤어진 남자친구에게 울고 매달리며

술을 마시고 거리에서 오바이트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20대에는 그 어떤 것도 성공할 필요가 없다.

어떤 것을 이루든 20대에 이루어진 것은

손안의 모래처럼 다시 사라질 테니.

이뤄 놓은 것이 없다면 아쉬워하지 말고 차라리 더 많이 실패해라.

쇼핑에도, 헤어스타일에도, 사랑에도, 꿈에도,

수많은 시도 끝에 나에게 잘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찾아내듯이,

당신의 실패는 성공을 위한 기반이 된다.

20대의 가장 큰 특권은 바로 실패할 수 있는 자유다.


자신이 깨닫지 못하는 문제로 고통받고 있을 수도 있고

자신이 가늠하지 못할 정도로 상처받을 수도 있다.

우리는 자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는 삶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시험지를 벗어난 대부분의 문제엔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끊임없이 '어떻게 해야 할까?'라며 정답을 구하지만

삶에 정해진 모범답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선택한 삶을 마주할 용기가 있다면

그것이 모범답안일 것이다.


100% 스무살 / 김수현









2010년 3월 2일 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302화] 국민 분열과 대립 부추길 세종시 국민투표

 

세종시 논란을 국민투표로 매듭짓자는 주장이 커지는 분위기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나라당 의원총회가 중진협의체에 넘긴 세종시 문제 논의가 끝내 결론을 내지 못할 경우, 이 대통령이 '중대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하는 논란에 답답함을 표현하면서 여당 중진협의체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어제 이명박 대통령의 3ㆍ1절 기념사는 국민투표가 단순히 검토 가능한 절차의 하나가 아닐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고 단결과 화합으로 나아갈 것을 호소했다."지금 우리가 국가 백년대계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다"며"작은 차이를 넘어 최종 결과에 승복함으로써 커다란 조화를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이 아닌 국민의 의견 차이와, 결과에 대한 승복을 강조한 것은 국민투표를 염두에 둔 발언일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와 여당 친이계가 국민투표 해법에 끌리는 것은 충분히 그럴 만하다. 이 대통령의 결단의 산물인 세종시 수정안이 친박계의 반대에 묶여 있는 교착상태를 타개할 길이 도무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답답하다고 통상적 절차 대신 비상한 절차를 섣불리 거론해서는 안 된다.

 

국민투표는 결코 일반적 절차가 아니다. 정부수립 이래 다섯 차례 국민투표가 실시됐으나 개헌안이 아닌 정책에 관한 국민투표는 1975년 한 차례뿐이었다. 그것도 통치자의 의지가 국민의 뜻을 짓누른 유신헌법의 존속 여부를 물은'개헌 관련'투표였다.

 

세종시 수정안의 국민투표 회부가 헌법 72조가 규정한 '외교ㆍ국방ㆍ통일 기타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에 해당하는지를 둘러싼 논란만으로도 나라가 한층 시끄럽게 되기 십상이다. 대통령의 재량권을 강조하는 쪽과 엄격한 헌법해석을 주장하는 쪽의 다툼은 생각만해도 머리가 아프다. 국민투표는 갈등 해소의 비법이 되기는커녕 새로운 갈등을 부추길 것을 깨달아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302화] 지방정부와 지역주민 말려 죽이는 ‘부자감세’

 

이명박 정부의 감세정책으로 지방교부금이 줄어들어, 지방재정이 악화하고 지역주민의 복지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 자료를 보면,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교부금 감소 등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세수가 무려 30조원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로 가다간 파산하는 지방정부가 나오고, 끼니도 제대로 잇지 못하는 빈곤층이 늘어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런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이명박 정부의 ‘부자감세’에 있다. 이 정부는 출범하자마자 부동산 부자들에게 부과하던 종합부동산세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기업 프렌들리’를 내세우며 대기업 세금을 깎아주는 등 ‘부자 감세’를 강행했다. 그 결과 중앙정부의 세수가 감소하고 자연히 지방으로 내려가는 지방교부금도 격감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가뜩이나 재정난에 허덕이는 지방정부를 파산 직전으로 몰아가고 있다.

 

지방재정이 악화되면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빈곤층이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다. 실제로 올해부터 빈곤층을 지원할 돈이 없이 법적으로 지원하게 돼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을 예산에 반영하지 못한 지방정부도 있었다. 부동산 부자들의 주머니는 두둑이 채워주면서 하루 세 끼 먹기도 힘든 빈곤층의 생계비까지 삭감하게 하는 이 정부가 누구를 위한 정부인지 그 성격이 명확히 드러난 셈이다. 말로는 친서민 운운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서민들의 삶을 피폐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해결책은 정부가 감세정책을 거두어들이는 방법밖에 없다. 지방정부 세수 증대를 위해 지방소비세를 도입했지만, 그것만으로는 감세정책으로 인한 세수 감소를 보완할 수 없다는 게 판명됐다. 경제력의 대부분이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 있는 상황에서 지방정부가 자력으로 재정을 확충하길 기대하기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은 중앙정부가 경제적 여유 계층과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는 대기업 등에서 세금을 더 거두어 지방정부를 지원하는 게 현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물론 지방정부의 도덕적 해이도 뿌리뽑아야 한다. 적잖은 지방정부가 부족한 예산을 호화청사 신축 등 엉뚱한 곳에 써왔던 것도 사실이다.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필요한 만큼의 지원은 해주되 낭비적인 요소가 없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을 해야 할 것이다. 재정수입 증대를 위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동아일보 사설-20100302화] 자영업 과잉, 기업형 일자리 못 만드는 탓 크다

 

국내 자영업자는 작년 말 551만4000명으로 통계조사가 시작된 1999년 이후 가장 적었다. 작년 한 해 26만5000명이 감소해 일용직(19만1000명)보다 더 많이 줄었다. 경쟁이 심한 데다 경기불황 여파로 휴폐업이 급증한 탓이다. 문을 열어놓고 있지만 적자를 본다는 소상공인이 10명 중 6명을 넘는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인구 대비 음식점 숙박업체 소매업체 수가 미국의 4.5배다.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의 비중도 3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6%의 두 배다. 시장 규모에 비해 업체와 종사자가 지나치게 많다 보니 과당경쟁과 만성불황에 시달린다. 통신 택배 신용카드 업체들의 출혈경쟁도 계속되고 있다. 그야말로 경쟁은 극심하고 수익성은 떨어지는 레드오션(red ocean)이다.

 

저부가가치 저성장 분야인 자영업으로 사람이 몰리는 것은 기업형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에 진입하기가 지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국의 서비스업 시장장벽 지수(높을수록 장벽이 높다는 의미)가 1.36으로 미국(1.06) 캐나다(1.07) 일본(1.11) 등보다 훨씬 높다고 밝혔다.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우 불필요한 규제가 지나치게 많아 낙후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적했다.

 

키아라 크리스쿠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월 서울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한국의 서비스업에 대한 지나친 규제와 낮은 생산성은 결과적으로 제조업 등 다른 산업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OECD 최하위인 한국 서비스산업이 진입개방과 투자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높인다면 좋은 일자리가 더 만들어지고 제조업에서 더 많은 글로벌 챔피언이 나올 수 있다.

 

정부는 작년 이해관계자들의 반발로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공청회도 열지 못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이 약속대로 서비스산업에서 고용창출 동력을 찾으려면 상반기 중 국회에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없애는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에서도 외국 영리의료법인이 허용되지 않는 현실을 타개하지 못하고는 서비스산업의 선진화를 이루기 어렵다. 서비스산업의 수출경쟁력을 키워야만 중국 인도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할 수 있다.

 

 

[조선일보 사설-20100302화] 북한은 '南 주민 불법 입북' 사건 내용 공개하라

 

북한이 지난달 26일 "우리 공화국에 불법 입국한 남조선 주민 4명을 단속해 조사중"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사흘이 지난 1일까지도 북한은 대한민국 국민 누가, 언제, 어떤 경로로 불법 입국했다는 것인지 사실관계를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도 "철저히 조사했지만 잡히는 게 없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선 우리 국민의 북한 불법 입국은 수수께끼라고 할 수밖에 없다. 북한이 아무리 어처구니없는 일을 예사로 한다지만 이렇게 중대한 일을, 그것도 언젠가는 진위(眞僞)가 밝혀질 일을 지어내기야 했겠느냐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북·중 국경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북한인권단체나 선교단체, 탈북자단체 어느 곳에서도 "우리 쪽엔 그런 사람이 없다"고 하고 있다. 한 민간단체 관계자는 "최근 통화한 북한 국경지대 당국자도 이번 발표와 관련해 아무 소문도 듣지 못했다고 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자신들이 발표한 남한 국민 '불법 입북' 사건의 진상을 당장 공개하고, 그가 지금 어디에서 어떤 상태로 조사받고 있는지도 낱낱이 밝혀야 한다. '영사(領事)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의 정신은 외국인 구금(拘禁)을 스스로 공개하면 그의 소속 국가에 사실을 알려 영사 보호 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북한도 이 협약에 가입해 있다. 이런 국제적 상식(常識)을 따질 필요도 없이 북한은 입만 열면 '우리 민족끼리'를 외쳐대면서 동포의 안전이 걸린 문제를 이렇게 무성의하고 일방적으로 다뤄서는 안 된다.

 

북한 발표가 사실이라면 우리 정부의 자국민(自國民) 보호 기능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말이 된다. 정부는 2일 개성공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리는 남북 당국간 접촉에서 국민의 안위(安危)가 걸린 이번 일을 엄중하게 따져 북측에 사실 규명을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정부는 국제적십자사 등 국제기구를 통해 다각적으로 진실 규명에 나설 필요도 있다.

 

 

[서울신문 사설-20100302화] 준비된 칠레, 준비 안된 아이티 우린 어떤가

 

지난달 27일 남미 칠레를 강타한 규모 8.8의 강진으로 1일까지 최소 700여명이 사망하고, 2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진앙과 가까운 제2의 도시 콘셉시온은 쑥대밭이 됐고, 수도 산티아고에도 피해가 속출했다. 강도 4.9~6.9의 여진이 100여차례 계속되면서 주민들은 집에도 들어가지 못하고 임시수용소에서 불안에 떨고 있다. 국제사회는 서둘러 긴급구호에 나섰으며, 우리 정부도 신속한 지원 방침을 밝혔다.

 

올 들어 한 달 보름 간격으로 아이티와 칠레를 덮친 대지진의 재앙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곳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던져준다. 자연재해의 위력에 대한 경각심은 두말할 나위 없고, 똑같은 천재지변이라도 준비된 상태와 준비 안 된 상태에서의 피해 규모는 천양지차라는 생생한 경험칙이다. 칠레 지진은 아이티 지진(7.0)보다 위력이 800~1000배나 크지만 인명피해는 아이티 지진 사망자 30만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적다. 이런 차이는 진원의 깊이 등 지질학적 요인도 있지만 지진에 대한 칠레의 국가적 대비가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1973년 이후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13번이나 발생한 칠레는 건물 내진 시공을 의무화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대응훈련을 생활화하는 한편 최고 수준의 지진 전문가를 확보하고 있다. 반면 19세기 이후 지진이 없었던 아이티는 사실상 지진 무방비 상태였다.

 

우리나라는 1978년 지진관측 이래 규모 5 이상의 강진이 5번 발생했고, 최근에는 규모 6 이상의 강진 발생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1988년 도입된 내진설계 규정의 적용 비율은 전체 건물의 10%에 불과하다. 지난달 25일 열린 국내 첫 지진 대응 포럼에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내진 대비책 마련과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칠레와 아이티 사이에서 우리가 갈 길은 분명하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302화] 방통기금 운용 부처간 갈등 극복이 과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스마트폰 투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방송통신발전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이 법에 의해 조성되는 방송통신발전기금의 일부를 스마트폰 활성화(活性化)에 돌리기로 한 것이다. 방송통신시장의 규제나 요금 등을 주로 다루는 방통위가 모바일 시장 육성을 위해 스마트폰 투자에 주목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사실 방통위로서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과 기금을 애타게 기다려왔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맞춰 방통위를 발족시킨 지 2년이 지나도록 법적 토대와 기금이라는 골격이 그동안 제대로 마련되지 못해왔던 탓이다. 그런 만큼 앞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얼마나 속도를 낼지가 관심이다.

 

방송통신발전기본법은 '방송법'과 '전기통신법''정보화촉진기본법' 등에 분산돼 있던 방송통신 관련 규제와 진흥업무 등을 한데 모은 것으로 방송통신발전기금은 이에 근거한다. 정부부처 개편과 함께 지식경제부 관리로 들어간 정보통신진흥기금의 주파수 할당 대가와, 기존의 방송발전기금을 통합한 이 기금은 1조3000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두말할 것도 없이 이 거대한 기금을 방통위가 제대로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일단 방통위는 이 기금을 방송통신 연구개발과 표준 제정 및 보급 등의 용도에 사용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문제는 방통위가 산업진흥 쪽으로 지나치게 영역을 확대할 경우다. 그동안 방송통신발전기본법 및 기금이 진통을 겪은 것은 부처 간 이해관계 때문이었다. 방통위와 지경부는 기금을 놓고, 방통위와 문화부는 방송콘텐츠를 두고 각각 적지 않은 다툼을 벌였던 것이다. 그 결과 입법 과정에서도 어정쩡하게 봉합된 부분이 있어 부처 간 갈등이 재연될 소지는 아직도 남아 있다.

 

우리나라가 모바일 시장 등의 변화에 적기에 대응하지 못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부처 간 갈등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런 일이 앞으로 반복돼선 안 된다. 방통위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과 그에 따른 방송통신발전기금이 부처 간 시너지가 십분 발휘되는 방향으로 운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302화] 李 대통령의 결단에 달린 세종시 문제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때가 되면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밝혀 시기와 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대립과 갈등으로 국민이 분열돼서는 선진화의 길을 갈 수 없다"고 역설한 것도 세종시 문제를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세종시 문제 해결에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거듭 천명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도 "지금처럼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하고 계속 흐지부지하면 (대통령이) 적절한 시점에 중대결단을 내릴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절차적으로 추진할 것이고 세종시 수정안이 되는 방향으로 할 것"이라고 언급해 이 대통령의 의지를 뒷받침했다. 중대결단의 내용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국민투표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국민투표에 부칠 경우 오는 6월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시 문제에 대해 이 대통령이 직접 정면돌파 의지를 밝힌 것은 정치권에 맡겨서는 해결이 어렵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닷새 동안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도 당론채택은커녕 좁힐 수 없는 입장차이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번주부터 가동될 중진협의체에서도 원만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분위기다.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소모적 갈등을 끝내기 위해서는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세종시 해법으로는 표결로 당론을 결정하는 방법, 박근혜 전 대표와 회동해 절충안을 도출하는 방법, 그리고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국민투표를 선택할 경우 장애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세종시 문제가 과연 헌법상 국민투표 부의 요건에 해당되느냐는 반론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정당이나 국회가 제 역할을 못하면 직접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도록 규정된 헌법 72조에 근거할 경우 국민투표에 부치는 데 법적 문제는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론조사 등에서도 국민투표로 향방을 결정하자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세종시 국민투표가 실시되면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로 변질될 가능성이 없지 않고 지역대결로 번지는 정치적 부담도 예상된다. 그러나 더 이상 세종시 문제에 따른 국론분열과 국력소모를 방치할 수 없다는 점에서 어떤 형태로든 이 대통령의 결단이 절실한 실정이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신예리(논설위원)-20100320화] 2등의 역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마라톤 우승 후보는 원래 아르헨티나의 후안 카를로스 자발라였다. 올림픽 2연패를 노리던 그는 처음부터 무섭게 치고 나갔다. 그를 따라잡으려고 바짝 뒤쫓은 게 우리 손기정 선수다. 이를 의식했는지 자발라는 점점 더 속도를 냈다. 그때 2위 그룹에서 함께 뛰던 영국 선수 어니스트 하퍼가 금쪽같은 충고를 던졌다. “그는 곧 지칠 겁니다. 천천히, 꾸준히 뛰세요.” 그 말에 손 선수는 자신의 평소 속도대로 달리기 시작했다. 아니나 다를까 무리한 자발라는 28㎞ 지점에서 추월당한 뒤 기권하고 말았다. 금메달은 결국 손 선수 차지가 됐다.

 

장거리 경주에서 1등으로 달리는 주자는 2등 주자보다 세 배나 더 힘들다는 실험 결과가 나온 적이 있다. 추격자를 견제하며 뛰는 선두의 자리가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일 터다. 자발라는 거기서 졌다. 반면 손 선수는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으려고 애썼다. 오로지 자기 자신과의 싸움에 충실한 끝에 값진 승리를 거뒀다.

 

얻기도 지키기도 힘든 만큼 1등이 주는 보상은 크다. 2, 3등과는 비교가 안 된다.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은 “올림픽에 나가 2등을 하면 은메달은 딴다. 그러나 정치에서 2등을 하면 잊혀진다”며 정계의 냉혹함을 지적했었다. 하지만 올림픽의 2등도 선거에서 지는 것 못지않게 괴로울 수 있다. 차라리 동메달 선수가 은메달 선수보다 더 행복하다는 ‘메달의 심리학’이 나왔을 정도다. 토머스 길로비치(코넬대) 교수팀이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은·동메달 수상자들의 시상식 표정 등을 분석해 발표한 이론이다. 동메달의 경우 ‘노 메달’을 벗어난 것 자체에 만족하지만 은메달을 딴 선수들은 금메달을 놓친 분함을 떨치지 못하더란 거다. “세계에서 단 한 명만 빼고 모두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죽도록 괴로워하는 2등의 역설”(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이다.

 

어제 폐막한 밴쿠버 겨울올림픽에서 선전을 펼친 우리 선수단이 오늘 돌아온다. 1등의 기쁨을 맛본 이도 있지만 2등 혹은 그 이하 성적으로 아쉬워하는 선수가 많을 게다. 하지만 김연아 선수의 좌우명마따나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영원한 1등도, 2등도 없으니 오만하지도 낙담하지도 말고 또 한번 미래의 도약을 준비하기 바란다. 지금 우리에겐 자신과의 힘겨운 싸움을 이겨낸 당신들 모두가 1등이요, 금메달감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박성수(논설위원)-20100302화] 문화재 경매

 

1936년 11월 국내 최초의 미술품경매장인 경성미술구락부 경매장에는 극도의 긴장감이 돌았다. 한 일본인이 국보급 도자기 한 점을 경매물건으로 내놓았기 때문이다. 경매는 500원에서 시작, 순식간에 1만원을 넘겼다. 큰 기와집 한 채가 1000원 안팎이던 시절이었다. 조선갑부 간송(澗松) 전형필이 일본 골동품 회사 대표와의 경합 끝에 낙찰받았다. 그 도자기가 국보 294호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이다.

 

국보 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구입할 당시 이야기는 더욱 극적이다. 1942년 친분있던 골동품 상인으로부터 소중한 정보를 들은 전 선생은 숨이 멎는 듯했다고 한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이 매물로 나왔는데, 책 주인이 1000원을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인 손에 들어갈 것을 우려한 그는 가격의 10배를 주고 사들여 국내 보존이 가능했다. 세종 때 발간한 <동국정운>을 비롯해 단원 김홍도, 겸재 정선, 혜원 신윤복, 추사 김정희 등의 수많은 명품서화들도 비슷한 경로로 살아 남았다고 한다.

 

문화재 경매는 개인 간 거래이기도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대응, 관리해야 할 대상이라는 의견이 많다. 국보급 문화재들이 합법적으로 해외 반출되기 때문이다. 문화재를 약탈당한 경험이 있는 나라들이 경매에 민감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해 프랑스법원은 청나라 황제 여름별궁인 원명원에서 가져온 쥐·토끼머리 동상에 대한 경매를 허용했다. 중국은 즉각 경매중단 소송을 냈지만 기각됐고, 패션디자이너 이브 생로랑 등이 소장해 온 중국문화재 경매를 강행해 외교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조선 마지막 임금인 순종의 회중시계와 명성황후의 한글 서간문이 최근 K옥션에 경매물건으로 나왔다는 소식이다. 회중시계 뒷면에는 대한제국의 문장이었던 ‘이화문(李花文)’이 새겨져 있다. 명성황후 한글 서간문은 친척 동생에게 보낸 편지묶음으로 당시 구하기 힘들었던 편지지인 시전지(詩箋紙)를 사용해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 한다.

 

문화재는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사료일 뿐 아니라 조상의 얼이 담긴 정신문화 유산이다. 국보급 문화재들이 경매를 통해 해외로 빠져 나간다면 우리 역사에 구멍이 뚫린 것과 무엇이 다른가. 관련 당국의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매일경제신문 칼럼-테마진단/한승원(소설가)-20100302화] 동계올림픽과 고급문화

 

영춘화 복수초꽃 매화꽃 산난초꽃 민들레꽃들이 한창 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하는 때에 2010년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우리 선수들은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라는 화려한 분투의 결과물을 보듬고 귀국하게 된다.

 

나는 우리 20세 전후의 신세대 선수들이 출전하는 모든 게임을 손에 땀을 쥐고 조마조마해지는 가슴을 붙안은 채 지켜보았다. 심판의 부당한 판정 때는 땅을 치며 어처구니없어 하고, 억울해 하고, 선수가 실수를 하면 아쉬워했고, 잘하면 눈물 질금거리면서 찬탄하곤 했다.

 

쇼트트랙 스케이팅은 일찍이 우리 선수들이 잘한다고 정평이 나 있었지만, 스피드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은 서구 백색인들의 잔치라고, 우리는 기껏 참가하는 데 의의를 두곤 했었다. 그 경기는 늘 패배주의와 열등감을 안겨주었었다.

 

그런데 이번 올림픽에서는 믿어지지 않은 결과가 얼음 은반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백색인들만의 잔치라고 생각했던 스피드스케이팅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거듭 따고 있었다. 요행이 아니고 피눈물 나는 분투의 결과들이었다. 그 순간에 나는 이전의 열패감에서 벗어나 손뼉을 치면서 환호할 수 있었다. 그것이 어디 나뿐이었겠는가. 한반도가 들썩거렸다. 특히 김연아가 환상적인 묘기를 바람의 여신처럼 순탄하게 해내고 있을 때, 나는 너무 고마워서 눈에 눈물이 흐르는 것을 주체할 수 없었다. 이상화와 이승훈이 스피드스케이팅에서 금메달을 향해 질주하는 것과 쇼트트랙을 아슬아슬하게 도는 우리 선수들을 보면서는 나도 모른 채 엉덩이를 들썩거려야만 했다.

 

넘칠 정도로 잘하는 저 선수들은 어디에서 저러한 기술과 저력을 쌓았을까. 선수들만의 전용 은반 경기장 하나도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훈련한 우리의 선수들이 어쩌면 저렇게 잘할 수 있을까.

 

그것은 우리 신세대 젊은이들의 자신감과 순발력과 역동성 때문 아닐까. 그 자신감과 순발력과 역동성은 어디서 왔을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와 우리 한겨레가 이루어낸 경제적인 힘이 밑받침되었기 때문 아닐까.

 

우리는 이미 IT 강국이 되었고 자동차 분야, 조선 분야, 철강 분야에서 선진국들을 앞서기 시작했다.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발전하게 되었다. 동남아에서는 드라마, 영화 등으로 한류 열풍을 일으켰고 음악, 골프, 축구, 야구 따위로는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우리 국민은 하면 할 수 있다는 자각을 가지기 시작했다. 가령 김연아의 어머니는 딸 김연아를 일곱 살 때부터 은반 위에서 놀게 하여 오늘의 김연아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그 어머니가 정경화 등 3남매를 세계적인 음악가로 키워낸 어머니처럼, 조수미의 어머니처럼, 먼 미래에 대한 용기와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문명과 문화의 먼 미래의 흐름을 미리 깊이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신세대들이 선수층이 별로 두껍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골프, 축구, 야구, 스케이팅을 잘하는 것은 그러한 어머니 아버지들의 미래를 보는 안목과 신념이 확고했기 때문이다. 이제 스포츠 문화뿐만 아니라 좀 더 고급한 정신적인 문화가 세계 속에서 활개를 치는 시기가 도래해야 한다. 우리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와 어깨를 나란히 한 채 세계 각국의 영화관을 주름잡아야 하고, 우리 시인이나 소설가들의 작품이 세계 각국의 서점을 가득 채워야 하고, 누구인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아야 한다. 이 땅의 아버지 어머니들은 먼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만큼 돈을 많이 벌어들인다는 `해리포터`의 작가보다 더 큰 새 작가를 키워내야 한다. 이제는 고급 문화의 강국이 되어야 할 차례인 것이다.

 

남의 말을 듣는 사람의 심리상태

1. 중요인물의 원리 : 사람은 누구나 중요 인물로 인정받고

신뢰받기를 원하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주목받기 원함

 

2. 들어주기의 원리 : 사람은 듣기나 충고 받기보다는

말하기나 충고하기를 좋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듣기를 잘하는 것이 말을 가장 잘 하는 것임

 

3. 정보제공의 원리 : 의문점이 생기면 곧 해결하기를 원함

뉴스거리를 추적 조사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 등

 

4. 부자의 원리 : 사람들은 더 잘 살기를 원하므로

금전적 도움이 되는 정보제공이 화제거리로 좋음

 

5. 배려의 원리 : 사람은 감독받는 것, 명령조로 말하는 것을

싫어하므로 질문을 하므로 그렇게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

 

6. 변화의 원리 : 사람들은 변화를 싫어 한다는 것입니다.

직업을 바꾼다거나 습관을 바꾸는 것을 말하지요.

 

7. 호기심의 원리 : 사람들은 호기심이 많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말을 하면 흥미를 가짐




용기가 샘솟았던 때는

내가 바라는 것의 목록을 만들고,

그것을 실현하겠다고 결심하던 순간이었다.

 

나는 내 스스로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변화를 만들어내는 대신 변화를 기다리는 것은

나약함이었다.


- '영혼을 위한 닭고기 스프' 중에서



자신의 잔향이 상대방을 고백하도록 끌어 당긴다
 
누구나 상대방에게 먼저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가 자신에게 먼저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시간을 두고, 다음의 전략 대로만 행동한다면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상대방이 자신에게 먼저 접근하도록 만들 수 있는 5가지의 전략을 배워보도록 하자. 지금껏 누군가를 쫓아다니기만 했던 당신을, 쫓김의 대상으로 만들어 주게 될 테니까.

첫째,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로 상대방에게 밝은 모습을 보여주자. 이는 당신을 기분 좋은 사람으로 만들어주고, 당신에게 다가가는 발걸음의 속도를 빠르고 가볍게 만들어 준다. 반면 너무 도도한, 인상을 찌푸린, 은연중에 상대방을 무시하는, 자주 화를 내는 사람에겐 마음이 있어도 다가가기가 힘들다.

 

 

 

둘째,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라. 다양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매력적이다. 단벌신사, 숙녀가 되지 마라. 이런 모습도 저런 모습도 보여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고정된 이미지가 줄 수 있는 매력에는 반드시 한계점이 존재한다.

셋째, 어떠한 행동에 있어서 평등하라. 잘생기고 예쁜 사람에겐 누구나 더 큰 호감을 가지고 잘해주길 마련이다. 그러나 그러한 사람에겐 보이지 않는 적들이 많다. 못생긴 사람이라도 예쁘지 않은 사람이라도 똑같이 잘해주도록 노력하라. 또한 못생긴 사람을 적으로 만들 경우 그들이 예쁜 상대방과의 연애를 방해하는 방해물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두자.

넷째, 잘난 척, 있는 척, 아는 척, ‘3척’을 배제하라. 당신이 3척하지 않아도 아는 사람들은 당신이 정말 괜찮은 사람인지 그렇지 못한 사람인지 안다. 스스로 드러낼 때 오히려 당신의 가치는 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지나친 자기 자랑은 시기심과 질투심을 유발시킨다는 사실을 명심해 둘 것.

 

 

 

다섯 째, 외로운 당신이란 뉘앙스를 풍겨라. 가끔 고독한 모습을 연출하라. 누군가 당신의 외로움 속으로 들어 올 수 있도록 혼자 있는 시간 잔잔한 눈빛으로 사색하라. 혼자 창 밖을 보며 커피를 마시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어라. “무슨 일 있니?” 라며 접근하게 만들어라. 단 절대로 애인이 있는 듯한 뉘앙스를 풍겨서는 안 된다.
 
 

참고로 만약 자신이 누군가에게 접근할 때는, 다음의 기본 접근 라인대로만 접근한다면,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 낼 수가 있을 것이다. 기본 접근 라인:관심→호의→반복→정지→궁금증→불안→고백.



인간 중에서도 젊은 여자 애는 참 이상합니다.

울기 위해 음악이 필요하다니.

도대체 '운다'는 게 어떤 걸까요.

스스로를 텅 비우는 걸까요?

그리고 그 자리를 음악으로 채우는 걸까요?


미야베 미유키



나는 혼자 사는 여자처럼 자유롭고,

결혼한 여자처럼 고독하다.

'모르는 것, 상상할 수 없는 것,

앞으로도 알지 못할 것,

그런 것들은 나를 늘 난감하게 한다.


울 준비는 되어 있다 / 에쿠니 가오리



나는 전형적이 '하녀' 형이다.

달리 그렇게 되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남자에게 인기를 얻지 못한 오랫동안의 정신적 충격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다.


나는 기본적으로 남자에게 신경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좀 냉대를 받아도

이것이 내가 있어야 할 자리구나 하고 안심하는 부분이 있다.


하야시 마리코 / 예쁘지 않으면 사는게 괴롭다.



결혼하면 대개 관계가 역전되기 때문에

아내는 남편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더 깊어지고,

남편은 아내에 대한 사랑이 현저히 옅어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많은 여자들이 남편에게

더 집착하고 안달하며 예전으로 돌아와달라고 호소한다.

그러나 그들은 점점 결혼 전만큼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지 않고

남편만 바라보는 여자에게서 흥미를 잃는다.

그리고 그는 카페에서 이어폰을 끼는 것 같은 일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결혼생활에 염증을 느끼게 된다.

결혼해서 잘 사는 그녀들은 종종

자기도 남편과 함께 이어폰을 귀에 꽂고

각자 다른 음악을 듣는 것을 즐긴다.

누구나 사람은 자신의 인생을 책임질 능력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배우자라도 말이다.


여자의 인생은 결혼으로 완성된다 / 남인숙



여자는 모두, 밖에서 보이는 것은 빙산의 일각이다!

그러므로 갑자기 아내가 증발했다거나 바람을 피웠다거나 한 남편들은

으악!하고 경악하며 머리를 쥐어 뜯고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라며 몸부림치거나,

텔레비젼에 나와 "돌아와줘, 부탁이야. 나쁜점은 다 고칠게.

이렇게 빌게"라며 손을 모아 빌고,

사내대장부가 눈물로 세월을 보내는 것이다.

그것은 모두, 그때까지 여자가 일종의 친절을 베푸느라

'이건 저 사람에게 해도 되는 이야기니까 말해주자 ,

이건 말해도 소용없을 거야' 라고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그것을 여자의 포기라고 생각하며 위로라고도 생각한다.


아주 사적인 시간 / 다나베 세이코



만약 그대가 남자라면,

그리고 한 여자와의 사랑에 승리할 목적으로 여자를 탐구하기 시작했다면,

일찌감치 포기하라고 충언해 주고 싶다.

여자는 결코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부디 탐구하지 말고 그저 모르는 상태로 무조건 사랑하라.

물론 모르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하지만 레드카드가 무서워 축구를 그만두는 축구선수를 본 적이 있는가.


여자도 여자를 모른다 / 이외수




2010년 2월 25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25목] 개각에 반영하고도 남을 '장관 채점표'

 

특임장관을 제외한 정부 15개 부처 장관의 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가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일보가 여야 국회의원 226명의 평가를 종합한 결과(2월 24일자 보도) 최경환 지식경제부, 김태영 국방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임태희 노동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백희영 여성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현인택 통일부 장관 순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의원들은 국회 상임위 활동 등을 통해 각 부처 장관, 고위 간부들과 자주 만날 수 있다. 장관 개인의 자질과 능력은 물론, 부처의 업무 환경과 분위기, 심지어 부처의 '내부 평가'정보에까지 밝게 마련이다. 이런 의원들이 전문성과 비전제시 능력, 업무 추진력과 성과, 조직관리 능력 등을 고루 평가했다면 일단 믿음이 간다.

 

언뜻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모두 높은 점수를 받은 것과 달리 학자 출신 장관들의 점수가 낮은 데서 의원들과의 개인적 친소 여부가 평점을 좌우한 것처럼 비치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인 출신이 아닌 김 국방장관이나 학자 출신인 이 행안부 장관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이런 의심은 많이 누그러진다.

 

설사 의원들의 편견이 일부 영향을 미쳤더라도 법치국가의 원리상 의원들의 평가 자체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민 생활과 관련이 큰 중요 정책 대부분이 결국 국회 입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장관이 의원들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아서는 부처의 업무 수행이 매끄러울 수 없다. 대의기관의 평가에는 주권자인 국민의 뜻이 반영됐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따라서 점수가 낮은 장관들은 구차한 이유를 달기보다 스스로 질책하고 분발해 마땅하다.

 

이번 평가는 집권 3년째로 접어든 이명박 정부의 원만하고 효율적인 국정운영에 각료 인선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일깨운다. 집권 이래 자주 지적된 소통과 조율 부족도 따지고 보면 장관들의 책임이 작지 않다. 대통령의 뜻을 실행하기에 급급한 '행동대장'장관보다 부처의 통합적 지혜를 모아 대통령과 함께 정책을 만들어가는 장관들이 다음 개각 때는 더 많아지길 기대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25목]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선택이 아니라 의무

 

정부·기업·비정부기구(NGO)의 사회적 책임을 규정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최종안이 마련됐다. 한차례 표결만 이뤄지면 연말엔 국제표준으로 정식 채택된다.

 

기업 등이 이익만 추구할 게 아니라 노동·환경·인권·소비자 등의 문제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 표준안은 앞으로 모든 기업과 비정부기구의 활동 기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는 다국적기업이라도 국제표준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할 경우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없음을 뜻한다. 강제 규정은 없지만 사회적 책임을 사실상 기업의 의무로 선언한 것이다.

 

특히 수출을 많이 하는 우리 기업들은 소홀히 넘길 수 없는 내용이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포스코 등 많은 글로벌 기업이 등장했지만, 사회적 책임 면에서 우리 기업들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노동조합에 대한 적대적 태도, 상습적인 협력업체 쥐어짜기, 여성·장애인 등에 대한 편견과 차별, 소홀한 소비자 권익 보호 등의 행태가 엄연히 남아 있다.

 

최근 도요타자동차 사태는 사회적으로 신뢰받지 못하는 기업이 어떤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줬다. 우리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사회적 책임에 무심한 기업으로 낙인찍힐 경우 손상된 이미지를 회복하는 데 천문학적인 노력과 비용이 수반된다. 정부와 비정부기구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기업이 적극 나서지 않으면 국제표준은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만다. 기업은 주주뿐만 아니라 종업원, 협력업체, 소비자, 지역사회 등과 공존하는 가운데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동아일보 사설-20100225목] 농업도 자동차 반도체 같은 성장산업 될 수 있어

 

네덜란드는 농지 면적이 한국과 비슷하고 기후 여건은 더 나쁜데도 세계 3위의 농업선진국이다. 낙농 위주에서 화훼 양돈 등으로 농업 구조를 바꾸고 교육 인프라를 구축해 기술 및 자본집약적인 농업을 키워냈다. 농가소득은 한국의 3배, 농산물 수출액은 20배나 된다. 20년 전부터는 농약 대신 천적(天敵)을 활용한 친환경 농업을 키웠다. 농업은 네덜란드에서 우리의 자동차 반도체 같은 효자산업이다.

 

한국은 1993년 12월 우루과이라운드(UR) 타결 이후 농업 경쟁력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지만 진전이 없었다. 1998년 이후 농산물시장 개방에 따른 농민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지원을 대폭 늘렸지만 소득 개선에는 실패했다. 농수산물 수입자유화율이 99%를 넘어선 지금 한국 농업은 갈림길에 서 있다. 소득보전 방식의 농가지원에서 벗어나 농업경쟁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장태평 농수산식품부 장관이 어제 ‘농정 비전 2020’을 내놓고 곤충 애완동물 바이오에너지 기능성물질 관상(觀賞)동식물 등 5대 분야를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쌀 콩 등 전통적인 작물은 아니지만 세계 시장이 커지고 있고, 하기에 따라서는 우리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다.

 

정부는 농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구개발(R&D)을 지원해 농업의 산업화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재배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상거래를 활용한 디지털 농업을 키우면 ‘잃어버린 15년’ 공백을 충분히 메울 수 있다. 정부는 농사도 짓지 않으면서 허위로 보조금을 타먹는 ‘다방 농민’ 대신에 기업농을 더 키우고, 세계 수준에 뒤져 있는 첨단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20100225목] 대통령 임기 3년차 이제 우선순위 정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25일 취임 2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0.2%였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 회원국 가운데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나라는 한국·호주·폴란드 3개국뿐이다. 세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서울로 유치하는 데도 성공했다. 정부와 국민 모두 자부심을 느낄 만한 일들이다. 전(前) 정권에서 크게 흔들렸던 한·미 동맹은 이제 미국 정부가 "한국만큼 동맹에 헌신적인 나라가 없다"고 치켜세울 만큼 든든한 궤도에 다시 올라섰다.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와 2차 핵실험으로 위기로 치달았던 안보 상황도 최근 들어 잠잠해졌다.

 

취임 첫해 내각의 도덕성 시비와 편중 인사(人事) 논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등으로 20%대 초반까지 곤두박질쳤던 대통령 지지도는 작년 후반기부터 40%대 중반에 올라섰다. 지난해 2월 취임 1주년 갤럽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3.5%, '잘 못하고 있다' 54.6%, '보통' 6.6%, '모름·무응답' 5.2%였다. 최근 실시된 취임 2주년 조사에선 '잘하고 있다' 44.2%, '잘 못하고 있다' 45.1%, '보통' 6.2%, '모름·무응답' 4.4%였다. 1년 전보다 훨씬 안정된 상태에서 임기 3년차를 맞게 된 것이다. 청와대도 취임 2주년에 맞춰 발간한 자료에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했다.

 

5년 단임(單任) 대통령제에서 임기 3년차는 성공한 대통령으로 남느냐 그러지 못하느냐의 갈림길이다. 이제부터 권력의 시계는 임기 시작 때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인다. 따라서 임기 초반 여기저기 벌여놓은 사업을 어떻게 마무리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고, 임기 후반에 꼭 해야 할 일도 추려내야 한다.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08년 4월 18대 총선을 치른 뒤 그 후 1년 반 동안 선거 걱정을 하지 않고 국정을 꾸려올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는 6·2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크고 작은 정치 일정이 앞으로 계속 이어진다. 갤럽 조사에서 '대통령이 일을 잘했다'는 응답이 외교 분야 59.4%, 경제 36%에 이른 반면, 정치 분야는 19.3%로 가장 낮았다. 대통령이 임기 후반에 국정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세종시 문제를 비롯한 각종 정치 현안들을 원활하게 풀어나가야 한다는 말이다.

 

대통령은 2007년 12월 대선에서 자신을 2위 후보와 531만표라는 사상 최다(最多) 표차로 대통령으로 뽑아준 국민의 뜻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국민은 왜 10년 만에 보수 세력에게 다시 집권의 기회를 주었고, 국민의 그런 뜻을 받들려면 일의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를 고민하라는 것이다. 지금부터 꼭 해야 할 일과 앞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가리는 것이 첫걸음이다.

 

 

[서울신문 사설-20100225목] 국부유출 범죄 막는다고 기업 과잉 감시는 안돼

 

검찰이 산업기술 유출 범죄를 막겠다며 청사진을 내놨다. 연초에 김준규 검찰총장이 국부 유출 범죄와의 전쟁을 선언한 지 한 달 만에 나온 실천 방안이다. 집중 관리 대상을 60개 기업으로 하고, 8개 분야 49개 핵심 기술을 최우선 단속 대상으로 삼겠다고 한다. 해외 기술 유출은 국부가 빠져나가는 대표적인 범죄로 피해는 막대하다. 국가 기관이 응당 척결에 나서야 할 일이다. 기술 유출과 이전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인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늦은 감마저 든다.

 

기술 유출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단계에 와 있다. 최근 반도체 세계 1위인 삼성전자는 2위인 하이닉스를 상대로 기술이 유출됐다며 법정 다툼에 들어갔다. 몇년 새 현대 기아차는 물론, LG전자, 포스코, GM대우, 두산 등에서 기술 유출 사건이 일어났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 가운데 기술 유출로부터 자유로운 곳은 별로 없다. 국정원이 8년간 적발한 해외 기술 유출은 201건에 이른다. 제때 대응하지 못했다면 300조원의 피해를 입을 수 있었다는 추산이다. 검찰이 이를 차단하기 위해 11개 대기업의 산업보안 담당자들과 정례모임을 갖기로 한 것은 일단 바람직하다. 이 모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련범죄 예방과 대응의 묘수를 찾아가느냐가 관건이다.

 

검찰이 기술 유출과의 전쟁에 성공하려면 기업과의 관계를 먼저 설정하는 게 순서다. 간섭이 아닌 협력을 토대로 하는 민·관 대응체제가 필수다. 기업들이 핵심 기술을 검찰에 그대로 내보이는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그 과정에서 양측이 삐걱거리게 되면 난관에 빠질 게 뻔하다. 유출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검찰은 전문 역량을 갖춘 수사팀을 투입하지만 첨단 유출꾼들에 맞설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나 더 짚자면 국정원과 공조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두 기관이 밥그릇싸움을 벌이면 진짜로 안 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25목] 출산장려에도 신생아 숫자는 매년 줄고 있으니

 

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2년째 감소하면서 4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2009년 출생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2만1000명 줄어든 44만5000명으로, 2005년 43만5000명 이후 가장 적은 숫자를 기록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지난해 1.15명으로 전년 1.19명에서 또 다시 낮아졌다. 저출산이 국가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고 정부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신생아 숫자는 물론 출산율도 개선 기미는커녕 오히려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참으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이고 이 상태가 계속되다가는 경제발전은 고사하고 자칫 국가 존립(存立)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문제제기는 이제 더 이상 얘깃거리도 안된다. 낮은 출산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발등의 불'인 동시에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국가적 비상상황'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대통령이 직접 '저출산 대응 전략회의'까지 주재해가며 출산 장려책을 펴고 있지만 문제가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그동안 저출산 대책이 주로 단발적 포퓰리즘적인 것들이 주를 이뤘고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시스템으로까지 정착되지 못한 점을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처음 실시해 호응을 얻은 아이 돌보미 사업이다. 지난해 9개월간 11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던 이 사업은 올해의 경우 기간은 3개월 늘어난 반면 예산은 8억8000만원으로 오히려 줄어 이용 가능 시간은 사실상 지난해의 절반으로 줄었다. 이런 식으로는 절대로 출산율이 높아질 수 없음은 너무도 자명하다.

 

정부가 공공기관에 전면 도입키로 한 유연근무제도 마찬가지다. 일자리도 늘리고 출산도 장려한다는 목적이지만 민간 기업의 경우 생산성 저하와 비용 증가 등의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킬 만한 유인이 있기 전에 이를 과연 얼마나 채택할지 의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새로운 정책을 내놓는 것도 중요하지만 출산 정책의 지속성과 효과에 대한 국민의 신뢰(信賴)를 쌓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정권이 바뀌면 또다시 유야무야된다면 어떤 출산 장려책도 백약이 무효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아이 문제로 제약을 받지 않고 마음껏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역시 시급하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25목] 농정비전 2020, 장밋빛 나열보다 실천이 문제

 

정부가 어제 내놓은 `농식품산업 비전 2020`은 꽤 야심찬 수치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향후 10년 내 농식품 수출 300억달러를 달성해 세계 10위권 수출국으로 발돋움하고 식품산업 매출을 260조원까지 끌어올려 212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농식품 산업영역을 생명산업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런 목표가 계획대로만 진행된다면 농업도 첨단산업으로 끌어올리기에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역대 정부가 화려한 청사진만 늘어놓고 제대로 된 액션플랜을 뒷받침하지 못해 매번 헛구호로 끝냈음은 익히 알고 있는 바다. 현 정부 역시 체계적 농식품 관리를 위한 `국가식품위원회` 설치 운영, 매출 1조원대의 식품기업 5곳 육성,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등 몇몇 아이디어를 내놓긴 했지만 구체적 실행을 위해선 보완할 부분이 많다.

 

우선 농정비전의 초점이 전체적으로 `농식품 산업화` 분야에 집중돼 있고 한국 농업의 경쟁력을 낙후시켜 온 핵심 사안들은 슬그머니 빼놓았다. 가령 농지 활용 효율화, 밑 빠진 독에 물 붓듯 운영해 온 보조금 문제, 각종 농민단체의 지배구조 개선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은 일부러 피한 느낌이다. 이래선 농업 개혁을 위한 근본적 접근법이라 하기 어려울뿐더러 지난해부터 `G20 국가에 걸맞은 농정비전`을 주문해 온 이명박 대통령의 취지에 부합하는지도 의문이다.

 

세부적으로도 미흡한 분야가 눈에 띈다. 농업이 낙후된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농식품 분야 인재들이 관련 대학을 졸업하고도 전공을 살리는 비율은 3%가 채 안된다. 국가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중 농식품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3%에 불과하고 그나마 농업진흥청 독점 운영 등으로 효율적 집행을 못해 온 게 현실이다. `한국판 네슬레`라 할 수 있는 세계적 식품기업 육성과 국가 단위 클러스터 설치를 뒤늦게나마 구상하긴 했지만 IT, BT 같은 첨단 기술을 결합해 독자적 경쟁력을 갖출 방안도 더 강구해야 할 과제다.

 

농식품산업은 더 이상 전통, 재래식 같은 수식어가 따라붙는 1차 산업이 아니라 생명과학과 연계돼 최첨단 산업으로 탈바꿈하는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세계 시장 규모도 10년 후엔 4조달러를 넘어서 자동차와 IT를 합친 정도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한국 농업 실상은 1992년부터 2008년까지 농업 분야 투융자가 무려 119조원에 이르면서도 농산물 개방 문제만 꺼내면 기겁을 할 만큼 형편없는 국제경쟁력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뚜렷한 방향성 없이 즉흥적이고 인기영합적인 농정은 현 정부에서 확고한 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개혁 의지를 다지는 마음가짐도 중요할 것이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진세근(탐사2팀장)-20100225목] ‘여인 사단론’

 

류짜이푸(劉再復) 전 중국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장은 중국 문학평론계의 태두다. 그가 최근 홍콩 명보(明報)에 ‘여인 사단론(四段論)’이란 평론을 기고했다. 여인은 남자·자녀·자기 자신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에게 버림받는다는, 지독한 내용이다. 남자 부분만 보자.

 

"여인이 남자를 끄는 기본은 미모다. ‘한눈에 반하기(一見鍾情)’에서 ‘반하기(鍾情)’는 미모지, 내부의 광휘는 아니다. 하지만 자녀를 생산하면 여인은 미모를 잃는다. 조설근(曹雪芹)은 사랑하는 여인이 시집가는 꼴을 참지 못했다. 임대옥(林黛玉), 청문(晴雯), 우삼저(尤三姐), 원앙(鴛鴦) 등 홍루몽의 여인들은 하나같이 처녀로 죽는다. 미모를 지키고 싶다는 작가의 꿈이다. 톨스토이도 피예르에게 시집간 나타샤를 뚱보 주부로 만들고 말았다. 심술이다. 남자에게 20~30대 여인은 ‘마음속 사람’, 30~40대 여인은 ‘집안 속 사람’, 40~50대 여인은 ‘문밖의 사람’, 그리고 50~60대 여인은 ‘쓸모 없는 사람’이다.”

 

내용은 신랄하지만 결론은 따뜻하다. 스스로를 버리지 말고, 자강불식(自强不息)한다면 사단론의 숙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끝맺는다. 이 말을 들은 것일까. 지금 중국은 여인 바람이 거세다. 이른바 ‘신(新)사단론’이다. 즉, 무지소녀(無知少女)다. ‘무’는 당적 없음이다. 류훙(劉蕻) 문학원 부교수가 대표다. ‘지’는 지식분자다. 천주(陳竺) 위생부장(장관)이 선두주자다. ‘소’는 소수민족이다. 지난달 외교부 부부장으로 발탁된 푸잉(傅瑩)이 발군이다. 그는 몽골족이다. ‘녀’는 이들 모두가 여성이라는 뜻이다. 신사단론의 메시지는 간단치 않다. 모두 ‘역경을 이겨낸 승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무, 지, 소, 녀는 인민무산계급 독재가 아직도 도그마인 중국 정계에서는 모두 마이너스 요소다. 중국 언론들이 이들의 약진을 굴기(崛起·우뚝 섬)라고 평가하는 이유다.

 

우리도 여풍(女風)이 만만찮다. 23일 임관된 신임 법관 89명 가운데 71%인 63명이 여성이라는 건 이제 뉴스거리조차 못 된다. 빙판 위의 ‘육상 100m’라는 올림픽 500m에서 아시아 최초로 금메달을 거머쥔 이상화(花)는 어떤가. 그는 이미 우리 마음속 영원한 꽃이 됐다. 그뿐인가. 어제 피겨 여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서 역대 최고점을 기록한 김연아는 이미 국가급 브랜드다. 그렇다면 여성 파워에선 우리가 중국보다 한 수 위다. 국민의 행복과 꿈을 몇 배나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경향신문 칼럼-여적/노응근(논설위원)-20100225목] 임금피크제

 

국내 금융기관의 정년은 58세로 돼 있다. 그러나 보통 50세가 되기 전 퇴출되는 게 현실이다. 금융노조 조사 결과 은행원이 느끼는 체감정년은 평균 49세였다. 지난해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의 평균 정년은 57세를 돌파했지만, 전체 근로자 중 55세 이상은 5% 미만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조기 은퇴에 대한 불안이 만연한 요즘 임금피크제가 관심을 끈다. 정년을 보장하되 정년 수년 전부터 임금을 낮추는 정년 보장형, 정년을 늘리면서 임금을 낮춰가는 정년 연장형, 정년퇴직자를 임금이 적은 계약직으로 재고용하는 고용 연장형이 있다. 일본은 1980년대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전체 기업의 80%가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2001년부터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해 역사가 일천하다. 공기업과 민간기업을 합쳐 150곳도 안 된다. 일본과 우리는 임금피크제 도입 계기도 다르다. 일본에서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인력의 활용 방안으로 정년 연장형 제도가 주로 도입됐다. 국내에서는 1998년 외환위기 후 상시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불안을 해소하고 인력의 탄력적 활용 차원에서 도입되고 있다. 정년 보장형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인구 고령화가 현안이 되고 있다. 지금은 젊은이 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지만 2030년이면 2.7명이 1명을 먹여살려야 한다. 바로 닥쳐올 문제도 있다. 1955~63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712만명)의 본격 은퇴가 눈앞에 다가온 것이다. “50대에 사망하면 요절”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건강수명도 길어지고 있다.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는 65세까지 정년 연장이 최선책이다. 기업의 비용 부담이 문제라면 일본처럼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제가 현실적 대안일 수 있다.

 

정부가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표준모델을 만든다고 한다. 한전이 정년을 현재 58세에서 60세로 늘리면서 임금피크제를 시행키로 한 것이 계기가 됐다. 임금피크제가 단순히 정년 연장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청년층의 신규 채용을 막는다는 것이다. 어려운 선택의 문제다. 시급성을 따진다면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공기관은 고용의 안정성도 상대적으로 강한 만큼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제 도입에는 신중해야 할 것 같다. 100만명을 넘은 청년 실업자의 구제가 더 화급한 일이기 때문이다.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임속훈(정보산업부)-20100225목] 엇박자 IT정책

 

방송통신 정책을 주관하는 곳이 어딘지 도대체 감을 잡을 수가 없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정보기술(IT)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IT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IT 강국의 위상을 되찾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점을 빠뜨리고 있는 것 같다"며 컨트롤 타워의 부재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에 IT특보(특별보좌관)가 있고 방송통신위원회도 존재하지만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일사불란한 맛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데이터요금 무한정액제 도입을 둘러싼 혼선은 사공만 많은 우리 통신정책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난 4일 정부가 데이터요금 무한정액제를 도입하기로 (부처 간) 합의했다는 소식이 일부 언론을 통해 전해지자 이동통신요금 정책의 주무 부서인 방통위가 발칵 뒤집혔다. 이날 지식경제부 차관이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전략'을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기자들과 만나 "데이터요금 무한정액제 도입과 관련해 방통위와 합의를 마친 상태로, 이동통신사들과 협의해 조만간 제도가 도입될 것"이라고 말한 게 화근이었다.

 

방통위는 담당국장은 물론 대변인까지 나서 "'무한정액제 도입은 지경부와 합의할 사항도 아니고 합의도 없었다"고 전면 부인했다. 담당국장은 다음날에도 기자실에 들러 "무한정액제는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해 검토해야 할 장기과제인 것은 맞지만 당장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강국으로의 도약을 외치는 정부 내에서조차 주요 정책의 조율이 안 되고 있는 셈이다.

 

IT강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한 묘책을 찾는 데 주관 부처를 따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여러 군데에서 쏟아내는 다양한 아이디어 속에서 최선의 방책을 찾는 게 가장 좋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설익은 정책을 발표하는 정부 부처 간 실적 쌓기 경쟁은 다른 문제다. 그것은 국가 경쟁력을 갉아먹고 부담은 국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기 때문이다.

 

"지경부와 방통위의 정책 혼선에서 보듯 지금 정부에는 IT관련 정책의 중심을 잡아주고 강력하게 밀어붙일 컨트롤 타워가 없다. IT특보는 행사장에서만 보이고 정책은 여러 부처에서 걸러지지 않고 공개된다"는 IT업계 관계자의 말이 하소연으로 들리지만은 않는다.




<<손동작>>
파울 자너는 "손은 그 사람의 성격을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기준이다"
라고 말하며  "말을 하면서 끊임없이 손을 저어대는 사람은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사람이다.

반면 제스처가 전혀 없는 사람은 열정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자신을
통제하고 원칙을 따르는 사람이다
.
개인적으로 열정이 있는 사람이 좋다" 라고 덧붙였다.
무론 이런 제스처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면접이나 임금 협상을 하면서 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준다.
이 때는 가능하면 제스처를 아껴두는 게 좋다.
참고로 오른손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대개 이성적인 사람,
왼손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감정적인 사람이다.
하지만 파티에서의 가벼원 대화 중 이탈리아에 있는 어떤 레스토랑의 음식 맛이 최고다, 라는 얘기를 하면서
제스처를  취하지 않는다면 의심을 해봐도 좋다.
양손에 음식을 들고 있지도 않으면서 아무런 제스처 없이 이야기를 한다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게 분명하니까.


<<자세>>
사람을 볼 때 맨 처음 눈에 들어오는 건 그 사람의 자세다.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옷보다는 사람의 자세가 더 빨리 인식된다.
바른 자세는 자신감과 안정감의 상징이다.
회사에서도 바른 자세의 소유자는 추진력과 목표의식을 갖춘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주지만, 축 처진 어깨와 굽은 등은  불안정하고
겁이 많은 사람으로 보인다.
어깨가 지나치게 뻣뻣해보이는 사람은 감정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이다.
비즈니스 미팅이나 데이트 약속이 있다면 상대를 만나러 가기 전
문 앞에서 잠시 자세를 바로 잡아볼것.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어깨가 축 처져 있을 때도 많기 때문에.

<<걸음걸이>>
걸음걸이를 보면 그 사람을 짐작할 수 있다.
보폭이 큰 사람은 자기 통제력이 있고 강하면서 관대한 사람이다.
반면 종종 걸음을 걷는 사람은 불안정하고 몹시 까다로운  성격의
소유자라고 보면 80%는 맞을 것이다.

<<어투>>
어법에 맞는 말을 구사하고, 적절한 단어를 얼마나 잘 섞어쓰느냐를
따지는 게 아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단 한가지는 바로 말의 속도다.
"말을 빨리 하는 사람은 인내심이 적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없는 편이다"라고 심리학자 마티아스 케스팅은 말한다.

반면 매우 느린 말투는 지루함이나 무관심의 표현일 수 있다.

<<보디랭귀지>.
엄밀힌 말하면 보디 랭귀지는 총체적인 상위 개념이다.
표정, 제스처, 자세 등을 다 합치면 바로 신체 언어가 되니까.
그러나 여기서 보디 랭귀지를 따로 구분한 이유는
특정 신체적 표현 중 그 사람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팔짱을 끼고 있다면 나와 거리를 두고 싶어한다는 뜻이다.
다리를 꼬고 앉는 것은 긴장과 불안감을 상징한다.
"의자 다리에 발을 대고 있는 사람은 뭔가를 숨기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 이라고 독일의 카이 빅토르 부르 박사는 설명했다.
보디 랭귀지는 지금 내 앞에 있는 상대가 날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아주 정확한 근거다.
특히 뇌와 가까운 신체 기관일수록 가짜 보디 랭귀지를 표현하기 쉽다.
따라서 얼굴이 주는 인상은 좋은데 뭔가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 때에는 반드시 다리를 살펴보자.
다리는 인위적으로 연기하기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니까.

<<시선>>
계속해서 상대의 눈을 바라볼 필요는 없지만 , 처음 만나 인사를 하는 순간엔 상대와 눈을 마주쳐야 한다.
처음 인사를 나눌 때 시선을 피하는 사람은 극도로 불안정하거나
예의없는 사람이다.

반대로 계속해서 지나치게 오랫동안 눈을 마주치려고 하는 사람은
나를 통제하려 하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동공이 큰 사람은 진실을 이야기 하고 있는 반면
동공이 작은 사람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정>>
필요 이상으로 많이 웃거나 시도 때도 없이 미소를 짓고 있는 건
가식과 무관심의 표현이라고 봐도 좋다.

그렇다고 눈꺼풀이 처져 있는 것도 안된다.
그건 상대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이다.
이빨을 드러내면서 웃는 사람 역시 상대에 대한 적개심을 감추고
있는 것일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목소리>.
얼굴을 보지 않고 상대의 목소리만 듣고도 그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목소리..
떨리는 목소리는 긴장과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사람이고
높은 톤의 목소리는 여성적 (혹은 부정적)인 특징을 지닌, 의지가 약한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면접보는 자리라면 높은 톤의 목소리는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는 얘기.
하지만 커리어 우먼의 경우 너무 낮은 톤의 목소리도 좋은 것만은 아니다.
이는 남자의 역할까지도 다 수행하려고 하는 지나치게 강하고 억센
여자라는 인상을 남기니까.
다행히 데이트를 할 때는 오히려 낮은 톤의 목소리를 가진 여자가
사랑스럽다고 남자들은 말한다.
낮은 톤의 목소리로 말하는 여자는 열정이 있는 여자라고 여겨지니까..

아무렇게나 돼도 상관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
차라리 모든 것을 중단하라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그런 생각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삶의 기쁨까지 누리지 못하게 하는
자기 최면적인 속임수입니다.

 

그렇게 되고 싶지 않다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마음속에 그려보십시오.
한번 해보십시오.
허나, 친구 여러분. 조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대들이 아무렇게나 상상하여 확신을 품는다면
그러한 심상을 진정으로 원하는지 의심스럽다 하더라도
그것은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일은 마술도 가능하게 합니다.
이것은 바로 그대들이 지닌 창조적인 추진력의 실상입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선택하지 않는 한
자신의 삶 속에서 그 어떠한 창조도 일어나지 않도록
자기 능력의 깊이만큼
자기 자각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대의 인생은 그대 스스로 만들어 왔습니다.
그대의 바깥에 있는 그 어떠한 것도
그대에게 낯선 것은 없는 것입니다.

자신이 만든 자신의 바깥 현실 속에서
모르는 것이란 있을 수 없으니까요.
자기 주변의 바깥 환경에서
자신의 영혼이 진정으로 믿어서 나타낸 것들을 확인할 때
인간은 형용할 수 없는 기쁨을 느낍니다.

 

물질적인 현상을 상징으로,
몸을 영혼의 연장으로,
존재의 언어로 바라보십시오.

 

그대의 삶은 그대의 주인이 아닙니다.
그대의 삶은 그대의 자식입니다.

 


- '빛과 사랑의 영혼 엠마누엘'  중에서



밀고 당기기의 법칙, 영화관에 가는 것을 승낙하고 내가 보고 싶은 영화를 선택하는 것이다

 

아마도 당신은 연애 좀 한다는 사람에게서 ‘연애를 잘 하기 위해서는 밀고 당기기를 잘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 본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애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 이 기술은 생소하고, 실행에 옮기기 힘든 연애의 기술이다.

또 무조건 잘해주는 것이 연애의 미덕이라 믿는 사람에겐 더더욱 사용하기 껄끄러운 기술이다.

 

그러나 무조건 잘해주는 것은 시간과 함께 서서히 평범하고,

 

식상한 감정으로 추락하고,

 

잘해준 만큼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욕심만 가중시킨다.

연애 경험이 풍부한 사람일수록 아마 내 말에 동감할 것이며, 밀고 당기기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 밀고 당기기의 본격적인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밀고 당기기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혹시 밀고 당기기를 해서 나를 싫어하면 어떡하지?’라며

 

지레 겁부터 먹는 일이 없어야 한다.

 

오히려 당신의 지나친 당기기로 인해 상대는 집착이란 무거운 감정의 짐을 들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밀고 당기기의 기본 원리는 그 동안 반복했던 잘해줌을 잠시 멈추는 것이다.

 

밀고 당기기의 대표 기술로는 만남의 횟수 줄여 나가기,

 

애정 표현 줄여 나가기,

 

좀 더 바쁜 모습 보여주기,

 

먼저 연락하는 입장에서 연락을 기다리는 입장이 되기.

 

전화를 받되 먼저 끊기, 조금 있다 전화할게 해놓고 한참 후에 전화하기,

 

전화로는 조금 쌀쌀 맞게 대하되 만나서는 잘해 주기,

 

문자를 보내는 횟수와 단어 수를 줄이기,

 

데이트를 승낙하되 일찍 헤어지기 등 자신의 행동 범위를 조금씩 줄여 나가는 기술들이다.

좀 더 난이도가 높은 밀고 당기기의 기술로는 늘 칭찬하는 부분에 대한 칭찬 멈추기,

 

평소 할 수 없었던 농담 건네기,

 

키스가 예상되는 장소에서 뽀뽀만 하기,

 

섹스가 예상되는 장소에서 그냥 안고만 자기,

 

더 예뻐지거나 멋있어지기(상대방이 예쁘고 멋져질수록 긴장하게 되고 ‘다른 이성에게 빼앗기지 않을까?’하는 두려움과 위협을 느끼게 된다),

 

구속하고 간섭했던 부분을 줄여 나가기,

 

다른 이성과의 만남에 대해 질투하지 않기 등이다.

 

단 난이도가 높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선 그 만큼 애정과 믿음이 바탕이 돼있어야 한다.

 

 

 

또한 밀고 당기기 기술을 사용할 땐 자신의 상황에 맞게 사용하되 절대 기간이 1개월 이상 초과해선 안 된다.

 

왜냐하면 밀고 당기기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상대방에게 적절한 긴장감을 제공하고, 자신의 소중함을 각인시키고,

 

연애의 주도권을 잡기 위함이지 상대방을 힘들고 지치게 만들거나 완전히 밀어버리기 위해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신은 이러한 밀고 당기기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비로소 누군가를 쫓아다니는 입장에서 벗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애의 권력을 잡을 수 있게 된다.(연애의 권력돟더 사랑하는 사람이 덜 사랑하는 사람의 권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것을 말한다.)


밀줄 알아야, 당길 줄도 안다. 잘해줌에도 쉼표가 필요하다. 연속적인 잘해줌은 식상감이란 감정으로 변질되어, 상대의 관심을 무디게 만든다.



가령 두 사람 사이에 생기는 혐오감 내지는 권태감 같은 것을,

한쪽은 느끼는데 다른 한쪽은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나는 그의 입에서 손을 떼지 않고 천천히 몸을 반바퀴 돌려,

그와 마주보는 꼴로 평상에서 내렸다.

무릎위에서 문고본이 떨어졌다.

그의 코와 턱과 입술이 따스했다.

하지만 그는 내손가락을 차갑게 느꼈을 것이다.



에쿠니 가오리 / 낙하하는 저녁





너는 언제든 쉬었다 가라고 했지만, 나는 그럴수가 없었어..

그렇게 내가 잠시 쉬었다 훌쩍 떠나면 니가 얼마나 아득할까..

나는 그 생각만 해도 아득해졌었거든..

내 빈자리를 아쉬워 할 너를 생각하면서 너의 사랑을 확인하고,

몰래 뿌듯해 하는 이기적인 사랑..

그래..알지.. 아는데 그런 감정을 즐기기엔

난 너를 너무.. 끝까지.. 완전히 좋아했어.

니가 조금이라도 불편하거나 아픈건 무조건 싫었어.

만약에 니가 걸어가는 길에 뭔가 더러운 것이 놓여 있었다면

니가 잠깐 다른 곳 보는 사이에 그걸 손으로 치워 버렸을거야..

이런 날 이해할 수 있니? 없지.. 없을거야..

아무리 밀고 당기는게 사랑법이라고 해도,

아무리 주는 것만이 사랑은 아니라고 해도,

나는 그 말이 귀에 들어 오지가 않았어.

주는 것만 하기에도 너무 바빴어..

그러고도 너무 불안했어.

아무말도 듣고 싶지 않아.

지금은 너 원망하기에도 너무 바빠.



어떤 사람들은 그런 환상들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

당신과 헤어질 바엔 차라리 죽어 버리겠다.

당신이 죽으면 나도 따라 죽겠다.

그런 고백에 대한 환상 같은 거..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상상 속에서만.. 아닐까?

아무리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해도

정말 그 사람이 내 앞에서 금방 죽을 듯이 행동한다면,

누구라도 뒷걸음질 치지 않을까?

니가 했던말 기억나니?

며칠전에 우리가 전화로 싸운던 날..

넌 나한테 너무나 화가나서 통화내내 니가 압정을 밟고 있는 것도 몰랐다고..

전화를 끊고 보니 피가 나더라고..

너는 태연히 말했지만, 나 그때 정말 무서웠어..

내가 받을 수 있는 만큼만 사랑해 달라고 했잖아.

내가 그런것처럼 너도 나한테 매달리지 말라고..

그냥 쉬었다 가라고 내가 부탁했잖아.

난 이미 니가 무서워.. 그래서 더 늦기 전에 말하는거야.

부탁인데? 나 좀 이제 놔줘...

지금 니가 나 붙잡으면 나 정말 싫을거 같아.


이소라의 음악도시 / 그 남자 그 여자




함박눈은 연애와 비슷하다.

내릴 때는 넋이 나갈 정도로 아름답고

그 눈부신 흰 빛깔로 온 세상을 뒤덮어 황홀하게 변모시킨다.

그러나 시간이 지난 후엔

얼어붙어서 까다롭고 위험해지거나

녹아서 추적추적 지저분해질 뿐이다


유시진 / 함박눈



길을 가다 우연히

정말 우연히 그대가 내 곁을 스쳐 가면 어떻게 할까

모르는 척 아닌 척 지나쳐도 몇 걸음 못 가서 뒤돌아보게 되고

울컥, 달려 나온 그리움 때문에 눈물부터 고이겠지

아니야 돌아 설 수 없어 꾹 참고 가던 길을 가야 해

이만큼 지내 왔는데 돌아서면 꽃이 지듯 그대 모습 지워질지 모르잖아

준비 없는 마음에

갑자기 쏟아진 그리움 때문에 다시 담을 수도 없고

아프긴 해도, 오랫동안 사랑으로 머물 수 있도록

지금처럼 그리움을 담고 지낼 수 있게..


그대가 내 곁을 스쳐 가면 / 윤보영




사랑이 아스라이 사라져도,

한때 우리는 참 많이 사랑했다는 것,

그래서 그 사랑이 몹시 아름다웠다는 것,

그 조차 잊지는 말자.

시간이 지나서 사랑했던 감정이 남아 있지 않아도

돌이켜 보니 아무것도 아니었다 해도

사랑이 아니었다고 말하지는 말자.

그것이 우리를 설레게 했던 사랑에 대한 예의.


김수현 / 100% 스무 살 중에서







2010년 2월 23일 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23화] 여당, 이왕 시작한 토론 알차고 의미 있게

 

한나라당이 세종시 문제 토론을 위한 연속 의원총회를 시작했다. 소집 여부로 줄다리기를 할 정도로 주류ㆍ비주류 사이에 견해 차이가 커서 원만한 세종시 해법을 도출할 가능성은 낮다. 다만 애써 마련한 토론이 최소한 내부 갈등 증폭의 자리는 되지 않도록 양쪽이 자제할 수만 있어도 값어치가 있다. 거대정당이 피하기 어려운 내부의 계파 분화가 무조건적 갈등 대신 적절한 견제와 균형을 보이는 이상형에 한 걸음 더 다가서기 때문이다.

 

가장 필요한 것은 참을성이다. 26일까지 매일, 경과에 따라 3월에도 계속될 의총인 만큼 어느 쪽이든 한두 번의 의사 표출로 결론을 낼 듯한 자세는 버려야 한다. 이미 상대방 주장의 요체를 알고 있더라도, 참을성 있게 듣고 한 마디라도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당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으레 있는 이견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정치집단으로 존속할 기초다. 특히 감정적 언사를 피하고, 인신공격이나 비난을 삼가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어제 첫 토론은 아직 이런 모습과는 거리가 있었다. 시작 전부터 주류 측은 단순 토론에 그칠 게 아니라 최종적으로 표결을 해서라도 당론 변경을 해야 한다고 적극성을 보였다. 토론마저 거부할 경우의 여론 부담을 의식, 마지못해 참여한 비주류 측을 압박하려는 자세다. 반면 박근혜 전 대표가 예상대로 불참한 비주류 측은 표결은 의미가 없고, 방향이 전제된 토론이라면 중도 하차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감추지 않았다. 의총 공개 여부로도 설왕설래가 있었다.

 

희망의 싹은 보였다. 일부 고함을 제외하고 대체로 진지한 발언이 이어졌다. 토론에 앞서 안상수 원내대표가 특별 주문을 하기도 했지만, 의원 개개인이 국민의 눈을 의식한 결과다. 정몽준 대표가 "중대한 문제를 하루 이틀에 끝낼 수는 없다"며 '끝낼 수 있을 때까지의 충분한 논의'를 약속한 것도 비주류 측의 '요식 행위' 우려를 덜었다.

 

여당 내의 본격적 토론은 이제 시작이다. 국민의 눈길이 당론변경 여부에 그치지 않고 여당의 국정운영 능력 전체에 쏠려 있음을 명심, 알찬 토론을 이어가길 기대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23화] 대형마트와 SSM 규제, 언제까지 미룰 건가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규제해 중소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이 2월 임시국회에서도 무산될 상황에 처했다. 전통상업보존구역을 정해 입점을 제한하자는 개정안이 회기 종료를 며칠 앞두고 상임위 안건에조차 오르지 못한 것이다. 국회는 가장 시급한 민생 법안을 제쳐놓고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

 

현재 중소상인들의 처지는 절박하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이달 초 조사를 보면 중소상인의 79.2%가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의 확산으로 피해를 봤다고 대답했다. 폐업을 고려한다는 점포도 28.3%에 이르렀다. 그뿐 아니다. 대형 업체들은 기업형 슈퍼마켓을 가맹점 형태로 변형시켜 골목상권에 침투하고 있다. 중소상인들로서는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규제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여론이 형성돼 있다. 여야 의원들도 대부분 공감하는 사안이다. 그런데도 국회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제자리만 돌고 있다. 지난해 말 정기국회 때는 상임위를 통과한 관련법 개정안이 법사위를 통과하지 못했고, 이번 임시국회에서도 논란만 무성했지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여야 의원들의 견해차가 그렇게 큰 것도 아니다. 중소상인들이 요구하는 ‘허가제’에는 못 미치지만 전통상업보존구역 주변 입점 제한을 뼈대로 하는 ‘강화된 등록제’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만들어져 있다.

 

법안 처리가 제대로 안 되는 주된 이유는 한나라당이 외교통상부 등의 반대를 들어 법안 통과를 뒤로 미루기 때문이라고 한다.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위반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입점 제한의 취지는 외국 기업 차별이 아니라 대기업을 견제하는 데 있다. 중소상인 보호가 실질적인 국내 산업 보호라는 주장이긴 하지만, 이렇게 따지자면 대형 유통업체도 국내 기업들이다. 공허한 논리에 불과한 것이다.

 

중요한 것은 민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다. 한나라당은 겉으로는 입점 제한에 찬성하는 듯하면서 뒤로는 시간끌기에 급급하고 있다. 금융위기로 중소상인들이 특히 어려운 때다. 실효성 없고 소리만 요란한 정부 지원책보다는 하루빨리 입점 제한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 중소상인들을 모두 거리로 내몰 생각이 아니라면 국회는 즉각 법 개정에 나서기 바란다.

 

 

[조선일보 사설-20100223화] 대통령이 교육 직접 챙겨 이젠 개혁 성과 보여줄 때

 

이명박 대통령이 22일 라디오 연설에서 "매달 교육개혁대책회의를 열어 학생과 학부모와 선생님들이 교육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더 열심히 챙기겠다"고 말했다. 3월 초 열릴 첫 대책회의 주제는 '입학사정관제 활성화 방안'이며, 그 후 학교 다양화(多樣化), 교원제도 혁신, 대학교육 강화 등을 다루게 된다고 한다.

 

대통령이 교육 문제를 직접 챙기고 나선다면 정부가 교육정책에 기울이는 노력의 집중도가 크게 달라질 것이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도 지난달 "미국 학생의 과학·수학 성적이 세계 21위, 25위밖에 안 된다" "2억5000만달러를 들여 수학·과학 교사 10만명을 훈련시키겠다" "정부 과학자 20만명이 교실에서 학생들과 함께 실험하도록 하겠다"며 교육혁신을 독려했다.

 

이명박 정부의 대표 교육 공약(公約)은 '사교육비 절반, 공교육 만족 두 배'다. 정부 출범 2년 동안 학원 심야교습 규제, 외고 입시 개편, 방과후 수업 확대, EBS 인터넷 강의 내실화에 매달렸지만, 이런 사교육 규제의 성과를 피부로 느끼는 학부모는 거의 없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서 확인된 2009년의 사교육비 규모는 2008년보다 3.3% 남짓 늘었다고 한다.

 

교육개혁의 근본은 사교육 규제보다 공교육을 알차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3월부터 시행될 교원평가제(評價制)는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교육 인프라가 될 수가 있다. 올해 신입생을 모집하는 자율형사립고·기숙형공립고·마이스터고 같은 학교들도 제대로만 운영하면 학부모·학생의 선택권을 늘려주면서 공교육을 한 단계 끌어올려줄 수 있는 제도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교육 어젠다들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되고 있는지, 아니면 보고서류상 실적(實績)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를 철저히 점검하는 일이다. 입학사정관제만 해도 잘못 운영되면 학생들의 스펙(자격시험·특별활동·봉사활동의 경력) 경쟁을 불러일으켜 도입 취지와는 완전히 거꾸로, 있는 집 아이들의 입시 경쟁력만 높여주는 결과를 가져올 수가 있다.

 

이 대통령은 라디오 연설에서 일부 중·고교 졸업식 후의 알몸 뒤풀이 사건을 언급하며 "대통령인 저부터 회초리를 맞아야 한다. 인성(人性) 교육 또한 교육의 목표이자 교육자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인성 교육도 대통령·총리·교육장관이 말로만 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 지금 학교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시스템부터 갖춰놔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00223화] 지자체 자율통합 정략과 지역이기가 막았다

 

행정구역 자율통합 작업이 참으로 실망스럽다. 어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창원·마산·진해의 통합지원법률만 통과시켰다. 자율통합을 추진한 네 곳 가운데 겨우 한 곳만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2014년 지방행정체제 전면 개편을 앞두고 적어도 2~3곳은 성사되길 기대했으나 결과가 너무 초라하다. 이렇게 된 데는 국회와 기초의회 등이 주민의 의견은 뒷전이고 정략과 지역이기주의에 편승한 탓이다. 지방선거가 코앞에 다가온 시점에서 자율통합의 실패가 소지역 감정 등 또 다른 부작용을 낳지 않을까 걱정이다.

 

지난해 말 주민여론조사 결과 찬성률이 높아 자율통합을 추진한 곳은 창원권을 비롯해 성남·하남·광주, 수원·화성·오산, 청주·청원 등 4개 권역이다. 그러나 지난 주말 청원군 의회 의원 전원 반대로 청주권의 통합은 난산을 거듭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어제 충청북도 의회의 찬성의결을 바탕으로 정부 입법이나 국회 입법을 추진한다고 하나 선거 일정상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국회 입법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설지 의문이다. 수원권의 통합은 어제 화성과 오산의회의 통합반대 의결로 무산됐다. 성남권의 통합작업은 국회 행안위에서 민주당이 성남시 의회의 의결 과정을 문제삼아 반대당론을 정하면서 중단됐다. 비교적 원활하게 추진된 창원권의 통합만 여야 합의로 가까스로 살아났다.

 

자율통합의 부진은 지역이기주의가 만연하고 정당들의 정략적 접근이 여전한 탓이다. 주민의 의견과 기초의회 의결의 불일치도 그냥 넘어갈 문제는 아니다. 청원·오산·화성 등은 주민의 통합찬성 여론이 높았는데 기초의회가 이를 무시한 사례다. 아직 시일이 남은 만큼 국회는 일단 창원권 통합법안을 조속히 진행하고 성남권의 통합도 합의점을 찾길 바란다. 행안부도 청주권의 통합을 위해 끝까지 노력해주길 당부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23화] 경영인출신 교장 임용, 공모제 확산 계기되길

 

기업 경영인출신들이 개방형 공모제를 통해 유럽식 직업학교인 마이스터고의 교장으로 잇따라 임용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교장공모를 통해 구미전자공고를 비롯 부산자동차고,울산정보통신고 등 3개 마이스터고에 민간기업 임원 출신을 교장으로 선임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교육청도 공기업 경영인 출신을 수도전기공고 교장으로 임용한 바 있다. 교육계 경력이 전혀 없는 사람이 교장에 선임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교과부는 외부 전문가 유치를 위해 개방형 공모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비록 특수직업학교가 그 대상이지만 교육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교장 임용이자,틀에 박힌 과거의 연공서열식 인사관행을 탈피(脫皮)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마이스터고는 정보통신 등 유망 산업분야의 수요에 맞는 직업훈련과 교육을 받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장인(Meister)을 양성 배출하기 위해 설립됐다. 그런 만큼 수십년에 걸친 산업현장의 경험과 전문 지식을 갖추고,취업알선과 공동연구 등 산학협력을 이뤄낼 수 있는 경영인 출신을 이번에 교장으로 영입한 것은 당위성이 충분하다. 더구나 우리의 대학 진학률이 80%를 웃돌지만 대학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제대로 가르쳐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비춰볼 때 이 같은 기업경영인 출신의 교장 임용에 대한 기대는 더욱 각별할 수밖에 없다.

 

마이스터고가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졸업생들을 기업에 내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 시급한 것도 그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이번 기회에 개방형 공모제 도입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점이다. 최근 서울시에서 일어난 인사비리 사건도 실상은 교장으로 승진하는 확실한 코스인 장학사가 되려는 일부 교사들의 그릇된 출세욕,폐쇄적 교장 임용 시스템에서 비롯된 병폐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번 마이스터고의 기업인 출신 교장선임이 공모제 확산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23화] 국민연금·펀드, 株總 건전한 감시자 돼야

 

이번주부터 12월 결산 상장사 정기 주주총회가 본격 개막한 가운데 기관투자가들이 주총에서 어떻게 의결권을 행사할지 주목되고 있다. 특히 50조원 가까운 주식을 가진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기금이 사외이사 선임을 비롯한 기업지배구조 관련 안건에 어떻게 대응할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국내 기관들은 증시의 큰손이면서도 주총에서는 `거수기` 노릇만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를 통해 경영진을 견제하면서 기업 가치를 제고하는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작년 주총 시즌 자산운용사들의 의결권 관련 공시를 보면 이들은 전체 1만1000여 개 안건 중 98.4%에 대해 찬성했으며 반대는 0.4%(49건)에 불과했다. 국내 증시에서 기관투자가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가 400개 가까이 될 정도로 기관의 영향력은 커졌다. 하지만 이들은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자세로 기업 의사결정에 참여하기보다는 일반 소액투자자나 다름없는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했다. 대주주나 시민단체의 시선을 의식해서 그랬을 것이다.

 

올해 주총 때는 기관투자가들이 보다 적극 나서 기업 경영에 대한 건전한 감시자 역할을 하기 바란다. 지나친 간섭은 바람직하지 않겠으나 경영 투명성과 지배구조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의결권을 행사하는 일은 주요 주주로서 당연한 책무다. 기관들이 그 책무에 충실할수록 증시 전체의 투명성과 신뢰도 높아질 것이다.

 

특히 100여 개 상장사에 대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부터 의결권 행사의 모범적인 준칙을 확립해 가야 한다. 경영진과 유착될 수 있는 장기 재임 사외이사 선임을 반대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필요할 경우 투자기업에 사외이사를 추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최근 KB금융 이사회 참여 논란 때처럼 국민연금이 정부 입김에 따라 관치에 나선다는 오해를 사지 않도록 어떤 경우에 사외이사를 파견할지에 관한 공정하고 투명한 준칙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모든 기관의 의결권 관련 공시 의무를 더 강화하고 상장사 주총이 특정일에 몰리지 않도록 하는 일도 중요하다.

 

 

* 오늘의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오늘과 내일/박성원(논설위원)-20100223화] 6·15와 6·25

 

중학생들은 빨치산 출신 장기수들을 ‘훌륭한 분’이라고 칭송하는 편지를 낭독했다. ‘전쟁 위협하는 외세 몰아내고 우리 민족끼리 통일하자’는 구호를 제창하며 손뼉도 쳤다. 2005년 5월 28일 전북 순창군 회문산에서 ‘6·15 공동선언 실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통일연대’ 소속 ‘통일광장’이란 단체 주최로 열린 소위 ‘남녘통일애국열사 추모제’ 전야제에서다. 180여 명의 학생 학부모를 이끌고 간 K중학교 김모 도덕교사는 인민군 혁명가와 ‘주체철학은 독창적 혁명철학’이라는 북한 원전을 소지했다. ‘6·15시대의 전진을 가로막아온 미국의 죄악’이라는 글을 인터넷에 올린 사람도 그다. 당시 행사에는 빨치산 출신들도 참가해 학생들에게 ‘통일에 기여한 공로’를 치켜세우는 표창장을 줬다. 이들은 “제국주의 양키군대를 한 놈도 남김없이 섬멸하자”고 외치고, 우리 정부를 ‘괴뢰정부’로 지칭했다.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은 남북간 화해무드 조성에 기여하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의 체제방어 시스템을 약화시켰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정상회담 4개월 뒤 결성된 ‘6·15공동선언 실천연대’의 한 간부는 2004년 중국 베이징에 가서 ‘황장엽과 김영삼을 응징(살해)하고 보안법 철폐 및 반미투쟁을 강화하라’는 북한 공작원의 지령을 받고 돌아왔다. 2001년 3월 결성된 통일연대는 “6·15 공동선언에서 (남북의 통일방안에)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한 만큼 연방제 통일안이 과거처럼 불온시될 수 없다”는 성명을 냈다. 2001년 남파된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소속 여간첩 원정화는 군 장교들을 포섭해 각종 군사비밀을 빼내다가 2008년 보수정권 출범 후에야 검거됐다.

 

6·15 공동선언이 북한의 개혁·개방을 이끌 것이라는 가설은 그럴듯했지만 의미 있는 증거는 나오지 않고 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핵무기와 장거리미사일 개발 등 ‘비대칭 전력’을 강화할 자금만 두둑이 쥐여 줬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6·2지방선거 전이라도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관계를 제자리로 돌리라”고 채근하며 “정상회담이 설령 정략적이고 선거에 도움을 받기 위한 것이라 해도 반대하지 않는다”는 ‘아량’까지 보였다.

 

남북문제를 국내정치에 이용하거나 북핵 같은 안보 위협과 국군포로 납북자 송환 같은 인도적 문제 해결을 외면하는 정상회담이라면 안하느니만 못하다. 북한은 1974년 3월 미국에 평화협정 체결을 제의한 이후 군사·외교 문제는 미국과만 상대하고, 남한은 오직 ‘민족내부 거래’의 상대로서 경협자금을 제공하는 ‘봉’ 정도로만 취급해 왔다. 북한 노동신문이 6·15 선언에 대해 2000년 그해 연말 사설에서 ‘김정일 정치실력의 승리’라고 묘사한 것도 그런 틀이 관철됐기 때문일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은 잘못된 남북협상 프레임을 뜯어고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남북간에 지금 필요한 것은 공허한 ‘우리 민족끼리’ 구호가 아니라 북한의 핵 포기와 진정한 화해 노력을 통한 전쟁위협 제거다. 북한 땅과 비무장지대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5만2000명의 국군 전사자 유해를 남북 공동으로 발굴하는 작업도 남북 화해와 신뢰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곧 10주년이 되는 6·15의 한계를 발전적으로 극복하고 60년 전 6·25와 같은 불행한 무력충돌을 막는 것이 3차 정상회담의 지향점이 돼야 한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신예리(논설위원)-20100223화] 끝장토론

 

조선 시대에도 끝장토론이 벌어진 적이 있다. 양민들이 군에 가는 대신 베를 바치던 군역(軍役) 개혁을 두고서다. 1750년 7월 3일 이른 아침 영조는 3정승과 6승지를 대동하고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으로 나섰다. 성균관 유생 80여 명과 일반 백성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영조는 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호포론(戶布論)’과 ‘결포론(結布論)’을 놓고 재상·유생·백성 순으로 의견을 내라고 했다. 두 안 모두 양반까지 징수 대상을 확대하되 전자는 가구 단위로, 후자는 토지 단위로 걷자는 차이가 있었다. “호포가 좋다” “결포가 좋다” 설왕설래는 석양 무렵까지 이어졌다. 보다 못한 영조가 새로 하교를 내렸다. 호포에 찬성하면 북쪽, 반대하면 남쪽에 서라 했다. 모든 신료가 남쪽에 섰다. 다음엔 결포에 찬성하면 북쪽, 반대하면 남쪽에 서라 했다. 이번에도 10여 명을 빼곤 대부분 남쪽에 섰다.(박홍갑 등, 『승정원일기』)

 

끝장토론의 역사는 몽골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국 문화에 관대했던 몽골 제국의 수도 카라코룸에선 종교 토론회가 자주 열렸다. 불교도·이슬람교도·기독교도가 함께 참여하는 토론회에서는 자유로운 발언이 보장됐다. 금기는 단 한 가지. “말다툼을 일으킬 말은 하지 않는다”는 것뿐이었다. 1라운드 토론이 끝나면 2라운드를 준비하며 술을 마셨다. 라운드가 거듭돼도 상대를 설득하거나 개종시킬 순 없었다. 하지만 참가자들이 더 이상 토론할 수 없을 정도로 취할 때까지 토론회는 계속됐다.

 

18세기 조선이건 13세기 몽골이건 끝장토론에서 말 그대로 끝장을 보지는 못했다. 그래도 갈등이 심한 이슈를 놓고 다른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려 애쓴 것 자체의 의미를 무시할 수 없다. 25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미국 건강보험 개혁 관련 끝장토론도 마찬가지다. TV로 생중계하는 가운데 양당 의원들이 백악관에 모여 한나절 동안 상대 입장을 충분히 들어보자는 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제안이다. 정치쇼에 불과할 뿐 합의점을 찾기 힘들 것이란 회의론이 고개를 든다. 그러나 미국을 양분할 만큼 견해차가 큰 문제이니 나중에 “할 만큼 했다”며 개혁을 밀어붙이자면 그런 쇼라도 필요하단 지적이 많다. 흡사 나란히 달리는 기찻길처럼 거리가 좁혀지지 않던 세종시 문제를 놓고 첫 의총을 연 우리 여당 의원들도 염두에 둬야 할 대목 아닐까.

 

 

[경향신문 칼럼-여적/박성수(논설위원)-20100223화] A형 간염

 

봄의 길목을 알린다는 입춘도 달포가 훌쩍 지났다. 따사로운 기운마저 느껴진다. 올 겨울이 유난히 추웠던 탓에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도 많았을 듯싶다. 그러나 봄이 오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들이 있다. 황사, 알레르기 비염 등 계절성 질환이다. 도심을 뿌연 먼지 속에 파묻히게 하는 황사는 불쾌지수를 높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호흡기 환자를 괴롭힌다. 버드나무 등에서 날리는 봄 꽃가루는 보기에는 아름다워도 알레르기 비염의 주요 원인이다. 봄은 백내장 환자에게도 위험한 절기다. 일조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눈을 더욱 침침하게 만든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올해는 이 같은 봄철 질환에 A형간염을 추가해야 할 것 같다. 후진국병으로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였던 A형간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다. 2002년 인구 10만명당 15.3명이었던 환자수가 2008년에는 4배 이상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1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서 집중 발생하고, 젊은 사람들 사이에 전염되는 사례가 많다는 조사 결과다.

 

A형간염은 봄철에 시작돼 여름철에 기승을 부리는 질환으로, 증상이 신종플루와 비슷해 혼동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타미플루를 복용하던 신종플루 의심환자가 황달증세를 보여 재검사를 해본 결과 A형간염 환자였다는 사례도 보고됐다. 신종플루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걱정거리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A형간염은 조개 등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오염된 물을 끓이지 않고 마셨을 때 감염될 확률이 높다고 한다. 발열, 오한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심해지면 복통, 구토, 설사, 황달 등이 나타난다. 가족 중 환자가 있으면 감염 확률이 10배로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A형간염이 급증하고 있다는 경고에도 이렇다 할 정부 대책은 들리지 않는다. 홍보 부족에 예산 마련도 미미하다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A형간염은 예방접종이 유일한 해결책이지만 백신을 모두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지난해 신종플루 백신이 모자라 법석을 떨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국민보건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홍보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 했던가. 많은 사람들이 질병에 시달린다면 춘색(春色)인들 흥이 나겠는가.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황정원(경제부 기자)-20100223화] 성의없는 국회의원과 공청회

 

(쇠고기 수입 문제를 둘러싸고) 캐나다와 세계무역기구(WTO) 분쟁절차에 들어가면서 왜 미국 때 같은 촛불시위가 없는 것입니까?"

 

"중국은 왜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쇠고기를 수입하지 않는다고 WTO에 제소당하지 않습니까?"

 

"우리도 대만처럼 미국과의 쇠고기 협상에서 강경하게 나가야 하는 것 아닙니까?"

 

지난주 국회에서 개최된 '캐나다 정부의 WTO 제소 및 쇠고기 수입 문제' 관련 비공개 공청회에서 나온 국회의원들의 질문이다. 캐나다는 우리의 쇠고기 수입거부에 대해 WTO에 불공정무역으로 제소,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와 농림수산식품부 등은 이 문제를 놓고 내용과 시기의 민감성을 감안해 비공개 공청회를 개최했지만 큰 소득은 없었다.

 

캐나다와의 쇠고기 협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한다는 논의보다는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의 규명이 앞섰던 까닭이다. 그러다 보니 논의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미국산 쇠고기 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공청회가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는 특성이 있지만 의원들의 사전준비와 인식이 크게 부족한 탓에 의미 없는 네 탓 공방만 이어지고 원론적 이야기만 반복됐다.

 

공청회에 참가한 의원들의 태도에 대해서도 뒷말이 무성하다. 전화를 받으러 회의장을 오가는 모습부터 점심 약속 때문인지 중간에 자리를 뜨는 숫자가 늘더니 2시간이 지나 끝난 공청회의 마지막을 지킨 의원들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특히 일부 의원은 일방적으로 질문한 뒤 간단하게 답변해달라고 요구해 참석자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미국의 전례가 있다 보니 모두가 책임을 회피하려고 해 진전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음달 말이면 사실상 캐나다와의 WTO 분쟁 1라운드가 끝난다. 우리 측의 승산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지금은 분쟁절차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양자협상을 할 경우 어느 정도 수준에서 수입을 허용해야 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타이밍이다. 이러한 때 흘러간 노래만 반복하고 있는 국회의원들을 어떻게 봐야 할까.

 

  제2차 세계대전 때 용맹성과
'피에 굶주린 늙은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던 패튼 장군은 언젠가 전투 직전에
두려움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중요한 전투를 앞두고
두려움을 느낀 적이 자주 있으며,
어떤 때는 전투 중에도 두려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절대 두려움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링컨 역시 같은 말을 했다.

"더는 갈 곳이 없다는
엄청난 거짓 확신이 수없이 밀려왔다.

그때마다 내 지혜는
아직 때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의 영예를
누리기까지 무수한 실패를 거듭했다.

1816년 가족파산,

1831년 사업실패,

1832년 주의회 의원 낙선,
1833년 사업 재 실패,

1834년 약혼녀 사망,
1836년 신경쇠약으로 병원입원,
1843, 48년 하원의원 두 차례 낙선,
1854, 58년 상원의원 두 차례 낙선.


이렇게 실패할 때마다
그에게는 절망의 유혹이 다가왔다.

두려움이 엄습하였다.
하지만, 그는 굴하지 않았다.

마침내 그는 실패와 두려움을 극복하고
1860년 미합중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부정적인 실패의 감정을 받아들이거나 ,
거부하거나,

이에 굴하여 염려를 하거나,
걱정의 유혹을 뿌리치고 전진을 하거나,


어떤 것을 선택 하느냐는 우리의 자유다.



미국의 한 사막에 비가 내렸다고 한다(데스 벨리라고 기억함^-^).

메마른 모래밖에 없다고 생각했던 그 곳에 비가 내린 후, 

1세기 만에 풀이 돋아나고 꽃이 피었다고 한다.

 

풀이 돋고 꽃이 피는 장면을 티비로 보았는데,

누가 저 곳이 100년 동안 풀도 없고 꽃도 피지 않았던 사막이라 생각할까 싶었다.

정말 북유럽의 잔디 깔린 멋진 초원지대로 보였다.

 

 

타오르는 태양 아래,

뜨겁게 데워진 모래 속에서 씨앗들은 비를 100년 동안이나 기다렸다.

 

인고의 시간.

그 기다림의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또 비가 100년만에 올지 200년만에 올지 기약할 수 없지만

수많은 씨앗들은 다시 비가 올 그날을 기다리며 잠들어 있을 것이다.

다시 비가 내리면 100년, 200년 전보다 더 노랗게 더 빨갛게 더 파랗게

황량한 모래 사막을 덮을 것이다.

 

자연을 보면, 정말 놀라울 뿐이다.

(*신은 황량한 모래 사막에 파묻혀 있는 씨앗에도 있다.)

 

기다림.

인고의 미학.

 

 

그래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고,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들이

아름다워 보이는 것 같다. 

 

- 나의 자기개발 추천글에서 곰인형워셔블님의 글을 담아왔습니다.




상황이 사랑이란 감정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사랑이란 타이밍이다. 그리고 타이밍은 우연과 운명이 아닌 연출이다.

 

연애를 성공하기 위해선 타이밍이 필요하며, 타이밍을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 연애의 결과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당신이 유념해 두어야 할 사랑의 타이밍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 번째, 고백 타이밍이다. 만나자 말자 바로 ‘좋아한다, 사랑한다, 사귀자’고 고백해선 안 된다. 상대방의 기분을 들뜨게 만들 수는 있지만 믿음을 심어 주진 못한다. 빠르면 4번째 만남에, 늦어도 3개월 안에 고백하는 것이 좋다.(3개월 이상이 경과 되면 서로에 대한 신비감, 호기심, 설레임의 감정이 반감되어 친구 이상 생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같은 공간(직장, 학교)에 있는 상대방이라면 먼저 자신의 좋은 이미지를 심어 주고 나서 고백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그리고 특정일(크리스마스, 발렌, 화이트 데이)에 고백하면 상대방이 고백을 승낙할 확률이 높아진다.(“크리스마스 때 뭐하세요? 그 때 약속 없으시면 저랑 만나요?” 고백을 하지 않아도 이런 질문만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떠 볼 수도 있다)

 

두 번째, 스킨십 타이밍이다. 만나자 말자 혹은 사귀자 말자 스킨십이 목적인 사람처럼 행동해선 안 된다. 자연스러운 이끌림에 따르는 것이 가장 유연한 스킨십 타이밍이다. 그리고 스킨십은 사랑의 목적이 아닌 결과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살포시 닿을 듯 말듯한 접촉 또한 상대방을 설레게 만들 수 있다.(극장 안에서 무릎과 무릎이 닿는 그 아슬아슬함이 더 묘한 쾌감을 선사한다) 여자는 남자의 강요에 의해 자신의 마음과는 상관없이 스킨십을 허락해선 안 된다. 자신이 허락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그것을 기다릴 수 있는 상대방의 인내를 테스트하라. 그 때 여자는 남자의 진심을 보게 될 것이다.

세 번째, 헤어짐의 타이밍이다. 사귀게 된지 6개월을 기점으로 계속 만날 것인지 그만 만날 것인지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그 때부턴 정이라는 감정이 생김으로 인해 이별을 받아들이기가 더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어지기 미안해서 계속 만나고 있다면 차라리 빨리 헤어지자고 말하는 편이 상대방을 위한 더 깊은 배려가 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사귐을 10번 생각했다면 헤어짐은 100번 생각하라. 그래도 모자람 없는 것이 바로 헤어짐의 신중함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팅, 미팅 타이밍이다. 가을, 겨울에 소개팅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외로움이 깊어지기 때문에 소개팅에 관심이 없었던 킹카, 퀸카들도 소개팅에 많이 나오게 되며 상대방을 보는 눈이 덜 까다로워 진다. 미팅은 주로 대학생들이 많이 하는데 3·4월에 킹카, 퀸카를 만날 확률이 높다.(대학축제, 신입생들의 영향)

 

 

 

 

어떤 요리든, 조리 시간이 중요하듯 사랑에 있어서도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라. 사랑이란 타이밍이다.



옛 사람을 기다리는 동안은 창 밖에 비가 와도 좋다.

밤은 넝마처럼 시름시름 앓다 흩어져 가고,

자욱한 안개, 님의 입김으로 조용히 걷히우면

하늘엔 비가 와도 좋다.

세상은 참 아프고 가파르지만

갈매기도 노래하며 물을 나는데,

옛 사람이 그리울 때만은

창 밖에 주룩주룩 비가 와도 좋다.

옷이 다 젖도록 비가 와도 좋다.


비가 와도 좋은 날 / 이외수



문득 바람이 허공에 멈춰 섰다.

흔들리는 마음을 부여잡느라 몸을 움직일 수 없었다.

세상의 모든 흐름이 정지한 듯 적막했다.

마치 차가운 행성에 서 있는 것처럼,

바다 위로 불어가는 바람에게 심장을 팔고 싶었다.

뻥 뚫린 심장의 자리로 바람이 지나가면 좀 시원할 것 같았다.

감은 눈꺼풀 위에서 바람이 흔들렸다.

소리도 없이...


때로는 나에게 쉼표 / 여행산문



길을 잃지 않았다면 만날 수 없었던 것들,

때로 그것은 셀렘의 다른 이름이 된다.

그것은 마치 기나긴 여행 중에 지니고 있던 책들을

모두 어디엔가 두고 온 후 활자가 애타게 그리워질 때,

우연히 누군가 호텔 방에 두고 간,

평소라면 절대 펼쳐보지도 않을
낡은 페이퍼백을 뒤적거리다가 문득

심장 속에 박히는 진주알 같은 문장을 만나는 것과 비슷한 기분이다.

잃지 않으면 만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그래서 나는 때때로 길을 잃고 싶어지곤 한다.


도쿄 펄프 픽션 / 이강훈



현실과 꿈. 그것이 만나는 곳에 여행이 있다.

여행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고,

뭔가 값진 것을 손에 넣을 수도 있다
.

하지만 반드시 자신에게 구체적인 무언가를 준다고 해서

그 여행이 좋은 것은 아니다.

잠시 삶을 되돌아볼 수 있다는 것,

아니면 그저 삶의 달리기를 멈추고

한 숨을 돌릴 수 있다는 것으로 여행의 가치는 충분하다


좋은 여행 / 이우일



먼 곳으로 가고 싶을 때가 있다.

혼자 혹은 누구와 함께.

여행은 어디로 가는 것이라고 해도 좋지만

사실은 어디로 되돌아가는 것이라고 해도 된다.

여행은 나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이 땅의 무수한 삶을 찾아 헤매는 절실함으로

내 안으로 들어가면서 사색하는 행위일 터이다.

여행의 목적지가 다르다고 해도 되돌아오는 곳은 같다.

바로 자기 자신이다.

여행은 자기 자신을 기억하는 행위이다.


안치운 / 그리움으로 걷는 옛길 중에서



떠나렴, 우울한 날엔 어디론가 떠나렴

한번도 가본 적 없는 낯선 곳으로 훌쩍 떠나렴

아무도 없다고, 이놈의 세상 아무도 없다고

울컥, 쓴 생각 들 땐 쓸쓸한 가슴 그대로 떠나렴

맑은 바람이 부는 곳에서 푸른 하늘이 열리는 곳에서 돌아보렴,

삶의 어느 모퉁이에서 만났던 고운 사람을

누군가가 그대 곁에 있는 것보다

그대가 누군가의 곁에 있는 것이

더 큰 기쁨이었던 것을 다시 느끼렴

떠나렴

사는 게 자꾸 슬퍼지고 마음이 무너져 내릴 땐

책이나 한 권 사 들고 아무 기차나 집어 타렴 ...


떠나렴 / 백창우






2010년 2월 22일 월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22월] 국제테러 위협 일깨운 탈레반 조직원 검거

 

국내에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을 조직하려 한 파키스탄인이 검거돼 우리나라가 테러 안전지대가 아님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올 가을 G20 정상회의 개최를 앞둔 마당이어서 국제 테러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국회 동의를 거쳐 아프가니스탄 파병이 이뤄지면, 탈레반이 이미 위협한대로 직접 공격이나 한국인 납치 테러를 자행할 수도 있다. 정부는 모든 위험 요소를 철저히 점검하고 총력 대응 태세를 갖춰야 한다.

 

검거된 파키스탄인은 이슬람사원 성직자로 일하며 신자들을 대상으로 탈레반 조직 결성을 시도하고 주한미군 관련정보를 수집했다고 한다. 해외 테러 세력의 국내 잠입 못지 않게 자생적 테러 조직의 출현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는 1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체류하고 있다. 일부 극단주의자들이 해외 테러세력과 연계, 한국 사회에 대한 불만을 무차별 테러로 분출하려는 시도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실제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이 같은 자생적 테러가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국제 테러조직 알 카에다는 인터넷을 이용, 전 세계에 산재한 잠재적 테러리스트를 조종해 이들에게 테러 정보와 구체적 노하우를 전파하는 등 '네트워크 테러' 단체로 변신해 가고 있다. 직접 접촉 없이도 얼마든지 테러를 지시해 실행에 옮기도록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것이다.

 

대 테러 관련기관들은 국내 체류 외국인 중 극소수 극단주의자들을 선별ㆍ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교류 및 수사협조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외국인들의 인격과 인권, 문화를 존중함으로써 그들 사회에서 극단적 테러리즘이 싹트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

 

국회는 국민 보호 관점에서 테러 예방 및 대 테러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테러방지법안 심의를 신속히 진척시켜야 한다. 정부는 단 한 명의 테러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경계 대책을 마련하고 수시로 점검ㆍ보완해야 할 것이다. 재외국민 보호에도 한층 힘써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22월] 철저히 가려야 할 자율형사립고 부정입학 의혹

 

이명박 정부 핵심 교육정책의 하나로 등장한 자율형사립고(자사고)가 시작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올해 처음 신입생을 선발한 자사고에서 부정입학 의혹이 터져나오고 있는 것이다.

 

문제가 제기된 부분은 사회배려대상자 전형이다. 서울 일부 중학교에서 대상자가 아닌 학생들을 교장이 추천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교육청이 조사에 나섰다. 사회배려대상자 전형은 자율형사립고를 귀족학교라고 비판하는 여론을 잠재우고자 교육과학기술부가 꺼내든 카드였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등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교육외적 조건 때문에 공부를 포기하지 않도록 특별전형으로 자사고 정원의 20%를 뽑도록 명문화했다.

 

하지만 이번 입시에선 특별전형 정원의 15%에 해당하는 142명은 뽑지 못했다. 뽑힌 학생들 가운데서도 사회배려 대상자가 아닌 학생들이 다수 포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런 상황이 빚어진 것은 무엇보다 일선 교육청의 안일한 대응 탓이다. 애초 경제적 배려 대상자 가운데 객관적 증빙이 불가능할 경우 교장의 추천만으로 지원할 수 있게 한 것이 문제였다. 이미 이런 문제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는 의견이 있었지만, 교육청은 묵살했다. 부정을 부추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도의 취지를 번연히 알고 있는 일선 중학교와 자사고가 학부모들의 협잡에 눈감고 방조한 것도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결국 이들의 합작으로 자율형사립고 입시제도의 신뢰성이 뿌리부터 흔들리게 됐다.

 

사안이 이렇듯 중대한데도 해당 교육청은 추천서의 적격 여부만 가리겠다고 한다. 안 될 말이다. 철저히 조사해 부정입학생의 입학을 취소해야 제도의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려면 교과부가 나서서 관련 당사자들은 물론 해당 교육청의 책임을 철저히 물어야 한다.

 

제도의 신뢰성을 위해선 정원 미달 사태를 빚는 원인이 무엇인지도 살펴보는 게 필요하다. 자사고 일반전형의 경우엔 내신 50% 안에 드는 지원자 가운데 추첨하도록 돼 있지만 사회배려대상자 전형은 성적순으로 뽑도록 했다. 이런 차별을 없애지 않으면 미달사태가 되풀이되고, 결국 그 비율을 줄이자는 소리가 나오기 십상이다. 이 전형방식을 통해 사회배려대상자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겠다는 게 정부의 진정한 뜻이라면 이 기준을 철회해야 한다.

 

 

[동아일보 사설-20100222월] 국립대 성과연봉제 발목 잡는 교수들 명분 없다

 

2015년부터 전국 41개 국립대 교수들에게 성과연봉제가 전면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신임교원을 대상으로, 내년부터는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등 모든 재계약교원에게 성과연봉제를 우선 적용하기로 했다. 국립대 교수는 현재 봉급과 수당, 1년 단위로 지급되는 성과급을 받고 있다. 성과연봉제로 전환하면 기존 봉급과 수당을 합쳐 기본연봉이 책정되고 성과에 따라 차등 책정되는 성과연봉을 받게 된다. 몇 년만 지나면 교수들 간에도 급여차가 벌어져 국립대에서도 ‘억대 연봉 교수’가 탄생할 수도 있다.

 

고인 물 같은 교수사회에 경쟁풍토를 조성하고 연구역량을 강화하자면 성과연봉제는 불가피한 선택이다. 미국에서는 아이비리그와 같은 사립대나 주정부가 재정을 지원하는 주립대도 교수 연봉은 대학당국과 계약을 통해 결정한다. 근무연한만 채우면 차근차근 봉급이 올라가는 우리 대학과 같은 급여체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종신교수직을 얻지 못하면 몸담았던 대학을 떠나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런 분위기가 연구와 교육의 질을 높인다. 미국 대학들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비결이다.

 

국립대 교수들은 과도한 수업과 행정업무 부담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성과연봉제는 연구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며 벌써부터 반발이 심하다. 그러나 속내를 들여다보면 교원평가제를 반대하는 전교조 교사들과 다를 게 없다. 철밥통에 안주해온 교수사회의 체질을 바꾸려면 성과와 보수를 연계하는 성과연봉제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스포츠 세계에서는 0.01초의 차이로 승부가 갈리고 시상대에서 목에 거는 메달의 색깔이 달라진다. 연구와 강의를 스포츠와 비교한다고 기분 나쁠 교수들이 많을지 모르지만 교수사회에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실력경쟁이 왜 안 된다는 말인가.

 

국립대가 법인화하면 정부가 성과연봉제를 시행하라, 마라 할 필요도 없다. 대학들이 알아서 할 문제이다. 국립대 가운데 서울대는 법인화를 결정했지만 지방 국립대들은 법인화를 외면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교수 성과연봉제는 연구와 교육경쟁을 유도해 대학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국립대의 변화는 사립대의 변화를 촉진시켜 대학경쟁력을 동반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진짜 실력 있는 교수라면 성과연봉제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조선일보 사설-20100222월] 새 형사 재판 제도가 제구실하려면

 

우리나라 법원 중 규모가 가장 큰 서울중앙지법이 중요 형사 사건을 형사 단독 판사 3명이 임시로 하나의 부(部)를 이뤄 재판하는 재정(裁定)합의부 4개를 새로 만들었다. 재정 합의부는 단독 판사가 맡게 돼 있는 사건 중에서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거나 쟁점이 복잡한 사건을 재판하게 된다. 서울중앙지법은 형사 단독 판사 16명 전원도 법관 경력이 10년 이상 된 판사들로 구성했다. 전국의 다른 지방법원도 이번에 재정 합의부를 새로 설치했다.

 

최근 법관 경력이나 사회 경험이 짧은 젊은 형사 단독 판사들이 PD수첩 광우병 보도나 강기갑 국회폭력 사건 등에서 국민 상식과 동떨어진 판결을 잇달아 내려 사회 혼란과 사법부 불신을 불러왔다. 법원의 이번 조치는 이런 비판 여론을 받아들여 보완 대책을 세운 것이다.

 

재정 합의부 제도는 전에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 10여년간 한 번도 구성된 적이 없을 정도로 유명무실(有名無實)했다. 법원장은 사건을 판사들에게 배당하기에 앞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건은 재정 합의부에 배당할 수 있고, 이미 배당을 받은 단독 판사도 스스로 판단해 재정 합의부에서 재판하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되면 재정 합의부로 재배당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법원장은 어떤 사건을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 자체가 재판에 개입한다는 오해를 살까 봐 재정 합의부에 배당하는 것을 꺼려왔다. 판사들은 자기에게 떨어진 사건을 재정 합의부로 옮겨달라고 하면 능력과 책임감 부족을 자인(自認)하는 결과가 될까 걱정해 이 제도 이용을 피해 왔다.

 

재정 합의부 제도가 제구실을 하게 하려면 법원장과 부장판사 5~6명으로 심의위원회 같은 걸 만들어 어떤 사건을 재정 합의부로 넘길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재정 합의부로 넘길 사건의 기준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한 사건' '사실관계나 쟁점이 복잡한 사건' '전문지식이 필요한 사건' 등으로 정하는 지금 기준은 너무 모호하다. 법원장이나 판사 혼자서 사건을 재정 합의부로 넘기는 것에 따르는 모든 부담을 지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마련돼야만 이 제도가 또다시 있으나 마나 한 게 되지 않고 튀는 판결, 편향(偏向) 판결의 홍수를 막을 수 있다.

 

 

[서울신문 사설-20100222월] 퓰리즘 감세법안 재정악화 우려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상정된 조세법안 28건 가운데 20여건이 비과세·감면을 요구하는 법안이라고 한다. 여야 의원들이 앞다퉈 내놓은 이들 감세 법안은 다자녀·교육비 소득공제 확대, 출산·입양 세제 혜택, 창업 중소기업 감면 확대 등 민생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책들이다. 문제는 세금 깎아주기가 당장은 유용할지 모르나 세수 부족을 초래해 재정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비용 추계가 첨부된 5개 법안만 따져도 세수 감소 규모가 연간 1조원대, 향후 5년간 4조 7000억원대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해 재정 건전성 악화문제가 제기되자 불요불급한 비과세·감면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남유럽발 재정 위기로 재정 건전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재정 악화를 야기하는 임시방편식의 세금 지원책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올들어서도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 명목으로 중소기업 고용증대 세액공제를 추진하는 등 감세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정부는 올해 국가채무 규모가 407조 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총생산(GDP) 대비 36.1%에 이르는 수치다. 반면 지난해 국세 감면액은 28조 3968억원으로 감면율이 14.7%였다. 법정 한도가 적용된 첫해인 2007년만 빼고 2년 연속 법이 정한 국세 감면 한도를 넘어섰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한나라당 김성식 의원에게 제출한 ‘우리나라의 재정 건전성’ 보고서에서 “세수 증가가 어려운 상황에서 복지 지출 등이 빠르게 늘어날 가능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재정수지는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각종 비과세·감면 축소, 지출의 유연성 제고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서민과 취약계층을 위한 세제 지원은 마땅히 늘려야 한다. 하지만 당장의 편의를 위해, 또는 포퓰리즘성으로 세금 감면을 남발하면 그 부담은 머지않아 부메랑이 돼 돌아온다. 더욱이 고용악화나 저출산 같은 사회문제는 세제 혜택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처방을 내놓아야 한다. 정부는 이제라도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만전의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22월] 세종시 여당 의총, 끝장토론으로 합리적 결론내라

 

세종시 수정안의 당론결정을 위한 한나라당 의원총회가 오늘 열린다. 또 정부는 관련 법률안을 3월2일 국무회의에 상정키로 함으로써 세종시 수정안이 본격적인 처리 수순에 들어가고 있다. 그동안 여당 내부,여당과 야당간 소모전만 거듭해온 세종시 문제 처리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여당내 토론과정과 그 결과에 지대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 문제에 대한 토론이 본격화되더라도 한나라당이 세종시 수정안의 당론(黨論) 채택에까지 이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수정안 반대에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는 친박계가 일단 의총에는 참여하지만 표결에는 불참하겠다는 입장으로 알려진 까닭이다. 더구나 최근 친박계 좌장격이던 김무성 의원이 토론의 물꼬를 트기 위한 중재안을 제시했음에도,친박계는 여전히 강한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세종시 수정은 그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집권 여당의 당론 채택에 실패하거나,또 당론이 채택되더라도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면 정부안 관철이 사실상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지 않아야 하지만 불가항력의 현실인 것 또한 사실이다. 다만 어떤 결론이든 반드시 전제돼야 할 것은 민주적 절차를 통해,정치공세가 아니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토론을 거쳐 도출된 결과로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나아가 원안이냐,수정안이냐의 첨예한 대립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 모색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 그것이 정치권의 할 일이다. 정부 측의 "부처이전은 원칙적으로 안되지만,정치권 논의를 거쳐 합리적 대안이 나오면 의회민주주의 차원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

 

중요한 것은 세종시 수정안 논의를 어떻게든 이번에는 매듭지어야 한다는 점이다. 언제까지 세종시에 매달려 다급한 민생 현안을 팽개칠 수는 없고 앞으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 추진과제도 산적해 있다. 끝장토론을 통해 여당의 당론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통일되고,그것이 친이계 · 친박계 모두에게 수용됨으로써 오는 4월 임시국회에서는 반드시 이 문제가 확실하게 마무리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22월] 오토바이 불법 난폭운행 반드시 뿌리뽑아라

 

서울경찰청이 인도나 횡단보도 통행 등 오토바이 불법행위를 다음달 말까지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수도 서울을 비롯해 거의 모든 도시에서 오토바이가 인도를 종횡무진 다니는 것은 국격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창피한 모습이다. 차량 사이를 지그재그로 파고들며 난폭하게 질주하는 것도 위험천만이지만 버젓이 인도와 횡단보도를 차지하고 보행자에게 비키라고 경적을 울려대는 행위는 적반하장이다. 보행인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지만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에게는 어떻게 비치겠는가. G20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한다.

 

사실 오토바이가 거리의 무법자 행세를 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법을 지킨다고 해서 생계에 지장이 있을 리 만무함에도 법을 우습게 아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에 대해 생계형 범죄라며 관대하게 처분했던 관행이 이 지경을 만든 것이다. 단속기간이 끝났다고 오토바이가 도로나 횡단보도로 다니도록 방치할 수는 없는 노릇임에도 날짜를 잡아 반짝 실시하는 집중단속으로 불법행위를 막는 데 시한을 두는 것도 말이 안 된다.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세계 주요 5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브랜드 지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19위로 경제 규모 순위(15위)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글로벌 시민의식이나 기초질서 준수 등 국민 분야 순위는 33위로 더 형편없었다. 경제력만 키운다고 선진국다운 면모가 갖춰지는 게 아니다.

 

봄이 되면 시민들의 나들이가 부쩍 늘어날 것이다. 거리질서 확립은 시민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삶과 직결될 뿐 아니라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준법의식을 길러주는 살아 있는 교육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도쿄ㆍ뉴욕ㆍ런던ㆍ파리 같은 선진국 도시의 질서를 부러워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법을 지키는 대다수 선량한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거리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 오토바이 불법 통행과 함께 교차로 꼬리물기 단속도 무기한으로 벌여 교통문화를 반드시 한 단계 격상시켜 놓기 바란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허귀식(경제부문 차장)-20100222월] 금

 

금은 금속이라 하기엔 너무 무르다. 장신구 외에 이렇다 할 쓸모가 없다. 칼이나 낫을 만들 수도 없고. 쌀 같은 먹을거리도 못 된다. 오늘날에는 반도체나 인공위성 등으로 쓰임새가 넓어지긴 했으나 이전엔 금을 쓸 곳이 많지 않았다. 그런데 왜 인간들은 그토록 오랜 세월 황금에 목말라 했을까.

 

황금의 지배』 저자인 피터 번스타인은 “그건 바로 권력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특유의 광채와 희소성 덕분에 금은 권력자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이집트에서 금을 사용하는 것은 파라오의 특권이었다. 금은 신의 장식물이었다. 파라오는 스스로를 금으로 장식함으로써 자신을 신과 같은 반열에 올려놓았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일반 백성들이 금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서기 144년, 신라의 일성이사금은 “민간에서는 금은과 주옥(珠玉, 구슬과 옥)의 사용을 금하라”고 명했다.

 

권력자는 자신을 신비롭게 꾸미는 데 금보더 더한 것을 찾지 못했다. 황금으로 만든 왕관과 옷가지는 권력자의 물건이었다. 권력자이면 부자이던 시대였으므로 금은 곧 부의 상징에 등극했다.

 

인간은 소유하지 말라는 것을 더욱 갖고 싶어 한다. 150여 년 전 골드러시와 함께 엄청난 금을 생산한 미국에서도 1933년부터 개인의 금 소유를 전면 금지했다. 금을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내놓지 않으면 최장 10년간 감옥에서 살아야 했다. 75년에 금지가 풀리자 금 소비가 확 늘며 값이 껑충 뛰었다. 중국은 공산화 이후 금 소유를 금지했다. 2002년에 금 소유가 허용되자 중국의 금 수입은 폭발적으로 늘었다. 금을 향한 인간의 집착은 금속 자체의 값어치보다 어쩌면 금기·동경의 역사에서 먼저 촉발됐는지 모른다.

 

올림픽 승자에겐 금메달을 준다. 금 자체가 ‘최고’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어서다. 인간의 금 욕심을 이용해 배타적 승부욕을 부채질하겠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하지만 금을 향한 욕망이 강렬한 나머지 인간은 금의 노예가 되기도 한다. 인간이 금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금이 인간을 갖고 노는 것이다. 금메달에 집착한 우리도 금메달을 못 딴 선수가 흘린 땀과 눈물을 외면한 게 한두 번이 아니었다. 은, 동메달도 아니면 ‘목매달’이라 비난을 퍼붓기까지 했다. 겨울올림픽 무메달 이규혁 선수에게 쏟아지는 국민과 대통령의 격려에서 금의 사슬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우리를 본다.

 

 

[경향신문 칼럼-여적/김철웅(논설실장)-20100222월] 문학적 저항

 

“문학하는 자세를 바로잡으려 할 때 문학의 순수성을 새로 문제삼을 필요가 있다. 요즈음 우리 주변에서도 ‘순수’와 ‘참여’의 논의는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듯 하다.…” 1966년 초 ‘창작과 비평’ 창간호에 실린 백낙청의 권두논문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는 이렇게 시작한다. 백낙청은 순수문학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한국문학은 단순히 한국의 문학이라는 사실만으로도 남북의 절단에 대한 생생한 항의가 되며 역사적 운명공동체인 한국민족의 가장 애타는 소망을 대변하는 것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인 윤무한은 “ ‘창비’는 청년 지식인 백낙청이 쏘아 올린 신호탄이었고, 권두논문은 그의 문학적 선언이었다. 당시 그의 나이 겨우 28세. 132쪽에 정가 70원짜리 창간호는 문학에 대해 고민하던 이들에게 눈앞에 드리운 안개를 걷어낸 경이로운 지적 마당이었다”고 썼다. 그의 표현대로 ‘창비’의 출현은 참여문학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 이 계간지가 지향한 것은 ‘현실의 감추어진 진실을 드러내는’ 문학이었다. 그것은 민족문학이며 시민문학이었고 때론 현실의 부조리에 맞서는 저항의 문학이었다. 엄혹한 독재 아래서 잡지는 강제 폐간과 복간, 필화사건 등 곡절을 겪어야 했다. 그럼에도 시인 작가들의 저항정신은 꺾이지 않았다.

 

도리어 시대가 바뀌면서 참여문학에서 팽팽한 긴장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민족문학 작품들이 활력을 잃었고 소재 빈곤을 드러냈다. 혹자는 원인을 시대상 변화 등 문학 외적인 곳에서 찾았다. 민주화 이후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를, 인권과 자유를 외칠 일이 더 이상 없어졌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1978)> 작가 조세희는 지난해 1월 용산 참사 후 “30년 세월이 아무 변화도 가져오지 않았으며 상황은 오히려 나빠졌다”고 말했다.

 

한국작가회의가 정부의 보조금을 거부하고 ‘저항의 글쓰기’ 운동을 펼치기로 결의했다고 한다. 도화선은 문화예술위원회가 문예진흥기금 지급 조건으로 시위불참 확인서 제출을 요구한 것이었다. 이 소식을 들으면서 문득 70년대 부른 ‘훌라송’이 생각난다. 그래, 시인 작가들이 언제 까짓 몇천만원에 지조를 굽혔는가. 시인 작가를 몇푼 돈으로 길들이려는 비문화, 반교양을 어떻게 용납할 수 있는가.

 

 

[서울경제신문 칼럼-동십자각/정두환(부동산부 차장)-20100222월] 똑똑한 소비자를 믿어라

 

1년이 훨씬 넘도록 제자리걸음이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 얘기다. 정부가 "시장을 왜곡하는 잘못된 제도는 과감하게 뜯어고치겠다"며 법안개정 방침을 추진했지만 한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열린 국회 건설교통해양위원회 1차 소위원회에서 관련 법안이 다시 논의될 예정이었지만 논의조차 못한 채 회의가 무산됐다.

 

민간 분양가상한제 폐지논의가 계속 겉도는 것은 '집값' 때문이다. 상한제를 폐지하면 고분양가 사태가 재현돼 주변 집값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는 셈이다. 이는 참여정부 당시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했던 때와 비슷한 논리다.

 

하지만 잘 살펴봐야 할 것이 있다. 당시 참여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공급확대'를 배제한 채 인위적인 가격 통제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뒀다는 점이다. '공급확대'로 집값을 안정시키려는 현 시장상황과 차이가 나는 점이다.

 

분양가상한제를 풀 경우 서울 등 인기지역에서는 단기적으로 분명히 분양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재건축이나 재개발사업은 분양가를 높일 경우 조합원들의 수익 증대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양가 상승이 주변집값 자극이라는 도미노효과를 가져올 확률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해 강남주변부의 한 재건축추진단지는 분양가를 높였다가 참담한 분양성적표를 받아든 경험이 있다.

 

더욱이 외곽지역의 경우 현재의 시장상황으로는 분양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지 않다. 심지어 고양 삼송, 김포 한강, 인천 청라 등에서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공급된 아파트조차 줄줄이 미분양ㆍ미계약 사태를 빚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사는 값을 올리고 싶어도 함부로 올릴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민간 분양가상한제 폐지의 또다른 '안전판'은 바로 보금자리주택이다.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해 조성하는 보금자리주택지구 아파트 분양가는 강남권조차 3.3㎡당 1,000만원대로 주변시세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민간 건설사 역시 상품의 판매가격 산정 과정에서 공공주택의 저렴한 분양가를 신경쓰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과거 주택의 절대량이 턱없이 부족하던 때는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상황은 다르다. 소비자는 다양한 주택을 비교하고 냉철하게 판단한다. 이제는 시장을 똑똑한 소비자의 판단에 맡겨 보는 게 어떨까.

 

스피치가 달라지면 인생이 달라진다 !

 

 스피치(말)는 단순한 의사표현이 아니다.

스피치는 말하는 사람의 지식과 경험, 철학 등을 담아 세치의 잛은 혀를 통해 지식과 지혜,

심지어 큰 깨달음을 얻게 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를 설득하고 감동시켜 운명까지 바꾸는 것이 바로 스피치의 힘이다.

인간의 가장 빠른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스피치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다.

즉, 스피치가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성공하려면 스피치를 잘하라. 성공하는 사람은 스피치에 능하다'라는 말처럼

스피치는 단순한 의사전달이나 표현이 아니다.

자신감의 발로, 신념의 원칙이며 원만한 대인관계와 성공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가장 중요한 매개체가 되는 것이 바로 말, 스피치인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스피치가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라고 말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사람들의 머리와 가슴에 꽂히는 말 중에서-



/

모르는 사람의 전화를 한 통 받았습니다. 자신의 무기력증을 호소했습니다.

아무런 의욕 없는 하루가 감각을 잃은 피부를 스치는 바람처럼 지나간답니다. 모든 에너지가 방전되어 고갈된 듯 하답니다.

꼼짝없이 그렇게 당하고 있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은지 물었습니다.

목소리에는 그 사람의 지금이 물먹은 솜처럼 담겨있었습니다.

그는 조언을 원했지만 그가 정말 원하는 것은 조언이 아닙니다. 말은 그에게 아무 도움도 되지 못합니다.

그저 스스로 일어나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말하는 것 보다 조금 더 어려운 일을 주문했습니다.

 

말하는 대신 써 보라 했습니다.

종이와 연필을 꺼내 영화 속의 주인공들처럼 아주 긴 Wish List,

그러니까 생각나는 대로 머리 속에 떠오르는 모든 소원의 목록을 만들어 보라했습니다.

종이 위에 쓰면 이루어진다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생각은 머리만 움직이는 것이고, 쓰기는 머리와 손을 모두 움직이는 것입니다.

손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은 육체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됩니다. 쓰기는 이미 일종의 실천인 셈이지요.

 

그리고 그에게는 지금 아주 작더라도 실천 자체가 중요하니까요.

그 다음 내게 하고 싶은 말도 글로 써 보내라 했습니다.

생각 보다 명료한 것은 말로 생각을 포착하는 것입니다. 생각이 말을 얻으면 표현된 것입니다.

그러나 말은 바람처럼 사라지는 것이고, 글은 말이 종이 위에 포획된 것입니다.

글이 쓰여지는 동안 생각은 스스로를 다듬어 갑니다. 생각이 쉽게 핵심을 향해 전진하게 도와줍니다.

글은 글재주의 문제가 아니라 생각의 가시화 능력을 뜻합니다. 우수마발을 떨어내고 핵심에 이르면 실천 강력으로 쓸 만합니다.

쓰는 동안 스스로 무엇을 해야하는 지 알아가게 되는 것이지요.

글은 이미 행동입니다. 종이와 펜, 가장 강력한 행위의 도구입니다.

오늘은 써 보세요.

두려운 모든 것들을 써 보면 종이 위에 그 단어들이 나타나는 순간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어둠 속에 숨어 있던 무서운 것들이 햇빛으로 나오는 순간 우스운 것으로 변해 어이없게 하듯

두려움은 그 정체에 다가서는 순간 참을 만한 것이 되고, 죽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됩니다.

또한 하고 싶은 것들을 써 보세요.

그것은 작은 램프에 갇혀 있다가 지니처럼 피어올라 이내 경이로운 현실이 됩니다.

모든 기적이 종이 위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진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마치 빛나는 랜드마크도 처음 한 장의 청사진에서 시작하듯 말이지요.

오늘은 조용히 앉아 써 보세요.

 

 

- 출처 :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


 

호감가는 이성에 쪽지…10명중 1명은 연락 와

 

지금까지 솔로였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던 애인 제조기 같은 친구 한 명이 있었다.

 

더구나 그 친구는 누구나 하는 소개팅 한번 한 적 없는 친구였다.


그렇다면 그 친구는 어떻게 해서 그런 경이적인 신기록을 달성할 수 있었을까?

엄청나게 돈이 많아서? 뻑 갈 정도로 잘생겨서? 아니었다. 단지 한 가지 방법을 실천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방법이란 이름하여 ‘쪽지 전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쪽지 전법이란 쪽지에 자필로 ‘꼭 할 말이 있습니다.

 

연락 부탁 드릴게요’라는 내용과 함께 자신의 연락처와 메일 주소를 적은 다음 맘에 드는 상대에게 부끄러운 뉘앙스를 풍기며 살짝 건네주는 전법으로 그 효과가 실로 막강하다.

예를 들어 그 친구의 경우 평소 10장씩 들고 다니다 맘에 드는 사람에게 쪽지를 건넸는데 10장을 건네게 되면 최소 1명에게는 연락이 오는 것이었다.

 

물론 이 친구처럼 쪽지를 남발해선 안되겠지만 능동적으로 이성과 만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란 사실만큼은 분명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성과 만날 공간과 기회가 부족하다고 하소연 하곤 한다.

 

기껏 이성을 만나볼 기회라고 해봐야 소개팅 정도가 전부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이성과 만날 기회는 무궁무진해진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상형과 근접한 이성에게 곧바로 자신의 관심을 표현할 수 있다.

 

우리의 일상은 의외로 단조롭다. 그렇기 때문에 능동적인 자세로 이성을 찾지 않는다면 특별한 만남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다.

 

물론 이런 능동적인 자세가 부담스럽고, 많은 용기와 자신감을 필요로 하겠지만 이 정도의 적극성조차 결여되어 있는 젊음이라면 그 젊음은 앙상한 나뭇가지처럼 차갑게 메말라 갈 뿐이다.

 

 

 


그리고 특히 여자들의 경우엔 남자가 먼저 접근해 주길 바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는데 요즘은 오히려 적극적인 여자가 환영 받는 시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고 마냥 누군가 손을 내밀어 주길 바란다면 자신의 이름 앞에 ‘노처녀’라는 수식어가 붙기란 시간 문제다.

 

 

 

 

이렇듯 먼저 손을 내밀 줄 아는 자가 진정으로 손을 잡을 줄 아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80% 이상이 맘에 드는 이상을 발견했을 때 ‘그냥 지나친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하지만 고백의 성공률이 가장 높은 계절인 이 가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쪽지를 한번 보내 보자.

 

그 작은 실천이 당신의 운명을 만들어 줄 테니깐 말이다.

 

 

 

맘씨 곱고 아름다운 신데렐라일지라도 혼자서 무도회장에 갈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이 없었다면 백마 탄 왕자를 만날 수 없었다.



/


참 이상하지.

다들, 가장 사랑하는 사람과는 함께하지 못하는 것 같아.

그래도 세월이 흐르고 나서는 오래도록 함께한 사람을

가장 사랑했다고 생각하게 되겠지, 아마.


에쿠니 가오리 / 장미 비파 레몬



세월이 지나고 나면 잠시 스쳐지나온 것만 같은데

너무 빨리 지나쳐 버려 아쉬움만 남는다

어린시절에 붙잡아 매놓은 듯 그리도 가지 않던 시간들이

나이가 들어가면 남는 것은 그리움뿐

시간을 도둑맞은 듯 달아난다

가끔은 잠시 멈추어준다면 더 행복할 수 있을 것만 같은데

사랑을 잃어버린 동안에 시간은 의미없이 더 빠르게 흐른다

매달리듯 애원하며 멈추워놓고 싶어도

떠나가는 시간은 흘러만 가는데

꼭 잡아두고 싶었던 것들도 모두 다 놓아주고 싶어진다

흘러가야만 하는 세월을 멈출 수가 없다


흘러만 가는 세월 / 용혜원



그때가 언제인지 몰라. 이제 기억이 안 나.

아니 내가 당신을 만났던 것이

내 인생에서 정말 일어난 일인지 아닌지도 모르겠어.

당신과 나 사이에서는 언제나 불확실한 시간들이 흘러갔지

아주 오래 된 사소한 일이 손에 잡힐듯 떠오르는가 하면,

어제 있었던 일은 까마득하게 잊혀지기도 했어.

그리고 그 모든 날들은 절대적인 시간의 흐름속에 묻혀갔지.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는 무엇이 남아있는 것일까.

푸른 백지 같은 하늘은 아직도 우리들 머리 위에 있는데.


그렇다 해도 당신을 전부 잊어버렸단 건 거짓말이야.

난 가끔 궁금해하곤 하지.

아직도 당신은 그렇게 아이처럼 웃는지.

아직도 그렇게 먼 곳을 바라보며 이야기 하는지.

아직도 당신이 세운 그 굳건한 성 속에서 당신만의 꿈을 꾸고있는지

세상은 아직도 당신에게 그렇게 거칠고 낯선지.

당신을 생각하면 내 마음은 캄캄한 동굴 속에서 헤매는 어린아이처럼,

두렵고 무서웠어.

나는 당신을 사랑했다고 생각했지만

그건 당신이 내게 준 깊은 외로움 탓이었지.

아주 멀리 떠나왔지만

아직도 나는 캄캄한 동굴속에 갇힌 꿈을 꾸곤 해.


캠퍼스에서는 꽃들이 무서운 기세로 봉오리를 터뜨리고 있었지

나는 당신이 내 사랑을 알아주지 않아

얇고 바삭바삭한 크래커처럼 메말라 있었어.

밤이면 크고 둥근 달이 우물처럼 하늘 위에 떠있었고,

나는 그 속에 들어앉아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으며 삶을 마치고 싶었던거야.

그 해 봄에는 비 한방울 내리지 않았어

작은 아이들은 동네 골목길에서 물풍선을 터뜨리며 놀았지.

그때, 아이들이 잘못 던진 물풍선 하나가 내 창에 맞았고,

길을 지나가던 작은 고양이가 조심스럽게 물방울을 핥고 있었어,

내 마음은 언제 어디에서 터져버린 걸까.


나는 꽃들이 무서워 내내 방에만 틀어박혀 있었어.

그리고 그때 나는 이미 알고 있었지.

우리의 이야기는 해피엔딩이 아니라는걸, 나는 알고 있었지.

우리의 이별은 끔찍하게 길어질 것이라는 걸, 나는 또 알고있었지.

나는 변함없이 언제까지나 그 자리에 앉아,

그 긴 이별을 기다리게 될거라는 걸...


나는 왜 모든 걸 알고 있었던걸까.

그토록 길고 흐린 이별속으로 천천히 걸어들어가면서,

아무것도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후회를 하면서,

내 심장을 할퀴는 바람 소리를 들었어.

바람 소리 같은 노래를, 똑같은 노래를 듣고 또 들었어.

내가 다시 살아 갈 수 있는 방법이 마치 그 안에 있는 것처럼.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었지.


모래알처럼 거칠었던 그 사랑,

나는 당신을, 당신은 나를 태울수가 없었지

물기는 조금도 받아들일 수 없는, 막막하고 막막한 공간,

나는 미칠듯한 갈증에 시달리며,

거친 공기속에서 힘들게 숨쉬고 있었어.

공기에서는 서걱서걱한 모래의 맛이 났어.

내 사랑, 당신은 알고 있었니.

우리는 같은 운명에 휩싸여 서로 다른 곳을 보고 있었다는 것을.


당신을 떠나던 날, 나는 무척 아름다운 꿈을 꾸었어.

어쩌면 내 인생에서 두 번 다시 보지 못할 아름다운 꿈이었지.

하늘이 너무 맑아서, 구름이 너무 부드러워서,

꽃이 너무예뻐서, 나는 울고있었지.

그건 너무 완벽한 행복이어서 난 어쩔줄을 몰랐어.


잠에서 깨어났을 때, 나는 당신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지.

그 많은 낮과 밤동안 단 한번도 나를 놓아주지 않던 당신이,

그때서야 비로소 나를 놓아버린거야.

그런 생각을 하자 나는 슬퍼졌어.

그 깊고 긴 꿈에서 단 한번도 당신을 생각하지 않았던 내가 거기 있었어.

나는 울었지만, 그것이 당신을 위한 마지막 눈물이라는것을 알고 있었지.


그토록 까마득한 시간들이 지나고,

그 시간들이 지금 내게 까마득히 느껴지는데

난 아직도 당신과 함께 듣던 노래들을 들을 수가 없어.

하지만 이제는 당신에게 감사해야겠지.

늘 당신을 생각하던 그 여름, 가을, 겨울과 봄,

당신으로 인해 내 마음에는 한 여름에도 폭설이 내렸지만,

세포들 하나하나 살아 숨쉬며 당신을 찾아 헤매던,

그토록 풍요롭던 그 날들은 이제 다시 오지 않을테니.

아주 먼 훗날에라도 우연히 당신을 만난다면,

이 말만은 꼭 해주고 싶었어.

고마워, 당신을 보내고 나는 이렇게 살아 남았어.


그리고 나는 같은 장소, 같은 시간, 같은 거리에 다시 서 있어.

기억은 공기중의 습도와 일조량과 바람의 속도를 프레임 속에 넣고,

찰칵하는 소리와 함께, 당신과 나의 기억을 가두어 버리지.

함께 사랑했던 사람은 사라지고,

풍경은 늘 그 자리에 남는 거야.

가장 마지막까지, 아무렇지도 않은 얼굴을 하고...


APRIL 2001 PAPER 황경신



사람이란, 살아온 날들의 모든 것을 기억할 수는 없지만,

소중한것은 절대로 잊지 않는다고 난 믿고 있다.

인간이란 잊으려 하면 할수록 잊지 못하는 동물이다.

더이상 상대를 옭아매는 연애 따위는 하고 싶지않다.

과연 나는 기억을 지울 수 있을까...

필요때문에 입을 열어야 할 일은 사실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정말 필요한게 있는걸까.

그 정도로 중요한 것이 과연 우리 주위에 얼마나 있단 말인가.


약속은 미래야, 추억은 과거고...

추억과 약속은 의미가 전혀 다르겠지.

미래는 그 모습이 보이지 않아 늘 우리를 초조하게 해

그렇지만 초조해 하면 안돼

미래는 보이지 않지만, 과거와 달리 반드시 찾아오는 거니까

희망이적건, 고통스럽건, 가능성이 제로가 아닌한 포기해선 안돼.


과거란 무엇일까,

과거는 인간에게 불필요한 것일까

이 거리의 속도속에서 과연 나는 자신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을까.

사람은 모두 미래를 향해 살아가야만 하는 걸까.

시간은 흐른다.

그리고 추억은 달리는 기차 창 밖으로 던져진 짐짝처럼 버려진다.

시간은 흐른다.

바로 어제처럼 느껴지던 일들이,

매 순간 손이 닿지않는 먼 옛날의 사건이 되어 희미한 기억 저편으로 사라진다.

시간은 흐른다.

인간은 문득 기억의 원천으로 돌아가고 싶어 눈물 흘린다.

시간이 해결해줄거라고,

흘러가는 시간이 마음의 병을 치유하고

과거를 잊게 해주리라 기원하면서....


과거밖에 없는 인생도 있다

잊을 수 없는 시간만을 소중히 간직한채 살아가는것이

서글픈 일이라고만은 생각지 않는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과거를 뒤쫓는 인생이라고

쓸데없는 인생은 아니다.

인생이란 후회의 연속이다.

인생은 한번뿐이지만,

몇번이라도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살아갈 수 있다.

자신의 새로운 짝을 찾아야 한다.


모든 속박을 벗어던지고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여행할것,

수많은 사람을 만날것이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과 헤어질 것이다.

배신, 전학, 졸업, 여행, 사별...

그 이유는 얼마든지 들수 있지만,

인간이란 헤어지기 위해 태어난 존재가 아닌가,

그 고통에서 도망치기 위해 모두 새로운 만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너무도 길게 느껴지는 기다리는 시간...

그것은 깨달음의 시간이기도 하다.

기다림의 저 앞에 기다림을 받아들이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깨닫기위해,

사람은 기다림의 시간에 몸을 담근다.


이순간, 과거도 미래도 퇴색하고, 현재만이 빛을 발한다.

과거도 미래도 현재를 이길 수 없다.

세계를 움직이는 것은 바로 지금이라는 일순간이며,

그것은 열정이 부딪혀 일으키는 스파크 그 자체다.

과거에 사로잡히지 않고, 미래를 꿈꾸지 않는다.

현재는 점이 아니라 영원히 계속되어 가는 것.

과거를 되살리지 않고

미래를 기대하지 않고

현재를 울려퍼지게 해야한다.


냉정과 열정사이 中





2010년 2월 19일 금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19금] 사법 신뢰 높여 줄 전체 판결문 공개

 

모든 법원 판결문을 공개키로 한 대법원 결정은 국민과 사법부의 간극을 좁혀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갖게 한다. 부정적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일단 긍정적 효과가 더 도드라져 보인다. 예상되는 부작용을 파악해 면밀한 대비책을 세운다면 우려는 기우에 그칠 수 있다.

 

전체 판결문 공개는 국민의 사법정보 접근권을 확대해 국민에 의한 사법부 견제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유사 사건에 대한 법리 판단, 양형 등을 토대로 국민들이 어느 정도는 재판 결과를 비교ㆍ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판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 신뢰도를 높이고, 판결의 공정성을 둘러싼 소모적 논란과 오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전관예우 관행이 조금씩 개선되고, 변호사 수임료 책정도 수요자 주도형으로 바뀔 여지가 있다.

 

다만 판결문이 모두 공개될 때 판사들이 느낄 부담감이 걸린다.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 PD수첩 무죄 판결 등의 경우처럼 판결에 반발해 판사 개인에 대해 비이성적 인신 공격을 가하거나 이념 공세를 펴는 경우가 더 잦아질 수 있다. 그 경우 판사들이 법률과 양심에 따라 소신 있는 판결을 내리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장기적으로는 판결의 현실 안주 경향마저 초래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재판의 독립과 사법부 내 다양성 보호를 위해서라도 대법원은 전체 판결문 공개가 판사 개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상시 점검해 제도적 보완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전체 판결문 공개가 자칫 재판 당사자들의 개인정보 공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대법원이 가장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대법원은 판결문 익명화 처리에 드는 비용 등의 문제로 재판 시작 전 당사자들이 익명화 여부를 결정하고 법원이 허가하는'익명 허가제'를 검토한다고 한다. 하지만 실명 공개를 원하는 재판 당사자들이 그리 많지 않을 것이므로 하나마나 한 절차가 될 수 있다. 판결문 익명화 처리 후 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사건의 공익적 측면과 재판 당사자의 비중 등을 감안해 법원이 선별적으로 실명 공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19금] 공교육 혁신의 단초 보여주는 ‘행복한 성적표’

 

일부 교사들이 시작한 ‘행복한 성적표’ 작성 운동은 공교육 혁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교육운동 단체인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 소속 교사들이 지난해부터 시범적으로 실시한 이 운동에 학생과 학부모들이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행복한 성적표란 기존 성적표와 달리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과정을 면밀히 관찰해 서술형으로 기록한 것이다. 교사들은 숫자로 표시된 성적에선 나타나지 않는, 수업과정에서 확인한 학생들의 태도와 노력 그리고 장단점까지 세심하게 정성껏 평가한다. 이런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여 학습의욕을 자극하고, 학부모들의 학교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주는 구실을 한다. 이 성적표를 받아본 뒤 ‘진짜 학교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학부모들의 반응은 이 운동의 의미와 가능성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전에도 행복한 성적표처럼 결과가 아닌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자는 논의는 있었다. 노무현 정권 당시 교육혁신위원회가 입시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도입하려고 했던 교육이력철이 그런 사례다. 하지만 교사들에 대한 불신과 업무부담 가중을 우려하는 교사들의 반대로 시행되지 못했다.

 

행복한 성적표 운동에 참여한 교사들도 지금 교육여건에서 이런 제도를 전면적으로 시행하긴 어렵다고 인정한다. 학생 하나하나를 면밀히 관찰해 평가하는 일은 많은 시간과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운동을 시작한 교사들은 제도와 환경이 다 갖춰질 때까지 기다릴 정도로 우리 교육현실이 한가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공교육이 사교육에 눌려 질식당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방과후 학교에 대한 예산지원처럼 공교육 현장마저 사교육장화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확대시켜온 것이다. 이런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면 교사·학생·학부모 간의 신뢰회복을 통해 공교육에 대한 믿음을 복원해야 한다. 행복한 성적표는 이런 노력의 출발선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운동에 대한 교사 단위, 학교 단위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 더 중요한 것은 정책당국이 교사들의 자발적 헌신을 제도적 차원에서 뒷받침해주는 일이다. 교사들에게 자신들의 수업을 기획하고 평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책무성을 높이고 과중한 잡무를 줄여줌으로써 학생 지도에 헌신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동아일보 사설-20100219금] ‘100% 무상급식’ 민주당 공약, 오히려 反서민

 

민주당이 6·2 지방선거를 겨냥해 어제 초중학생에 대한 전면 무상급식을 당론으로 확정했다. 전국 초등학생과 중학생에게 무상급식을 하려면 연간 약 2조 원이 든다. 이 많은 돈을 조달하려면 다른 요긴한 교육사업 등에 써야 할 돈을 빼내 오거나, 아니면 국민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

 

학교에서 공짜 점심을 주겠다는 무상급식이야말로 매력적인 공약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책임 있는 정치인이나 공당(公黨)이라면 이런 무책임한 공약을 내놓아선 안 된다. 재정 조달 문제를 먼저 생각하고 형평성과 합리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국가 재정이 넉넉하다면 고등학생까지도 무상급식을 못 할 게 없겠지만 국가 전체로 보면 ‘공짜 점심(free lunch)’은 없다. 초중학생 전원 무상급식을 실현하려면 학교의 노후시설 교체비용과 도서구입비 등 다른 예산을 그만큼 줄여야 한다. 다른 교육 현안과 비교해 어느 쪽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공교육 수준을 높이고 서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 급식비는 한 끼당 1700원, 중학생은 2500원으로 월 4만∼5만 원이 든다. 저소득층에는 이 정도의 돈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그러나 전국 초중고생 가운데 하위계층 학생 13%는 이미 무상급식 혜택을 받고 있다. 민주당은 중산층과 부유층 자녀에게도 무상급식을 확대하는 것이 표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실제로는 서민자녀에게 돌아갈 교육예산을 깎아 먹는다.

 

세계적으로도 북유럽 일부를 제외하고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은 하위 50% 계층에만 무상급식을 하고, 프랑스는 소득 수준에 따라 급식비를 차등화하고 있다. 영국은 한동안 전면 무상급식을 했으나 지금은 저소득층 위주로만 무상급식을 제공한다. 김진표 민주당 최고위원도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시절 “학교 급식은 학부모 부담이 원칙”이라고 말한 바 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당초 공약은 전면 무상급식이 아니라 저소득층 위주의 무상급식 확대였다.

소득에 관계없이 무상급식을 해주기보다는 그 돈으로 서민 자녀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게 합리적이다. 교육을 통해 가난의 대물림을 끊게 하고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그 편이 낫다. 민주당은 툭하면 이명박 정부가 표방하는 친(親)서민 정책을 허구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부담 능력이 충분한 계층의 자녀에게까지 공짜 점심을 제공하겠다는 것이야말로 서민의 이익에 반(反)하는 정책이다.

 

 

[조선일보 사설-20100219금] 6·25 참전 소년·소녀병에 대한 예우는 국가의 의무

 

국방부는 18일 "6·25 전쟁 당시 만 14~17세의 나이에 현역병으로 근무했던 '소년·소녀병'의 군 복무 내용을 병적(兵籍)에 기록하고 전사(戰史)에도 남기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병적 기록표에 소년·소녀 지원병을 정확히 기록하는 작업에 들어갔으며 올해 안에 마무리하겠다"고 했다.

 

국방부는 지난 60년간 소년·소녀 현역병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들이 6·25 전쟁에 현역으로 참전한 사실이 드러나면 만 18세 미만의 소년·소녀 징집을 금지하는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쟁 초기 병력 부족에 시달리던 우리 군은 학도병과 소년·소녀병을 1950년 낙동강 전투 등에 대거 투입했고,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이들 중 상당수가 아직 부모 그늘에 있을 10대 후반의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어린 아들·딸을 자신보다 앞세운 한(恨)을 안고 살았던 이들의 부모 세대는 이미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소년·소녀병 출신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걸맞은 예우를 해 달라는 민원을 계속 제기하자, 6·25 전쟁 발발 50년이 되는 2000년에야 '참전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을 만들어 이들의 존재를 일부 받아들였다. 이 법에 따라 2008년 6월까지 2만2165명의 소년·소녀 지원병 출신이 국가 유공자 및 참전 유공자로 등록됐으며, 이 가운데 4185명은 사망하고 1만7980명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법은 소년·소녀병 '징집' 사실을 인정하지 않은 채 이들을 모두 지원병으로 분류해 놓고 있다. 실제는 징집된 경우와 스스로 지원한 경우가 섞여 있다고 한다.

 

정부는 재일학도의용군은 병역 의무가 없는데도 참전한 공로를 인정해 월 100여만원의 보훈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법이 참전을 금지한 나이에 전쟁에 휘말려 뛰어들 수밖에 없었던 소년·소녀병은 참전명예수당 명목으로 매달 8만원씩 받고 있을 뿐이다. 전사한 소년·소녀병들의 위패를 모시거나 공적을 기리는 변변한 시설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대한민국이 지금 누리는 번영과 자유의 바탕에는 소년·소녀병의 희생도 깔려 있다. 나라의 명운(命運)이 벼랑 끝에 걸려 있던 상황에서 소년·소녀병을 어쩔 수 없이 전선(戰線)의 앞줄에 서게 했다면 이제라도 그들의 희생에 응분의 예우를 하고, 그에 따른 역사의 짐 역시 우리가 져야 한다.

 

 

[서울신문 사설-20100219금] 지방선거 선거구도 못 정한 무책임 국회

 

6월 지방선거를 100일가량 앞두고 이를 관장할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여의도에서 표류 중이다. 오늘이 지방의원 예비후보등록일인데도 어제 국회는 선거법 개정안을 본회의에 상정도 못했다. 표밭은 벌써 후끈 달아오르고 있는데 광역 및 기초의원 선거구조차 최종 획정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국회의 태업으로 법정 후보등록일을 넘겨 개정안이 처리되면 기존에 등록했던 예비후보들은 새로 정해진 선거구에 따라 예비후보 등록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홍보물 발송 등 해당 예비후보자들의 선거운동 범위가 달라지고 선관위의 선거관리 업무의 파행이 불가피해졌다. 행정적 낭비 차원을 넘어 유권자와 국민에게도 엄청난 결례다. 선거규칙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은 후보자들이 게임의 룰도 모른 채 경기장에 뛰어드는 격이 됐다는 뜻이다. 관전자인 국민으로선 선수들의 출발선이 인코스인지, 아웃코스인지도 모르고 빙판에 나서고 있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황당한 상황이다.

 

여야는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통해 지난 연말 광역의원을 650석으로 하는 선거구제안 등에 일단 합의했다. 당시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폐지나 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등 여론의 관심이 높은 사안은 건드리지도 못했다. 개혁이라고도 할 수 없는 그런 미봉적 개정안을 내놓고도 본회의 재처리를 못하고 있는 꼴이다. 한나라당 일각에서 현행 기초의원 중선거구제를 소선거구제로 바꾸는 수정안을 낸 게 표면적 발단이다. 민주당이 소선거구제를 극력 반대하면서다. 그런 정략에다 의원 개개인의 지역구 사정에 따른 이해가 복합적으로 엇갈린 게 선거법 개정이 게걸음을 하고 있는 속사정인 셈이다.

 

여야는 오는 25, 26일 예정된 다음 본회의까지 선거법 개혁에 속도를 내야 한다. 차제에 선거구제 조정과 같은 당략적 사안뿐만 아니라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존폐 등 핵심적 개혁 방향에 대해서도 국민의 눈높이로 절충하기 바란다. 시간이 모자란다는 것은 핑계일 뿐이다. 새털같이 많은 세월 동안 낯뜨거운 막말로 싸우다가 회기가 끝나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여야 의원들이 나란히 외유에 나서던 행태는 이젠 사라져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19금] 격화되는 美·中 환율갈등 강 건너 불 아니다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가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세계 정치 · 경제를 좌우하는 두 거대세력(G2)간 마찰은 국제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양국 간 공방전은 분야를 가리지 않는다. 미국의 대(對) 대만 무기 판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오바마 대통령 면담 등을 둘러싸고 날카로운 설전을 주고받는 등 군사적 · 외교적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전기담요 닭고기 등을 대상으로 최고 231%의 보복관세를 주고받는 기세 싸움도 벌어지고 있다.

 

특히 위안화 절상 문제는 글로벌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 세계적 관심사로 부상했다. 중국은 미국의 줄기찬 요구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절상에 나서기는커녕 보유중인 미 국채를 내다파는 등 맞불을 놓고 있는 형편이다. 수출주도 성장정책을 바꾸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반면 미국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낮게 유지해 막대한 무역흑자를 올림은 물론 국내 경제에까지 거품을 만들고 있다며 맹비난하고 있다. 확대일로의 재정 · 경상 적자와 치솟는 실업률 등을 생각할 때 시장을 내주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미 정부는 5년내 수출을 2배로 늘려 2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이 같은 입장 변화는 대규모 무역적자를 감수하며 세계시장에 달러 유동성을 공급해왔던 미국의 역할이 더이상 유지되지 않을 것임을 뜻한다는 점에서 다른 많은 나라들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역시 미 · 중 마찰이 남의 일이 아님은 물론이다. 양국은 우리의 1,2위 수출시장인 만큼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이 대단히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위안화 환율 문제가 어떻게 귀착되느냐에 따라 국제 부동자금의 흐름이 바뀔 수 있고, 원화에 대한 절상 압력이 가중(加重)될 가능성 또한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 · 중 갈등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마련함은 물론 미국시장 진출의 촉매제가 될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을 위해서도 한층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19금] 알몸졸업식, 학원범죄 차원서 근절하라

 

우리 사회를 경악하게 만든 졸업생들의 `알몸 뒤풀이` 사태는 일부 학교, 일부 학생들의 문제로 덮을 일이 아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이나 동영상만 봐도 수도권이나 지방 가릴 것 없이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만연한 현상임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5분 거리 공터에서 집단 알몸의식을 치르거나, 겉옷은 다 찢기고 속옷만 간신히 걸친 여학생들이 밀가루를 뒤집어쓴 몰골로 거리를 돌아다니는 건 아프리카 후진국을 연상하게 할 정도다. 엊그제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일산 소재 중학교 졸업식 뒤풀이 현장을 찾았을 때 남아 있던 비닐옷과 장갑, 밀가루 흔적 등만 봐도 범죄적 행위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게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사건으로 접근할 일이 아니라 문화의 문제"라고 말한 것은 그런 의미에서 일리 있는 지적이다. 학부모들은 황당한 사태에 충격을 받았다는 반응이지만 학생들 사이에선 `다 아는 얘기`로 통한다는 게 가감 없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는 것도, 누구라도 이런 사태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될 수 있을 만큼 학원폭력이 `중증(重症)`에 도달했음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우선은 학교부터 정신을 차려야 한다. 비단 졸업식 뒤풀이뿐만 아니라 평소 `빵셔틀`로 상징되는 학내 폭력행위가 난무한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런 삐뚤어진 행태를 교장과 교사가 모른다면 말이 안 되는 변명이고, 알고도 방치한다면 참으로 무능하고 무책임한 사람들이다. 범죄집단 흉내나 내는 졸업생을 배출해놓고 무슨 낯으로 `스승`이란 호칭을 듣고자 하는가. 학교 스스로 감당할 능력이 없다면 경찰력 동원이라도 요청하는 게 당연한 책무다.

 

정부도 뒤늦은 졸업식 실태조사 같은 `일회성 뒷북 조치`로 끝내지 말고 학원범죄 전반을 다스릴 근원적인 접근법을 강구해야 한다. 알몸 뒤풀이 행태에서 드러나듯 가해 학생들은 `치밀하게 준비된 범죄행위`를 그저 `장난`으로 여기면서 별 죄의식도 없이 폭력을 행사했다. 이런 위험천만한 자기암시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훗날 사회에 진출해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다면 그 책임의 절반 이상은 현 기성세대에 있다고 봐야 한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논설위원)-20100219금] 날차기

 

1998년 나가노 겨울올림픽. 김동성은 쇼트트랙 10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다. 이때 선보인 신무기가 바로 한쪽 스케이트 날을 앞으로 쭉 내미는 ‘피니시(Finish)’였다. 바로 ‘날밀기’다. 눈 깜짝할 사이인 0.01초로 메달의 색깔이 바뀌는 상황에서 상대 선수들의 의표를 찌르는 마무리였다.

 

간발(間髮)의 차이는 말 그대로 머리털 하나 차이다. 경마는 ‘코’ 차이로, 스케이팅은 ‘날’ 차이로 승부가 갈린다면 육상은 ‘몸’ 차이다. 현행 올림픽 규정은 머리와 손발이 아닌 몸통이 폭 5㎝ 피니시 라인에서 스타트 라인에 가까운 가장자리의 수직면에 닿은 것으로 순위를 가린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그대로 달리는 게 낫겠다는 ‘러닝 피니시’, 가슴을 쭉 내미는 ‘런지 피니시’, 어깨를 트는 ‘슈러그 피니시’ 등 다양하다. 일종의 ‘몸차기’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우사인 볼트가 여유만만한 몸짓으로 피니시를 해 눈총을 받았다. 잘하면 9.5초 벽도 깰 수 있지 않았겠느냐는 아쉬움에서다.

 

올림픽 기록 경기에서 구간 속도가 가장 빠른 종목은 루지 싱글이다. 시속 100㎞를 넘는다. 개막식을 앞두고 그루지야 루지 대표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가 연습 도중 사망한 것도 커브에서 속도를 이기지 못해 튕겨나갔기 때문이다. 다음은 스키 활강이다. 95㎞를 넘나든다. 그러나 순간 최고 속도는 180㎞까지 낸다. 이번 스피드 스케이팅 500m에서 우승한 모태범의 기록은 1, 2차 합산해 69.82초. 시속 51.6㎞ 수준이다. 총알을 탄 사나이 우사인 볼트는 시속 37.58㎞, 금빛 물개 박태환의 400m 기록을 환산하면 시속 6.5㎞에 불과하다.

 

그 때문에 겨울올림픽은 첨단 계측의 무대가 됐다. 이번 밴쿠버 공식 기록측정을 맡은 오메가 빙상경기에 1초당 2000장의 사진을 찍는 판독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전광판에서 100분의 1초까지 동일 기록이더라도 사진 판독을 통해 2000분의 1초를 가리는 것이다. 여기에서 등장한 회심의 피니시가 ‘날차기’다. 스케이트 날을 들어올려 앞으로 내미는 방식이다. 원조는 캐나다 선수단. 이를 곁눈질로 배운 이상화는 은메달과 불과 0.046초 차이로 금메달을 건다. 날차기 효과가 0.03~0.04초라고 하니 아슬아슬했다.

 

스케이팅도, 국정도 피니시가 좋아야 박수를 받는다. 얽히고 꼬인 현안도 사뿐한 날차기로 피니시할 수 없을까. 날치기에 점 하나만 찍으면 되는데.

 

 

[경향신문 칼럼-여적/박래용(논설위원)-20100219금] 동네 이름

 

2004년 3월4일부터 이틀간 충북 충주시 살미면 설운동(雪云洞)에 때아닌 눈이 내려 21㎝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보기 드문 춘삼월 폭설이다. 같은 날 경북 봉화군 상운면 설매리(雪梅里)에도 25㎝의 폭설이 내렸다. 지명에 물 수(水)가 들어간 경기 파주시 문산읍(汶山邑)은 해마다 물폭탄이 쏟아지는 상습 홍수 지역이다. 1996, 98, 99년 여름 호우 때는 전국 피해액 중 이곳에서만 전체의 10%가 넘는 피해를 기록했을 정도다. 구리시 수택동(水澤洞)은 2001년 7월 집중 호우 당시 이름 그대로 동네가 연못처럼 변해 시 전체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저렴한 요금의 국제전화가 없을까? 소방방재청 산하 국립방재연구소가 지명이 자연재해와 일정 부분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는 보도다. 1912~1918년에 불렸던 옛 지명 3989곳을 분석한 결과 눈(雪)이 들어간 곳에는 실제로 눈 피해가 잦았고, 물(水)이 들어간 곳은 홍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는 것이다. 눈 지명은 경기·강원에 밀집돼 있다. 폭우를 의미하는 홍(洪)이 들어간 지역은 전국에 69곳으로 해마다 물난리를 적지 않이 겪는 재해지역으로 분류됐다.

 

바람 풍(風)이 들어간 곳은 대부분 태풍의 주요 경로에 위치해 있었으며, 마를 건(乾)이 포함된 지역은 가뭄이 빈발해 농업에 고통을 겪는 일이 많았다고 하니 지명 하나하나가 결코 허투루 지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이 통계로 입증된 셈이다. 선인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지혜를 후대의 ‘슈퍼 컴퓨터’가 뒤쫓아간 식이니 탄복을 금할 수 없다. 소방방재청은 이런 자료를 토대로 이름에 안개가 들어있는 경남 고성군 마안개 같은 곳에는 교통시설에 안개등을 추가 설치하는 등 지역별 특성에 맞춰 재해예방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니 자못 성과가 주목된다.

 

지명은 풍토적 특성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 민속 등을 거울처럼 반영하고 있다. 온(溫)·정(井)·천(川)이나 물이 펄펄 끓는 의미의 가마솥 부(釜)가 들어간 지역에 유독 온천이 많다는 것은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요즘엔 큰 고개(大峙)란 뜻을 담고 있는 서울 강남 대치동이 입시라는 인생의 큰 고비를 넘기 위해 수많은 학생들이 몰리는 학원가로 변모한 것을 보면 지명 속에 풍수지리도 담겨 있다는 얘기가 아주 빈말도 아닌 것 같다.

 

대대손손 전해 내려오는 동네 이름은 지역의 풍습과 특성을 말해주는 살아있는 증인이자 땅에 새겨진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서울경제신문 칼럼-기자의 눈/신경립(성장기업부 기자)-20100219금] 산고인가 파국인가

 

더 이상은 상생의 여지가 없습니다." 골목상권을 파고드는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무차별 확장에 맞서 중소상인들이 끝내 머리띠를 두르고 거리로 나섰다. 칼바람이 유달리 매서웠던 18일 여의도 국회 앞, 이들은 SSM 허가제 도입을 위한 법개정을 촉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사업조정을 통한 대기업의 출점 자제권고에도 불구하고 SSM 진출이 수그러들지 않자 중소상인들의 원망은 대기업을 넘어 법적 규제에 선뜻 나서지 않는 국회로 향하고 있다. 그동안 간간이 이어져오던 중소상인과 대형 유통업계 간 대화는 이미 단절된 상태다. 한 건물을 쓰는 소상공인단체연합회와 체인스토어협회의 고위층 간 논의를 겸한 식사자리도 지난해 말을 끝으로 잡히지 않고 있다.

 

갈등 끝에 극단적 노선을 택한 것은 유통업계뿐만이 아니다. 중소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은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를 이유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가액은 크지 않지만 영세 중소업체들이 소송 행렬에 대거 참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키코 기업들과 은행권의 마찰은 형사소송으로까지 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소송에서 재판부가 은행 손을 들어주자 키코 기업들은 은행 담당자들에 대한 형사소송을 결의한 데 이어 장외투쟁도 불사하고 나섰다.

 

올해 들어 중소업계에 짙은 전운이 감돌고 있다. 갈등의 불씨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면서 산업계의 화두인 '상생협력'은 자취도 보이지 않는 것 같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최근 "지난해가 살아남기에 급급한 한 해였다면 올해는 상생이 매우 중요하다"며 "동반 성장을 위한 상생협력을 위해 중소기업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중앙회장이 뜻하던 것은 아니겠지만 방법의 옳고 그름을 떠나 궁지에 몰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목소리는 새해 들어 분명 커진 듯하다. 문제는 이들의 목소리와 날 선 대립구도가 서로 건널 수 없는 갈등의 골을 더 깊게 파놓을지 상생문화 조성을 위한 극약처방 역할을 하게 될지의 여부다.

 

모쪼록 지금 겪는 갈등의 시간이 상생의 열매를 맺기 위한 산고의 고통으로 모두에게 남기를 바란다.



향기로운 마음


향기로운 마음은 남을 기도하는 마음 입니다.
나비에게... 벌에게... 바람에게...
자기의 달콤함을 내주는 꽃처럼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베풀어 주는 마음입니다.

 

여유로운 마음


여유로운 마음은 풍요로움이 선사하는 평화입니다.
바람과 구름이 평화롭게 머물도록
끝없이 드넓어 넉넉한 하늘처럼
비어 있어 가득 채울 수 있는 자유입니다.

 

사랑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은 존재에 대한 나와의 약속입니다.
끊어지지 않는 믿음의 날실에
이해라는 구슬을 꿰어놓은 염주처럼
바라봐주고 마음을 쏟아야 하는 관심입니다.

 

정성된 마음


정성된 마음은 자기를 아끼지 않는 헌신입니다.
뜨거움을 참아내며 맑은 녹빛으로
은은한 향과 맛을 건내주는 차처럼
진심으로부터 우러 나오는 실천입니다.

 

참는 마음


참는 마음은 나를 바라보는 선입니다.
절제의 바다를 그어서 오톳이 자라며
부드럽게 마음을 비우는 대나무처럼
나와 세상이치를 바로 깨닫게 하는 수행입니다.

 

노력하는 마음


노력하는 마음은 목표를 향한 끊임없는 투자입니다.
깨우침을 위해 세상의 유혹을 떨치고
머리칼을 자르며 공부하는 스님처럼
꾸준하게 한 길을 걷는 집념입니다.

 

강직한 마음


강직한 마음은 자기를 지키는 용기입니다.
깊게 뿌리내려 흔들림없이
사시사철 푸르른 소나무처럼
변함없이 한결같은 믿음입니다.

 

선정된 마음


선정된 마음은 나를 바라보게하는 고요함입니다.
싹을 튀우게하고 꽃을 피우게하며
보람의 열매를 맺게하는 햇살처럼
어둠을 물리치고 세상을 환하게 하는 지혜입니다.


2010년 2월 18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18목] 수능 제2외국어 배제보다 개선을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에서 제2외국어를 제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개정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가 외국어영역에서 빠져 기술가정 한문 등과 함께 생활교양 영역으로 홀대를 받았다. 대입수능시험을 언어, 외국어, 수리로 단순화하고 나머지 과목은 내신만 반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교과부 고위관계자의 말도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사실 지금도 대입수능에서 제2외국어는 요행을 바라고 덤으로 보는 과목으로 전락해 있다. 대표적 제2외국어 과목이었던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은 수능에서 선택학생이 고작 3% 안팎이다. 대신 어느 고교에서도 가르치지 않는 아랍어가 42.3%로 압도적인 선택률을 보이는 기현상이 고착화하고 있다. 워낙 점수가 낮아 대충 찍어도 높은 등급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이 점수로 사회탐구영역의 점수 낮은 과목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막힌 비교육적 현실이다.

 

원칙적으로 제2외국어는 수능시험에 그대로 두는 것이 옳다. 다양한 외국어 능력을 대입전형에 주요 요소로 활용하는 선진 외국의 예를 굳이 들지 않아도, 언필칭 세계화라면서 외국어 교육기회를 축소하는 것은 모순이다. 기초적인 제2외국어 능력은 세계에 대한 이해와 진학 후의 깊이 있는 공부에 필수적이다. 학습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청소년기의 다양한 공부경험 또한 학생의 가능성을 발굴하고 키운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만 지금과 같은 제2외국어의 파행적 운영은 분명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실력 측정을 위해 제2외국어는 실제 전형에서 표준점수가 아닌 백분위 점수를 반영토록 함으로써 요행수를 바라는 엉터리 수험생을 걸러내는 등의 방안이다. 앞으로 학과별 모집을 확대할 때 외국어 관련 전공에 대해서는 반영비율을 크게 높이거나 가산점을 부여함으로써 제2외국어 능력이 실질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없애는 게 능사가 아니라 학생의 노력과 능력만큼 제대로 평가 받도록 해주는 것이 교육이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18목] 돈 있는 지자체일수록 소극적인 초·중등 무상급식

 

초·중등학생들에 대한 무상급식 문제가 오는 6월 지방선거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교육감 후보들이 무상급식을 공약하고 나선 데 이어 자치단체장 선거에 나서는 민주당 등 야당 후보들은 물론 일부 여당 후보들까지 이를 공약으로 내세우는 상황이다.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이 도지사와 의회의 방해로 무상급식 공약을 이행하지 못하는 사태를 겪은 지 일년도 채 안 돼 상황이 이렇게 급변했다. 그만큼 이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높다. 무상급식 파동 당시 설문조사에서 경기도민의 90% 이상이 지지했을 정도로 무상급식은 전국민적 지지를 받는 사안이 됐다.

 

일부에서는 바로 이런 이유를 들어 무상급식 공약이 포퓰리즘에 터잡은 것이라고 비판한다. 전국 초·중 학생에 대한 전면적인 무상급식을 하려면 연간 1조8000억원이란 예산이 드는데, 재원 염출 방안은 생각도 않은 채 공약을 내거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것이다. 재원 문제를 거론하며 무상급식 공약에 제동을 거는 이명박 대통령과 집권 한나라당의 생각도 다르지 않다.

 

하지만 학교급식네트워크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의 지난해 급식 관련 예산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재원을 이유로 무상급식이 어렵다고 주장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재정자립도가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하위권에 속하는 전북이 최고 수준의 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했다. 반면 재정자립도 1위인 서울을 비롯해 인천·대구·울산 등 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도시는 단 한푼도 배정하지 않았다. 학생 1인당 급식비 지원액도 전북이 가장 많았고 서울은 울산에 이어 바닥에서 둘째였다.

 

무상급식은 재원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달려 있음을 보여주는 실례가 아닐 수 없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급식 지원에는 그토록 인색하지만 시 외관을 치장하는 ‘디자인 서울’과 ‘한강 르네상스’ 계획에는 지난 4년간 8조원가량을 쏟아부었다. 서울에서 중학생까지 모두 무상급식을 하는 데는 이 예산의 5분의 1이면 충분하다.

 

어쨌든 올해 지자체 선거에선 무상급식이라는 쟁점을 비켜가기 어렵게 됐다. 우리 2세들에게 보편적 교육복지를 제공하는 것과 전국을 공사판으로 만드는 일 가운데 무엇이 우선인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일은 이제 유권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

 

 

[조선일보 사설-20100218목] '빨치산 교육 교사'에게 無罪 판결한 형사단독

 

전주지법 형사단독 진현민 판사가 2005년 중학생 110명을 빨치산 추모제 전야제에 데리고 가 '미전향 장기수 할아버지들이 훌륭한 분'이라는 편지를 낭독케 하고 빨치산 출신 미전향 장기수 3명을 학교로 초청해 학생들과 좌담 행사를 갖게 한 전교조 소속 전(前) 전북 K중 교사 김모씨에게 17일 무죄를 선고했다. 진 판사는 "김 교사의 행위에서 국가 존립·안전이나 자유민주 기본질서에 실질적 해악(害惡)을 끼칠 명백한 위험이 있다고 인정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도덕교사였던 김 교사가 가르친 아이들은 인터넷카페에 "남한은 미국에 휘둘리는데 북한은 미국 간첩선 푸에블로호(號)를 대동강변에 전시해 놓고 있지만 미국이 어쩌지 못한다. 남한은 북한에 부끄러워해야 하고 배워야 한다", "우리는 미국의 속국", "(이라크전쟁을 일으킨) 부시가 괴질이나 걸렸으면 하는 큰 소망이 있다"는 글을 올렸다.

 

김 교사의 집에선 북한군 혁명가요를 암호로 베껴적은 것과, 북한에서 작성된 '위대한 김정일 장군님께서 창조에 관해 하신 명언', '주체사상은 인류의 진보적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사상' 같은 글들이 나왔다. 그는 학생들이 인터넷카페로 "부시가 당선되면 남북전쟁은 불가피하겠죠?"라고 물어오자 미국에 의한 한반도 전쟁의 위험성과 북한의 핵보유 정당성을 설명했다고 한다. 학교를 방문한 미전향 장기수들로부터 '남한의 권력자들은 민족의 배신자였다'는 식의 설명을 들은 아이들은 "교과서에 등장하지 않는 진실된 역사 설명을 들었다. 머리가 쭈뼛쭈뼛 서고 벅차오르는 감동을 어찌 주체해야 할지 감격스러웠다"는 글을 썼다.

 

폭력 교사가 달리 있는 게 아니다. 교사가 하는 말을 비판적으로 선별해 들을 능력을 갖지 못한 아이들에게 이렇게 세상을 거꾸로 보게 만들어버린 김 교사 같은 사람이 바로 폭력 교사다. 교사가 머릿속에 이렇게 비틀린 생각을 담고 있는 것도 끔찍스러운데, 그걸로 어떻게 아직 철도 들지 않은 어린 학생들의 머리를 염색해버릴 수 있는가. 김 교사에게 무죄를 선고한 36세의 진 판사는 전교조가 창립된 1989년 고교에 입학한 세대다. 전교조가 뿌린 씨앗이 20년 후 우리 젊은이들 머릿속에 어떤 괴물을 키우고 있을까를 생각해보면 등골이 서늘하다.

 

 

[서울신문 사설-20100218목] 세계 동계스포츠史 새로 쓴 모태범·이상화

 

스물한살 동갑내기 태극 남매가 세계 빙상 역사를 새로 썼다.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의 기대주 이상화는 어제 열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금메달을 차지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전 종목 통틀어 아시아 여자 선수로는 첫 금메달이다. 전날 남자 500m경기에서 모태범이 우승하며 62년 묵은 동계올림픽 금메달 한을 풀어준 데 이은 쾌거다.

 

비인기 종목의 설움을 딛고 거둔 이들의 우승은 여러가지로 값지고 소중하다. 한 나라에서 스피드스케이팅 남녀 500m를 모두 석권한 것은 동계올림픽 사상 한국이 처음이라고 한다. 스피드스케이팅 500m는 육상으로 치면 100m 달리기다. 순발력과 스피드, 파워, 테크닉이 모두 갖춰져야 한다. 두 선수가 전통적인 빙상 강국을 모두 제치고 나란히 우승함으로써 한국은 단번에 세계 스프린트 강국으로 등극했다. 쇼트트랙 우수국으로 분류됐던 한국은 이번 쾌거로 변방 국가의 이미지를 훌훌 털어버리고 동계스포츠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전세계 언론이 “서프라이즈”를 연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파워도 덩달아 올라 갔음은 물론일 것이다.

 

올림픽 금메달 하나가 나오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선수 본인의 노력과 재능, 과학적인 훈련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다. 국가적 뒷받침과 국민들의 성원도 필요하고 운도 따라야 한다. 모태범과 이상화는 여기에 신세대 젊은이 특유의 오기, 승부근성에 자신감까지 보여줬다. 주눅들지 않고 당당히 승부를 겨루고, 유쾌하게 기쁨을 표시하는 젊은 선수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밝고 희망찬 미래의 대한민국을 볼 수 있었다.

 

한국선수단의 메달 행진은 첫날 남자 5000m에서 이승훈이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은메달을 따면서 시작됐다. 모태범은 오늘 오전 주종목인 1000m에 출전해 대회 2관왕에 도전한다. 피겨스케이팅에서도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이 예상되는 등 남은 경기에서 선전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올림픽에서 어느 정도 성적을 내느냐가 평가의 중요한 척도가 되는 만큼 밴쿠버 올림픽에서 연일 터져 나오는 태극전사들의 승전보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도 큰 힘을 실어줄 것을 기대한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18목] 탄소세 도입, 기업부담 늘려선 안된다

 

기획재정부가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의 사용량에 따라 탄소세를 물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나서 주목된다. 정부가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2020년 배출전망치의 30% 감축)를 달성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외국 사례 등을 감안해 탄소세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탄소세 부과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올 하반기에 나오는 관련 연구용역 결과와 세율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장기적 과제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가적 과제인 녹색성장 기반을 다지고,글로벌 현안인 기후변화 대처 노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독일 등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탄소세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에너지 소비에 대해 세금을 물리면 결국 탄소배출량이 줄어드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10위권인 우리로서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이런 흐름을 거스르기 어려운 형편이다. 그런 점에서 탄소세 도입 검토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탄소세 도입과 관련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사안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탄소세를 도입하면 화석연료를 많이 쓰는 기업이나 개인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 국가 경제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부과 대상이나 세율이 형평성을 잃게 되면 탄소세 도입에 대한 사회적 반발이 거세질 게 뻔하다. 실제로 프랑스가 1월부터 탄소세를 시행하려 했지만 부과대상에 예외가 너무 많고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위헌(違憲)' 판정을 받은 바 있다. 탄소세 부과로 늘어나는 세수만큼 다른 세목에서 감세를 할 것인지,아니면 탄소세를 그대로 증세할 것인지 등도 논란거리다.

 

정부가 탄소세 도입의 당위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데 온 힘을 다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번에 발표된 대로 이를 중장기적 과제로 추진하되 탄소세 부과에 따른 기업의 부담가중과 조세저항 등 부작용 및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부터 치밀하게 강구해나갈 필요도 있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18목] 전재희 장관 의약개혁 이번엔 통할까

 

약값 상승을 부추겨 국민 부담을 연간 2조1800억원 증가시킨다는 제약사 리베이트 관행을 근절하겠다며 보건복지가족부가 엊그제 `의약품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을 발표했다. 한편으로는 고시가격보다 싸게 약을 구매할 경우 차액의 70%를 인센티브로 지원해 주는 당근책을 쓰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베이트를 주는 쪽과 받는 쪽에 쌍벌죄를 적용해 채찍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매년 5% 이상 약값 인하를 유도하고 건보 재정도 개선한다는 취지다.

 

보건당국으로선 나름 고심했는지 몰라도 여론 눈총에 떠밀려 급조해낸 탁상공론(卓上空論)처럼 보인다. 우선 인센티브 제도는 리베이트 관행을 근절하는 게 아니라 국민 돈으로 대신 메워주는 식이라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병ㆍ의원과 약국 입장에서도 계속 줄어들 인센티브에 이끌려 뿌리 깊은 관행을 포기할 리도 없으니 결국 신종 리베이트만 횡행하리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쌍벌죄 규정 역시 이미 국회에 관련 법안이 발의돼 있지만 여야 모두 반대해 처리가 안돼 온 상황이다. 전재희 장관의 각오도 국회 통과가 안 되면 도로아미타불이 되는 것이다.

 

이래선 죽도 밥도 안 된다. 복지부는 열 나는 환자에게 해열제만 먹이는 식의 대증요법 대신 근원적이고 구조적인 처방에 눈을 돌리기 바란다. 한국의 약제비 비율은 총진료비의 29.4%에 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5~20% 선을 훨씬 웃돈다. 또 의약분업 이후 총진료비가 매년 10%씩 늘어나는 추세인데 약제비 증가율은 13~14%에 이른다. 이는 단순히 리베이트 관행보다 의약품 남용 처방이 훨씬 큰 문제임을 보여준다.

 

여기엔 "아프면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한다"는 일반 국민 인식도 한몫하지만 의사들이 성실한 진료행위만으로는 병원 유지조차 어려워진 현실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병원 영리화를 법으로 틀어막아 의사들의 능력 발휘는 극도로 제한한 반면 의료보험은 너무 폭넓게 적용해 감기 환자들조차 싼 맛에 병원부터 가고 보는 게 현실이다. 더구나 대도시 대형 의료기관엔 환자가 북적대고 지방 병원은 문을 닫는 양극화 현상이 극심해지면서 국가 전체의 의료전달체계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도 큰 문제다. 건강보험 운영 방식은 심지어 중국보다 후진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소득 2만달러 수준과 동떨어진 이런 시스템 개선은 외면하고 증상만 때려잡는 포퓰리즘으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고 본다.

 

 

* 오늘의 칼럼 읽기

 

[중앙일보 칼럼-이철호의 시시각각/이철호(논설위원)-20100218목] 포퓰리즘 유령이 어른거린다

 

세종시에 대해 중앙일보는 쓰라린 기억을 갖고 있다. 대단한 특종을 놓쳤다. 노무현 민주당 대선 후보가 단독 인터뷰에 응한 것은 2002년 9월 말. 그는 “다른 신문도 있으니 두 개의 기삿거리 중에 하나만 고르라”고 했다. 보따리에는 ‘인재 지역 할당제’와 ‘신행정수도 건설’ 공약이 담겨 있었다. 당시 노 후보의 지지율은 이회창과 정몽준에 밀려 13~14%로 형편없었다. 당선 가능성이 보이지 않았다. 중앙일보 기자는 인재 지역 할당제를 골랐다. 노 후보의 오랜 소신이었다. 그도 수도 이전에는 “지지율이 낮은데 우스꽝스럽겠지…”라며 말을 흐렸다.

 

이병완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기억도 똑같다. 그해 9월 30일 출사표를 던지기에 앞서 뭔가 돌파구가 필요했다. 캠프 수뇌부는 수도 이전 공약에 찬반이 팽팽하게 갈렸다. 연설문 기초자인 이 전 실장이 나섰다. “ 더 이상 잃을 게 없다. 적어도 전국지 1면에 나오고 최소한 충청권 언론에서 1면 톱이 될 것이다.” 노 후보가 반문했다. “지금 형편에 이걸 내놓으면 웃음거리 안 될까요?” 이 전 실장은 물러서지 않았다. 노 후보가 잠시 담배를 피워 물었다. “그러면 그렇게 갑시다.”(이병완, 『박정희의 나라 김대중의 나라 그리고 노무현의 나라』)

 

이렇게 탄생한 행정복합도시 공약 때문에 온 나라가 9년째 홍역을 앓고 있다. 포퓰리즘은 대체로 지지율이 뒤처지는 정치가들의 도피처다. 합리적인 이성보다 대중의 불만이나 감정을 자극해 최후의 도박에 나선다. 문제는 포퓰리스트 후보들이 극적인 역전극에 성공했을 경우다. 엄청난 후유증이 남고 한국도 뒤늦게 그 진통을 경험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선거가 거듭될수록 감당하기 어려운 공약들이 넘쳐난다는 점이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초·중·고교 무상급식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야당 출마 예상자들이 대부분 무상급식을 약속하고, 일부 한나라당 인사들도 “무상급식은 의지의 문제”라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무상급식을 하려면 전국적으로 매년 1조8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무상급식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가난으로 눈치 살피는 학생들이 안쓰럽다. “학교가 무상급식소냐”라는 반대 목소리도 귀에 거슬린다. 다만 우리 사회가 고통 분담에 흔쾌히 나설지는 자신이 없다. 무상급식을 하려면 세금을 더 내든지 아니면 다른 교육예산을 깎아야 한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무상급식에 찬성하는 학부모의 비율은 90%에 이른다. 마찬가지로 세금을 더 내는 데 반대하는 응답자도 90%가 넘는다. 이런 길항관계부터 풀지 않는 한 무상급식은 선심성 공약이나 마찬가지다. 불길한 대목은 이런 정책 공약을 상대 후보를 정치적·이념적으로 공격하는 소재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지지율이 뒤처지는 후보일수록 기를 쓰고 이 공약에 매달리는 것도 꺼림칙하다.

 

올해 세계 경제의 최대 위협은 국가재정의 위기다. 세계의 주요 은행과 부도 대기업들은 대부분 국유화됐다. 나랏돈으로 위기를 틀어막은 것이다. 재정위기는 금융위기 이후 맞을 최후의 위기이며, 한번 도래하면 오래 지속될 수밖에 없다. 그리스나 스페인을 보면 실감난다. 지난해 말 전 세계 국가 부채는 49조5000억 달러로 경제위기 직전보다 45%나 늘었다. 앞으로 중앙은행들의 출구전략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 때문에 재정위기는 더 깊어지게 마련이다. 글로벌 경제위기의 진정한 비용은 지금부터 치러야 한다.

 

청와대가 “우리 재정이 튼튼하다”면서도 무상급식을 박대하는 것은 수상하다. 알려지지 않은 겁나는 부분이 있을지 모른다. 실제로 정부 부채 말고도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적자성 채무의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 더 이해 안 되는 것은 야당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빚더미 정부를 심판해야 한다”고 하면서 “무상급식을 확실한 공약으로 내걸고 국민의 판단을 받겠다”고 했 다.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놀라운 마법을 부리겠다는 공약을 보면서 자꾸 노무현 후보의 이미지가 어른거린다. 논설위원

 

 

[경향신문 칼럼-여적/김철웅(논설실장)-20100218목] 정년(停年)

 

요즘 다소 헷갈리게 하는 뉴스가 들려온다. “우리는 노동자들이 60세에 퇴직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기지 않겠다”. 얼핏 들으면 60살 되기 전에 일자리에서 쫓겨나는 걸 거부한다는 말 같다. 그 반대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노동자 퇴직연령을 현재의 60살에서 대략 65살로 늦추려 하자 노조들이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60살에 깨끗이 퇴직하겠다는 것이다. 앞의 발언은 장-클로드 마이 ‘노동자의 힘(FO)’ 사무총장이 며칠 전 이 문제에 관한 노·사·정 회의를 마치고 엘리제궁을 나서며 한 것이다. 그뿐 아니다. 프랑스 주요 5개 노동단체는 다음달 정부의 정년연장 움직임에 반대하는 전국적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이런 상황은 노동 유연성, 정리해고, 구조조정같이 노동에 ‘비호의적인’ 언어들에 익숙해 있는 우리에겐 설명이 필요하다. 사르코지가 퇴직연령을 늦추려는 이유는 연금재정 적자 때문이다. 이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 여파가 연금재정에까지 미쳤다. 연금체제 붕괴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출산율 저하, 실업률 증가, 수명연장, 고령화는 연금 납부할 사람은 줄고 타 갈 사람은 늘어나는 걸 뜻한다. 연금제도 수술이 불가피해졌다.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이른 편인 정년을 늦추는 것이다.

 

그러나 정년연장 진통은 프랑스만이 아니다. 스페인 노동계도 정년연장 조치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를 예고하고 있다.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65세인 정년을 67세로 높인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헝가리, 그리스 등도 정년을 늘리거나 늘리는 과정에 있다. 하지만 노동계는 대체로 반대다. 열심히 일하고 은퇴 후엔 편안한 연금생활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런 가치관과 문화가 있다.

 

눈을 돌려보면 우리에게 펼쳐진 풍경은 이와 전연 딴판이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좀 더 솔직히 늙어가면서 부쩍 관심이 쏠리는 게 정년 문제다. 이른바 철밥통으로 불리는 몇몇 직종들에 부러운 눈길을 보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러다가도 사오정, 오륙도, 청년실업, 이태백 소릴 들으면 불평할 엄두를 못낸다. 유럽 별세계 얘기에 정신 팔릴 시간 있으면 노후대책이나 잘 궁리할 일이라고 다짐한다.

 

 

[서울경제신문 칼럼-목요일 아침에-20100218목] 김 추기경과 최종현 회장

 

고(故) 김수환 추기경과 고 최종현 SK회장. 성직자와 대기업 총수로 추구하는 가치관과 삶의 궤적이 다른 분들이었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다. 이 세상과 이별하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다웠고 그래서 우리 사회에 큰 울림을 남겼다는 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 울림은 더 크고 넓게 퍼지고 있다. 김 추기경 선종 1주기 전후의 추모열기와 지난 1년간 우리 사회에 일어난 변화, 그리고 10여년 전 최 회장의 화장유언이 촉발한 장묘문화 변화 및 지난달 세종시에 건립된 SK장례문화센터가 그 증거다.

 

* 세상을 바꿔놓은 아름다운 죽음

 

김 추기경은 죽음을 맞아 각막 기증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빛을 줬다. 그가 평생을 관통해온 사랑ㆍ겸손ㆍ감사ㆍ나눔ㆍ베품의 정신을 마지막까지 실천한 것이다. 그의 선종의 메아리는 컸다. 다툼ㆍ미움ㆍ네탓ㆍ물질만능ㆍ욕심ㆍ갈등ㆍ대립에 찌든 우리를 되돌아보게 만들었고 그의 정신을 기리자는 움직임이 확산됐다. 대표적인 것이 장기 기증이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장기기증신청자는 18만5,046명에 달했다. 전년보다 2.4배나 많은 것이며 장기기증운동 시작 이래 최대 규모다. 천주교 한마음한몸운동본부의 경우 지난 20년간의 신청자를 모두 합친 것과 맞먹는 신청서가 접수됐다. 내 몸을 다른 사람에게 나눠주는 것은 가장 깊고 높으며 큰 사랑행위다. 김 추기경은 그런 고귀한 사랑의 불씨를 심어줌으로써 우리 의식을 변화시킨 것이다.

 

지난달 12일 세종시에서 한 시설물 준공행사가 열렸다. 최 회장 유지에 따라 SK가 500억원을 들여 건립, 기증한 장례문화센터다. 하루 전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로 온 나라가 시끄러웠던 터라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으나 이 센터의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지난 1998년 타계한 최 회장은 자신을 화장하고 수준 높은 화장시설을 지어 기부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가뜩이나 좁은 국토를 묘지투성이로 만들고 환경을 파괴해 막대한 경제ㆍ사회적 손실을 초래하는 매장장례의 문제점, 그리고 화장시설 부족으로 화장하고 싶어도 못하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이었다.

 

그는 앞서 떠난 부인의 장례도 화장으로 치렀다. '재벌가 분묘' 하면 으레 호화 분묘를 떠올리던 당시에 그의 화장 유언은 신선한 화제를 뿌렸고 장묘문화에 대한 우리 사회 인식변화의 기폭제가 됐다. 한달여 뒤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가 결성돼 화장유언 남기기 운동이 전개됐고 고건 당시 서울시장, 구본무 LG회장 등 지도층 인사들의 참여가 줄을 이었다. 20%대였던 화장률은 이듬해 30%로 늘었고 이후 지속적 증가세를 그리며 2008년에는 58.9%까지 늘어났다.

 

SK장례문화센터 개장으로 화장장례 확산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술관을 방불케 하는 쾌적하고 아늑한 외관에 무연무취의 첨단설비와 빈소ㆍ수목장지 등을 갖춰 원스톱 장례식이 가능한 시설이 생김에 따라 그 동안 화장장 부족으로 애로를 겪던 주민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의 장례편의가 크게 좋아졌기 때문이다.

 

* 남겨놓은 향기로운 빛 영원할 것

 

장기기증 활성화와 장례문화 선진화를 위한 우리 사회의 노력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정부는 법과 제도를 바꿨고 시민단체의 캠페인도 수없이 전개됐다. 그러나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런데 김 추기경과 최 회장은 정부와 시민단체가 20~30년간 애써도 이루지 못한 일을 단번에 해낸 것이다. 지도층의 솔선수범이 세상을 바꾸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새삼 보여준다. 나라가 어수선해서인지 그들이 남긴 유산의 의미가 더욱 크게 느껴진다. 그들의 죽음은 종말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었고 어둠이 아니라 빛이었다. 그 빛은 향기를 내뿜으며 우리 마음과 사회를 밝게 비추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동아일보 칼럼-광화문에서/이광표(문화부 차장)-20100217수] 숭례문을 위하여

 

숭례문 복원공사가 10일 시작됐다. 화재가 발생한 지 2년 만이다. 복원공사의 핵심은 불에 탄 2층짜리 목조 누각을 되살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숭례문 바로 옆의 서울성곽(한양도성)을 복원하는 것이다.

 

숭례문 주변의 서울성곽은 일제에 의해 파괴됐다. 일제는 1907년 성벽처리위원회라는 기구를 만들어 서울성곽 철거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당시 일제의 통감부는 이렇게 주장했다.

 

“선인(鮮人) 동화를 위해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있다. 한두 가지 예를 들면 산성(山城)이란 것이 조선 도처에 있고 고명찰(古名刹), 가람(伽藍) 등은 거의 배일(排日)이란 역사적 재료를 가지고 있다. 몇 년에 왜적을 격퇴했다든지 하는 등의 글귀가 변기에조차 써 있다. 점차적으로 제거해야 선인 동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일제는 1907년 일본 왕자가 서울을 방문했을 때, 통행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숭례문 바로 옆의 성곽 일부를 헐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의 황태자가 조선의 도성 정문으로 들어갈 수 없다. 성벽을 넘어가겠다”는 것이었다. 이듬해엔 흥인지문 주변의 성곽도 헐어냈다.

숭례문이 성곽을 잃고 반쪽이 된 지 100년이 넘었다. 이번 복원은 파괴된 성곽을 복원하는 것이기에 그 의미가 각별하다. 숭례문은 성곽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문화재다. 목조 누각 못지않게 성곽 복원이 중요한 이유다. 숭례문의 존재는 성곽과 함께 있을 때 진정한 의미가 있다. 이번 복원을 통해 숭례문이 도성의 남쪽 정문이었다는 사실을 부각시켜야 한다.

 

현재 문화재청의 계획에 따르면 동쪽 남산 자락으로는 88m, 서쪽 대한상공회의소 쪽으로는 16m를 복원하게 된다. 그러나 서쪽이 미약하다. 도로에 막혀 16m만 복원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그치지 말고 길 건너 대한상공회의소까지 성곽을 연장해야 한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숭례문 사이의 도로 상공으로 성곽 윗부분의 여장(女墻·적을 공격하기 위해 성벽 위에 설치하는 낮은 담)이 지나가도록 해야 한다. 차량은 그 밑으로 지나가면 된다. 이 같은 복원은 서울의 역사와 경관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통이 문제다”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관계 기관들의 합의도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논란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발상을 바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에서 이미 이 같은 실험은 성공한 바 있다. 2000년대 들어 장안문 옆, 창룡문 옆 등 5군데 도로의 상공으로 성벽 상부를 연장 복원해 놓았다. 역시 일제가 성벽을 뜯어내고 도로를 낸 곳이다.

 

수원 화성박물관의 김준혁 학예팀장은 이렇게 말한다. “처음에 우려는 있었지만 막상 공사가 끝나고 나니 그런 우려는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장안문, 창룡문이 화성의 성문이었다는 의미가 더 부각되면서 수원의 명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관광객의 발길도 이어져 수원 관광에도 도움이 됩니다.”

 

숭례문 주변 성곽을 이렇게 복원할 경우, 거기엔 이 시대의 문화가 담기게 된다. 옛날 것과 똑같게 되살리는 복원도 중요하지만 그 시대의 정신과 고뇌의 흔적을 담는 복원도 중요하다. 숭례문 주변 상공으로 연장 복원되는 성곽, 그건 100년 뒤 또 하나의 멋진 문화재가 될 것이다.

 

* 동아일보 칼럼은 신문 지면상 하루 날짜가 지난 글이지만 읽어볼 만한 글이라 소개합니다.



< 자기의 이미지를 높이고 상품화(브랜드화)하라. >

자신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첫째, 자기를 상품화(브랜드화)해야 한다. 브랜드라고 하면 코카콜라나 루이비똥 같은 제품을 떠올리는데, 코카콜라의 브랜드 값어치는 무려 85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브랜드의 가치는 제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자기 자신도 브랜드화해야 한다. 전에는 대학 나와서 취직을 하면 차별화가 안됐다. 정년까지 탄탄대로로 갔다. 그러나 이제는 평생직장의 개념은 없어졌다. 이와 같은 시대에 살아남는 가장 좋은 방법은 브랜드를 가지는 것이다.

회사의 인사부에서 10년 일했다고 해서 브랜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자기 변화가 따라야 한다.
직장이라는 고용시장에서 '나' 라는 사람을 적극 알려야 한다.
어느 회사, 어느 그룹을 다닌다 하는 것은 상관없다. 어느 학교를 나왔는가도 이제는 중요하지 않다.

디지털 시대에는 이제 이런 것들이 소용이 없다. 자기가 가장 잘할 줄 아는 것이 필요하다.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누구나 해야 하고 , 또 누구나 할 수 있다. 말 잘하는 아줌마에서부터 춤 잘 추는 고등학생까지 누구나 자기가 가장 잘하는 것을 통해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

궁즉변(窮卽變), 변즉통(變卽通), 통즉구(通卽久), 구즉생(久卽生)이다. 위기에서 변할 수 있고, 변하면 살아난다. IMF 위기에서 변화를 통해 과거보다 더 잘된 사람이 많다.

그러면 여러분 자신의 값어치는 얼마나 되는지, '나' 라는 브랜드의 순자산 가치는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보자. 은행으로부터 신용대출을 받을 때를 생각해보면 자신의 브랜드가 갖는 의미가 쉽게 다가올 것이다.

조용필 하면 국민가수 하는 식으로, 자기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통해 자신의 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 본격적인 자신의 브랜드 관리 전략에 앞서 중간평가 작업인 ‘나의 브랜드 가치’를 한 번 체크해보기 바란다.


[ 체크 포인트 ]

-- 나의 브랜드 자산 가치 --

1. 당신은 무엇으로 잘 알려져 있는가?

2. 그렇다면 당신은 내년 이때까지 무엇으로 더 유명해질 것인가?

3. 당신이 하고 있는 일은 당신에게 도전적이고 자극적인 일인가?

4. 당신이 최근 3개월 동안 자기 계발을 위해 시작한 학습이 있다면 무엇인가?

5. 향후 당신의 브랜드 가치와 몸값을 올려줄 가시적인 프로그램이 있다면 무엇인가?

21세기는 브랜드 시대이다. 이제는 브랜드 전략이 필요하다. 오늘부터는 당신의 브랜드를 생각하라.


< 누구나 일등을 할 수는 없지만, 누구나 성공할 수는 있다. >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분야에서든 정통해야 한다. 자기 자신의 이력서를 작성해보면서 자신의 경력을 관리하라. 그리고 일하는 방식을 바꾸라. 보통 직장인은 제너럴리스트가 되려고 하는데, 될 수 있으면 좁고 깊게 파야 한다. 전문가가 되라.

어떤 사람은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말하는데, 나는 익숙한 것을 제대로 하라고 말한다.
은퇴 시기를 60살로 잡으면, 45살인 사람은 이제 겨우 15년 정도밖에 안 남은 셈이다.

FIRST & ONLY 전략을 취해야 한다. 누구나 일등을 할 수는 없지만, 누구나 성공할 수는 있다. 내가 잘하는 분야를 열심히 하면 평생직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두닦이가 자기 일에 만족하지 못하고 투덜대면서 구두를 닦는다면 평생 구두만 닦다가 말겠지만, 구두를 열심히 닦으면서, 사람들의 구두 굽이 왜 제각각 다르게 닳을까를 생각하면서 닦은 사람은 구두 굽 연구가가 될 수 있다.

구두 굽 연구를 통해서 사람들의 신체구조에 따른 구두를 개발했다면, 그는 그 분야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최고, 아니 세계 최고도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가 되라. 스페셜리스트가 아니라 마스터가 돼야 한다. 남이 안 하는 것을 통해서 거기서 최고가 되라. 그 다음에 대중 앞으로 나오면 된다.

대중에게 다가설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책을 쓰는 것이다. 한 분야에서 10년, 20년을 열심히 했으면 충분히 책을 쓸 수 있다. 콩나물 장사를 했으면 콩나물로 책을 쓰고, 자장면 배달을 했다면 배달 얘기로 책을 쓸 수 있다. 자장면 배달로 유명해진 번개 조태훈 씨가 대표적인 사람이다.

예전에는 좋은 직업이라는 것이 있었다. 성공할 수 있고, 사람들이 알아주는 직업이 따로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자기가 무슨 일을 하더라도 상관없다. 그 분야에 정통하고 그 일을 사랑한다면 누구나 책을 써서 유명해질 수 있다. 라면 하나를 아주 잘 끓이더라도 유명해질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책을 쓰기가 어렵다면 인터넷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거기에다 자기 글을 쓰면 된다. 그것도 어렵다면, 자기가 즐겨 이용하는 사이트에 글을 쓰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을 아주 쉽게 홍보할 수 있다. 아니면 자기 회사 홈페이지에 글을 실어라.

글을 올릴 때 '아무개의 북 돋보기' 이런 식으로 이름을 함께 알리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일주일에 한 편의 원고를 쓴다면 일년에 52편이 되고, 그것을 모으면 곧바로 책을 낼 수가 있다. 그게 어려우면 공저라도 남겨라. 원고를 쓰게 되면 저절로 공부를 하게 된다. 책도 많이 읽게 되고, 자신의 생각이 정리가 된다. 책을 내면 세상이 가만 놔두지를 않는다. 뭔가 특이하다든가 가망이 있어 보이는 사람은 여기저기에서 찾게 된다. 자기 브랜드가 생기면 주위에서 가만 놔두지 않는다. 세상이 나를 찾는다. 신문·방송·잡지에서 부르기 시작하며, 강의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한다.

내가 세상에 나갈 준비가 충분히 갖추어졌는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가 잘하는 분야를 가지고 대학에서 두 시간 정도 강의를 해보면 알 수 있다. 두 시간 동안 막히지 않고 얘기할 수 있고, 그 강의가 먹힌다면, 그 분야에서 준 프로가 된 것이다.

이렇게 개인의 목표를 하나 하나 실현시켜 나가는 것이다. 갑자기 대박이 터지는 것이 아니다. 소박한 꿈을 계속 실현해 나가는 도중에 대박도 터지고 하는 것이다.



2010년 2월 17일 수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17수] 동계 올림픽의 값지고 소중한 메달들

 

이래서 스포츠를 각본 없는 드라마라고 한다. 어제 열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모태범이 금메달을 따냈다. 이 종목에는 세계랭킹 1위 이강석과 4전5기의 이규혁이 있어 스피드 스케이팅 사상 첫 금메달을 기대는 했지만, 막상 그 숙원을 스물 한 살의 막내가 풀어 주리라고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모태범은 두 선배가 제 기량을 다 발휘하지 못하는 사이 특유의 패기와 힘으로 질주해 일본 선수들을 물리치고 한국에 두 번째 금메달을 안기는 '이변'을 연출했다. 500m는 그의 주종목도 아니며 세계 랭킹도 14위에 불과했다. 원래 목표는 세계 2~4위를 기록 중인 1,000m에서의 메달 획득이었다. 그러나 모든 결과가 그렇듯, 속을 들여다보면 그의 쾌거는 이변이 아니며 운이나 우연도 아니다. 2006, 2007 세계 주니어선수권대회에서 연속 우승했고, 2008년 국가대표로 발탁된 뒤 지난해 아시아 종목별 선수권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주 종목은 아니지만 언제든 세계 정상에 오를 기량을 갖추고 있었다. 금메달의 원동력은 두 말할 필요 없이 땀이었다. 선배들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사이 그는 묵묵히 연습에 열중했다.

 

1948년 생모리츠 동계올림픽부터 출전한 한국이 스피드스케이팅에서 금메달을 딴 것은 62년 만에 처음이다. 이 금메달은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박태환이 수영의 첫 금메달을 딴 것과 비견될 만하다. 14일에는 스피드스케이팅 5000m에서 이승훈이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은메달을 획득, 아시아 빙속 사상 유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 이들의 쾌거는 쇼트트랙에서만 메달을 따온 한국 동계스포츠의 이미지를 바꾸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도 큰 힘을 불어넣었다. 그 바탕에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수준을 세계 정상급으로 끌어올려 놓은 선배들의 노력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모태범 이승훈이 끝이 아니다. 김연아 등 많은 선수들의 아름다운 도전이 좋은 결실을 이루어 한국 스포츠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들에게도 기쁨과 자부심을 심어주기를 바란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17수] 헌재 결정 취지 외면한 여당의 집시법 개정안

 

한나라당이 밤 10시부터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내용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개정안을 어제 국회 관련 상임위에 상정해, 처리에 나섰다. 현행 집시법의 야간 옥외집회 금지 규정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9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데 따른 후속조처라지만, 개정안이 헌재의 결정 취지에 맞는지는 의문이다.

 

한나라당 개정안은 무엇보다 집회 허가제를 금지한 헌법(제21조 제2항)에 어긋난다. 지난해 결정 당시 헌재 재판관 5인의 다수의견은 이 조항을 “집회의 내용을 기준으로 한 허가뿐만 아니라 집회의 시간·장소를 기준으로 한 허가도 금지된다는 의미”라고 판시했다. 해가 진 뒤의 옥외집회를 모두 허용하지 않는 것이 헌법에 정면으로 어긋나는 것처럼, 야간집회 허용시간을 한정하는 법규 역시 헌법 정신에 그리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헌법에서 집회 허가제 금지를 명문으로 규정하고서도 따로 법률로 집회 금지시간을 정하는 것부터가 어색하다.

 

더구나 한나라당 개정안은 현행 집시법보다 더 후퇴한 것이다. 현행법에서도 질서유지인을 둘 경우 야간집회가 허용될 여지는 그나마 있었지만, 개정안대로라면 밤 10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열리는 모든 집회는 예외 없이 금지된다. 경찰의 자의적 법집행은 더 심해질 것이다. 국민 기본권인 집회의 자유를 예전보다 더 제한하겠다는 것이니, 헌재 결정의 뜻에 정면으로 어긋난다.

 

그런 점에서 헌재 결정 뒤의 집시법 개정 논의가 야간집회 허용시간대를 어떻게 정할 것이냐는 데 머무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렇게 법률로 시간대를 미리 정하기보다는, 집회의 자유를 좀 더 넓힐 수 있는 방향으로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옳다. 경찰이 사실상 집회를 허가하는 월권을 저지르지 못하도록 준사법적이고 독립된 위원회가 집회 관련 주요 결정을 맡거나, 주택가에서의 야간집회에 대해선 다른 규정을 두는 등의 방식으로 공공의 안녕·질서와 집회의 자유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나라당은 자신의 개정안 처리를 고집할 게 아니라 이런 사회적 합의 과정을 성실히 거치도록 노력해야 한다. 헌재가 개정시한을 6월로 정했으니 바람직한 방안을 논의할 시간이 모자라지도 않는다. 멋대로 2월 안에 졸속 처리하겠다고 서두르다가는 또다른 위헌 논란과 반발이 빚어지게 된다.

 

 

[조선일보 사설-20100217수] 모태범 氷速 금메달, 눈부신 신세대 패기 보여줬다

 

스물한 살 모태범이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500m에서 금메달을 따내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국제빙상경기연맹의 500m 세계랭킹 14위에 불과했던 모태범 스스로도 믿지 못했을 승리였다. 우리 선수들이 처음 태극기를 달고 나선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올림픽 이후 첫 스피드스케이팅 금메달이었다. 그러나 모태범은 울지 않았다. 기적처럼 금빛 레이스를 질주해낸 그에게 기자들이 몰려들자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네요"라며 환한 미소를 지어 보였다.

 

대표팀 막내 모태범은 "태릉에서 단체 기자회견을 할 때 아무도 나한텐 질문을 하지 않더라"고 했다. "그래서 한번 해보자는 오기가 생겼고, 내게 관심이 없었기에 오히려 부담 없이 내달려 볼 수 있었다"고 했다. 그가 미니홈피 대문에 "성공이라는 못을 박으려면 끈질김이라는 망치가 필요하다"고 써뒀듯 그의 승리 뒤엔 오랜 인내와 투지가 있었다. 그는 고질적인 골반뼈 통증에도 씩씩함을 잃지 않았다. 스피드스케이팅이 국기(國技)인 네덜란드 팬들이 관중석을 오렌지빛으로 물들이며 열광적으로 응원하는 앞에서도 주눅들지 않았다. 얼음판 고르는 기계가 고장 나 경기가 1시간30분이나 늦춰졌는데도 페이스가 흐트러지기는커녕 2차 시기(試技)에서 더 좋은 기록을 냈다.

 

스피드스케이팅 500m는 육상으로 치면 100m다. 순간적으로 폭발적 에너지를 뿜어내야 해서 몸집 작은 아시아 선수들에겐 무덤과도 같은 종목이었다. 수영 자유형의 박태환, 피겨스케이팅의 김연아를 이어 모태범이 우리에게 불가능은 없다는 듯이 스피드스케이팅을 정복했다. 그러면서 박태환·김연아가 정상에서 보였던 해맑고 여유 있고 패기 찬 모습을 국민에게 다시금 보여줬다.

 

우리가 오래전 아시아 스포츠강국이라고 자랑했던 밑천은 복싱·레슬링 같은 '헝그리 종목' 격투기(格鬪技)였다. 나라 살림이 나아지고 국력이 커가면서 스포츠도 함께 진화했다. 축구·야구 같은 구기(球技)를 넘어 선진국 것으로만 여겼던 골프·수영·피겨스케이팅으로 영역을 넓혀갔다. 그 맨 앞에 어리고 나약한 줄 알았던 신세대, 신(新)한국인이 서 있다. 모태범의 의젓한 모습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읽는다.

 

 

[서울신문 사설-20100217수] ‘슈퍼 앱스토어’ 성공시켜 IT한국 위상 높이자

 

KT와 SK텔레콤,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의 대표적 통신·제조업체들이 세계 휴대전화 운용프로그램 도매 연합체인 ‘홀세일 애플리케이션 커뮤니티(WAC)’에 참여한다는 소식이다. WAC는 최근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휩쓸고 있는 애플과 구글에 맞서 세계적 통신업체 24곳이 함께 만드는 일종의 ‘콘텐츠 도매장터’다. 애플사의 운용프로그램 판매가게(앱스토어)가 소매점이라면 WAC는 콘텐츠의 가격과 물량 면에서 도매점(슈퍼마켓) 수준이라 해서 ‘슈퍼 앱스토어’로 통한다. WAC 참여 통신업체와 계약한 모든 콘텐츠 개발자는 이 가게에 상품을 올려놓을 수 있고, 30억명에 이르는 24개 통신업체 가입자들은 필요한 콘텐츠를 살 수 있다고 한다. 그런 만큼 한국의 통신·제조업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로선 IT강국의 위상을 높일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애플이 선보인 스마트폰은 단순히 전화를 걸고 몇가지 운용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기존 휴대전화 수준을 넘어 본격적인 ‘휴대전화+인터넷’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빠른 정보력과 네트워크 파워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폰 시대는 경제·사회적으로 그 파급효과를 예측할 수 없다. IT 기술력의 차이는 국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세계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한국 IT업계는 하드웨어는 뛰어나지만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는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IT업체들이 WAC 참여를 계기로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키운다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이제 단말기 중심의 IT산업은 한계에 이르렀다. 불과 3년 전 휴대전화 시장에 뛰어든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 2500만대를 팔아 5조원의 영업이익을 남겼다. 휴대전화 2억 2700만대를 판매한 삼성전자(4조 1000억원)보다 이익을 더 남긴 것은 소프트웨어 덕분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그래서 중요하다. 세계 유수의 통신·제조사가 만든 운영체제(OS) ‘리모 파운데이션’이 제 구실을 못하고, 애플과 구글이 앱스토어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WAC의 성공을 낙관하기엔 이르다. 그렇더라도 한국 업체들이 WAC를 주도하면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드시 성공으로 이끌어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새 시장 개척의 발판으로 삼길 바란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17수] 공인회계사가 분식결산 기획했다니

 

공인 회계사가 기업 분식회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코스닥 상장사였던 신명비엔에프의 당기순손실 314억원을 숨기는 등 분식회계를 한 혐의로 이 회사 대주주와 허위 재무제표를 작성해준 공인회계사, 변호사 등 12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발표했다.

 

놀라움을 감추기 힘든 것은 회계사들이 전담팀까지 만들어 재무제표를 조작하고 기획부터 실행까지 도맡아 처리하는 등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대담한 범죄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이 회사는 10개월 동안이나 상장폐지를 모면할 수 있었고, 선의의 투자자들만 그 피해를 몽땅 뒤집어썼다. 잘못된 재무제표를 바로잡는 게 회계사들의 책무이고 보면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의 극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아가 장부 조작이 이 회사에만 국한된 것일까 하는 의구심까지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번 사건은 거액의 수수료를 챙기기 위해서라면 분식회계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업계의 경쟁이 치열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까닭이다. 또 기소된 회계사 중 일부가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기업을 구제해 주는 것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었다는 소문이 나오는 것도 그런 가능성을 시사한다.

 

투명 회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기업이 재무 상태를 있는 그대로 진솔히 기록해야 함은 물론 공인회계사 또한 사명감을 갖고 감사에 임해야 한다. 그래야만 투자자들이 안심할 수 있고 증권시장 전체에 대한 신뢰도 유지될 수 있다. 회계 부정이야말로 증시와 자본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중대 범죄라는 이야기다. 따라서 분식회계에 관련된 기업과 회계법인, 회계사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로 엄중히 처벌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난 2000년대 초 미국 엔론사의 거대 회계부정 사건이 드러나면서 엔론은 물론 감사를 맡았던 회계법인 아더 앤더슨마저 함께 파산했던 사실은 두고두고 되새겨야 할 교훈이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217수] 의약계 리베이트, 이번엔 꼭 뿌리 뽑아야

 

보건복지가족부가 16일 의약계의 고질병인 리베이트를 근절하기 위해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을 내놓았다. 의약품 거래질서를 정상화하기 위한 것으로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제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근으로는 병원ㆍ약국이 정부 고시가보다 싼 값으로 의약품을 구입할 경우 차액에 대한 이윤을 인정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반면 리베이트에 대한 징벌은 훨씬 무거워졌다. 지금은 리베이트를 준 제약회사 등만 형사처벌을 받았으나 앞으로는 받은 사람도 최고 1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고 자격정지 기간도 2개월에서 1년으로 늘어난다.

 

리베이트는 제약회사들이 의약품 구입대가로 의사와 병원 등에 금품과 향응을 제공하는 행위로 제약사와 의사ㆍ병원ㆍ약국이 배를 불리는 대신 그 피해는 결국 소비자와 국민들이 입는 반사회적 행위다. 의사들이 리베이트를 받은 약을 처방하게 되면 소비자들은 약효가 떨어지거나 적정가격보다 비싼 약을 처방 받게 된다. 의료보험 재정도 타격을 입게 된다. 더 큰 문제는 리베이트는 품질 좋은 신약 개발을 가로막아 국내 제약산업 발전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

 

리베이트가 근절되면 의료재정과 국민의료복지 수준은 그만큼 향상된다. 복지부는 의약품 거래가질서가 투명하게 이뤄져 의료기관 및 약국이 약품구입 가격을 10% 낮출 경우 환자 부담금은 3,092억원, 요양기관 인센티브는 7,212억원 등 연간 총 8,242억원의 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2008년 건강보험의 약제비 10조3,036억원 가운데 8%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복지부는 오는 10월부터 이 같은 방안을 시행할 방침이나 제약업계와 의료계가 벌써부터 반발해 제대로 시행될지 의문이다. 그러나 리베이트 근절을 통한 의료비 절감은 이명박 대통령이 강조하는 '친서민 정책'과도 맥을 같이 한다. 정부는 그동안 여러 차례 리베이트 근절대책을 내놓았으나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국회 논의 등 공론화 과정에서 리베이트 근절대책이 퇴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오늘의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횡설수설/권순택(논설위원)-20100217수] 경찰 인사청탁 명단 공개

 

오늘날의 인사청탁에 해당하는 한자어에 분경(奔競)이란 말이 있다. 분추경리(奔趨競利)의 준말인 분경은 벼슬을 얻기 위해 고관대작이나 권세가들을 분주하게 찾아다닌다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도 인사청탁이 극심해 정종은 1399년 분경금지법까지 만들었지만 바로 이듬해 대사헌이 분경에 연루돼 귀양을 갔다. 세종 때인 1447년에는 우부승지 아들의 인사청탁 사건으로 좌우 부승지는 물론 이조참판과 참의까지 파면됐지만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분경과 비슷한 말로는 관직을 얻기 위해 경쟁한다는 뜻의 엽관(獵官)이 있다. 미국에서는 19세기 초부터 선거 공신과 열성 당원을 공직에 임명하는 엽관제(Spoils system)가 실시됐다. 엽관제의 영어식 표현이 ‘전리품은 승자의 것’(To the victor belongs the spoils)이란 윌리엄 마시 연방 상원의원의 말에서 유래한 것은 관직을 선거의 전리품으로 당연시했음을 보여준다. 엽관제는 1881년 제임스 가필드 대통령이 대사직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한 찰스 귀토에게 암살된 사건을 계기로 사라지게 됐다. 엽관제를 대체한 것이 능력을 기준으로 공직자를 임명하고 승진시키는 현재의 메리트 시스템이다.

 

▷조현오 서울경찰청장이 지난달 27일 참모회의 때 외부 인사를 통해 자신에게 인사청탁을 한 경정들의 명단을 불러준 뒤 특별 관리하도록 했다. 조 청장은 인사청탁을 들어주지 않고 일부에 대해서는 불이익도 줬다지만 청탁 근절을 위해서는 명단을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충격적인 조치도 고려해볼 만하다. 과거 경찰 인사청탁 루트는 국정감사, 예산심의, 인사청문회 등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는 국회의원이나 권력 실세들이었다는데 이번에는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궁금하다.

 

▷지연 학연 등 연고의식이 유별난 우리나라에서는 인사청탁이란 공직사회의 고질병이 쉽게 근절되지 않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인 때 “인사청탁을 하다 걸리면 패가망신시키겠다”고 공언했지만 형의 경우를 포함해 ‘인사청탁 공화국’을 만들다시피 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깨끗한 인사, 능력 위주 인사를 강조하지만 현 정부도 인사에서 국민의 신뢰를 크게 받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김남중(논설위원)-20100217수] 교복 물려주기

 

옷의 용도는 몸을 가리고 보호하거나 멋을 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정신적 교감의 매개(媒介)이기도 하다. 동서고금(東西古今)에서 그런 예를 찾기란 어렵지 않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부보상(負褓商)이란 이름을 하사했던 등짐·봇짐장수들은 강인한 단결력을 과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부자(父子)와 형제 이상의 의리를 나눌 정도로 ‘동무 의식’이 강했다. 그 바탕엔 ‘옷 바꿔 입기’ 습성이 있다. 부보상은 길을 오가다 만나면 입었던 옷을 서로 바꿔 입었다. 옷 바꿔 입기가 의리를 표시하는 방법이요, 일심동체(一心同體) 의식을 다지는 관습이었던 셈이다.

 

절에서의 승복 물림도 정신 영역의 행위에 가깝다. 절에 새로 들어온 행자는 세속에서 입던 옷을 그대로 입고 지내다 정식으로 머리를 깎고 나면 헌 옷을 받게 된다. 새 옷을 받게 된 승려들이 물려준 것이다. 나이 든 승려가 죽게 되면 그가 입던 옷들은 대개 그의 제자들이 물려받아 입는다. 그들 사이에 물려주고 물려받는 게 ‘겉껍데기 옷’만은 아닐 터다.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1533~1603년)도 궁녀나 귀족 여인들에게 자신이 사용했던 의복들을 물려줬다. 은혜를 베푸는 징표였던 셈이니 그 옷은 ‘행운의 선물’로 여겨졌다. 영국의 옷 물림은 하찮은 내의마저도 형제자매끼리 물려 입을 정도라고 한다. 중고품 유통이 성한 나라이고, 내의의 내구성(耐久性)이 뛰어나다고 해서 생기는 현상만은 아닐 게다. 거기엔 우애와 일체감을 나누는 의미가 깃들어 있을 게 분명하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원주민인 베타위(Betawi)족은 웨딩드레스를 대를 물려가며 신부에게 입힌다. 이 또한 가난의 탓보다는 사랑과 결속의 의미가 큰 풍습이 아닐까.

 

새 학기를 앞두고 전국 곳곳에서 지자체·교육청이 지원한 교복 물려주기 알뜰장터가 성황이라고 한다. 헌 교복을 모아 깨끗이 빨고 수선해 한 벌에 500~5000원에 판다고 하니 거저나 마찬가지다. 교복 구입 부담을 덜 수 있는 기회다. 교복 물림은 돈만의 문제는 아니다. 교복을 물려주고 물려 입으면서 선후배 간에 서로 아끼며 사랑하는 마음이 돈독해지는 소득 또한 크다. 교복 물려주기 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번졌으면 좋겠다. 그러면 교복을 찢고 밀가루를 뿌리다 못해 폭력 수준에까지 이른 졸업식 뒤풀이 일탈이 좀 수그러들지도 모를 일이다.

 

 

[경향신문 칼럼-여적/유병선(논설위원)-20100217수] 파생상품 ‘아이올로스

 

그리스 신화는 변덕과 배신으로 가득 차 있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가 등장한다. 트로이 전쟁을 마치고 귀향하던 오디세우스에게 순풍과 역풍이 든 두 바람자루를 건네고, 한 선원이 역풍 자루를 열었다며 있는 대로 성질을 낸 신이 아이올로스다. 결정적인 열쇠를 뜻하는 ‘아리아드네의 실’은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에서 나왔다. 아리아드네는 미로에 갇힌 반인반수(半人半獸)의 의붓형제 미노타우로스를 죽이려는 테세우스에게 길을 잃지 않도록 몸에 실을 묶어준다. 하지만 그녀는 사랑한 사내에게서 버림받는다.

 

월스트리트는 그리스 신화에 ‘분식(粉飾)’을 추가했다. 골드만삭스는 2001년 유로통화권 가입을 전후해 빚이 많은 그리스 정부에 신화의 이름을 딴 파생상품을 은밀히 제시했다. 통화스와프나 금리스와프 등 첨단 금융기법을 활용하면 빚을 장부상에서 숨길 수 있다고 꼬드겼다. 2년 전 미 금융붕괴를 촉발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의 증권화 수법을 국가채무에까지 적용한 것이다. 2000년과 2001년 그리스는 정부 회계를 분식하는 수십억달러짜리 파생상품을 잇달아 계약했는데, 그 이름이 ‘아리아드네’와 ‘아이올로스’다.

 

그리스 신화가 월가의 분식을 거치면서 그리스엔 ‘재앙’이 되고 있다. 분식으로 그리스 정부 곳간은 더 비었고, 국가 자산은 헐값에 담보로 넘어갔고, 갚아야 할 채무는 더 무거워졌다. ‘아리아드네’ 계약으로 그리스의 국가 복권 수익이 담보로 잡혔다. 국고로 들어가야 할 복권 수익금이 골드만삭스 금고로 빠져나가게 됐다. 골드만삭스는 ‘아이올로스’ 계약의 수수료 명목으로 3억달러를 챙겼을뿐더러 공항 이용료도 담보로 잡았다. 그리스의 빚더미에 월가의 탐욕이 올라탄 꼴이다.

 

뉴욕타임스는 엊그제 월가가 파생상품을 팔아 유럽의 재정위기를 더 덧나게 했다고 폭로했다. 그리스와 같은 월가와 유럽의 재정분식형 파생상품 계약이 수십건에 달한다고 했다. 월가가 유럽 재정위기의 주범은 아니더라도 공범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월가는 무책임한 유럽의 정부에게 신화와 첨단으로 버무린 탐욕을 팔았다. 월가는 그리스에게 ‘아리아드네의 실’이 아니었다. 월가가 이미 아리올로스의 역풍 자루에 손을 댄 것이 아닌가 싶다.

 

 

[매일경제신문 칼럼-매경춘추/유왕돈(진매트릭스 대표)-20100217수] 세상구도

 

`현대 속 미개인`이라 난 골프도 못 친다. 여가생활 시대에 취미 하나 없다면 `원시인` 취급을 받을 것 같아 나도 취미를 만들려고 애써 왔다.

 

중학생 시절 현미경을 보는 것으로 내 취미는 시작됐다. 처음 본 양파 속 세포 모습은 정말 신기했다. 하지만 복잡한 준비가 싫어 양파를 머리카락으로 바꾸었고, 늘 머리카락을 기둥만 하게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호기심 많은 중학생으로선 곧 싫증을 낼 수밖에 없는 취미였다.

 

한동안 없던 취미는 망원경을 얻고 다시 시작됐다. 천체 관측의 적기는 습도가 낮은 겨울이란 말에 캄캄한 벌판으로 갔다. 문제는 야심 찬 관측의 첫 장소가 영하 35도의 추운 미국 미네소타주 벌판이었다는 사실이다. 혹한의 밤 벌판에서 여가생활은 그날로 끝났다. 초등학생 같은 내 호기심은 40대 초에 다시 발동해 값싼 망원경을 구입했다. 새벽 3시에도 일어나고 아파트 옥상도 오르곤 했는데, 서울 아파트 하늘 위에 별이 그렇게 없는지 그때 다시 알았다.

 

현대인이라면 취미가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이번엔 사진 찍기를 취미로 택했다. 카메라도 구하고, 도서관에 들러 책도 봤다. 거의 4년이 됐는데도 사람들은 나를 소개할 때 "취미가 사진"이라고 소개할 뿐 "잘 찍는다"고 칭찬하지는 않는다. 동호회 한 번 안 가고 `실내활동`에 머문 까닭에 렌즈 달린 카메라를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미술책도 사진첩도 봤지만 나의 `이공계 뇌`로는 이 구도가 저 구도보다 나은 이유를 도무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번에도 또 한계가 보인다. 나는 타고난 `구도치(構圖癡)`인가 보다.

 

말뿐인 취미지만 언젠가는 내가 찍은 사진으로 탁상용 달력사진 정도는 꾸며 보겠다는 꿈을 지니고 있다. `구도치`인 내 재주로 남 앞에 내놓을 만한 근사한 사진 12장을 찍으려면 한 10년은 걸릴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내 형편만 따라 지나온 세상에 대해 사진을 찍으며 다시 둘러보고 싶다. 미처 못 보고 알지 못했던 세상에 대한 내 생각을 고치고 채울 수 있으면 좋겠다. `구도치` 안목으로 세상을 보면 정해진 `세상 구도`의 마법이 풀려 싫은 것도 좋아지고, 미운 것도 고와 보이는 세상을 혹시 볼 수 있으면 좋겠다.







Friday, January 25, 2008


FEAR IS OVERCOME WITH ACTION

두려움은 행동으로 극복된다.


One of the greatest surprises you'll experience,
is when you discover that you can do
what you were afraid you couldn't do.

당신이 경험하게 될 가장 위대한 경험중의 하나는

당신이 할 수 없다고 두려워한 것을
당신이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이다.

 

Your obstacles will melt away,
if instead of cowering before them,
you make up your mind to walk boldly through them.

당신의 장애물은 그 장애물 앞에서 겁을 집어 먹는 대신에

당당하게 헤쳐 나갈 수 있다고 결심한다면

녹아 내릴 것이다.

 

Do the thing you fear and fear disappears.
Confront your fears, list them, get to know them
and only then will you be able to put them aside
and move ahead.

두려워하는 것을 행하면 두려움은 사라진다.

두려움을 맞서라 그리고 목록을 만들어 알도록 하라

그러면 바로 그 때 그 두려움을 뒤로 제쳐둘 수 있고

앞으로 전진할 수 있다.

 

When you face the things that scare you,
you open the door to freedom.

당신을 위협하는 일들을 대처하게 될 때
당신은 자유로 향하는 문을 연다.

 

The only thing you have to fear, is fear itself..

두려하지 않으면 안될 단 하나는 두려움 자체이다.

 

 Copyright 2008 www.yourdailymotivation.com
Reproduce freely but maintain Copyright notice.

Translated by TrueFriend


자신감있게 말하려면

상대방에게 '진정으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어야 한다.


말할 주제가 명확하지 않으면

내용도 모호해지고

말하는 이는 자신감을 잃게 된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은

큰돈을 벌기 위해,

또는 타인의 칭찬이나 갈채를 받거나

더 나은 자리로 승진하기 위해

뛰어난 화술을 익히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들은 정작 자신이 전달할 주제에 대해서는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그저 평범한 강사나 샐러리맨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2010년 2월 11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칼럼

 

 

* 일러두기 : 이 자료는 교육용으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이며 상업적 목적은 일절 없습니다. 선정된 사설의 정치적 성향은 본인의 성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 오늘의 주요 신문사설

 

[한국일보 사설-20100211목] 구의회 폐지는 지방자치 부정이다

 

국회 행정체제개편특위 소위원회가 다음 지방선거(2014년)부터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에서 구청장은 민선으로 선출하되 구의회는 폐지하기로 합의했다. 잠정 합의인 만큼 앞으로 여론수렴 절차를 거치겠다지만 지방자치의 근본을 허물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허투루 입법화하거나 서둘러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 지방자치의 기초단위로서 단체장을 비판ㆍ감시하는 원론적 기능을 효율성 때문에 없애겠다는 인식이야말로 쇠뿔을 교정하려다 소를 죽이는 꼴이 아닐 수 없다.

 

지방의회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기초자치단체인 대도시 구의회의 경우 문제가 많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유권자들이 구의원을 잘 모르는 가운데 끼리끼리 모이는 친목단체로 전락하기도 하고, 같은 생활권 안에서도 지역이기주의로 행정이 중첩되는 등 '없어도 될 기구'라는 인식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갖가지 명목으로 세금을 빼먹고 있으니 효율성 측면에선 '해만 끼치는 기구'라 여길 만하다.

 

국회 특위가 폐지에 합의하면서 내놓은 대안도 여기에 근거하고 있다. 구의회 기능은 광역의회가 대신토록 하고, 구 차원의 민원 수렴을 위해 광역의회 의원 수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 구청장과 시의원, 구민직능대표 등으로 구정협의회를 구성해 주요 정책을 협의하면 된다고 한다. 간추리면 기초단체의 경우 지방자치 실시 이전으로 돌아가되 단체장만 정부가 임명하는 대신 주민이 선거로 뽑는다는 얘기다.

 

구의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면 차라리 지방자치를 시작하던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면 어떨까. '무보수 봉사직'으로 시작했던 기초단체 의원들이 고위공무원이나 대기업 임원처럼 변질돼 문제가 더 불거지고 있다. 더 중요한 일은 주민 참여를 늘리고 의회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등 구의회가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는 방안을 궁리하는 것이다. 지방자치란 주민들이 직접 단체장을 선출하기도 하지만, 주민 스스로 의회를 구성해 참여와 견제ㆍ감시 역할을 하는 게 더 중요한 본질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한겨레신문 사설-20100211목] ‘유인촌 문화부’, 제발 법 좀 지켜라

 

김정헌 한국문화예술위원장 문제와 관련한 문화체육관광부의 법 무시 행태가 도를 넘었다. 김 위원장에 대한 불법 해임을 밀어붙였던 유인촌 장관이 물러나지 않는 한 사태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엊그제 한국문화예술위원들은 김 위원장한테 예우만 하고 업무 권한은 회복시키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이런 결정은 이들이 김 위원장의 권한 회복을 심의할 자격이 없다는 점에서 출발부터 잘못됐다. 김 위원장은 법원의 해임처분 집행정지 결정에 따라 위원장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이미 회복한 상태다. 문화예술위의 소집과 주재 권한도 문예진흥법에 따라 김 위원장한테 있다. 그럼에도 위원들이 김 위원장을 배제한 채 모여 위원장의 권한이 있네 없네를 논의한 것 자체가 위법하다. 마치 자신들이 법원의 상급기관이나 되는 양 행동한 것이다.

 

이런 행태의 배후에는 문화부가 작용했다. 신재민 차관은 지난 4일 “법원의 결정은 김 전 위원장의 직위는 인정하지만 권한까지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도 있다”며 위원들의 논의방향을 제시했다. 위원들은 엊그제 회의 뒤 발표한 성명에서 “(김 위원장의) 법적 지위 회복은 인정한다”면서도 업무 권한은 회복시킬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한테 급여와 차량, 운전기사 정도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신 차관의 주문이 고스란히 반영된 내용이다.

 

문화부 쪽에서는 노동자가 해고무효 판결을 받아내더라도 급여는 지급하되 원직 복직은 시키지 않은 사례를 거론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법원 판결로 확립된 선례가 아니라 일부 악덕 기업주들의 법 취지를 무시하는 일탈행위일 따름이다. 문화예술계 최고지도자라는 문화예술위원들이 차관 지침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습도 꼴사납다. 문화예술 지원 사무의 독립성을 높이고자 과거의 문예진흥원을 위원회 체제로 바꾼 제도 개편 취지가 무색하다.

 

법원이 위법부당성을 거듭 지적하는데도 문화부는 시정하기는커녕 또다른 불법·편법이나 궁리하고 있으니 딱하다. 법치를 앞세우는 정권이 이렇게 법을 마구 무시해도 되는 건지 모르겠다. 법원의 결정대로 김 위원장이 임기인 9월까지 직무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현 오광수 위원장도 문화계 원로로서, 지금의 이 볼썽사나운 사태를 속히 종결시키는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조선일보 사설-20100211목] 민노당이 불법(不法)계좌로 받은 53억 누가 냈나

 

경찰은 10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지 않은 민주노동당 명의(名義) 계좌에서 55억원가량이 민노당 공식 계좌로 흘러갔으며 이 계좌로 관리된 돈의 규모가 100억원"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전교조 교사와 전공노 공무원들이 민노당에 정치자금을 대왔다는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고 한다. 현행법에 교사와 공무원은 정당에 직접 후원금을 낼 수 없고 이를 어기면 돈을 낸 사람과 받은 정당 모두 처벌된다.

 

민노당은 이에 대해 "선관위 미등록 계좌 1개에 2008년 8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53억72만원의 당비(黨費)가 입금됐다"면서도 "입금과 인출의 편의상 미등록계좌를 사용했을 뿐 불법자금은 한 푼도 없으며 전액을 선관위 등록 통장으로 다시 입금했다"고 하고 있다.

 

민노당은 이번 수사 내내 "정치탄압"이라고 반발하며 수사를 거부했다. 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 영장의 집행을 방해하고 혐의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담긴 서버컴퓨터를 빼돌리기도 했다. 수사기관이 민주정치의 핵심기둥인 정당에 대해 압수·수색이나 체포를 시도할 때는 그만한 확신이 없이는 하기 힘들다. 그런 만큼 정당도 수사에 응하면서 변호사를 통해 자기 방어에 나서는 것이 옳다.

 

민노당의 비공식계좌 운영은 '정치자금 수입·지출은 선관위 신고 계좌만을 통해야 한다'는 정치자금법 36조를 명백히 어긴 것이다. 그렇다면 그 계좌에 어떤 사람들이 얼마나 입금을 했으며 그 돈은 어떻게 쓰였는지를 밝히는 수사에 마땅히 협조해야 한다. 민노당이 누구보다 깨끗한 정당이라고 외쳐왔던 만큼 자신의 도덕성 증명을 위해서라도 '돈 낸 사람을 감춰주려는 명의세탁용 계좌'라는 의혹 여부는 가려야 하지 않겠는가.

 

민노당으로선 교사와 공무원의 정당·정치단체 활동을 금지하는 현행법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법안을 내서 개정 노력을 할 일이지, 불법계좌를 만들고 서버를 숨기는 불법수단을 동원하는 것은 먼 장래에는 보혁(保革) 정권교체까지 꿈꾼다는 정당으로서 바른 자세가 아니다.

 

 

[서울신문 사설-20100211목] 횡성군이 재시동 건 3·3·3 에너지절약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어제 정부 중앙청사 등 각 부처의 전기 낭비 실태를 꼬집은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 기관들의 전기 사용량은 하반기 들어 전년도보다 오히려 늘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주도한 ‘내복 국무회의’와 무관하다는 듯 정부 관리들은 그저 매서운 추위에 맞서 열심히 전기를 틀어댔다. 올 겨울 전력 사용량이 사상 최대치를 연일 경신하자 정부는 전기 절약 호소문까지 발표했지만 정작 자신들은 외면한 것이다. 이런 터에 횡성군이 3·3·3 에너지절약 운동에 나서 귀감이 되고 있다.

 

횡성군은 원래 이 운동의 원조가 아니다. 2008년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의 생활화 확산이라는 기치를 걸고 시작했다. 가정과 사무실, 자동차에서 3가지씩 절약하자는 게 요체다. 정부는 그해 5월 ‘에너지 절약 333 캠페인’ 우편엽서 100만장에 이어 8월엔 절약 방법을 담은 특별우표 200만장을 발행했다. 홍보 부채도 만들어 배포했다. 당시 밀양시 등 일부 지자체는 동참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의 계획은 결국 공염불에 그쳤다. 횡성군은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생생(生生)도시’로 선정된 데 이어 이번에 이 운동의 꺼진 불씨를 살리겠다고 나섰다. 정부는 또다시 흐지부지되는 일이 없도록 대대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일이다. 에너지 절약의 성패는 슬로건이 아니라 실천에 달려 있다.

 

정부의 에너지 절약에는 공무원이 앞장서야 한다. 횡성군이 재시동을 건 이 운동에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들도 새로운 각오를 갖고 동참하기 바란다. 나아가 획일적인 방식이 아니라 지역마다 특성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을 기대해 본다.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확대하고, 인센티브 보장 등 정책으로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노력도 뒤따라야 할 때다.

 

 

[한국경제신문 사설-20100211목] 아라온호의 성공적 남극항해에 거는 기대

 

국내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자체 쇄빙능력 시험과 남극 제2기지 후보지에 대한 정밀조사 지원 등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소식이다. 서남극의 케이프벅스에 이어 동남극의 테라노바베이에 대한 정밀조사를 완료한 아라온호는 곧 선상보고회를 통해 1항차 임무를 종료한 뒤 인천항으로 향할 예정이다. 아라온호가 우리의 기술로 개척하는 새로운 남극시대를 여는데 중요한 발판이 됐다는 평가가 나올 만하다.

 

당초 첫 쇄빙 항해가 과연 성공할지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만큼 남극의 기상상황 등을 예측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아라온호가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 남극 킹조지섬에 세종과학기지를 세웠지만 지난 20년간 폭넓은 남극연구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호주대륙보다 더 넓은 남극 연구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거점이 필요했던 이유다. 게다가 그동안 세종기지의 우리 연구원들은 쇄빙선이 없어 러시아에 의존하는 등 연구 수행과정에서 애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우리 기술로 만든 쇄빙선 아라온호가 이런 문제점들을 마침내 해결해 준 것이다.

 

남극연구를 확대해야 하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한마디로 국가적 이익이 달려있는 문제다. 선진국들은 지구온난화를 표면에 내세우며 남극연구를 한다고 하지만 남극에 온갖 수산자원과 석유 등 엄청난 부존자원이 있다는 점에 더 주목하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현재 19개국이 37개에 달하는 남극권 상주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기여한 만큼 연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 냉엄한 국제현실이고 보면 남극연구에 대해서는 국가적으로도 전략적인 고려가 있어야 마땅하다. 오랜 염원의 결과로 탄생한 아라온호는 국내 최초의 쇄빙선이자 첨단연구장비를 갖춘 연구소 개념까지 결합돼 있다. 아라온호의 성공적 남극탐사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새로운 남극시대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매일경제신문 사설-20100211목] 9년만에 5% 벽 다시 깬 실업률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실업자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만8000명이나 늘어난 121만 6000명을 기록하면서 줄곧 3%대에 머물던 실업률도 5.0%로 치솟았다.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서고 실업률이 5%대로 올라서기는 각각 2001년 3월 이래 8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 실업자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일자리가 줄어든 탓이 아니라 실업자 통계에서 빠져 있던 비경제활동인구 중 상당수가 구직활동에 나선 것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이는 1월 취업자가 2286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오히려 5000명 증가한 것으로도 뒷받침된다.

 

취업자와 실업자가 동시에 늘어나는 것은 일자리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는 경기 회복기에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업률 증가는 일시적 현상에 그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용시장이 기대만큼 이들을 흡수하지 못하면 실업률은 상당 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결코 안이하게 대응하면 안 된다. 특히 졸업시즌과 맞물려 9.3%까지 치솟은 청년실업률에 각별히 경각심을 갖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신년연설에서 "2010년 이명박 정부의 첫 번째 국정과제는 누가 뭐라 해도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그 핵심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달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는 정부가 올해 중 신규 일자리가 25만개 늘어나도록 최선을 다하고 향후 10년 내에 고용률 6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식 실업자뿐 아니라 쉬는 사람, 취업 준비생, 구직 단념자 등을 포함한 실질적인 실업자가 460만명을 넘고 실업률도 15%를 넘는다는 분석도 있고 보면 고용 목표가 그렇게 쉽사리 달성될 수 있는 게 아니다. 부단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얘기다. 특히 실업자가 급증한 것은 신규 졸업생들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데 큰 원인이 있으므로 이들을 흡수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고용 창출에는 민간 역할이 절대적이다. 따라서 정부는 민간이 고용을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강화하며, 고용 창출에 기여한 기업에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서울경제신문 사설-20100211목] 막대한 예산만 날린 한강 수질개선사업

 

수도권 주민의 상수원인 한강 수질이 지난 1994년 통계작성 이후 최악이라는 조사 결과는 정부의 수질관리가 주먹구구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부는 2000년 이후 주요 취수원인 팔당호 등 한강 수질개선 비용으로 20조원이 넘는 돈을 쏟아 부었다. 그런데도 환경부가 내놓은 '2009년 하천 수질측정 자료'에 따르면 팔당호의 연평균 수질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기준 4.0ppm에 그쳐 15년 만에 가장 나빴다. 그나마 좀 낫다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도 4년째 상승해 1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오염물질을 할당 규제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강화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서울시는 지난해 생수를 마시지 않거나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수돗물인 '아리수'만 마시는 아파트를 모집하는 등 깨끗한 물 자랑을 늘어놓았다. CODㆍBOD는 물론 대장균 오염 등도 심해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아예 상수원으로 쓰지도 않는 뚝섬 등의 '등급 외' 원수로 만든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권유했던 셈이다.

 

살균처리 등 고도의 정수과정을 거쳤더라도 수질이 나쁜 원수를 사용하면 병원균이 완전히 죽지 않을 뿐더러 소독과정에서 염소가 많이 들어가 발암물질 등 부산물이 포함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울시 자체 조사에서조차 수돗물의 수질을 믿지 못해 생수나 정수기 물을 마신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절반이나 되는 것은 서울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단일 상수원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한강 수질을 악화시킨 데는 수도권 난개발 등도 주요 원인이 됐다. 한강 유역에 음식점과 호텔 등 각종 위락시설이 무분별하게 들어서고 있지만 한강오염을 막을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법의 허점을 이용해 상수원보호구역인 팔당 등의 오염위험이 높은 형질변경 등이 다반사로 이뤄지고 전원주택 등을 지어 분양해도 제대로 규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상류지역 축산농가의 분뇨배출이나 농경지 비료 과다살포 등도 보다 강력하게 제한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 상수원 보호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환경부가 오는 2012년부터 하수처리장 수질기준을 강화하는 대책을 내놓았으나 이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한강의 수질악화는 2,300만 수도권 주민의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당장 강도 높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 오늘의 칼럼 읽기

 

[동아일보 칼럼-배인준 칼럼/배인준(논설주간)-20100211목] 대통령과 위원장의 시대정신

 

남이나 북이나 사흘 뒤 설이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설을 크게 쇠라고 해왔다. 그러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실토대로 강냉이밥도 제대로 못 먹는 그들이 설을 얼마나 근사하게 쇠겠는가. 설 이틀 뒤인 16일은 김 위원장의 68회 생일이다.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도 충성맹세 모임이나 업적연구토론회에 가야 한다. 9∼17일은 ‘2·16 경축 영화상영 순간(旬間)’이라 북한 각지에서 김 위원장 우상화 영화가 집중 상영된다.

 

* 주민보다 애완견이 더 소중한 金

 

재작년 이명박 정부가 옥수수 5만 t을 주겠다고 했을 때 북은 필요 없다고 했다. 옥수수가 아닌 쌀을 40만 t씩 퍼주던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처럼 길들여볼 요량이었다. 정부는 작년 10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옥수수 1만 t을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또 거부당했다.

 

지난달 북은 생각을 바꿔 옥수수 1만 t을 받겠다는 전통문을 보내왔다. 그리고 몇 시간 뒤 김 위원장 직속의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남한 당국자들의 본거지를 날려 버리기 위한 거족적 보복성전을 벌이겠다”는 성명을 냈다. 주민은 허기져 쓰러져도 김 위원장의 애완견은 평양까지 불러들인 프랑스 수의사한테서 건강검진을 받는다. 핵 개발비용과 지도층의 사치만 줄이면 2400만 북한 주민이 아사만은 면할 수 있다고 한다.

2007년 대선 때 “이명박이 대통령 되면 전쟁난다”는 주장이 심심찮았다. 그러던 사람들은 지금도 이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꾸짖으며 김대중 노무현 시대로 돌아가라고 압박한다. 북은 남쪽 일부세력이 맞장구를 쳐주니 보복성전이니, 짓뭉개버리겠다느니 하는 협박도 할 만하다.

 

북한 정권의 핵심세력은 전문가집단이다. 김 위원장부터가 1994년 아버지 김일성 주석의 권력을 세습하기 20년 전부터 ‘어떻게 하면 체제를 유지하고, 또 남쪽을 제압할지’ 도를 닦은 사람이다. 당군정(黨軍政) 주축들도 수십 년째 한 우물을 파왔다. 대통령이라야 겨우 5년, 실무당국자는 2∼3년도 안돼 바뀌는 남쪽 정부를 우습게 볼만하다. 일사불란한 북과는 달리 남쪽은 정치권, 언론, 심지어 정부조차 중구난방이니 ‘흔들 구석’이 훤히 보였을 법도 하다.

 

김일성 김정일 부자는 대남공작을 진두지휘했다. 김일성은 1973년 4월 “남조선에는 고등고시에 합격만 되면 행정부 사법부에 얼마든지 잠입해 들어갈 수가 있다. 머리가 좋고 확실한 자식들은 데모에 내보내지 말고 고시준비를 시키도록 하라”는 지령을 공작원들에게 내렸다. 1987년 6·29선언 직후 김일성은 “전두환이가 백기를 들었다. 우리의 민주투사들을 상도동과 동교동으로 접근시키고 김영삼과 김대중으로부터 인정받도록 하라. 그래야 장차 그들의 후광을 업고 제도권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고 지시했다.

 

* MB, 북핵폐기 역사적 획 그을까

 

특히 김대중 노무현 집권기, 북은 물 만난 고기처럼 각 분야를 휘저을 수 있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2대 좌파정권은 북의 든든한 버팀목이 돼주면서 결국 핵 개발의 협력자가 되고 말았다. 그것은 국민이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킨 ‘절반의 이유’다. 그럼에도 좌파세력은 이명박 노선이 남북 긴장을 폭발시킬 것처럼 불온시하며 김대중 노선으로 돌아가라고 요구한다. 이는 북의 비핵화를 더 멀어지게 하는 대북정책을 답습하라는 소리다.

 

퍼주기에 익숙했던 북이 지금 심한 금단현상 때문에 해안포 방사포를 쏘아대며 양동작전 교란작전을 쓴다. 남쪽 일부세력이 북한테 ‘그러는 건 좋지 않다’면서 동시에 정부더러 ‘대북적대정책 때문에 북이 저런다’는 식으로 양비(兩非)하는 행태는 무책임의 극치다. 북의 시비 걸기 포사격은 ‘기동(機動) 없는 앉은뱅이 사격’인데 아마도 북방한계선(NLL)을 넘는 순간 더 많은 타격을 입을 것을 염두에 두기 때문일 것이다.

 

북에 꽃놀이패는 없다. 남쪽이 호들갑을 떠는 것이 거꾸로 김정일 집단이 꽃놀이패를 쥐고 있는 것처럼 착시를 일으키게 한다. 설혹 이명박 정부가 과거 10년처럼 퍼주기를 한다 해도, 북이 핵을 버리고 개방의 길로 나서지 않는 한 북한경제는 연명(延命)수준을 벗어날 수 없다. 북한 체제의 절대적 한계 때문이다.

 

물론 지금으로선 북의 핵 포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강성대국 완성의 해로 선포한 2012년까지 세계가 부인할 수 없는 수준의 핵무장에 성공해 이를 강성대국의 증거로 삼으려 할 것이다. 그리고 68세라지만 건강연령은 80세쯤인 김 위원장이 3대 세습의 동시완성에 매달릴 것이다.

 

북한 핵의 완성이냐 폐기냐가 걸린 앞으로 2, 3년은 이명박 정부의 임기와 일치한다. 그런 점에서 이 대통령은 두 전임자와 전혀 다른 차원에서 대북정책의 역사적 획을 그어야 할 대통령이다. 그 역할의 의미는 국가적으로나 세계적으로나 무겁다. 남북정상회담도 그 틀 안에 있음이 시대정신이다.

 

 

[중앙일보 칼럼-분수대/박종권(논설위원)-20100211목] 유감지진

 

한반도에서 기록상 최초의 지진은 서기 2년, 고구려 유리명왕 21년 8월이다. 이후 1905년 인천에 근대적인 지진계가 설치되기까지 삼국사기·고려사·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유감(有感) 지진이 1800회에 이른다. 가장 강력한 지진은 신라 혜공왕 15년(779)의 일이다. ‘경주에서 지진이 일어나 백성들 집이 무너지고 100여 명이 죽었다’고 삼국사기는 전한다. 조선왕조실록은 선조 30년(1597) ‘함경도에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여덟 번이나 지진이 연속해 일어나 담벽이 흔들리고 새와 짐승들도 놀랐으며, 이로 인해 병들어 누워 일어나지 못한 이도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숙종 7년(1680)에는 지진을 제때 보고하지 않은 관상감(觀象監)의 관원이 추국(推鞫)을 받기도 했다.

 

세계 최초의 지진계는 중국 후한의 장형(張衡)이 132년에 개발한 후풍지동의(候風地動儀)다. 지름이 약 2m인 청동 용기의 바깥쪽에 구슬을 입에 물고 있는 8마리의 용이 방위에 따라 위치해 있다. 지진을 감지하면 지진이 난 쪽의 용 입에서 구슬이 튀어나와 아래쪽 두꺼비 입으로 떨어지게 설계된 것이다. 이때 일어나는 날카로운 금속성이 지진 발생을 알린다. 당시 장안으로부터 600㎞나 떨어진 농서지역의 지진을 맞혔다고 한다.

 

현대의 지진계는 미국의 찰스 리히터가 개발했다. 그는 지진을 ‘규모’로 나타내는 방안도 고안했다. 이에 따르면 ‘재앙’ 수준인 규모 8 이상은 연간 1회꼴로 발생한다. 지난달 아이티 지진은 7.0이다. 이번 수도권 지진과 같은 규모 3.0 이상은 세계적으로 연간 13만 회가 일어난다.

 

지진계가 발달해도 동물의 본능에는 못 미치는가. 중국 쓰촨성 대지진 때 두꺼비떼가 출현했고, 일본 고베 지진 때는 개와 고양이가 이상한 행동을 보였다며 동물의 예지 능력에 주의를 기울인다. 실제 북한은 2005년 인민일보를 통해 평양 대성산 중앙동물원의 앵무새와 말 우리에 동물 지진감시초소를 운영한다고 소개했다. 중국의 광시자치구 지진국은 ‘뱀은 120㎞ 떨어진 곳의 지진도 3~5일 전에 감지한다’며 카메라와 인터넷을 활용해 뱀 농장을 감시한다고 한다.

 

바람이 지구의 호흡이라면, 지진은 맥동(脈動)이다. ‘살아 있는 지구’인 것이다. 다만 여기에 기생(寄生)하는 인간들이 이를 잊거나 외면할 뿐이다. 지난해도 한반도에 60차례의 지진이 있었다. 안전지대는 없다. 그저 지구와 잘 공생(共生)하는 수밖에.

 

 

[경향신문 칼럼-여적/김철웅(논설위원)-20100211목]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1992년 5월 뉴욕타임스 기자 토머스 프리드먼은 도쿄에서 남서쪽으로 240㎞ 떨어진 도요타시를 찾았다. 원래 고모로였던 시의 이름은 1959년 도요타시로 개칭됐다. 프리드먼은 도요타 자동차의 최고급 승용차 ‘렉서스’ 공장을 취재했다. 이 공장에서는 66명의 사람과 310개의 로봇이 매일 렉서스 300대를 생산하고 있었다. 사실상 거의 모든 일을 로봇이 했다. 프리드먼은 특히 자동차 앞유리를 붙이는 접착 로봇에 매료됐다. 로봇 팔이 뜨거운 액체고무를 붙이는데 한 차례 작업이 끝날 때마다 아주 가는 쇠줄을 스쳐 지나가면서 로봇 손가락에 붙은 고무 방울 찌꺼기를 떼내는 것이었다. 그는 공정에 별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사소한 찌꺼기까지 완벽히 처리하는 모습에 감탄했다.

 

취재 후 그는 시속 290㎞인 신칸센에 올라 헤럴드 트리뷴 신문을 펼쳐 들었다. 3면엔 마거릿 터트와일러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팔레스타인 난민과 관련한 유엔 결의안에 대해 발언한 것이 아랍인과 이스라엘인 모두를 분노케 하고 있다는 기사가 실렸다. 그는 생각한다. “내가 방문한 렉서스 공장은 로봇을 활용해 세계 최고급 승용차를 만들고 있다. 반면 이들은 아직도 누가 어느 올리브나무의 주인인지를 놓고 싸우고 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책이 <렉서스와 올리브나무>다. 렉서스는 첨단기술, 세계화의 상징이다. 올리브나무는 가족, 민족, 국가, 종교를 상징한다. 중동 특파원을 오래 지낸 프리드먼은 이 지역에서 신성한 나무로 통하는 올리브로 인간의 전통적 가치 추구 정신을 빗댔다. 그는 렉서스와 올리브나무가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좀 더 부유해지기를 바라는 사회는 더 좋은 렉서스를 만들어야 한다”며 자신이 열렬한 세계화 예찬론자임을 감추지 않는다. 책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러나 이 예찬론엔 너무 허점이 많았다. 여기에 책이 나온 지 11년 후 터진 도요타 리콜 사태는 금석지감(今昔之感)마저 들게 한다. 첨단 중의 첨단으로 꼽혔던 렉서스 하이브리드차까지 리콜, 생산중단 대상이 됐다. 도요타 사장은 워싱턴포스트에 사과문을 실었다. 미국 의회는 청문회를 벼르고 있다. 재작년 금융위기에 이은 도요타의 추락을 세계 자본주의의 심각한 작동결함 징후라고 말하면 비약일까. 



아름다운 말에는 분명 향기가 있습니다


우리는 날마다 많은 말을 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 중에는 아름다운 말이 있는가 하면
남의 가슴에 상처를 남기는 말도 많을 겁니다.
말속에도 향기와 사랑이 있다는 거 아세요?

짧은 세상 살다 가는데,
좋은 말만 하며 살아간다면
듣는 이나, 말을 하는 이에게나 모두
가슴에 넘쳐나는 기쁨과 행복이 올 것입니다.

행복은 결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랍니다
작은 일에서부터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타인의 험담을 늘어놓는 것 보다는 칭찬하는 말이,
상처주는 말보다는 위로하는 말이,
비난보다는 격려의 말이,
나와 타인의 삶을 행복하게 한답니다.


"마크 트웨인"은 "멋진 칭찬을 들으면
그것만 먹어도 두 달은 살 수 있다"고 했습니다.

복잡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서로의 격려와 칭찬과 긍정적인 말은
이 세상을 훨씬 밝게 만드는 초석이 될 것입니다.

사랑은
기적을 낳는다고 하지요.

고통 속에서 괴로워하는 이웃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의 말은
새로운 힘과 용기를 줄 것입니다.

아름다운 말에는 향기가 분명 있습니다.
아름다운 말에는 사랑이 분명 있습니다.

늘 향기를 안고 다니는
님들이길 소망해 봅니다.
늘 사랑을 안고 사랑을
나누는 그런 우리였으면 참 좋겠습니다.

늘 좋은 생각,
좋은말만 하며 살아가는
행복한 우리였음 좋겠습니다.


   - 좋은글 -


+ Recent posts